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립민속박물관의 ‘민속아카이브’ 현황 및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이주홍 국립민속박물관 2015 민속학연구 Vol.0 No.37

        As well as other cultural arts of the country, the importance and need for Archives in folklore is growing day by day. However, the specific discussion of the definition and scope of the archives is not sufficient. And there is a general recognition that archives contain all of the relevant data. In fact, when considering the various aspects of folklore archives, it is assumed that the concrete concept is not an easy task. National Folk Museum is a national institution that is the center of national folklore studies. Earlier it established the ‘The center of folklife Archives’, which aims to promote the active provides the data associated with the activities of the museum. It takes considerable time and effort to collect, organize and provide archives. And it is not easy because of various aspects and massive quantities of archives. It seems that the currently service of ‘The center of folklife Archives’ is complicated because of its various media and paths. Therefore, this study is how ‘The center of folklife Archives’ establishing of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lso find out whether what is currently being operated. And I proposed the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center of folklife Archives’. First, as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I research the reason why folklorist have argued the need for Folklore-Archives, and it will establish whether under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or present in an independent organization. Next, I examin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enter of folklife Archives’ and its status of type and quantity of data and service configuration. Finally, I suggest dividing the improvement of ‘The center of folklife Archives’ to ‘establishing the concept of collections’ and ‘configu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 current archives of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re being managed by an organization called ‘The center of folklife Archives’. But there are complicated to feel part of the user’s position because its various archives are unsystematic. In this study, I suggest that the work is necessary to develop a concept of Folklore-Archives, and ‘The center of folklife Archives’s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system. This not only enhances the utilization of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user but also improve the efficiency of arrangement. However, it should be future complementary, in that it did not develop the specific discussions through real cases of arrangement archives. 박물관형 아카이브란 소장품을 중심으로 하는 박물관에 도서관, 기록관이 통합된 개념으로서 국립민속박물관에서 구축한 민속아카이브도 그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민속아카이브는 688,000여건에 해당하는 방대한 민속학 관련 자료를 수집 및 서비스 하고 있으나, 이 때 보여지는 아카이브자료의 계층적 구조가 일목요연하게 파악된다고 하기에는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 민속아카이브의 아카이브자료들은 다양한 매체와 유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다가 서비스 경로 또한 다양하다. 자료들 가운데에는 비슷해 보이는 성격의 자료가 각기 다른 경로를 통해 서비스 되고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용자에게 혼동을 줄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자체 생산된 사진 자료들을 사례로, 자료의 계층구조화를 통한 박물관형 아카이브의 효율적인 관리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첫 번째 방안으로 아카이브자료의 계층구조를 정리하여 각 사업간의 맥락을 연계시켜 통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중복자료를 제어하는 데에도 유용할 수 있다. 둘째로, 분류체계를 한 단계 세분화하는 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첫 번째와 마찬가지로 자료의 맥락을 살리는 방법인 동시에 자료 정리의 실제에서 작업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목적도 가진다. 두 제안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아카이브자료의 계층구조를 조직하는 작업은 정리단계에서 그치지 않고 활용을 위한 단계, 즉 이용자들에게 서비스 될 때에 그 구조적 맥락이 필히 제시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현실적 여건과 능력의 부재로 본고에서는 아카이브자료의 계층적 관리에 대해 원론적이고 개략적인 방안 제시에 그쳤다. 다만 아카이브자료의 실제 정리작업은 각 기관의 현실적 성격에 맞게 정립되어야 하기에 타 기관의 사례를 충분히 검토하지 못한 점은 과제로 남는다.

      • KCI등재

        1970년대 문화정책과 박물관의 전시양상 -한국민속박물관 건립을 중심으로-

        김재영(Kim, Jae-Young) 고려사학회 2020 한국사학보 Vol.- No.79

        전시는 기획된 메시지를 시각적 자료를 통해 전하는 매체이다. 역사적으로 전시는 정치적 표상을 지배하는 권력관계를 보다 직접적으로 대중에게 전달하는 기재로 사용되어 왔다. 일제강점기 식민정책 수단의 하나로서 박람회 및 박물관에서 식민지의 이미지가 왜곡・변형되어 정치적으로 활용되었던 사례는 연구되었다. 그런데 탈식민지 이후 우리나라 박물관이 어떻게 형성되고 운영되어 왔는지, 식민지 유산이 어떻게 박물관에 투영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이 글은 1970년대 민속박물관 설립과정에서 보인 전시 한계성의 예를 박정희 정권의 문화정책의 영향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1970년대 문화정책은 정신교육 강화, 관광 등의 방식을 통해 민족사관 정립과 전통문화의 개발 등의 목적을 지향하였다. 또한 박정희 정권은 문화정책을 외화획득이라는 경제개발의 또 다른 도구이자 정부시책의 선전 홍보 도구로 활용하였다. 민속박물관은 이 양자의 접점이자 주체의 시각을 특정한 제도에 맞게 수용시키는 장으로서 운영되었다. 그래서 1970년대 문화정책에 의해 국립민속박물관은 민속과 박물관의 개념이 규정되었고, 국가가 투영하고자 한 국민통합적 문화정책을 일방적 전시형태로 전달하게 되었다. 1970년대 문화정책이 투사된 민속박물관의 전시는 총체적인 민속을 보여주기보다 의도적이고 편향된 전통과 민족 문화의 전시양상을 나타냈다. 이상의 전시 의도와 구현은 식민지 박람회 및 박물관에서 이미지를 왜곡·변형하여 정치적으로 활용했던 방식의 연장이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식민지 근대성이 탈식민지 이후 우리가 만든 박물관에 재현전화되었다고 본 것이다. The exhibition is a medium that transmits the planned message through visual materials. Historically, exhibitions have been used as a means to more directly convey the authority relations that dominate political representations to the public. As a means of colonial polic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cases where images were distorted and transformed and used politically at exhibitions and museums. However, research on how Korean museums have been formed and operated since the post-colonization and how the heritage has been projected has been lacking. This article looked at an example of the limitations of exhibitions shown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folk museum in the 1970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ltural Policy. In the 1970s, the Cultural Policy aimed at establishing national history and developing traditional culture through strengthening mental education and tourism. In addition, the Park Jung-hee regime used Cultural Policy as another tool for economic development called foreign currency acquisition and as a propaganda tool for policies. The Folk Museum was operated as a contact point between the two and accommodated the subject"s perspective according to a specific system. Thus, the concept of folklore and museums was defined in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s integrated cultural policy aimed at projecting was delivered in a unilateral form exhibition. The exhibition of the Folk Museum, projected with Cultural Policy, showed an intentional and biased display of traditional and national culture rather than showing the overall folklore. The above exhibition intentions and realizations were extensions of the way politically used by distorting and transforming images at colonial fairs and museums. In this context, it was considered that ‘colonial modernity’ has been re-converted to the museum we built after post-colonization. In the 1970s, Cultural Policy influenced the exhibition patterns of museums, and examples were examined in the construction and exhibition contents of the Korean Folk Museum.

      • KCI등재

        박물관형 아카이브와 민속학적 활용

        김시덕(Kim, Shi-Dug)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60

        민속학 연구와 박물관은 상호 보완적 관계에 있다. 알렉산드리아 박물관 이후 박물관, 도서관, 아카이브는 독자적 발전을 하면서 공존해 왔다. 그 과정에서 서로 영역을 넘나들고, 디지털 시대가 되면서 경계가 모호해지기 시작하였다. 이에 이들을 문화기관이라는 이름으로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Lachiveum’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이론상 MDR(Metadata Registry)이나 ontology 등의 기술을 이용하면 on-line 디지털 환경에서는 가능하나 off-line에서는 한계가 있다. 이에 문화기관들은 각기 그에 특화된 라키비움을 만들고 있다. 그 중의 하나가 국립민속박물관의 민속아카이브와 같은 박물관형 아카이브(archives for museum, museum type archives)로, 박물관의 역사와 운영기록을 다루는 기록학의 박물관 아카이브(museum archives)와는 다르다. 박물관형 아카이브는 신뢰성 있는 진본을 중시하는 순수 아카이브(국가기록원)와는 달리 일반 아카이브(연구소, 자료센터)처럼 신뢰성 있는 사본(복제) 자료의 정보적 가치도 중요시하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일반 아카이브는 유물자료도 수집하지만, 박물관형 아카이브는 박물관 소장품으로 수집하는 유물자료는 수집하지 않아 구별된다. 박물관형 아카이브의 민속학적 활용 방법은 물질문화연구이다. 일본에서 시도되고 있는 ‘モノ学’(mono-gaku)는 신체론․감각론․존재론으로 재구성하여 문화를 연구하는 물질문화 연구의 새로운 경향이다. 이에 필요한 고급 정보를 제공하는 곳이 바로 박물관형 아카이브이다. 또한 박물관의 연구직과 외부 연구자가 공동연구를 진행할 때도 박물관형 아카이브는 정보 제공처가 된다. 이처럼 민속아카이브와 같은 박물관형 아카이브는 민속학 연구에 필요한 고급 정보를 제공하는 큰 역할을 할 것이다. Museum and folklore study is mutual complementary relation. Since the Museum of Alexandria, museums, libraries, archives were co-existed and developed independently. The borderline was ambiguous somewhere in the process of crossing among them. As a result, the word ‘Lachiveum’ was out and trying to accommodate under the name of a cultural institution. Theoretically, MDR(Metadata Registry) and ontology technology help us to the thing on-line which is digital environment, however there is some limitation in off-line. Therefore the cultural institution make their own specialized lachiveum. One of the examples is the ‘museum type archives(archives for a museum)’ which is the folk archive in the National Folk Museum. This is differ from the archival science of the museum archives which deals with on the history of museum and management records. The museum type archives is caring the replica or duplicated copies of the records as well, unlike the original copy is the main resource of the archive(e.g. National Archives of Korea). However, the general archive also collects relics, artifacts, the museum type archive don’t collect relics or artifacts. The application of the folklore on the museum type archives is the study of material culture. The ‘mono-gaku(モノ学)’ is the new trend of the study of material culture which reconstruct culture in three parts, Somatologie, Sensualism, and Ontology. The museum type archives provides high quality information. Also, the museum type archives is a resource of information, while museum curators collaborate with outside researchers. The museum type archive i.e.; the folk archives plays a role as a resource for the study of folklore.

      • 민속생활사박물관협력망 사례로 본 지역박물관과의 협력 :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이인혜 국립중앙박물관 2017 박물관 교육 Vol.1 No.-

        This article presents the example of collaboration between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nd regional folk museums through the collaborative network. The article points out the fact that the number of local museums increased while human and physical infrastructure was not sufficient To tackle the issue, a network was formed among museums for better cooperation. After the three-year preparation,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started the folk museum network since 2005 for multidimensional cooperation in education, exhibition and collection management The article focuses on the case of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in 2015 and 2016. 이 글은 국립민속박물관의 민속생활사박물관협력망 사업을 통하여 지역박물관과 협력하여 왔던 과정을 설명하였다. 또한 2015~2016년의 사례를 기반으로 지역박물관과의 교육프로그램 협력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박물관협력망은 박물관과 유사기관이 서로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협력을 도모하지만 동시에 각 기관이 가진 특징을 유지하는 체계로 상생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구축되었다.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협력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지역박물관에서 사업 그 자체를 위한 개발이 아니라 정말로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을 만들고 차 연도에 실행하는 것, 그리고 그 지역의 특징을 잘 살려 실제로 지역 문화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 KCI등재

        북한 조선민속박물관의 전시 구성과 체계 - 상설전시의 특성과 남북한 비교를 중심으로 -

        권혁희(Kwon, Hyukhui) 비교민속학회 2021 비교민속학 Vol.- No.73

        이 연구는 북한 민속박물관의 전시체계를 검토하고 남한의 박물관과 비교하기 위해서 작성되었다. 분단 이후 북한은 정치적 격변과 통치 이데올로기에 따라서 민속관련 연구가 변화해 갔는데, 이에 따라 대중적 공간으로서 민속박물관의 전시체계도 그 흐름을 반영해왔다. 1950년대에는 사회주의 국가 건설을 위한 유물론적 체계가 전시 내러티브와 유물의 배치에 반영되었으며, 1960년대 후반에는 유일영도체제를 재현하는 혁명역사관을 반영하는 서사체계를 갖추게 된다. 무엇보다도 북한 민속박물관의 전시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전환기는 1980년대 후반부터라고 할 수 있다. 1980년대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와 함께 본격화된 조선민족제일주의는 민족주의를 사회 전반에 부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북한의 조선민속박물관도 이러한 변화 속에서 유물론적 서사에 민족주의를 강조하는 담론이 강하게 포함되었다. 또한, 사회주의 역사발전 단계를 중심으로 하는 서사체계에 민족문화의 전승을 강조하는 조선옷과 민족음식, 세시풍속과 일생의례, 민속놀이가 강조되었다. 남한과의 비교에 있어 음식과 복식과 같은 물질문화와 민속놀이가 유사했던 반면 민간신앙과 같은 종교부분은 사회주의 체제의 특성상 전시에서 배제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향후 이 연구는 남북한 간의 문화교류에 있어 민속학 분야에 새로운 의제를 발굴하고 민속박물관 간의 교류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explains folklore research in relation to social changes in North Korea and introduces exhibition system and narratives of the Chosun Folklore Museum. First of all,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understanding the exhibition of the North Korean Folk Museum began in the late 1980s. The collapse of the socialist system and the hereditary succession of Kim Jong II in the 1980s led to the emergence of national firstism. Amid these changes, the North Korean Folk Museum also strongly included a discourse emphasizing nationalism in the materialistic exhibition system. In addition, food, clothing and dwelling, rituals, and folk games that emphasize the transmission of national culture were emphasized in the narrative system of socialist historical development. In comparison with South Korea, material cultures such as food and clothing and folk games were similar, whereas religious rituals such as folk beliefs were excluded from the exhib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ist system.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basis for discovering a new agenda in the field of folklore in the future cultural exchang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xchanges between folk museums.

      • KCI등재

        지역민속문화자원의 박물관 교육

        이윤서(Lee, Yoon-Seo)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60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에서 운영된 지역문화 교육은 지역의 환경과 역사, 전설 등을 마을 주민들로부터 듣고 보고 관찰한 뒤 체험이 이루어져 문맥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통해 에코뮤지엄의 개념도 찾아볼 수 있었다. 에코뮤지엄의 요소로 특정지역과 문화유산의 보존, 주민의 참여, 박물관 활동이 전제되는 것으로 어린이박물관 사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민속’은 지역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지역문화 교육 또한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둘째로, 유․무형유산의 보존이라는 목적 아래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으로 마을에서 전승되는 민속문화 또는 마을의 무형문화재와 경험담이 교육의 핵심 주제이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참여가 이루어진다. 민속 문화를 향유하고 있는 마을 주민들이 교육 진행자로 나서 참가자들에게 마을의 역사와 환경, 이야기 등을 들려주고 체험 활동도 진행한다. 넷째로, 지역문화 교육은 전시기반학습에서 나아가 현장학습으로 이루어지는 박물관 활동이며, 지역민속문화의 해 특별전이 개최되면 적극적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한다. 어린이박물관에서 운영된 지역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우리의 옛집을 찾아서> 교육은 참가자들이 앞으로 다른 고택에 방문을 했을 때에도 고택의 건축적 아름다움과 역사적 가치에 대해서만 보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 살았던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이며 또 그들이 갖고 있는 이야기는 무엇이 있을지 고민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며, 그러한 점에서 이 교육이 갖는 의의를 찾아볼 수 있었다. <가자! 1박 2일 민속마을로 떠나요>, <민속마을을 찾아서> 교육은 지역 주민들을 진행자로 내세워 참가자들에게는 민속현장에서의 문맥적인 이해를 통해 새로운 경험의 장이 열리고 지역 주민들에게는 마을 문화 주권 실현의 계기가 될 수 있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앞으로 주체적으로 진행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마을 자체 문화관광 프로그램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지역문화 교육이 갖는 의의를 찾아볼 수 있었다. National Folk Museum of the region operating in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children"s museum is organized after the observation to see, hear and experience the history and legends of the region, including villagers from this experience consists of a contextual understanding is possible. There was also the concept of eco-museum can be found through educational programs operating practices. Conservation, participation of resident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Museum of activities that case that the premise of the specific areas and cultural heritage as an element of eco-museum are as follows: First, the "folk" is also training local culture is centered around a particular area because it is based on the area. Second,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experiences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under the objective of pre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olk tradition in the village or town that is the central theme of education. Third, it achieved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Villagers who enjoy folk culture to hear the history and environment, such as the story of the village to the participants after a training facilitator also advances Activities. Fourth, the regional cultural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e museum is further composed of a field study in the exhibition based learning, and help actively watch when the local folk culture exhibition to be held. The analysis of the local cultural and educational programs at the Children"s Museum of the results <locate our old house> Training people participants lived there, not looking forward to only the architectural beauty and historical value of gotaek even when visiting the different gotaek is some people are expected to be able to talk again worry whether they have is what was found with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in this respect. <Let"s go! 1 night, 2 days leave in Folk Village, "" Find the Folk Village> Education naesewo local residents to host participants had opportunity of open chapters of the new experiences through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folk scene local residents for town cultural sovereignty realized have the significance which can be a. It could also look for cultural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region in that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is activated and the town itself independent cultural tourism program that goes forward.

      • KCI등재

        기산풍속화의 분류에 따른 소장처별 특징과 민속학적 의미

        정형호 국립민속박물관 2020 민속학연구 Vol.0 No.47

        Based on 1089 pieces of Kim Jungeun's genre paintings this paper analyzed and classified Gisan's paintings into 394 types of 9 areas, occupations, social life (punishments, education, transportation, people's life), food, costumes, housing, ritual ceremonies, recreations and games, entertainment, religion, and animals, as its first classification. Paintings are then subdivided into collections with sub-groups of folklore classification to examine characteristics. There are 6 types of seal in Gisan's paintings, and most of the writings or poetries written in all paintings are mostly in Korean, however, some works, collection from Soongsil University and Seoul Museum of History, and very few from Canada collection a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o compare with the most prominent genre painters of the Joseon period like Kim Hongdo, Shin Yunbok, Kim Baekgok on the composition and delineation of Gisan genre paintings, Gisan's work exclude or minimize unrelevant surrounding features so that the actual object will be focused. Some tools and sacrificial offerings were depicted in details. When drawing a figure the front view is preferred rather than side and back, which emphasized the realistic view of the objects. Unlike any other genre paintings his work shows rather simple structures, identical face expressions, static movements, but this is because Gisan was producing massive quantities of genre paintings. And some of the materials that should appear in the paintings of the late 19th century are not represented in Gisan's paintings. Features like dure (collective laboring operation), chodong (woodsman), livestock breeding, cooking, thatching, scence of funeral, childbirth and baek-il (100th-day celebration), dol (first year of a child), jwibulnori (traditional game), Gonu game, jangchigi game (Korean polo), biseokchigi game (knocking down stones), jishinbapgi (driving out evil spirits and wishing good fortune), a village guardian and wooden pole of folk belief, statues of gods are hard to find in his paintings. As a male artist who is from the ports of Wonsan he also made a clever choice engaging the customers request, exclusion of other religions and any form of gods in viewing from Christian view, elimination of common customs in general, omission of materials that not covered in the previous model. The reasons for this are the fact that Gisan was originally from Wonsan and was mainly active in major open ports, the limitations of his experience as a man, the selection of materials that meet the viewpoints and needs of foreigners, the omission of the deity of other religions from the Christian viewpoint, and the elimination of generalized and familiar lifestyles. This is due to the exclusion of material not covered in the existing model, and the stages prior to generalization to folk history. The biggest meaning of the folklore history of Gisan genre paintings is that Gisan painted various paintings in a wide range of fields. While the total paintings of genre painters in the late Joseon period only exist in 50 types, Gisan covers a vast field close to 400 types. Also, about 60% of the total paintings are only overlapping one or two works, except for most demanded pieces, which does not seem severe compare to other works. Because Gisan viewed from the perspectives around the world the was able to delineate the everyday lives of underlying culture. It was the opportunity to depict every aspect when drawing to the request of customers. It is a great milestone to the study of Korean folk history Gisan's paintings which shows subjects in a wide range of areas, especially poetries or writings on all paintings. With this regard his paintings are of a great legacy and act as a mediating role between various documents regarding seasonal customs after the late Joseon period and field research data in the 20th century. His vast number of paintings hold mutu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not individually separated. In this...

      • 메타버스를 활용한 박물관 전시 콘텐츠 개발 - 국립민속박물관을 중심으로

        공도안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2021 문화예술경영 Vol.4 No.-

        본 연구는 국립민속박물관의 메타버스 활용을 위한 전시 콘텐츠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국립민속박물관 콘텐츠 개발전략을 위해 공간감, 상호작용, 아바타 그리고 경제시스템 4가지 요소를 메타버스 내에 적용하였다. 첫째, 소장품 활용과 메타버스 관람 콘텐츠로 거울 세계를 활용한 민속박물관 구현에 대해서, 둘째, 현장감과 몰입감을 위해 메타버스 내에 민 속놀이 콘텐츠를 제시하였다. 셋째, 상황 구동에 따른 역사적 상상력 부여에 버추얼 휴먼을 활용하였다. 넷째, 콘텐츠의 확장성 및 다각화를 위한 온라인·오프라인, 메타버스를 활용한 통합경험 모델을 제안하였다. 결과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박물관의 통합적 경험모델을 제안 하였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 그리고 제3의 가상공간의 콘텐츠는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통합 된 박물관 경험으로 구성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xhibition contents using the metavers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applied the four elements to the metaverse: a sense of space, mutual interaction, avatar, and economic system. First, the researcher reviewed the ways to implement a folk museum using the collections and the mirror world as the metaverse viewing contents. Secondly, the researcher suggested some folk play contents within the metaverse for senses of realism and immersion. Thirdly, the researcher used the virtual human to enhance the historical imagination. Fourthly, the researcher suggested an integrated experience model using on-line, off-line and metaverse to expand and diversify the contents. After all, the researcher suggested an integrated experience model of the museum using the metaverse and thereby, proposed that the contents of a third virtual space should be structured by linking them organically.

      • KCI등재후보

        국립민속박물관의 마을민속지 작업에 관한 검토

        한양명(Han, Yang-myeong)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6 民俗硏究 Vol.0 No.32

        국립민속박물관은 2006년부터 매년 두 마을을 선정해서 민속지 작업을 수행해왔다. 이 글에서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제주, 전북, 경북, 충남 등지의 마을을 조사해서 작성한 마을민속지를 대상으로 그 성과와 문제를 검토해보았다. 검토 결과, 국립민속박물관의 민속지 작업은 여러 명의 조사자가 장기간 현지에 체류하며 다양한 분야의 민속을 조사함으로써 비교적 구체적이고 생생한 내용을 민속지에 담아 내는 한편, 부분적이나마 동시대의 민속현상에 주목하여 참여관찰의 결과를 반영한 점 등에서 종래의 민속지 작업과 구별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한국민속학에서 진행해온 기존 민속지 작업의 문제, 즉 ‘대상 중심적 접근’ 및 ‘단순한 시선과 분석의 결여’라는 관성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민(民)’보다 속(俗)을 중시하는 관점, 문화요소별 접근으로 인한 탈맥락적이고 나열적인 기술, 민속지적 현재의 혼선, 조사자의 퇴위와 분석적 접근의 결여 등의 한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록 단상에 불과하지만,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속지가 마을의 모든 민속현상을 포괄해야한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 해당 마을문화의 성격과 특징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적인 민속지 작업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민속 개념의 중심에 전통문화가 놓여 있다는 동의를 전제로, 민속의 지속과 변화, 변용과 전유, 재구성 등 다양한 문제를 다룸으로써 마을문화의 통공시적 존재양상과 의미를 해명해야 할 것이다. 셋째, ‘속(俗)’에서 ‘민(民)’으로 민속지의 중심을 이동함으로써, 유사한 ‘속’의 이면에 놓인 마을문화의 특수성을 포착해야 할 것이다. 넷째, 마을의 문화를 제대로 드러내기 위해 필요하다면, 기존 민속지의 틀을 넘어서 생애사와 자전적 접근을 바탕으로 한 민속지 등 다양한 형식의 민속지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nnuall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has been conducting ethnographic research about two village which was chosen for research in local governments since 2006.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result of ethnography of a village, which had been written through the village research on Jeju-do, Jeollabuk-do, Gyeongsangbuk-do, Chungcheongnam-do from 2006 until 2009. As a result of careful consideration, a work of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bore fruitful results. To make this result, several investigators had to stay in the village and research folklore in various fields.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graphical and detailed folklore had been recorded on the ethnography. And, these distinguished accomplishments were achieved persevere by their efforts to make record of contemporary folklore, and these record were made by participant observation. But, these achievement could not conquer some ethnography problem, ‘access of focused on subject’ and ‘simple sight line and lack of analysis’, which had been progressing in the Korean Folkloristics. So, these ethnography could not overcome the perspective which is focused on customs than people, the description which was arrayed and decontextualized, the confusion of a age on ethnography, the absence of analytic access and evanishment of a researcher. Even despite a narrow view, I present some comment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It is necessary to accomplish a work of ethnography access focus on subject which is contain characteristics, get out of an imperative idea ethnography have to include all thing. Second, premised on the assumption that concept of traditional culture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folklore, the existence and meaning of village culture will be explicate deal with maintenance and change of folklore, a change in appearance and appropriation, recomposition. Third, it will need capture the specificity of the village culture which is situated on the backside of the ‘custom’ by moving the center of ethnography to ‘people’ from ‘custom’. Fourth, If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need for reveal village culture properly beyond the framework of existing ethnography, they have to try various ways based on life history and autobiographical approach.

      • 농촌어메니티를 활용한 박물관 교육콘텐츠 활성화 방안

        김형준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09 박물관교육연구 Vol.- No.3

        WTO 출범과 FTA로 인하여 농촌은 힘들어하고 있다. 현재 농촌에서는 대외소득 기반 향상을 위해 농촌체험마을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농촌체험마을은 많은 문제 점 가지고 있다. 그중 국가지원 체험마을 중 가장 활발하게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농 촌전통테마마을 사업을 바탕으로 본 연구를 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단순히 농촌체험마을에 대해 연구가 아니라, 박물관이 참여한 새로운 형태의 체험마을을 운 영하고자 하는 것을 다룬 연구이다. 현재 농촌전통테마마을을 비롯하여 국가지원 체 험마을들은 전국적으로 비슷한 주제로 운영되고 있고, 또한 체험프로그램 운영, 마을 주민간의 갈등 등의 비슷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것을 해결하고자 박물관이 농촌체험마을과 연계하여 현재의 운영 체계가 아닌 박물관이 참여하는 농촌체험마을 을 운영하고자 한다. 특히, 이 논문에서 예시로 들은 농촌전통테마마을은 농촌진흥청 에서 주관기관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협력 기관으로 시군 농업기술 유관기관, 체험마 을이 3자간의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즉, 본 연구에서는 마을을 중심으로 농촌진흥 청 및 협력기관은 하드웨어적인 성격(시설, 예산 지원 등), 박물관은 소프트웨어적인 성격(체험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육운영 방안 등)을 제안 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단순히 박물관이 중심이 되는 체험 교육을 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 라 농촌의 어메니티를 활용하여 마을이 중심이되 박물관과 협조 하여 서로 상생하는 효과를 가지자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는 실제 국립민속박물관의 “박물관과 함께 하는 민속마을여행”이라는 체험마 을 교육프로그램을 사례를 바탕으로 연구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모형을 제시하였고, 그 결과 농촌진흥청의 “농촌전통테마마을”로 지정된 강원도 인제 군의 냇강마을을 사례를 들어 박물관의 전문성을 통해 체험마을을 운영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새로운 모형은 박물관 뿐만 아니라 시군 관청이 직접 마을을 지원해 주면서 체험마을을 문화상품 및 관광자원화하는 시켜야 할 것을 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박물관은 체험마을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시 반드시 그 지역의 어메니 티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