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과 중국의 국립공원 관리방안 비교 - 한국 지리산 국립공원과 중국 태산 국가공원을 중심으로 -

        동한림,진평,이진형 동북아관광학회 2014 동북아관광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국립공원관리에 대한 이론과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중국 태산 국가공원과 한국 지리산 국립공원의 자원 및 탐방객 관리방식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국가공원 관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문헌을 검토하였고, 태산국가공원과 지리산 국립공원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법적인 관리의 측면에서 지리산국립공원의 경우 대한민국 국회에서 제정한 「자연공원법」이라는 단일한 법률 하에 공원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중국 태산국가공원의 경우 중국 국무원에서 반포한 조례인 「풍경명승구관리조례」와 태안시 태산국가공원관리위원회에서 제정한 「태산풍경명승구관리조례」그리고 기타 여러 조례와 규칙 등에 따라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경제적 관리측면에서 보았을 때 지리산 국립공원은2006년 이후 입장료를 폐지하였지만, 태산 국립공원의 경우 한화 2만원 안팎의 높은입장료를 징수하고 있었다. 셋째 시설을 통한 관리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중국태산국가공원과 한국지리산국립공원은 탐방안내소, 주차장 등의 수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없었다. 하지만 태산국가공원은 지리산국립공원보다 공공화장실과 쓰레기통이 매우 많았고, 지리산 국립공원은 태산국가공원보다 탐방로와 안내판 그리고 야영장과 대피소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관리방안적인 측면에서 태산국가공원의 자원 해설사들은 지리산국립공원의 해설가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학력이 낮았으며 자원에 대한 지식등 전문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해설의 내용면에 있어서도 지리산국립공원에서는 생태해설 이나 문화해설 등 주제가 있는 해설이 진행되고 있는 반면태산국가공원에서는 일반적인 해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결론부분에서는 본 논문의결과를 요약하고 분석해 보는 한편 한국국립공원 제도로부터 중국 국가공원의 개선에참고할 만한 점이 무엇인가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Korea’s Jirisan NationalPark's resources and tourist management with those of China Taishan National Park. Somedifferences were found as the results of this comparative study. First of all, in the legalmanagement, Jirisan National Park was controled under a single law which was 'NaturalPark Law' ena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On the other hand, China TaishanNational Park was controled under 'Scenic Area Management Regulations', which wasenacted by Chinese Central government and 'Taishan Scenic Spot Management Regulation'as well as many other regulations and rules which were enacted by Taishan National ParkManagement Committee. Second, Jirisan National Park entrance fee has been abolishedsince 2006, but Taishan National Park still charge expensive entrance fee which is about20000 Korean won. Third, there were littl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ourist center andparking lot between China Taishan National Park and Korea Jirisan National Park. However, Taishan National Park has more public toilets and dustbins and less trails signsthan Jirisan National Park. Finally, Taishan National Park and Jirisan National Park provideresources interpretation services as educational management method. However, theinterpreters in Taishan National Park have lower scholastic ability and less professionalknowledge than the interpreters in Jirisan National Park. Moreover, Jirisan National Parkhas thematic interpretation service while Taishan has normal interpretation service.

      • KCI등재

        국립공원 관리체계의 합리성 및 효율성 향상에 관한 연구 - IPA 및AHP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

        주효진,박현환,김태오,황석준,황은정,정솔 한국자치행정학회 202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6 No.1

        최근까지 국립공원관리체계에서 논쟁이 되는 부분은 국립공원 내에 포함된 산지의 관리에 관한 것으로, 환경부와 공공기관인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산지를 국립공원으로 인식하여 ‘보존’ 위주의 관리체계를 갖추는 반면, 기존의 산지관리업무를 소관하던 산림청은 지속가능한 이용 및 국민 편의 증진에 가치를 두고 있어서 국립공원의 관리체계에 대한 마찰과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공원의 관리체계와 관련한 정책이슈 및 쟁점들을 중심으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국립공원관리체계에 대한 정책적 함의 및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립공원관리체계상의 문제점 도출 및 정책대안 제시 그리고 IPA 및 AHP 분석을 통해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정책대안 선정과 함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 및 함의를 제시한다.

      • KCI등재

        국립공원관리공단 자연자원 조사사업의 의의와 성과 - 2015 치악산국립공원 지형·지질분야를 중심으로 -

        신재열,박정원,정무열 국토지리학회 2016 국토지리학회지 Vol.50 No.4

        The importance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has arisen with the exhaustion of natural resources, global climate change and popularity of nature among the public. Natural resources survey by Korea National Park Service has been conducted since 1991 to manage national parks effective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hievement of natural resources survey by using the results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field of 2015 Chiak National Park survey as an example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of natural resources survey. It has advantages of spot-oriented survey corresponding to its demands and being able to be compared to the results of other national parks and nationwide survey which is researched by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Nevertheless, it desperately needs further improvements in four different ways; securement of budget and skilled labors, enlargement of study area including buffer areas near national park’s boundary, establishment of classification map of land’s surface and implementing the survey focused on ecosphere and catchment. 자연자원의 고갈과 전 지구적 기후변화, 삶의 질 향상에 따른 자연자원의 대중적인 선호는 자연자원의 체계적인 보전과 관리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는 자연 생태계가 잘 보전되어 있고 여가활동의 장인 국립공원을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1991년부터 자연자원 조사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5 치악산국립공원 지형·지질분야를 중점으로 자연자원 조사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자연자원 조사사업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립생태원의 자연환경조사와 비교하여 국립공원관리공단 자연자원 조사사업은 현장 수요에 맞춘 현장 중심의 조사가 진행되며 조사결과는 국립공원 내의 결과나 전국적 범위의 조사결과와 객관적으로 상호 비교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 그럼에도 기관의 관련 예산 및 인력 확충, 국립공원 경계 주변으로 조사지역 확장, 국립공원 지형면 분류도 구축, 생태계 및 권역 중심의 연구사업 등이 보완된다면 보다 효율적인 국립공원 관리가 이루어 질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북한산 국립공원의 가치보전에 관한 탐색적 고찰

        오흥진(Heung-Jin Oh)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5

        본 논문은 북한산국립공원의 관광자원에 대한 소중한 가치보전에 관한 고찰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가치보전에 관한 考察에서 국립공원 관리 실태에 대한 선진외국의 경험을 사례로 탐색했으며 이러한 탐색의 결과를 북한산국립공원에 접목하여 보다 발전된 형태의 보전관리를 통해 북한산국립공원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지속해 나가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현재 북한산국립공원의 현황을 탐색하여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했으며 이에 대한 실증조사에서 전문가와 일대일 면접을 통해 전문가의견을 도출해 냈다. 본 논문이 자연이 준 우리의 위대한 유산인 북한산 국립공원의 가치를 보전하는데 기여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solve the problems arising from preserving the value of Bukhansan National Park as a precious tourism resource in South Korea. In order to effectively examine the value of preserving the resource, some cases of foreign countries having advanced skills and experiences in managing their national parks are examined so as to apply them to managing Bukhansan National Park. With this developed preserving method,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inducing the ways how to permanently maintain its value. Furthermore, some solutions for the problems through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Bukhansan National Park are suggested with additional proven opinions of serveral specialists interviewed. As a result,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on preserving the value of Bukhansan National Park which is one of the greatest properties in Korea.

      • KCI우수등재

        경주국립공원 지구특성에 따른 이용자 관리 정책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이슬비,손수항,강은지,김용근,Lee, Seul Bee,Son, Soo-Hang,Kang, Eun-Jee,Kim, Yong-Geu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4

        본 연구는 경주국립공원의 지구유형별 특성에 따른 관리정책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경주국립공원을 방문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2012년 7월에서 8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경주국립공원 이용자의 특성, 이용행태, 공원관리정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항목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경주국립공원 8개 지구의 주요자원과 탐방객의 이용특성을 기준으로 지구유형을 분류하였다. 불국사와 석굴암을 주요 자원으로 주로 경관감상 및 휴양을 위한 관광을 목적으로 하는 이용객들이 많이 찾는 토함산 지구는 관광형, 역사문화 학습과 환경 교육을 위한 탐방객들이 많이 찾는 남산과 대본지구는 역사문화교육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남은 화랑, 서악, 소금강, 구미산 지구는 건강증진을 위한 체력 단련, 등산, 산책이 주목적으로 주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공간으로 근린공원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관광형의 경우, 문화유적탐방을 위한 이용자가 집중되는 곳으로 이용자제한 정책을 통해 탐방객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고, 역사문화교육형은 이용행위규제 방법에서 관리자 단속권한이 강화될 필요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근린공원형 지구의 이용자들은 대부분의 정책에 대해 가장 낮은 필요도를 느끼고 있었는데,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경주국립공원은 각 지구별로 이용자들이 느끼는 정책의 필요도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경주국립공원의 지구별 이용자의 인식 차이를 반영한 정책 도입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survey was taken from July to August 2012 by users who visited Gyeongju National Park to compare the perceived gap of users regarding management policy by characteristic of Gyeongju National Park district type in this study. Gyeongju National Park users' characteristic, use pattern and perception regarding park management policy were created as survey items. First, district type was classified based on use pattern of the visitor and the key resources of 8 districts in Gyeongju National Park. Tohamsan District, which has many visitors for the purpose of scenery appreciation and recreation with Bulguksa and Seokguram Grotto, is classified as tourism type, Namsan and Daebon District, which bring in many visitors seeking to learn about historical cultur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could be classified as historical culture education types, and Hwarang, Seoak, Sogeum River, Gumisan District are places residents use for physical training, hiking and walking to improve health, thus classifying them as neighborhood park types. People perceived that the tourism type is where users for historical artifact tours are concentrated, thus consideration for plans that can improve visitors' satisfaction from a user limit policy is required, and a manager's right to control use behavior must be reinforced in historical culture education types. On the other hand, users of neighborhood parks found the lowest necessity for most of the policy, and this showed that users of each of Gyeongju National Park's districts felt differently about the need for policies. This resul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database for introducing policy that reflects the perception of users in each districts of Gyeongju National Park in the future.

      • KCI등재

        관리행정자료 분석을 통한 공원관리환경의 변화에 관한 연구1a -월악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김동필 ( Dong Pil Kim ),조재우 ( Jae Woo Cho ),백재봉 ( Jae Bong Bae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월악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1992년과 2004의 12년간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는 주요 관리체계 항목인 관리목표, 주요 공원관리사업, 토지이용, 관리인원 및 조직, 탐방객 현황, 예산 등을 행정자료를 통하여 분석함으로서, 국립공원 관리정책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공원관리사업은 유지를 위한 공원시설의 단순 관리나 단속의 수준을 벗어나 탐방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로 발전하고 있었다. 공원내 토지이용의 변화는 거의 없으나, 중심적인 보전지구인 자연보존지구가 대폭 확대되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인원 및 조직에 있어 관리업무나 이용객의 확대에 비해 조직 및 인원의 증가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관리자의 업무량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세출예산의 집행은 인력에 지출되는 비용이 68.2%로 매우 높게 나타나 인력에 의한 관리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sults as basic data of National Park management-policy by surveying and analyzing management goals, management missions, land zoning, numeral of visitors, management organization, management staff and revenue and Expenditure budget of 1992 and 2004 those are main factors to know the management system well. The main management missions was found not only to put value on developing nature program but also to prepare for keeping and renewing of nature resources. The change of zoning land was researched to be controlled and nature preservation area was showed to be enlarged. While management missions and visitors have been increased, there weren`t raise of organization and staffs at all. And expenditure budget had management formation by manpower. Although there are progressive changes in park management system during the period, several improvements are needed in details. They are as follows; To be sustainable preservation and usage which are the intrinsic roles of National Park by increasing the government investment than own revenue.

      • KCI등재

        청송 세계지질공원 관리체계 개선에 대한 연구

        박민영 국토지리학회 2018 국토지리학회지 Vol.52 No.3

        Cheongsong UNESCO Glocal Geopark is a certified geopark that is regionally overlapped with Juwangsan National Par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management system that can occur in the overlapping areas of both national park and geopark, which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nagement purposes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 resources, and seek ways to improve them. The data were collected by field work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Cheongsong Geopark and Juwangsan National Park, and the explanation board and natural commentary contents were analyzed. Management system, use of human resources, educational programs, and visitor status of Cheongsong Geopark and Juwangsan National Park were discussed. As a result, there are found potential conflicts between two park systems, but many cooperative factors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 resources exist. In this paper, it is meaningful to explore the direction of geopark through th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 of the overlapping areas of the national park and geopark with a case of Cheongsong UNESCO Global Geopark. 청송세계지질공원은 주왕산 국립공원과 지역적으로 중복되어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되었다. 이에 지형·지질 경관자원 관리목적에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국립공원과 지질공원이 중복된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관리체계 문제를 진단하고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연구 방법으로 청송세계지질공원 및 주왕산 국립공원 답사 및 각 담당자들과의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해설판 및 자연해설 내용을 분석하였다. 청송세계지질공원과 주왕산 국립공원의 중복지역의 행정적 운영, 인력 운영, 교육프로그램, 방문객 현황 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관련 주체간의 잠정적 갈등요인도 존재하나 지형·지질 경관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협력적인 요소가 많았다. 이 논문은 청송세계지질공원을 사례로 지질공원과 국립공원 중복지역의 관리체계 개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지질공원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단보)국립공원공단의 전사적 데이터 관리 기반 및 정책에 관한 고찰

        전세근(Se-Kun Jeon),강병선(Byeong-sun Kang),홍석진(Suk-Jin Hong)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1

        최근 제4차 국립공원공단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결과물 및 관련 법령, 정책을 토대로, 현재 국립공원공단의 데이터 관리 수준을 파악하고자 한다. 데이터 프로파일링 기법을 이용하여 전사적 데이터 품질관리 수준을 확인한 결과, 데이터 표준이나 구조적으로 정합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지침, 매뉴얼, 조직 및 예산 등 데이터 품질관리 기반이 부족한 실정이다. 국립공원공단의 전사적 데이터는 정확성(Accuracy), 일관성(Consistency), 최신성(Timeless), 완전성(Completeness)을 갖출 수 있도록 관리되어야 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따라 이행계획을 수립해야 할 필요가 있다.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cent〝4th Korea National Park Service Information Strategy Plan〞 establishment and related laws and policies, we want to understand the current level of data management in Korea National Park Service.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level of enterprise-wide data quality management using the data profiling technique, it is difficult to secure data standard or structural consistency, and the basis for data quality management such as guidelines, manuals, organization and budget is insufficient. The company-wide data of the National Park Service should be managed to ensure accuracy, consistency, timelessness, and completeness, and to realize this, an implementation plan i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data quality management framework.

      • 국립공원 탐방로의 스트레스 지수 개발

        한상열,이호승,권헌교,Han, Sang-Yoel,Lee, Ho-Seung,Kwon, Heon-Gyo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3 慶北大農學誌 Vol.31 No.3

        본 연구는 사전 예방적 국립공원 관리정책 도입과 과학적인 근거중심의 공원관리를 위해 탐방로 중심의 세부지표를 추출하여, 국립공원 주요 탐방구간별 스트레스 지수개발과 지수를 활용한 단계별 공원관리 정책 수단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탐방구간별 스트레스 지수의 개발을 위하여 국립공원 탐방로 총 144개 구간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국립공원 스트레스 지수 개발을 위하여 델파이 설문 조사와 요인분석을 실시한 다음, 공원 탐방로별 스트레스지표 요인들의 표준화 점수를 이용한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8개(탐방객 수, 단체 탐방객 수, 정상탐방객 수, 탐방로 훼손정도, 탐방로 훼손정도, 샛길 총 연장, 쓰레기 발생량, 생물종 다양도 등)의 스트레스 지표가 선정되었으며, 스트레스 지수 산정을 위한 요인은 탐방량, 탐방영향, 탐방로 훼손, 생물종 다양도 등 4개로 추출되었다. 요인별 가중치 산정은 2차 델파이 조사에서 평가한 지표별 중요도 값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5점 척도 평균값을 요인별 순 가중치로 산정하였다. 다음으로 앞서 산출된 표준화점수에 따른 누적확률을 5등급화(20점 미만: 5등급 매우 건전, 20~40점 미만: 4등급 건전, 40~60점 미만: 3등급 보통, 60~80점 미만: 2등급 심각, 80점 이상: 1등급 매우 심각) 하였다. 구간별 스트레스 지수 산정 결과, 지수값이 80점 이상인 1등급 구간은 6개 공원(지리산, 북한산, 덕유산, 내장산, 설악산, 주왕산) 20개 구간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developing a stress index for each individual major trail in the national parks and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park management policy based on scientific analyses using the index. We collected data from 144 sections of trails in national parks, conducted the Delphi survey and factor analysis, and generated the stress index by standardizing scores of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tress for each trail. As aresult, total eight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tress were considered and four of them, i.e. the amount of visits, the effect of visits, the degree of trail destruction, and species diversity, were selected to generate the stress index. How to weigh factors was determined by their importance obtained in the second Delphi survey and the average from a 5 point Likert scale. Then, the cumulative probabilities from the standardized scores were graded into five groups. In conclusion, there were twenty trails from the six national parks including Jirisan, Bukhansan, Deogyusan, Naejangsan, Seoraksan in the first grade which gained over 80 as the stress index.

      • KCI등재

        Comparative Analysis of Risk Factors on Korea National Park Trails - Focusing on Bukhansan and Seoraksan National Park -

        Jun Hyo Park,Ju Ung Yun,Jong Sun Kim,Kye Won Jun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2 Crisisonomy Vol.18 No.3

        국립공원은 대부분 산지에 위치하는 지리적 특성상 자연재해 위험요인들이 산재되어 있고, 각종 안전사고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수집된 탐방로 안전성 평가 자료를 기반으로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북한산국립공원과 설악산국립공원의 위험요인 분포 및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효율적인 탐방로 안전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북한 산국립공원은 추락, 미끄러짐 등 안전사고로 인한 위험요인이 매우 높게 분포하는 반면, 설악산국립 공원은 안전사고보다 낙석 위험요인의 분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탐방로 안전관리의 획일적 정책방향을 개선하고 유사환경의 국립공원이라도 지질, 지형, 탐방객 특성 등 환경적 요인에 따라 세분화된 기준 수립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탐방로 안전관리 기술 고도화와 전문성 향상, 체계적인 안전관리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National parks are geographically located in mountain areas, and natural disaster of risk factors are scattered, and damage to human life and property is continuously occurring due to various safety accidents. This study tried to suggest an efficient trail safety management pla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risk factors in Bukhansan and Seoraksan National Park, which show similar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rail safety evaluation data collected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Bukhansan National Park, risk factors due to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 and slipping are very high, whereas in Seoraksan National Park, the distribution of risk factors for falling rocks is higher than safety accidents. These results improved the existing standardized policy direction for trail safety management and deriv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subdivided standards according to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geology, topography, and visitor characteristics, even in national parks with similar environm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rail safety management technology, enhancement of expertise, and prevention of damage to human life and property due to systematic safety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