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과 중국의 국립공원 관리방안 비교 - 한국 지리산 국립공원과 중국 태산 국가공원을 중심으로 -
동한림,진평,이진형 동북아관광학회 2014 동북아관광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국립공원관리에 대한 이론과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중국 태산 국가공원과 한국 지리산 국립공원의 자원 및 탐방객 관리방식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국가공원 관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문헌을 검토하였고, 태산국가공원과 지리산 국립공원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법적인 관리의 측면에서 지리산국립공원의 경우 대한민국 국회에서 제정한 「자연공원법」이라는 단일한 법률 하에 공원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중국 태산국가공원의 경우 중국 국무원에서 반포한 조례인 「풍경명승구관리조례」와 태안시 태산국가공원관리위원회에서 제정한 「태산풍경명승구관리조례」그리고 기타 여러 조례와 규칙 등에 따라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경제적 관리측면에서 보았을 때 지리산 국립공원은2006년 이후 입장료를 폐지하였지만, 태산 국립공원의 경우 한화 2만원 안팎의 높은입장료를 징수하고 있었다. 셋째 시설을 통한 관리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중국태산국가공원과 한국지리산국립공원은 탐방안내소, 주차장 등의 수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없었다. 하지만 태산국가공원은 지리산국립공원보다 공공화장실과 쓰레기통이 매우 많았고, 지리산 국립공원은 태산국가공원보다 탐방로와 안내판 그리고 야영장과 대피소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관리방안적인 측면에서 태산국가공원의 자원 해설사들은 지리산국립공원의 해설가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학력이 낮았으며 자원에 대한 지식등 전문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해설의 내용면에 있어서도 지리산국립공원에서는 생태해설 이나 문화해설 등 주제가 있는 해설이 진행되고 있는 반면태산국가공원에서는 일반적인 해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결론부분에서는 본 논문의결과를 요약하고 분석해 보는 한편 한국국립공원 제도로부터 중국 국가공원의 개선에참고할 만한 점이 무엇인가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Korea’s Jirisan NationalPark's resources and tourist management with those of China Taishan National Park. Somedifferences were found as the results of this comparative study. First of all, in the legalmanagement, Jirisan National Park was controled under a single law which was 'NaturalPark Law' ena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On the other hand, China TaishanNational Park was controled under 'Scenic Area Management Regulations', which wasenacted by Chinese Central government and 'Taishan Scenic Spot Management Regulation'as well as many other regulations and rules which were enacted by Taishan National ParkManagement Committee. Second, Jirisan National Park entrance fee has been abolishedsince 2006, but Taishan National Park still charge expensive entrance fee which is about20000 Korean won. Third, there were littl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ourist center andparking lot between China Taishan National Park and Korea Jirisan National Park. However, Taishan National Park has more public toilets and dustbins and less trails signsthan Jirisan National Park. Finally, Taishan National Park and Jirisan National Park provideresources interpretation services as educational management method. However, theinterpreters in Taishan National Park have lower scholastic ability and less professionalknowledge than the interpreters in Jirisan National Park. Moreover, Jirisan National Parkhas thematic interpretation service while Taishan has normal interpretation service.
국립공원관리공단 자연자원 조사사업의 의의와 성과 - 2015 치악산국립공원 지형·지질분야를 중심으로 -
신재열,박정원,정무열 국토지리학회 2016 국토지리학회지 Vol.50 No.4
The importance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has arisen with the exhaustion of natural resources, global climate change and popularity of nature among the public. Natural resources survey by Korea National Park Service has been conducted since 1991 to manage national parks effective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hievement of natural resources survey by using the results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field of 2015 Chiak National Park survey as an example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of natural resources survey. It has advantages of spot-oriented survey corresponding to its demands and being able to be compared to the results of other national parks and nationwide survey which is researched by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Nevertheless, it desperately needs further improvements in four different ways; securement of budget and skilled labors, enlargement of study area including buffer areas near national park’s boundary, establishment of classification map of land’s surface and implementing the survey focused on ecosphere and catchment. 자연자원의 고갈과 전 지구적 기후변화, 삶의 질 향상에 따른 자연자원의 대중적인 선호는 자연자원의 체계적인 보전과 관리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는 자연 생태계가 잘 보전되어 있고 여가활동의 장인 국립공원을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1991년부터 자연자원 조사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5 치악산국립공원 지형·지질분야를 중점으로 자연자원 조사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자연자원 조사사업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립생태원의 자연환경조사와 비교하여 국립공원관리공단 자연자원 조사사업은 현장 수요에 맞춘 현장 중심의 조사가 진행되며 조사결과는 국립공원 내의 결과나 전국적 범위의 조사결과와 객관적으로 상호 비교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 그럼에도 기관의 관련 예산 및 인력 확충, 국립공원 경계 주변으로 조사지역 확장, 국립공원 지형면 분류도 구축, 생태계 및 권역 중심의 연구사업 등이 보완된다면 보다 효율적인 국립공원 관리가 이루어 질 것으로 생각된다.
국립공원 관리체계의 합리성 및 효율성 향상에 관한 연구 - IPA 및AHP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
주효진,박현환,김태오,황석준,황은정,정솔 한국자치행정학회 202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6 No.1
최근까지 국립공원관리체계에서 논쟁이 되는 부분은 국립공원 내에 포함된 산지의 관리에 관한 것으로, 환경부와 공공기관인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산지를 국립공원으로 인식하여 ‘보존’ 위주의 관리체계를 갖추는 반면, 기존의 산지관리업무를 소관하던 산림청은 지속가능한 이용 및 국민 편의 증진에 가치를 두고 있어서 국립공원의 관리체계에 대한 마찰과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공원의 관리체계와 관련한 정책이슈 및 쟁점들을 중심으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국립공원관리체계에 대한 정책적 함의 및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립공원관리체계상의 문제점 도출 및 정책대안 제시 그리고 IPA 및 AHP 분석을 통해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정책대안 선정과 함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 및 함의를 제시한다.
관리행정자료 분석을 통한 공원관리환경의 변화에 관한 연구-월악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김동필,조재우,백재봉 한국환경생태학회 200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sults as basic data of National Park management-policy by surveying and analyzing management goals, management missions, land zoning, numeral of visitors, management organization, management staff and revenue and Expenditure budget of 1992 and 2004 those are main factors to know the management system well. The main management missions was found not only to put value on developing nature program but also to prepare for keeping and renewing of nature resources. The change of zoning land was researched to be controlled and nature preservation area was showed to be enlarged. While management missions and visitors have been increased, there weren't raise of organization and staffs at all. And expenditure budget had management formation by manpower. Although there are progressive changes in park management system during the period, several improvements are needed in details. They are as follows; To be sustainable preservation and usage which are the intrinsic roles of National Park by increasing the government investment than own revenue. 본 연구는 월악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1992년과 2004의 12년간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는 주요 관리체계 항목인 관리목표, 주요 공원관리사업, 토지이용, 관리인원 및 조직, 탐방객 현황, 예산 등을 행정자료를 통하여 분석함으로서, 국립공원 관리정책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공원관리사업은 유지를 위한 공원시설의 단순 관리나 단속의 수준을 벗어나 탐방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로 발전하고 있었다. 공원내 토지이용의 변화는 거의 없으나, 중심적인 보전지구인 자연보존지구가 대폭 확대되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인원 및 조직에 있어 관리업무나 이용객의 확대에 비해 조직 및 인원의 증가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관리자의 업무량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세출예산의 집행은 인력에 지출되는 비용이 68.2%로 매우 높게 나타나 인력에 의한 관리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흥진(Heung-Jin Oh)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5
본 논문은 북한산국립공원의 관광자원에 대한 소중한 가치보전에 관한 고찰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가치보전에 관한 考察에서 국립공원 관리 실태에 대한 선진외국의 경험을 사례로 탐색했으며 이러한 탐색의 결과를 북한산국립공원에 접목하여 보다 발전된 형태의 보전관리를 통해 북한산국립공원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지속해 나가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현재 북한산국립공원의 현황을 탐색하여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했으며 이에 대한 실증조사에서 전문가와 일대일 면접을 통해 전문가의견을 도출해 냈다. 본 논문이 자연이 준 우리의 위대한 유산인 북한산 국립공원의 가치를 보전하는데 기여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solve the problems arising from preserving the value of Bukhansan National Park as a precious tourism resource in South Korea. In order to effectively examine the value of preserving the resource, some cases of foreign countries having advanced skills and experiences in managing their national parks are examined so as to apply them to managing Bukhansan National Park. With this developed preserving method,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inducing the ways how to permanently maintain its value. Furthermore, some solutions for the problems through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Bukhansan National Park are suggested with additional proven opinions of serveral specialists interviewed. As a result,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on preserving the value of Bukhansan National Park which is one of the greatest properties in Korea.
지방분권에 따른 국립공원의 협력적 공동관리 방안: 인도네시아의 국립공원 사례를 중심으로
주성돈 한국공공관리학회 2025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9 No.1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의 카얀 멘타랑(Kayan Mentarang)과 부나켄(Bunaken) 국립공원의 사례를 통해 협력적 공동관리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Ostrom(1990)이제시한 공유자원 관리의 일환으로서의 7가지 제도 설계 원리가 인도네시아의 지방분권 과정 속에서 국립공원의 활용과 보존 활동이 어떻게 작동하고, 적용되는지를 분석할 필요가있다. 분석 결과, 인도네시아는 지역 공동체에 일정 수준의 자율적 운영・관리 권한과 역할을 부여하고 이를 제도적으로 인정함에 따라, 국립공원에서의 협력적 공동자원 관리가적절한 제도적 틀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Ostrom의 제도 설계 원리중에서 지역 공동체의 특성, 지역사회 간 규칙 준수, 실행가능한 규칙의 적용이 두 국립공원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국립공원을 공유자원에 대한 정보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지역 주민과 지방정부가 주체가 되어 자율적으로 공동관리하는 접근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지방분권화는 국립공원의 공유자원을 보다 효과적이고 자치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자, 외부 환경 변화의 촉매로 기능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collaborative management strategies for national parks by analyzing the cases of Kayan Mentarang and Bunaken National Parks in Indonesia. Utilizing Ostrom’s(1990) institutional design principles for common-pool resource (CPR) management, the research examines how these principles function and are applied within the decentralized governance context of Indonesia. Findings indicate that Indonesia has gradually institutionalized collaborative management by delegating a degree of autonomous management authority to local communities and acknowledging their roles. In Kayan Mentarang, key features include trust-based engagement, stakeholder participation, and continuous monitoring and evaluation. Bunaken, on the other hand,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financial mechanisms, local community involvement, policy support, transparency, and a flexible management system. Across both cases, the principles of community attributes, rule compliance, and feasible rule application emerge as shared elements. The study concludes that centralized, top-down control of national parks may be less effective than locally driven, decentralized co-management, especially when local stakeholders possess extensive knowledge of shared resources. Decentralization, therefore, is positioned as a key enabling condition for sustainable and equitable CPR management in protected areas.
박민영 국토지리학회 2018 국토지리학회지 Vol.52 No.3
Cheongsong UNESCO Glocal Geopark is a certified geopark that is regionally overlapped with Juwangsan National Par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management system that can occur in the overlapping areas of both national park and geopark, which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nagement purposes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 resources, and seek ways to improve them. The data were collected by field work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Cheongsong Geopark and Juwangsan National Park, and the explanation board and natural commentary contents were analyzed. Management system, use of human resources, educational programs, and visitor status of Cheongsong Geopark and Juwangsan National Park were discussed. As a result, there are found potential conflicts between two park systems, but many cooperative factors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 resources exist. In this paper, it is meaningful to explore the direction of geopark through th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 of the overlapping areas of the national park and geopark with a case of Cheongsong UNESCO Global Geopark. 청송세계지질공원은 주왕산 국립공원과 지역적으로 중복되어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되었다. 이에 지형·지질 경관자원 관리목적에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국립공원과 지질공원이 중복된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관리체계 문제를 진단하고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연구 방법으로 청송세계지질공원 및 주왕산 국립공원 답사 및 각 담당자들과의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해설판 및 자연해설 내용을 분석하였다. 청송세계지질공원과 주왕산 국립공원의 중복지역의 행정적 운영, 인력 운영, 교육프로그램, 방문객 현황 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관련 주체간의 잠정적 갈등요인도 존재하나 지형·지질 경관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협력적인 요소가 많았다. 이 논문은 청송세계지질공원을 사례로 지질공원과 국립공원 중복지역의 관리체계 개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지질공원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허학영(Hag Young Heo),M. Hockings,신원우(W. W. Shin),정혁진(H. J. Chung),N. Dudley,P. Shadie,R. Vaisanen,G. Vincent,김현(H. Kim),박소영(S. Y. Park),양성우(S. W. Yang) 국립공원연구원 2010 국립공원연구지 Vol.1 No.3
생물다양성협약(CBD) 제7차 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된 보호지역실행프로그램(PoWPA)은 당사국들에게 그들의 보호지역에 대한 관리효과성 평가 수행을 권고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사항 이행과 더불어 한국 보호지역시스템에 대한 진단 및 관리 개선을 위한 권고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평가 대상지는 환경부에서 관할하고 있는 국립공원,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야생동식물특별보호지역 총 39개소(6,898 km2)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는 2가지 차원에서 수행되었는데 39개 보호지역(한국 보호지역의 면적 대비 40%정도)에 대한 개별 평가와 한국보호지역시스템에 대한 평가가 이뤄졌으며, 시스템 평가는 국제전문가들과 함께 현장조사, 관리자 및 이해관계자인터뷰, 문헌검토 등을 통해 수행되었다. 평가 결과 개별 보호지역이 국제적으로 잘 관리되고 있었으며, 거버넌스와 행정부분이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점으로 나타났고, 생물다양성보호와 자연자연관리에 대한 조화와 협력 부분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전과 계획 부분이 특히 강하며, 전반적인 국민의 높은 지지가 매우 인상적이지만, 다른 여러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지역사회협력 부분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지역의 관리를 개선하기 위한 10가지 주요 권고사항은 보전을 위한 지역적 접근 강화, 보호지역시스템계획 강화, 기관간 통합적 관리 개선, 지역사회와 협력 개선, 이해관계자와 협력 강화, 지방정부와의 협력 개선, 인력관리 재고, 재원 다양화, 연구과제 다양화, 자연자원과 문화자원의 관리 조화 개선 등이다.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s Programme of Work on Protected Areas (PoWPA), which was adopted in CoP-7 in 2004, calls on countries to undertake assessments of the effectiveness of management of their protected areas (PA).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mplement a recommendation of PoWPA, to review the current management status of PA system, and to find out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better management of protected areas in Korea. Assessment Sites are 39 protected areas (6,898 km2) managed under Ministry of Environment which are National parks, Ecosystem & landscape conservation areas, Wetland protected areas, and Wildlife special protected areas. The assessment was conducted at two levels: a site assessment of 39 protected areas, representing about 40% by area of the Korean PA system and a system-level assessment conducted by an international review team incorporating field visits, interviews with staff and stakeholders and review of relevant documentation. The assessment results generally show that individual protected areas are well managed on any international comparison. Governance and administration appears to be relatively stronger in Korea than in other countries, however harmonization and coordination of biodiversity protection and natural resource management remains relatively weaker. Korea also appears to be particularly strong in vision and planning. Korea’s trend toward increasingly high levels of overall public approval is globally impressive; however, as is the case in the rest of the world, community engagement at local levels remains weak and problematic. Ten key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management were to develop a more regional approach to conservation, strengthen PA system planning, better integrate management across agencies within Korea, improve local community relations, enhance interaction with stakeholders, improve integration with regional government, review staff management practices, diversify the funding base, broaden the focus of internal research work and better harmonize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 management.
(단보)국립공원공단의 전사적 데이터 관리 기반 및 정책에 관한 고찰
전세근(Se-Kun Jeon),강병선(Byeong-sun Kang),홍석진(Suk-Jin Hong)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1
최근 제4차 국립공원공단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결과물 및 관련 법령, 정책을 토대로, 현재 국립공원공단의 데이터 관리 수준을 파악하고자 한다. 데이터 프로파일링 기법을 이용하여 전사적 데이터 품질관리 수준을 확인한 결과, 데이터 표준이나 구조적으로 정합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지침, 매뉴얼, 조직 및 예산 등 데이터 품질관리 기반이 부족한 실정이다. 국립공원공단의 전사적 데이터는 정확성(Accuracy), 일관성(Consistency), 최신성(Timeless), 완전성(Completeness)을 갖출 수 있도록 관리되어야 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따라 이행계획을 수립해야 할 필요가 있다.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cent〝4th Korea National Park Service Information Strategy Plan〞 establishment and related laws and policies, we want to understand the current level of data management in Korea National Park Service.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level of enterprise-wide data quality management using the data profiling technique, it is difficult to secure data standard or structural consistency, and the basis for data quality management such as guidelines, manuals, organization and budget is insufficient. The company-wide data of the National Park Service should be managed to ensure accuracy, consistency, timelessness, and completeness, and to realize this, an implementation plan i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data quality management framework.
신재열,박정원,정무열 국토지리학회 2017 국토지리학회지 Vol.51 No.4
Despite the Gyeongju National Park’s long history, research on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landscapes is hardly carried out. It is due to the distinctiveness of the Park, which was specifically established with a purpose of managing cultural heritage, unlike other National Park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and to come up with sustainable plans for them in the Park. Representativ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forms include: high-level plantation surfaces, cliffs, tors, tafoni clustering, hexagonal pillars, volcanic rocks, joint structure related to fault activities. These are not only worth being developed and applied for tourism but also appropriate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including cultural landscapes. Specific preservation strategy is needed for high moor in the Park such as Mujang high moor, Tohamsan high moor as they have ecologically high values. Finally, systematic strategies and programs for reconstructing damaged lands are needed as soil erosion in mountainous area is overall ongoing. 경주국립공원은 오랜 역사성에도 불구하고 지형·지질 특성 및 경관자원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이유는 다른 국립공원과 달리 문화유산 관리를 위한 사적형 국립공원으로 설립된 특수성과 관련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목적은 경주국립공원의 지형·지질 경관자원의 현황과 분포를 조사하고, 국립공원 내에서 이들 경관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 및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대표적인 지형 경관자원은 고위평탄면, 급애, 토르, 타포니군, 주상절리 지형 등이며지질 경관자원으로서는 화산암 및 단층 활동과 관련한 암석 절리구조 등이 특징적으로 확인된다. 이들 지형·지질 경관자원들은 지구별 특성에 맞게 관광자원으로 개발·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다양한 문화경관자원과 더불어 교육탐방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매우 적합하다. 공원구역 내에 발달하는 산지습지(무장습지와 토함산습지)는 생태적 가치가 높아 구체적 보전 전략 마련이 시급하며, 대부분의 공원 산지들에서는 토양 침식이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어 훼손지 복원사업 및 체계적관리방안 구축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