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가GIS 발전을 위한 신기술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이봉규,Lee, Bong-Gyou 한국공간정보학회 2003 개방형지리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Open Geogr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GIS 발전을 위해 새로운 정보통신 기술과 인프라를 GIS분야에 접목하기 위한 정책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지속적인 국가GIS의 발전과 산업활성화를 위해서는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정보통신 기술들의 발전동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잠재적인 문제점을 파악하여 적시에 반영할 수 있는 기술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 서론에 이어 2장에서는 GIS와 연동되어야 할 주요 기반기술인 통신, 보안, LBS. 유비쿼터스 기술 등의 요소기술 현황 및 전망을 살펴보고 표준화 동향을 고찰한 후, 3장에서는 국가GIS 발전을 위한 정보통신 기술도입의 기술 정책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한 후 4장에서 결론을 맺기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guidelines on technical GIS policy for integrating GIS with emerging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infrastructure systems for national GIS development. These guidelines are expected to advance the development of GIS and stimulating GIS industry, by anticipating potential problems. This paper consists of foul parts. After Introduction, section two covers the present and upcoming status of essential information technologies including communications, security, LBS, Ubiquitous and standardization. Section 3 describes the guidelines for combing GIS and emerging IT for national GIS development. The final section summarizes and derives conclusions.

      • 국가GIS 중장기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정문섭,최용복,Chung, Moon-Sub,Choi, Yong-Bok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6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8 No.3

        1995년 시작된 국가GIS사업이 3차사업을 진행중에 있다. 제1, 2차 국가GIS사업은 국가공간정보기반 및 공공GIS활용체계구축사업을 추진하였으나 현재 진행중인 사업은 사이버국토 구축을 위한 GIS 활용고도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의 환경변화와 국가GIS 수요변화에 대비하여 향후 10년 동안의 국가GIS 중장기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부문별 국가GIS사업의 완료를 통하여 향후 추진되어야 할 국토균형발전, 환경, 방재 등 현재 국가적으로 직면해 있는 국토정책현안과제의 해결과 중앙 및 지방정부의 행정업무 혁신, 국토정보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국가GIS사업의 활용고도화를 제안하였다. 둘째, 범부처간 협력이 필요한 GIS사업을 발굴하여 공공부문의 공간정보 활용의 극대화를 제안하였다. 특히 공공부문의 공간정보를 민간이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극대화해야 한다. 셋째, 현실국토의 지능화와 제2의 국토건설사업인 사이버국토 구축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것을 제안하였다. 향후 10년간 국토정보활용의 고도화 및 지능형국토 구축, 사이버국토 구축사업 등을 추진하여 '디지털로 통합되는 국토'를 구축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suggests the vision and policy issues on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Korea. Firstly,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ulcorner}$The Second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plan${\lrcorner}$ consist of 47 projects include national level. For the purpose of third NGIS plan, diverse problems suggested on spatial information computierization, application, distribution. Secondly, we conducts an analysis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dem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cyber geospace' is the key issues in near future. In order to construct the ${\ulcorner}$Integrated Digital Territory${\lrcorner}$ in the 21st Century, the current promoted project for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constuction needs to be more developed.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ulcorner}$Integrated Digital Territory${\lrcorner}$, enhancing the usability of NGIS, creating the 'cyber geospace' and intelligent territory.

      • 국가GIS정책 평가체계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김태진 한국공간정보학회 200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0 No.1

        지난 문민정부이후 지리정보시스템은 새로운 사회간접자본으로 인식될 뿐만 아니라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고 행정의 생산성을 제고하는 수단으로 인식되었으며, 국가GIS정책의 규모와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이에 대한 평가는 중요한 과정으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국가지리정보체계구축및활용등에관한법률」 에 규정된 평가체계를 국가지리정보체계추진위원회에서 적용하고 있으나 국가GIS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조정 및 평가를 하기에는 부족함이 없지 않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국가71S평가제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평가체계의 개발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GIS has recognized as the Social Overhead Capital to improve national competition and to heighterl the productivity of adminstration in 1990's in Korea. As the size and the scope of the NGIS policy have drastically expanded, evaluation has become a critical process. Thus NGIS driving committee has adopted the GIS project evaluation scheme in NGIS law since 2000. But the HGIS evaluation scheme is not sufficient for the comprehensive appraisal on the GIS project in the Second National GIS Master Plan (2001-2005).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an the improved evaluation scheme of NGIS policy.

      • KCI등재

        우리나라와 일본의 국가 GIS 추진전략 및 유비쿼터스 정책 비교분석

        서용철(Suh Yong Cheol),사공호상(Sakong Ho Sang),이영주(Lee Young Joo)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6 No.2

        오늘날 정보화는 디지털 환경에서 유비쿼터스 정보환경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정부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하여 국가발전을 추구하고자 u-Korea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국가의 공간정보화의 기틀인 국가GIS 역시 유비쿼터스 환경으로의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유비쿼터스 정보환경에 대한 뚜렷한 변화와 관련기술의 실용화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라는 정보환경의 변화에 직면한 국가GIS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우리나라와 일본의 유비쿼터스 정책 및 국가GIS 추진전략을 상호 비교하여 각 분야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nformatization today has been developed in a ubiquitous environment unifying real and virtual space from digital space. To reflect on this trend, the government has promoted the u-Korea Project, which is a national strategy based on ubiquitous technology. With this national informatization policy, ‘The Creation of the Infrastructure for Realization of Ubiquitous Country’ for establishing a ubiquitous world is presented in the 3rd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NGIS) Master Plan, which manages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However, we have not yet discovered distinct change for ubiquitous environments and practical technolog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ain the current status of Ubiquitous policies and National GIS policies as a representative national information strategies directed toward the ubiquitous society by comparing Korea and Japan, and then develops improved strategies for the future.

      • KCI등재후보

        국토정보화정책 추진방향 연구

        사공호상 한국국토정보공사 2008 지적과 국토정보 Vol.38 No.1

        After 1995, the Republic of Korea has implemented the National GIS Construction Project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of spatial information which is caused by the advance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successful accomplishment of the project widely expanded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But, spatial data do not follow the demand of the fast evolved information environment even though the spatial data are widely used conceptually and practically. This study (1) reviewed the National GIS history of the implement situation during last 12 years, (2) prospected the change of the situation, and (3)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Territorial Informatization Policy development. It can be expected that the key of the successful National Territorial Informatization is to meet the demand of the ubiquitous information environment promptly without past analog thoughts and systems. 정보사회의 진전에 따른 공간정보의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자 우리나라는 1995년부터 국가GIS구축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으며, 성공적인 사업의 수행으로 국가공간정보기반을 크게 확충하였다. 그동안 공간정보는 개념적으로나 활용 면에서 크게 확대되었지만 급격하게 변하는 정보환경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지난 12여년간 추진한 국가GIS의 현황을 되돌아보고, 변화여건을 전망한 다음 향후 국토정보화정책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국토정보화는 과거의 아날로그적 사고와 체제를 하루빨리 탈피하고, 유비쿼터스 정보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관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