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문상부암의 방사선치료

        남택근(Taek-Keun Nam),정웅기(Woong-Ki Chung),조재식(Jae-Shik Cho),안성자(Sung-Ja Ahn),나병식,(Byung-Sik Nah) 오윤경(Yoon-Kyeong O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2

        Purpose : A retrospective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role of conventional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surgery for treating a supraglottic carcinoma in terms of the local control and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an. 1986 to Oct. 1996, a total of 134 patients were treated for a supraglottic carcinoma by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surgery. Of them, 117 patients who had completed the radiotherapy formed the base of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redistributed according to the revised AJCC staging system (1997). The number of patients of stage Ⅰ, Ⅱ, Ⅲ, ⅣA, ⅣB were 6 (5%), 16 (14%), 53 (45 %), 32 (27%), 10 (9%), respectively. Eighty patients were treated by radical radiotherapy in the range of 61.2∼79.2 Gy (mean : 69.2 Gy) to the primary tumor and 45.0∼93.6 Gy (mean : 54.0 Gy) to regional lymphatics. All patients with stage Ⅰ and ⅣB were treated by radiotherapy alone. Thirty-seven patients underwent surgery plus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the range of 45.0∼68.4 Gy (mean : 56.1 Gy) to the primary tumor bed and 45.0∼59.4 Gy (mean : 47.2 Gy) to the regional lymphatics. Of them, 33 patients received a total laryngectomy (±lymph node dissection), three had a supraglottic horizontal laryngectomy (±lymph node dissection), and one had a primary excision alone. Results : The 5-year survival rate (5YSR) of all patients was 43%. The 5YSRs of the patients with stage Ⅰ+Ⅱ, Ⅲ+Ⅳ were 49.9%, 41.2%, respectively (p=0.27). However, the disease-specific survival rate of the patients with stage I (n=6) was 100%. The 5YSRs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plus radiotherapy (S+RT) vs radiotherapy alone (RT) in stage Ⅱ, Ⅲ, ⅣA were 100% vs 43% (p=0.17), 62% vs 52% (p=0.32), 58% vs 6% (p<0.001), respectively. The 5-year actuarial locoregional control rate (5YLCR) of all the patients was 57%. The 5YLCR of the patients with stage Ⅰ, Ⅱ, Ⅲ, ⅣA, ⅣB was 100%, 74%, 60%, 44%, 30%, respectively (p=0.008). The 5YLCR of the patients with S+RT vs RT in stage Ⅱ, Ⅲ, ⅣA was 100% vs 68% (p=0.29), 67% vs 55% (p=0.23), 81% vs 20% (p<0.001), respectively. In the radiotherapy alone group, the 5YLCR of the patients with a complete, partial, and minimal response were 76%, 20%, 0%, respectively (p<0.001). In all patient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N-stage, surgery or not, and age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rate and that the N-stage, surgery or not, and the ECOG performance index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locoregional control. In the radiotherapy alone group,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radiation response and N-stage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overall survival rate as well as locoregional control. Conclusion : In early stage supraglottic carcinoma, conventional radiotherapy alone is an equally effective modality compared to surgery plus radiotherapy and could preserve the laryngeal function. However, in the advanced stages, radiotherapy combined with concurrent chemotherapy for laryngeal preservation or surgery should be considered. In bulky neck disease, all the possible planned neck dissections after induction chemotherapy or before radiotherapy should be attempted. 목 적 : 성문상부암에서 방사선 단독치료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국소종양제어율과 생존율을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1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134명이 성문상부암으로 진단되어 방사선단독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시행되었고 이 중 계획된 방사선량을 조사 받은 1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997년의 AJCC 병기분류체계에 의하여 재분류하였고 병기 Ⅰ, Ⅱ, Ⅲ,ⅣA, ⅣB의 환자 수는 각각 6 (5%), 16 (14%), 53 (45%), 32 (27%), 10 (9%)이었다. 전체 환자 중 80명은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로 원발병소에 61.2∼79.2 Gy (평균 : 69.2 Gy), 경부림프절에 45.0∼93.6 Gy (평균 : 54.0 Gy)를 조사하였다. 전체 환자 중 병기 Ⅰ과 ⅣB 환자는 모두 방사선 단독치료를 시행하였다. 37명의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원발병소 절제부위에 45.0∼68.4 Gy (평균 : 56.1 Gy), 경부 림프절에 45.0∼59.4 Gy (평균 : 47.2 Gy)를 조사하였다. 수술방법으로서 33명은 전후두적출술(±경부림프절 청소술), 3명은 부분후두적출술(±경부림프절 청소술), 나머지 1명은 원발병소만의 절제술이었다. 결 과 :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43%이었다. 병기 Ⅰ+Ⅱ와 Ⅲ+Ⅳ의 5년 생존율은 49.9%, 41.2%이었으나(p=0.27), 병기 I (n=6) 환자의 종양특성생존율은 100%이었다.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S+RT)과 방사선단독 치료군(RT)의 5년 생존율은 병기 Ⅱ에서 100% 대 43%, 병기 Ⅲ에서 62% 대 52%이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p=0.17, p=0.32), 병기 ⅣA에서 58% 대 6%로 S+RT군의 생존율이 유의한 차이로 양호하였다(p<0.001). 전체 환자의 국소종양 제어율은 57%이었다. 병기별 국소종양제어율은 병기 Ⅰ, Ⅱ, Ⅲ, ⅣA, ⅣB에서 각각 100, 74, 60, 44, 30%이었다(p=0.008). S+RT군과 RT군의 국소종양제어율은 병기 Ⅱ에서 100% 대 68%, 병기 Ⅲ에서 67% 대 55%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p=0.29, p=0.23), 병기 ⅣA에서는 81% 대 2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방사선 단독치료를 받은 80명의 환자 중 방사선치료반응에 따른 국소종양제어율은 완전관해, 부분관해, 부분관해미만 군에서 각각 76, 20, 0%이었다(p<0.001). 전체환자에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는 다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N 병기, 수술 여부, 나이였고 국소종양 제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인자는 N 병기, 수술 여부, ECOG 활동도였다. 방사선 단독치료군에서 다변량 분석결과 생존율과 국소종양제어율 모두에 유의한 인자는 방사선치료 후 종양반응과 N 병기였다. 결 론 : 조기 병기의 성문상부암에서는 통상적인 방사선단독치료로 후두기능을 보존하면서 수술군과 대등한 종양제어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진행된 병기의 경우에는 수술과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 또는 후두기능의 보존적 측면에서의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진행된 림프절 병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방사선치료 전 또는 유도화학요법 후 계획된 경부림프절 청소술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방사선치료를 받은 조기 성문암 환자의 국소 종양 제어에 관한 예후 인자

        정웅기(Woong-Ki Chung),안성자(Sung Ja Ahn),남택근(Taek Keun Nam),나병식(Byung Sik Nah),조재식(Jae-Shik Cho),임상철(Sang-Chull L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4

        목 적 :방사선 단독 치료를 받은 조기성문암 환자에서 국소종양제어율에 영향을 주는 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7월부터 1995년 12월 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조기성문암으로 확진되어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의 연령 범위는 30세에서 73세였으며 중앙값은 59세였다. 성별 분포는 남자가 35명(95%), 여자가 2명(5%)이었다. 조직학적 유형은 모두 편평세포암이었다. 미국 암합동위원회의 병기분류법(1997)에 따라 다시 분류한 병기는 T1a, T1b, T2가 각각 27명(73%), 3명(8%), 7명(19%)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선형가속기의 6 MV X- ray를 이용하였다. 후두에 조사된 총방사선량은 5,040 cGy에서 7,020 cGy 범위였으며 중앙값은 6,600 cGy였다. 추적기간의 중앙값은 80개월이었고 생존율과 국소종양제어율을 Kaplan-Meier 법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두군간의 비교는 generalized Wilcoxon 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국소종양제어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의 다변량분석에는 Cox 모델을 이용하였다. 결 과 :전체 환자 37명의 5년 생존율은 89%였고 국소종양제어율은 74%였다. 국소종양제어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로 연령, T-병기, 전연합침범, 일회조사량, 총방사선량, 방사선치료기간을 분석에 포함시켰다. 단변량분석에서 치료기간이 50일 미만인 경우 5년 국소종양제어율이 93%, 50일 이상인 경우 60%로서 통계학적 의의가 있었다(p=0.026). 다변량분석에서도 치료기간만이 통계학적 의의가 있었다(p=0.017). 치료 후 합병증은 1명에서 갑상선기능저하증이 나타났다. 결 론 :조기성문암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시 치료기간이 국소종양제어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로 분석되었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local control in early glottic cancer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Mate ria ls and Me thods :We analysed 37 patients of histologically confirmed early glottic cancer treated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uly 1986 and December 1995, retrospectively. Age of patients ranged from 30 to 73 years (median; 59 years). Thirty- five (95%) patients were male. Histological type was all squamous cell carcinoma. According to the staging system of 1997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37 patients were restaged as follows: T1a; 27 (73%), T1b; 3 (8%), T2; 7 (19%). Radiation therapy was done using 6 MV X- ray of linear accelerator. The range of total radiation dose delivered to the glottic lesion was between 5,040 cGy and 7,020 cGy (median; 6,600 cGy). Median follow- up period was 80 months. Local control rates were calculated by Kaplan-Meier method. Generalized Wilcoxon test was us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control rates between comparable groups. Multivariate analysis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done to find out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local control. Results :5 year survival rate of 37 patients was 89%. Local control rate of 37 patients was 74% in 5 years. We included age, T- stage, anterior commissure involvement, fraction size, total radiation dose, treatment time of radiotherapy as potential prognostic factors in univa 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As a result, treatment time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local control rate in both univariate (p=0.026) and multivariate (p=0.017) analysis. Complication was not recorded except one patient with hypothyroidism.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overall treatment time of radia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local control rate.

      • KCI등재후보

        상악동 편평세포암종에서의 방사선치료

        김태현(Tae-Hyun Kim),윤원섭(Won-Sub Yoon),양대식(Dae-Sik Yang),김철용(Chul-Yong Kim),최명선(Myung-Sun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1

        Purpose : Maxillary sinus cancers usually locally advanced, and involve the structures around sinus, but the regional lymphatic spread is uncommon. Therfore, the local control of these cancers is important for their cure. We reviewed our experience of 55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maxillary sinus,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nd looked for the role of radiation in maxillary sinus cancers. Methods and Materials : Between November 1982 and October 1999, 55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maxillary sinus underwent either radiation therapy only, or combined with surgery or with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All patients were restaged to the 1997 AJCC staging systems. The T classifications of the tumors of the patients were as follows : 1.8% (1/55) for T2, 81.8% (45/55) for T3 and 16.4 (9/55) for T4. Thirteen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lymph node involvement. With the surgical procedures, 12 patients were managed by biopsy only, 21 were resected by FESS (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y) and 22 by partial/medial/total maxillectomies. The details of the treatments were as follows : 8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only, 17 with a combination of FESS and radiation therapy, 22 with a combination of a maxillectomy and radiation therapy, 4 with combination of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and surgery, and 4 with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The mean follow-up for all patients was 25 months, ranging from 2.8 to 125 months. Results : The 4-year local control and survival rates for all patients were 45.5 and 33.3%, respectively. The 4-year local control and survival rates, due to the extent of surgery, were as follows:32.1, and 21.4% for biopsy; 41.9, and 31.7% for FESS; and 56.8, and 52.7% for maxillectomy, respectively. Twenty-nine(52.7%) patients were not cured, and of these 29 patients, 23 (79.3%) patients had a local recurrence following treatment. Conclusion :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major failure sites following treatment to be the local regions, and that the completeness of surgery was important for improving the local control and survival of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maxillary sinus. 목적 : 상악동 편평세포암종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의 성적을 분석하여, 예후인자와 방사선치료의 역할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1982년 11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상악동암 중 조직학적으로 편평세포암종으로 진단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병기별로 보면, Ⅲ기가 44명, Ⅳ기가 11명이었다. 원발종양병기분류를 보면, T2가 1명, T3가 45명, T4가 9명이었으며, 림프절 전이는 13명에서 있었다. 수술은 12명은 조직검사만, 21명에서는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수술을, 22명에서는 전상악동 절제술 또는 아상악동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 단독으로 시행한 경우가 8명,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군이 17명, 근치적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가 22명, 수술 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가 4명, 동시항암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가 4명이었다. 전체환자의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25개월(2.8~125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환자의 2년과 4년 국소제어율은 각각 49.0%, 45.5%였고, 2년과 4년 생존율은 각각 42.1%, 33.3%였다. 방사선치료 전의 수술적 절제 정도에 따라 보면 조직검사 군은 4년 국소제어율과 생존율이 각각 32.1%, 21.4%였고,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 수술을 시행한 군은 각각 41.9%, 31.7%였고,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군은 각각 56.8%, 38.5%로 차이를 보였다.(ρ<0.05). 전체환자 중 26명의 환자는 추적관찰 기간 중 무병상태를 보였고, 19명은 국소재발만을, 2명은 림프절 전이와 국소재발을 함께 보였고, 1명은 림프절전이를, 2명은 전신전이와 국소재발을 동시에, 5명은 전신전이를 보였다. 결론 : 상악동 편평세포암종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시 국소제어율과 생존율의 향상을 위해서는 수술시 절제정도가 중요한 예후인자임을 확인하였고, 치료 실패의 부위가 국소인 경우가 높아 효과적인 국소치료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을 보인다.

      • SCOPUSKCI등재

        국소적으로 진행된 갑상선 유두암에서의 방사선치료의 역할

        김태현(Tae-Hyun Kim),양대식(Dae-S ik Ya ng),김철용(Chul-Yong Kim),최명선(Myung-S un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3

        목 적 : 국소적으로 진행된 갑상선 유두암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을 분석하고, 수술과 방사선 동위원 소치료를 받은 환자의 치료성적과 비교하여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1981년 8월부터 1997년 9월까지 국소적으로 진행된 갑상선 유두암(capsular invasion, extracapsular invasion or LN metastasis) 환자 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군(23명)의 연령분포는 18세부터 71세였고, 평균연령은 44세였으며, 여자 21명, 남자 2명였다. 원발병소는 주변조직의 침습이 있는 경우(capsular invasion, extracapsular extension)가 22명, 림프절 전이는 16명에서 있었고, 원격전이는 2명에서 있었다. 모든 환자에 서 근치적 수술를 시행하였고, I- 125치료는 12명에서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Co-60 과 4 MV X- ray를 이용하여 일일선량 1.8∼2.0 Gy씩 주 5회 치료하였고 원발병소에 50∼70 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수술과 방사선 동위원소 치료군(68명)의 연령분포는 10세부터 74세였고, 평균연령은 43세였으며, 여자 51명, 남자 17명였다. 원발병소는 주변 조직의 침습이 있는 경우 51명, 림프절 전이는 45명에서 있었고, 원격전이는 없었다. 모든 환자에서 근치적 수술과 방사선 동위원소치료를 시행하였다. 전체환자의 평균 추적기간은 55.7개월이었다. 결 과 : 방사선치료군은 국소재발이 2명, 원격전이가 2명(폐전이, 다발성 골전이)에서 있었고, 5년 국소제어율은 95.2%였고, 수술과 동위원소 치료군은 국소재발이 16명, 원격전이가 4명(폐전이) 에서 있었으며, 5년 국소제어율은 67.5%였다. 결 론 : 국소적으로 진행된 갑상선 유두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는 국소재발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 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 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possible efficacy of external irradiation for locally advanced papillary thyroid cancers (stage pT4 or N1). Methods and Mate rials : From August 1981 through September 1997, 91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papillary thyroid cancers (stage pT4 or N1) have been treated with external irradiation and followed up at our clinic. All of the patients have been treated with surgical resection. After surgery, 23 patients received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with or without ablative radioiodine therapy, whereas the other 68 patients were treated with ablative radioiodine therapy alone . Distributions of sex, age, and stage were comparable in both irradiated and nonirradiated groups . Multivariate analys is of the influence by age , sex, stage , ablative radioiodine therapy and external irradiation on local control were performed by us ing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Res ults :Overall survival rates at 7 years were of no s 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groups . There were 98.1% for no RT group and 90% for RT group (p=0.506). 5-year local control rates were s ignificantly different, these were 95.2% for RT group and 67.5% for no RT group (p=0.0408). An analysis of the prognostic factors , age , sex, stage , and RAI were not significant variables , except for the external irradiation. Conc lus ion :Adjuvant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did not affect overall survival, but s ignificantly improved local control in the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papillary thyroid cancers (stage pT4 or lymph node involvement).

      • SCOPUSKCI등재

        불완전절제된 수막종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

        김태현(Tae-Hyun Kim),양대식(Dae-Sik Yang),김철용(Chul-Young Kim),최명선(Myung-Sun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2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possible efficacy of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for incompletely resected meningiomas. Methods and Materials : From August 1981 to January 1997, forty- four patients with intracranial meningioma were treated by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Of the 44 meningiomas, 18 transitional, 13 meningotheliomatous, 6 hemangiopericytic, 4 atypical, 2 fibroblastic and 1 malignant meningioma were identified. We classified all patients into two groups by the histology. The benign group was consisted of the meningotheliomatous, transitional and fibroblastic types. The malignant group was consisted of the atypical, hemangiopericytic and malignat types. In the means of surgery, 37 patients were resected incompletely and 7 patients were managed by biopsy only. After surgery, all patients were received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Radiotherapy was deliverd using Co- 60 or 4 MV photon beam to a total dose of 50 to 66 Gy (mean dose :57.4 Gy) with a 1.8 to 2 Gy per fraction. The median follow- up was 48 months (range : 21∼101 months).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influence by age, sex, location, histology and radiation dose on local control has been done using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Results : 5- year local control rate was 93.8% for the benign histology and 51.8% for the malignant histology (p=0.0110) and overall local control rate at 5 years was 87.4%. The analysis of the prognostic factors, such as age, sex, location, and radiation dose were not significant except for the histology. Conclusion :Adjuvant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appears to be significantly improved local control in the patients with incompletely resected meningiomas. 목 적 : 불완전절제된 수막종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을 분석하여,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1981년 8월부터 1997년 1월까지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수막종 환자 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분포는 23세부터 66세였고, 평균연령은 51세였으며, 여자 32예, 남자 12예였다. 병리조직학 분류에 따라 보면, 수막성 수막종이 13예, 이행성 수막종이 18예, 섬유아세포성 수막종이 2예, 혈관주위세포성 수막종이 6예, 이형성 수막종이 4예, 악성 수막종이 1예였다. 병리조직학 소견을 양성군(수막성, 이행성과 섬유아세포성 수막종)과 악성군(이형성, 혈관주위세포성과 악성 수막종)으로 재분류 하였으며, 양성군과 악성군은 각각 33예, 11예였다. 불완전절제술이 시행된 경우가 37예였고, 조직검사만 시행한 환자가 7예였다. 방사선치료는 Co-60과 4MV X- ray를 이용하여 일일선량 1.8∼2.0 Gy씩 주 5회 치료하였고 원발병소에 50.4∼66 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전체환자의 평균 추적기간은 48개월이었다. 결 과 : 국소재발된 경우는 6예였고, 5년 국소제어율은 87.4%였다. 양성군의 5년 국소제어율은 93.8%였고, 악성군의 5년 국소제어율은 51.8%로 차이를 보였다(p=0.0110). 사망한 경우는 2예로, 1예는 유암으로, 1예는 재발에 의한 사망이었고, 5년 생존율은 97.3%이었다. 결 론 : 불완전절제된 수막종 환자에서 방사선치료는 국소 재발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SCOPUSKCI등재

        불완전절제된 수막종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

        김태현(Tae-Hyun Kim),양대식(Dae-Sik Yang),김철용(Chul-Young Kim),최명선(Myung-Sun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1

        목 적 : 불완전절제된 수막종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을 분석하여,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1981년 8월부터 1997년 1월까지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수막종 환자 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분포는 23세부터 66세였고, 평균연령은 51세였으며, 여자 32예, 남자 12예였다. 병리조직학 분류에 따라 보면, 수막성 수막종이 13예, 이행성 수막종이 18예, 섬유아세포성 수막종이 2예, 혈관주위세포성 수막종이 6예, 이형성 수막종이 4예, 악성 수막종이 1예였다. 병리조직학 소견을 양성군(수막성, 이행성과 섬유아세포성 수막종)과 악성군(이형성, 혈관주위세포성과 악성 수막종)으로 재분류 하였으며, 양성군과 악성군은 각각 33예, 11예였다. 불완전절제술이 시행된 경우가 37예였고, 조직검사만 시행한 환자가 7예였다. 방사선치료는 Co-60과 4MV X- ray를 이용하여 일일선량 1.8∼2.0 Gy씩 주 5회 치료하였고 원발병소에 50.4∼66 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전체환자의 평균 추적기간은 48개월이었다. 결 과 : 국소재발된 경우는 6예였고, 5년 국소제어율은 87.4%였다. 양성군의 5년 국소제어율은 93.8%였고, 악성군의 5년 국소제어율은 51.8%로 차이를 보였다(p=0.0110). 사망한 경우는 2예로, 1예는 유암으로, 1예는 재발에 의한 사망이었고, 5년 생존율은 97.3%이었다. 결 론 : 불완전절제된 수막종 환자에서 방사선치료는 국소 재발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possible efficacy of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for incompletely resected meningiomas. Methods and Materials : From August 1981 to January 1997, forty- four patients with intracranial meningioma were treated by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Of the 44 meningiomas, 18 transitional, 13 meningotheliomatous, 6 hemangiopericytic, 4 atypical, 2 fibroblastic and 1 malignant meningioma were identified. We classified all patients into two groups by the histology. The benign group was consisted of the meningotheliomatous, transitional and fibroblastic types. The malignant group was consisted of the atypical, hemangiopericytic and malignat types. In the means of surgery, 37 patients were resected incompletely and 7 patients were managed by biopsy only. After surgery, all patients were received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Radiotherapy was deliverd using Co- 60 or 4 MV photon beam to a total dose of 50 to 66 Gy (mean dose :57.4 Gy) with a 1.8 to 2 Gy per fraction. The median follow- up was 48 months (range : 21∼101 months).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influence by age, sex, location, histology and radiation dose on local control has been done using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Results : 5- year local control rate was 93.8% for the benign histology and 51.8% for the malignant histology (p=0.0110) and overall local control rate at 5 years was 87.4%. The analysis of the prognostic factors, such as age, sex, location, and radiation dose were not significant except for the histology. Conclusion :Adjuvant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appears to be significantly improved local control in the patients with incompletely resected meningioma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