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모 주식형 펀드 규모 비율과 주식시장 수익률

        하연정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20 아태연구 Vol.27 No.4

        This study newly defines the size ratio of private placement equity funds mainly invested by institutions (corporations) compared to public offering equity funds mainly invested by individuals,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with stock market returns. The size ratio of the private placement equity fund to the public offering is divided into the size ratios of the domestic fund and the international fund. I examin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 of change in the size ratio and the difference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ock markets returns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hen the past and current domestic stock market returns are higher than those of MSCI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ACWI (All Country World Index) and MSCI World, private placement equity funds currently have a higher ratio of domestic funds and a lower ratio of international funds.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 rate of change in the past size ratio could predict the difference in future returns, there is a positive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 of change in the domestic fund size ratio and the difference in the future returns and a negative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rate of change in the international fund size ratio. This study contributes to confirming that the rate of change in the past size ratio of private placement equity funds can give information on future stock market returns. 본 연구는 개인이 주로 투자하는 공모 주식형 펀드 대비 기관(법인)이 주로 투자하는 사모 주식형 펀드 규모 비율을 정의하고, 주식시장 수익률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공모 대비 사모 펀드 규모 비율은 국내투자 펀드 규모 비율과 해외투자 펀드 규모 비율로 나누고, 규모 비율 변화율과 과거, 현재, 미래 국내와 해외 주식시장 수익률 차이 간에 유의적인 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사모 펀드의 미래 수익률 예측 능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해 보았다. 분석 결과 과거 및 현재 국내 주식시장 수익률이 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ACWI(All Country World Index) 및 MSCI World 수익률 보다 높을 때, 사모 주식형 펀드의 국내투자 펀드 비중이 더 높고 해외투자 펀드 비중이 더 낮았다. 과거 규모 비율 변화율이 미래 수익률 차이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국내 규모 비율 변화율과 미래 수익률 차이는 양(+), 해외 규모 비율 변화율과는 음(-)의 유의적인 관계를 가졌다. 이는 MSCI ACWI, World, Emerging Markets 수익률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기간에 따라유의성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든 기간 존재하는 현상이었다. 본 연구는 사모 주식형 펀드 규모 비율 변화율이 미래 주식시장 수익률에 대한 정보를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미를 가진다. 비록 1개월, 3개월 정도의 단기 예측이지만, 사모 펀드의 경우 투자에 제약이 적고 법인이 주로 투자하기 때문에 공모 펀드 투자자와 비교하여 미래 주식시장 수익률의 추세를 더 잘 예측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 주식시장에서 환위험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의 반응

        박종원,이우백,권택호 한국재무관리학회 2008 財務管理硏究 Vol.25 No.4

        Foreign investors who invest in the Korean stock markets are exposed to two kinds of foreign exchange rate risk, the economic exposure and the translation exposure. The former is the foreign exchange rate exposure in return generating process of the assets invested and the latter is the foreign exchange rate exposure in the translation of domestic return into foreign investors' currency. Domestic investors, however, are exposed only to foreign exchange rate exposure in the asset invested. This different situation on foreign exchange rate exposure between foreign investors and domestic investors can induce different response to exchange rate change by investor groups. Previous studies on foreign exchange rate exposure of Korean firms reported that quite a few Korean firms are exposed to foreign exchange risks and suggested to manage the foreign exchange risks. Also, many studies on the market segmentation showed that a market can be practically segmen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vestor groups. These studie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the Korean stock market can be practically segmented by the foreign investors’ attitude to the foreign exchange rate exposure. This study examines the response of both foreign investors and domestic investors to the foreign exchange rate exposures in Korean stock markets. Test results show that foreign investors increase their sell transactions when the foreign exchange rate exposure of the previous day is negative. This result can be possible when foreign investors attempt to actively manage the decrease in value of their assets due to rising of exchange rate. Analysis on the sell order data is also supportive to this interpretation. Foreign investors also increase their buy transactions when the foreign exchange rate exposure of the previous day is negative. This result can be possible when foreign investors use actively the relation between the increase in asset value and the translation gain due to declining of exchange rate. Analyses on buy order data, however, do not show the same result as the analyses on transaction data. This difference may come from the difference of information contained in transaction data and order data. In summary, the result of the paper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foreign investors response differently to foreign exchange rate exposure compared with domestic, Korean investors. Two groups do not show different response when exchange rate exposure is positive, i.e., as foreign exchange rate is increase (decrease), the asset value is increase (decrease). However, foreign investors’ response is different from that of domestic investors when exchange rate exposure is negative, i.e., as foreign exchange rate is increase (decrease), the asset value is decrease (increase). These results mean that foreign investors and domestic investors are placed in different situations related to foreign exchange rate exposure, and these differences are reflected in the Korean stock markets. And domestic investors need to consider foreign investors’ different attitude to the foreign exchange rate exposure when they analysis foreign investors’ trading behavior. 외국인 투자자가 한국 시장에 투자를 하는 경우 외국인 투자자는 투자자산에 내재된 환위험과 함께 수익을 환산하는 과정에서의 환위험에 노출된다. 외국인 투자자의 이러한 상황은 투자자산에 내재된 환위험만을 고려하면 되는 국내 투자자와는 구분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차이는 외국인 투자자가 환위험에 대해 국내 투자자와는 다르게 반응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환위험에 관한 국내의 기존 연구는 한국 기업들이 환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잘 보여주었다. 또한 동일한 시장이라 하더라도 시장 참여자의 특성에 따라 시장이 분할 될 수 있다는 증거들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기존 연구 결과는 환위험이 시장을 분할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한국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환위험에 대한 반응을 거래량 자료와 주문량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외국인 투자자는 환위험을 나타내는 공분산이 음수인 경우 매도거래를 증가시킨다. 이는 환율이 상승하면서 주식수익률이 하락하는 환위험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거래의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주문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도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한다. 한편, 외국인 투자자는 공분산이 음수인 경우 매입거래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 되었는데 이는 환율이 하락하면서 주식수익률이 상승하고 투자수익의 환산이익도 함께 증가하는 관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거래의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외국인 투자자의 매입주문비율 분석 결과는 거래자료 분석 결과와는 달리 유의적인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는 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자산에 내재된 환위험에 대해서 국내 투자자와는 다른 반응을 보인다는 가설을 지지한다. 외국인 투자자는 환율이 상승(하락)하는 경우 기업가치가 상승(하락)하는 방향의 환위험에서는 국내 투자자와 차별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환율이 상승(하락)하면 기업 가치가 하락(상승)하는 방향의 환위험에서는 국내투자에 비해 거래를 증가시키는 차별적인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투자자는 환위험에 대하여 국내 투자자와는 다른 평가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투자자산의 평가에 반영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 KCI등재

        국제상품선물시장의 거래정보가 국내 주식시장 투자자의 매매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패널분석을 중심으로

        서지용,정호일 한국산업경제학회 2011 산업경제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국제 상품선물시장을 대표하는 미국 상품거래소(CME)의 금 선물시장의 비상업적 거래정보가 국내 주식시장 참여자의 매매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복수의 패널모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선물매수포지션의 변화에 대해서 국내 주식시장 참여자들의 매매행태는 유의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으나, 선물매도포지션의 변화에 대해서는 투자자 유형별로 상이한 매매패턴을 보여주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는 선물매도포지션 감소 시 오히려 주식매수를 강화하고, 매도포지션 증가시에는 장기투자를 염두에 둔 매도축소경향을 보였다. 개인투자자는 외국인 투자자와는 반대의 매매행태를 보여주는 등 위험 회피적이고 단기차익실현 차원의 매매행태를 보였다. 기관투자자의 매매행태는 매도포지션 변화에 대해 유의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In this study, we analyze empirically whether non-commercial trading information of gold futures market in CME(Chicago Mercantile Exchange) affects transaction behavior of Korean stock market participants by using multiple panel data analysis models.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transaction behavior of Korean stock market participants does not respond from change of long position in futures market. However, the transaction behavior is affected significantly from change of short position, and is different per type of participants. Especially, it shows that foreign investors tend to increase buying the stock when short-position is decreased, and to decrease selling them with long-term investment in mind if short position is increased. On the contrary, we confirm that individual investors are risk averter and short-term profit taker because transaction behavior of individual investors is opposite to that of foreign investors. The transaction behavior of institutional investors does not respond significantly from change of long and short position in futures market.

      • 국내 주식형 펀드의 타이밍 능력 검증

        서진석,김진우 한국금융공학회 2011 한국금융공학회 학술발표회 Vol.2011 No.2

        본 연구에서는 2001년 1월부터 2010년 7월까지의 기간에 걸쳐 국내 827개 주식형 펀드의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펀드매니저들이 시장 전체의 방향성, 변동성 및 유동성 변화에 따라 자산 배분을 적절히 조정하는 타이밍능력을 가지고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시장의 방향성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펀드 포트폴리오 내 자산을 배분하는 시장 타이밍 능력은 전 기간에 걸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장 변동성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펀드 포트폴리오의 자산을 배분하는 변동성 타이밍 능력은 국내 펀드시장이 활성화되기 이전인 2001년~2004년의 기간에서, 그리고 시장 유동성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펀드 포트폴리오의 자산을 배분하는 유동성 타이밍 능력은 국내 펀드시장이 활성화된 이후부터 미국발 금융위기가 시작되기 직전인 2005년~2008년 9월까지의 기간에서 유의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금융위기로 인해 시장이 급격히 위축되었던 2008년 10월 이후의 기간에서는 어떠한 타이밍 능력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 KCI등재

        금리 스프레드와 산업별 주식 수익률 관계 분석

        김규형,박진수,서지혜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22 지능정보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다항회귀분석을 통해 장기금리와 단기금리의 차이인 금리 스프레드와 주식 수익률 간 영향을 분석한다. 기존 연구들은 미국시장을 중심으로 금리 스프레드를 통한 경기를 예측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선행 연구들은 장단기 금리의 기간을 조절하고 선행정도를 분석하며 금리 스프레드를 경기예측 선행지표로 검증했다. 국내에서도 2006년 경기 종합지수 제 7차 개편 이후 금리스프레드를 경기 선행지수 구성항목에 포함하였으며 현재까지도 활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주식시장에서 금리스프레드와 산업별 주식 수익률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식시장을 대상으로 금리스프레드와 산업별 주식 수익률은 분석했다. 회귀분석을 통해 인과관계가 높은 장단기 금리를 선정하고 선행기간 및 산업별 상관관계를 파악했다. 연구 과정에서 단순 선형회귀 분석(Simple Linear Regression)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항 회귀분석(Polynomial Linear Regression)을 활용해 설명력을 높였다. 분석 결과 6개월 선행하여 무보증 3년 회사채(AA-) 수익률과 콜금리 수익률의 차이 금리스프레드로 사용했을 때 높은 인과를 확인하였으며 산업별 주식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해당 금리 스프레드와 자동차산업의 수익률의 관계가 가장 밀접함을 확인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금리 스프레드가 경기예측뿐만 아니라 주식수익률과도 인과관계가 있음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금리스프 레드만 사용하여 주식 가격을 예측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으나 다양한 요인들과 적절히 활용할 경우 강력한 팩터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