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술관교육을 통한 미술관의 사회적 행위자로서의 공공성 실천에 대한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조장은 국립중앙박물관 2017 박물관 교육 Vol.1 No.-

        본 연구는 국내 유일의 국립미술관인 국립현대미술관이 <미술관문화학교>, <미술관 교육 워크숍>, <미술관과 미술교육> 등 교육적 활동을 통해 공공성을 실천하는 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공적 자원이 개인과 사회의 문화자본으로 변환되는 현상과 성과를 교육·문화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인식 변화의 결과로 확인하였다. 오늘날의 미술관교육은 지엽적 의미에서의 교육적 활동이 아닌 사회적 행위로서 그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공공성 실천의 핵심 기제로서 당위성을 획득하여야 한다. 공공재원이 개인과 사회의 문화자본으로 변환되어 공적으로 재분배되는 사회적 실천과 지속적인 문화향유의 기반을 구축한다는 점은 미술관교육이 실현할 수 있는 미술관의 공적 가치라는 인식이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tudy and define the function, role and significance of museum education in this changing society on the premise that museum has public nature as social space. As the society had shifted towards postmodernism after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transformations in the 20th century, museum had gone through enormous changes. At this moment, museum needs to define its identity within its relationship with the society. For example, there are demands for social responsibility and response of museum from the public, deeper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n museum, and the expansion of policies emphasizing educational activities. These factors point out the role of museum in the society and the justifiability of museum education. According to a survey among museum visitors, answered that the level of museum's social contribution was either very high or high. The result shows that the public regards museum as social space that operate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ociety. It also shows that the public expects MMCA to fulfill its public responsibility as a national institution. Today‘s museums are required to play effective roles for satisfying various demands from the society and the public. Museums should prove their justifiability and dynamics of existence and present new kinds of values in the context of changing society beyond their previously proven values. In this sense, the role of museum education should be redefined from the perspective that museum can organize and expand complicated networks among visitors and contemporary arts.

      • KCI등재

        국립미술관의 책임운영기관화와 운영 자율성 증진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의 운영규정과 작품수집규정 변화를 중심으로 -

        김세희(Kim, Se-Hee) 한국박물관학회 2019 博物館學報 Vol.- No.37

        책임운영기관제도는 정부기관을 경쟁원리에 따라 운영하거나 전문성에 대한 성과관리가 필요한 경우 기관장에게 조직․인사․예산 운영의 상당한 자율성을 주고, 매해 성과평가의 결과를 책임지도록 하는 제도이다. 1969년 설립된 국립현대미술관은 미술관장 중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2006년 책임운영기관으로 전환되었다. 본 연구는 책임운영기관화가 기본 전제로 하는 운영 자율성 증진이 국립현대미술관 사례에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두 가지의 핵심 규정(기본운영규정과 작품수집 및 관리 규정)을 제도변화 전․후(1999-2013)로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책임운영기관화와 함께 제정된 기본운영규정은 미술관장의 운영 자율성 범위를 명문화하였다는 의미가 있을지라도 조직․인사․예산 운영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율성은 극히 제한적이었다. 1993년 제정된 작품수집 및 관리 규정은 책임운영기관화가 이루어진 2006년 미술관장의 권한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하지만 2009년 이후 작품 수집의 공공성과 투명성 강화를 위해 작품 추천회․선정위원회를 활용하여 최종적인 미술관장의 결정에 대한 책임을 분산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결론적으로 국립현대미술관의 책임운영기관화는 운영 자율성 증진보다도 운영 성과에 대한 미술관장의 책임이 강화된 변화이고, 정부의 영향력은 여전히 강력히 행사될 수 있다고 분석되었다. Executive agency system is known to provide more autonomy to national institutions for better efficiency and enhanced performance level. In South Korea,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Korea has been operating as one of the executive agencies since 200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ather the MMCA’s turning into an executive agency and remaining as such has allowed better acquisition of operational autonomy. In the first section, the logic behind executive agency system, and the background of how and why such method was incorporated in Korea are examined. Then for the case analysis, MMCA’s managerial and art collection regulations from 1999 to 2013 are reviewed to discern how the autonomy of museum director actually have improved since the agencification. The result of study shows that the newly legislated museum’s managerial regulation (2006) stipulated director’s managing right in organization, personnel and budget, which greatly restricted leadership; director’s power was limited to autonomously forming temporary organization and managing contract based public servants. In art collection regulation, director gained more right in recommending and ultimately selecting art works to be collected immediately after the agencification. Hereafter, the reforms of art collection regulation emphasized on bringing more outsiders’ input and actively utilizing committees(newly creating them or increasing the number of committee members) for recommending, selecting and deciding on the optimal/fair price for the artwork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agencification of MMCA was not an institutional change with a decent improvement of operational autonomy but a way to shift more responsibility to the director of MMCA. This change left the museum vulnerable to government influence and outside pressure, therefore not necessarily beneficial to the steady and continuous growth of professional performance.

      • KCI등재

        한국화 캡션에서의 재료표기에 관한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을 중심으로

        김상철 한국영상학회 2021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9 No.4

        캡션(caption)은 출판물의 삽화나 사진 등에 붙는 짧은 해설문으로 그 작품의 가장 기본이 되는 이력을 기록하는 것이다. 그 러므로 캡션은 정확하고 구체적이며 분명해야 한다. 특히 그것이 국공립미술관과 같이 공신력 있는 국가 기관일 경우 더욱 그러하다. 이는 국가적인 표준으로 제시되어 교과서는 물론 각종 용처에 사용되기 때문이다. 오늘날과 같이 국제교류가 빈번 하고 인쇄 매체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한 정보의 교환이 넘쳐나는 시대에 캡션의 중요성은 두말할 것 없이 중요한 것이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한국화에 대한 국립현대미술관을 비롯한 주요 미술관의 한국화 관련 캡션은 미진할 뿐 아니라 난맥과 혼란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한국화가 우리 전통미술의 적자로서 가지고 있는 위상과 의미를 상기한다면 이는 하루빨리 시정되어야 할 문제이다. 국제교류가 일상화된 현실에서 올바른 캡션의 올바른 영문 번역은 시급한 일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화의 용어에 대 한 올바른 정립을 위한 재점검과 재검토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한국미술의 새로운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동력을 확 보하기 위해서도 이러한 작업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립현대미술관과 서울 시립미술관을 중심으로 주요 국공 립미술관의 한국화 캡션에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본적인 연구이다. A caption is a short type of commentary attached to an illustration or photograph of a publication, recording the most basic history of the work. Therefore, captions must be accurate, specific, and clear. This is especially true for state institutions with credibility, such as the National Museum of Art, as they are presented as a national standard and are used not only in textbooks but also in various applications. In an era where international exchanges are frequent and information is exchanged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the current print media, the importance of captions cannot be overstated. Nevertheless, captions related to Korean paintings in major art museums, including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re not only inadequate but are also cause confusion. In particular, if we recall the status and meaning of Korean paintings as a deficit in the realm of Korean traditional art, this is a problem that must be corrected as soon as possible. In a reality where international exchanges are becoming commonplace, it is urgent to translate the captions into English correctly. To this end, a re-examination of the correct establishment of the terms of Korean paintings should be done, and this task should be promoted in order to secure an engine to promote the new development of Korean art accordingly. This study provides basic research by which to analyz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Korean painting captions at major national and public art museums, centering on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nd seek alternatives to these.

      • KCI등재

        상징폭력으로서의 미술관 정책 ― 1960-80년대 국립현대미술관의 형성과 변화를 중심으로

        심보선 ( Shim¸ Bo-seon ),박세희 ( Park¸ Sehee ) 한국사회사학회 2021 사회와 역사 Vol.- No.131

        우리는 국립현대미술관의 형성 및 변화 과정에서 작동하는 예술성과 공공성 담론과 그것들을 생산하는 지식인 및 예술가들, 정부 사이의 동학을 피에르 부르디외의 국가 이론 및 상징 폭력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1969년 개관 이후 예술을 통해 이상적인 근대 국가와 국민을 대내외적으로 육성하는 보편주의적 억견에 따라 예술성과 공공성을 상호 조응시키고 결합시켰다. 즉, 예술의 우수성은 민족/국가/객인의 우수성과 상응한다는 ‘문화(Kultur)’ 개념이 논박불가능한 미술관 운영의 규범으로 자리했다. 이 보편적이고도 규범적인 전제는 선택과 배제, 경쟁과 협력을 통해 작동하는 국가와 예술가/지식인 사이의 사회적 동학을 통해 구체화되었다. 1960-80년대 문화정책은 국가의 통치 기술로서 이중적인 양상을 띠었다. 한편으로는 대중문화에 대한 통제와 검열, 반정부적 예술에 대한 탄압, 민족기록화와 대통령 찬사와 같은 직접적 동원 등 예술의 자율성을 박탈하거나 예술을 선전 도구화하는 정책이 존재했다.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재와 박물관/미술관에 관련한 법과 제도의 설립과 운영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예술적 혁신과 진보 개념을 국민국가의 기획에 적용하는데 예술가 및 지식인을 동원하는 보편주의적 상징폭력으로서의 정책이 존재했다. 기존의 연구는 전자의 비중이 약해지고 후자의 비중이 강해지는 과정을 권위주의적 정권이 쇠퇴하는 민주화의 과정과 연계하여 이해해 왔다. 그러나 우리는 권위주의적 정권의 근대화 기획에서 후자 역시 무시할 수 없는 위상을 차지했으며 민주화 이후의 국립현대미술관 정책의 이념적이고 제도적인 연원이 바로 거기에 있었다는 점을 사료 분석을 통해 밝혔다. 그리하여 정권 교체와 더불어 전시 및 운영이 다변화했음에도 불구하고 국립현대미술관은 한국의 미술계에서 국가의 영향력이 발휘되는 강력하고도 지속적인 거점으로 기능하기에 이르렀다. Drawing on Pierre Bourdieu’s theory of the state and symbolic power, we analyzed the interactive dynamics centering around the discourse of the “the public” and the “the artistic” between state, intellectuals, and artists in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Since its inception in 1969, the MMCA has combined the public and the artistic according to a universalist doxa that views art as a tool for nurturing the civility of the modern nation-state and its people. The notion of ‘kultur’ equating the excellency of art with that of nation/state/individual was embedded as an indisputable norm in the management of MMCA. The interactive dynamics between the state and intellectuals/artists, including competition and collaboration, produced and strengthened the norm. The state's cultural policy from the 1960s to the 1980s was consequently double-sided. On the one hand, it was based on censorship of mass culture, oppression of anti-government artists, and direct control of art, which instilled nationalist and anti-communist orientation within the policy frame.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law and state institutions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and museums, it operated as symbolic violence by incorporating universalist ideas of artistic progress within nation-state building through mobilizing artists and intellectuals into the policy arena. Previous studies of cultural policies have adopted developmental perspectives that interpret the change of the MMCA as a linear democratic process whereby the oppressive control of art weakens, and the universalist promotion of art strengthens. However, we argue that the latter had a central role in the modernist project of nation-building by the authoritarian state and provided an ideologic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MMCA even after democratization. Therefore, despite the regime changes and diversification of exhibitions and management, the MMCA has stayed as an influential and long-standing anchorage that has sustained the state’s strong influence in the world of Korean visual art.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분석을 적용한 미술관 이용행태 분석: 국립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장성수,이정환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1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국내 미술관 이용 활성화를 위한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전국의 미술관 중 국립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전ㆍ후의 이용행태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텍스톰(Textom)을 활용하여 2019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국내 주요 포털사이트 및 SNS에서 ‘국립현대미술관’ 키워드가 포함된 게시글을 코로나 발생전(2019년), 코로나 위험기(2020년), 코로나 안정기(2021년) 시기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후 넷마이너(NetMine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각 시기 별 키워드 빈도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외부 환경의 변화와 무관하게 국립현대미술관 이용목적은 전시, 관람, 주변 지역 방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후 관람 유형 변화를 살펴본 결과, 국립현대미술관이 제공하는 새로운 전시 수단(온라인, 유튜브 등)의 인기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관람객의 야외 전시 선호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동반 방문객 유형이 가족 위주로 변화하였으며, 전시 관람 사전예약제도에 따라 평일 방문객 증가 등이 주요한 변화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국내 미술관 이용 활성화 방안으로 가족 대상의 전시ㆍ체험 프로그램 개발, 이용객들의 새로운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야외 체험 공간으로의 변화와 온라인 전시 활성화 방안 모색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동시대 미술관과 아트샵의 담론 : 미셸 푸코로 본 국립현대미술관(MMCA)

        이린우,남윤재 한국소통학회 2019 한국소통학보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implications of Foucault's theory in art shops in the contemporary museum,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by applying power, knowledge, and discourse, which become central to the cause of Foucault. MMCA operates four galleries under the name of Art Zone and strategically functions in the form of small passage within the museum. Thus, the Art Zone of MMCA is an appropriate place to derive the argument of various discours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rt shop can be examined based on Foucault’s theory of discourse, since it serves as a major point of art gallery and is the place where a variety of discussions exists beyond the space for consumption. 본 논문은 권력과 담론이 미술관 내 아트샵에 작동하는 방식을 미셸 푸코의 이론으로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미술관은 오랜 역사에 걸쳐 인문·과학·예술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교육과 관광의 기능으로 범위가 확장되며 다양한 특징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동시대 미술관 내에는 다양한 공간이 존재하는데 그중에서 아트샵은 주목할 만한 특징을 가진 공간이다. 국립현대미술관(MMCA) 서울관은 세계적인 추세에 따른 ‘도심 속 열린 미술관’을 표방하고 있으며 새로운 미술관의 운영 정책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시대 미술관에서 중요한 위치이자 전략적 공간으로서 활용되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아트샵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동시대 미술관의 추이에 따라 아트샵의 운영 정책이 결정된다 판단하여 먼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을 비판적담론분석(CDA)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푸코가 제시한 배제의 체계에 따른 담론 형성의 원리를 아트샵에 세부적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푸코의 이론 중 지식, 권력 그리고 담론에 관련한 논의는 미술관과 아트샵을 이해하기 위하여 유용함을 제안하며, 아트샵 내에 존재하는 담론의 질서에 대한 체계적인 재해석을 시도하였다.

      • KCI등재

        아트 프로젝트 공간으로서 현대미술관 연구 -국립현대미술관의 예술협력 패션쇼를 중심으로-

        김세희 한국박물관학회 2021 博物館學報 Vol.- No.41

        The contemporary art museum is a kind of museum that most often functions as a space for diverse art projects. This is because the museum dedicated to contemporary art, which specifically includes artworks of the currently living artists and creators, has the obligation to serve the public with activities that reflect the diverse artistic/creative values in the concurrent art world and cultural industry. For this study, the art collaboration project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Korea) is chosen as an exemplary case that had taken place in Korea, and making of the cultural event titled <Art Collaboration Fashion Show in MMCA, Seoul> is analyzed in detail. The case analysis laid out the early planning stage of the project to the end result and the general public’s response to the event as a whole by explaining the context of how and why, through what process such art project was perused with the remaining documents, on/offline records, photos and personal memories of serving as a leading director of the project. In conclusion, the case analysis derived three key factors that had made the event successful. First, the open call/contest, which took place to openly recruit project participants, was organized in a way that diverse options for creative art collaboration were proposed to the event organizers. Second, the museum as a host had the full authority in managing the sponsored project, which had increased the effectiveness of management of open call, the actual event and publicity activities while properly distribut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partakers. Third, the autonomy was fully guaranteed to the three finalist of the open call of the fashion show. This had made the project leaders of museum to focus on the administration, planning of the event and publicity activities, while the art collaborators could focus entirely on executing the show. This study dedicates to building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emporary art museum as a space for art project and illuminate the value of fluidity yet systemic quality of art collaboration. 현대미술관은 예술적 가치를 지닌 다양한 활동을 공론화하는 열린 장(場)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 아트 프로젝트 사업을 활성화시켜왔다. 이러한 프로젝트 중에는 여러 문화예술 분야 활동가들에게 협력 또는 협업(collaboration)의 기회를 제공하고, 미술관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하나의 이벤트로서 홍보마케팅 효과와 관람객 유입의 극대화를 이룬 사례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예술협력(art collaboration)을 주요 개념으로 강조시킨 프로젝트 결과물 중 하나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서울관)의 개관 이후 처음으로 추진된 문화행사 <서울관에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패션쇼>를 조명하였다. 해당 사례는 우리나라 유일의 현대미술관이 서울 중심에 새로운 분관을 설립하며 ‘갤러리 아트존’이라는 브랜드(뮤지엄 숍이자 프로젝트 기획전시 공간)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차세대 아티스트를 지원․발굴해나갈 프로젝트 사업을 개시하는 의미를 지녔다. 사례연구 방법으로는 행사 참여자 모집을 위한 공모 기획과 심사 및 선정 과정, 예술협력으로 만들어진 행사의 세부 내용과 그 이후의 홍보효과 전반을 실무참여 경험과 남겨진 기록물들을 토대로 정리하였다. 그 후 분석을 통해 해당 사례가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었던 예술협력 기획 및 추진과정의 요소 세 가지를 도출하였다. 그 내용은 1)공모기획에서 어떠한 기준이나 요건보다도 미술관을 자유로운 표현공간의 도구로 사용하는 열린 방향성만을 제시하였고, 따라서 협력 참여의 의지를 지닌 동시대 문화예술 분야 활동가들이 창의적인 기획안을 다채롭게 제안할 수 있었다. 2)미술관이 주체적으로 기업의 후원금을 운영할 권한을 지님으로써 효율적으로 행사 기획 및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고 관리할 수 있었다. 3)프로젝트 수행에 있어서 주최자 또는 후원자의 지나친 개입 없이 공모를 통해 선정된 참여자들의 의사결정권이 온전히 보장받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술협력 개념을 정리함으로써 현대미술관이 아트 프로젝트 수행 공간으로 자리매김하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해당 사례가 추진될 수 있었던 특수한 맥락과 배경을 명문화하고 일회성으로 끝나기 쉬운 프로젝트 형식의 문화행사 그 뒤에서 이루어지는 현장의 모습을 기록함으로써 미술관이 제공하는 주요 콘텐츠로서 문화행사를 조명하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의 문화장과 사회공간의 환류 효과에 관한 연구: 국립현대미술관, 리움, 대안공간을 중심으로

        김동일,지주형,김경만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23 No.2

        동시대 사회학 연구의 성과 가운데 하나는 문화의 ‘상대적 자율성’의 발견이다. 문화는 경제나 사회구조의 일방적 영향을 받는 것도 아니고, 절대적 자율성을 갖는 것도 아니다. 문화와 사회구조는 서로 영향을 환류한다. 연구자는 이를 부르디외가 지적한 장과 사회공간 사이의 상동성의 관점에서 풀어내려 한다. 문화장은 외접하는 사회공간과의 관계를 맺으며, 그 관계 속에서 자율성을 유지한다. 연구자는 사회공간을 국가, 자본, 시민사회 사이의 지배와 저항의 공간으로 가정하고, 문화장과 사회공간 사이에서 유발되는 환류효과를 살펴 볼 것이다. 이때 미술관은 문화장과 사회공간 사이의 상동성을 유발하는 중요한 환류점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미술관 가운데서도 국립현대미술관, 리움미술관, 대안공간은 각각 국가, 삼성이라는 지배적 힘과 시민사회의 저항적 힘이 차별적인 예술개념의 규정이라는 문화적 형태로 서로 환류되는 지점이라 할 수 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이른바 군사정권으로 상징되는 권위주의 정부 시절 정치권력의 정당성을 문화적으로 증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문화장 내로 국가의 권위를 도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근현대 미술사를 규정해 왔다. 리움은 삼성이라는 사적자본의 영향을 바탕으로 예술작품의 소장과 전시에 있어서 선택적 전문성을 발휘하며 문화장의 지배 권력이 되었다. 반면 대안공간은 이른바 공공미술, 커뮤니티아트의 형태로 미학적 실천을 차별화하면서 시민사회의 다양한 저항과 결합하고 있다. 한국 사회의 풍경은 문화장과 사회공간의 역동적 환류를 통해 형성되어 왔고, 또 변화해 나갈 것이다.

      • KCI등재

        국립현대미술관의 전시 및 소장 다양성: 2011년부터 2020년까지의 작가 및 매체 다양성을 중심으로

        김두이,박혜성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2 문화정책논총 Vol.36 No.2

        This study determined the diversity in the area of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Both artist and media diversity were investigated. The former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artist's gender, generation (age), and country, and the latter in relation to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of the works. We surveyed 140 solo exhibitions and 840 new collections for the 10 years from 2011 to 2020. Using frequency and ratios, we additionally measured the “number of types” and “equality” for data on generation and media of each year. First, we discovered that the proportion of female artists is increasing recently, but male artists are still strong. This situation is very clear in the older group in the collections. As for generation, while the artists born between 1965 and 1980 stand out, the influx of younger artists has recently increased. Next, the proportion of domestic artists dominates, and this trend has recently been strengthened. Lastly, in the case of media, new media had a significant presence in both exhibitions and collec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trend in the diversity of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through data accumulated over the past 10 years.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diversity of art museums and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국립현대미술관을 대상으로 전시와 소장 영역에서의 다양성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작가의 출신 성별, 세대(나이), 국가를 포함하는 작가 다양성과 작품의 재료나 기법을 의미하는 매체 다양성을 통해 다양성을 관찰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총 10년간 진행된 개인전 140건과 신소장품 내역 840건을 분석했다. 다양성 측정 도구로는 빈도와 비율을 공통적으로 사용하되, 세대와 매체의 연도별 자료에 대해 가짓수와 균등성을 추가로 검토했다. 연구 결과, 여성 작가의 비중은 최근 증가하는 추세이나 남성 작가가 여전히 강세이다. 특히 소장 영역, 고연령군에서의 남초 현상은 매우 뚜렷이 나타났다. 세대의 경우, 1965년부터 1980년 출생 작가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최근 젊은 작가군의 유입이 증가하고 있다. 셋째, 국내 작가 비중이 지배적이며, 이러한 추세는 최근 더욱 강화되었다. 마지막으로 매체의 경우, 전시와 소장 모두 뉴미디어가 강세를 보였다. 이 연구는 최근 10년간 누적된 실제 자료를 통해 국립현대미술관의 전시와 소장 다양성 추이를 분석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술관 다양성 증진을 위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