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라시아지역에서의 범죄와 테러의 전략적 결합에 관한 연구

        윤민우,김은영 한국치안행정학회 2013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0 No.3

        오늘날 범죄-테러의 결합현상(Crime-Terror Nexus)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범죄-테러의 결합현상의 심각성이 논의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범죄 집단의 테러집단과의 결합현상은 현재까지 알려진 대로 단순히 테러집단이 범죄 집단화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데 그치지 않고 테러의 발생과 현상이 복합적이고 증폭된 파워를 보이며 특정 국가의 치안 및 안보와 더 나아가 국제안보질서의 유지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즉, 국가의 공권력 작동이 약화되거나 법질서유지능력을 마비시키는 등, 특정 국가를 실패한 국가로 전락시켜 사실상의 무정부 상태를 초래하고 이러한 국가의 취약성을 이용해 다시 범죄-테러의 결합부분의 능력을 확대 재생산 시켜 국제질서의 안보위협까지 증폭시키는 방향으로 이행된다. 즉, 결과적으로 범죄-테러의 결합현상이 범죄-국가의 결합현상으로 나아가게 된다. 이 논문은 오늘날 나타나는 주요한 국가안보위협인 범죄, 테러의 전략적 결합을 통한 국가장악이 어떻게 나타나고 발생하는가에 대해서 논의하고 이러한 현상에 대해 일반화하고 이론화하고자 하는 시도를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는 냉전 이후의 탈 소비에트의 지리적 공간인 유라시아지역에서 발생한 현상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도한다. 유라시아에서는 특히 탈냉전이후 범죄-테러 결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 요인들이 동시적으로 나타난다.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and the subsequent decline of state sponsorship for terrorism, globalization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technology, the pattern of terrorism has been dramatically changed. Today, criminal activities have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revenue source for terrorist groups and the majority of terrorist groups became a part of violent entrepreneurs in the world. This newly emerged pattern of terrorism is now called as Crime-Terrorism Nexus. This term of Crime-Terrorism Nexus indicates the changing nature of terrorism, which means two traditionally separate phenomena, crime and terrorism, became more similar. Especially, in terms of the change of terrorism, the most serious problem is that the nexus of the two different phenomena appear to pose serious level of security threats and to create synergy increasing the power of influence on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unsecured states, which may result in the phenomena of state being capture by terrorist groups.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this phenomenon, the Crime-Terrorism Nexus needs to be studied in front. However, the prior studies failed to examine the impact of this new evolution of terrorism. This study, therefore, attempt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rime-terror nexus, especially, in Eurasia.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political, geograph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urasia in understanding the Crime-Terror Nexus, this study will have great contribution in development of anti-terrorism policies and terrorism studies. ****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Gachon University research fund of 2013(GCU-2013-R358).

      • KCI등재

        초국가적 금융범죄의 정의와 유형

        김연수(Kim Yeon Soo) 한국공안행정학회 2012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1 No.4

        금융시장의 국제화로 말미암아 국제적 금융범죄의 발생이 급증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초국가적 금융범죄에 대해서는 사회적 관심과 학제적 논의가 부족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이 연구는 초국가적 범죄 측면에서 금융범죄를 조망하고 초국가적 금융범죄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유형을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초국가적 범죄의 개념과 금융범죄의 개념에 대해 여전히 학계의 논란이 있는바, "초국가적 금융범죄"라고 하는 새로운 용어의 개념정의를 위하여 초국가적 범죄의 개념과 금융범죄의 개념을 각각 정리하였다. 이 연구는 초국가적 범죄를 '범죄행위가 자국의 영토를 벗어나 그 영향력이 최소 2개국 이상의 주권국가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정의하고, 금융범죄를 '금융기관과 관련이 있는 금전적 손실을 유발시키는 비폭력범죄'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초국가적 금융범죄는 '금융기관과 관련이 있는 금전적 손실을 유발시키는 비폭력적 범죄로서 그 영향력이 최소 2개국 이상에 미치는 범죄'라고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초국가적 금융범죄의 유형분류를 위하여 금융기관의 유형과 역할을 기준으로 삼았다. 금융범죄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금융기관을 은행 및 비은행권, 증권분야, 보험분야로 크게 나누고, 이들의 역할을 주체(가해자), 객체(피해자), 매개체(수단)로 구분하여 총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외환범죄를 별도의 범주로 구분하여 총 10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는 초국가적 금융범죄에 대한 학문적 개념정립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이가 있다. 하지만, 개별 초국가적 금융범죄의 유형에 대한 구체적 특징과 현황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more globalization of financial market and commerce, the more transnational financial crimes occurs. However, transnational financial crimes have not received attention and academic discussion has been poor. So, this study focus on present a systematic approach to explain the transnational financial crimes and classify them. First of all, it is necessity to define the terms, 'transnational crimes' and 'financial crimes', each other. Transnational crimes are crimes that have effect across national borders and crimes which are intra-State but which offend fundamental valu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inancial crimes are defined as non-violent crimes resulting in a pecuniary loss crime also involves a financial institution. So, transnational financial crimes can be defined as 'non-violent crimes resulting in a pecuniary loss crime also involves a financial institution and have effect across national borders'. On the other hand, the type and role of financial institution are used to classify the transnational financial crimes. The types of financial institution are bank/non-bank, stock market, insurance market. And the roles of financial institution on financial crimes are subjects(offenders), objects(victims), and mediators(implements). These categories of transnational financial crimes are classified to 9 subcategories, and foreign exchange crimes, which classified another subcategory. This study presents an overview of transnational financial crimes useful for further conceptual as well as empirical research. Nevertheless, it is need of further study on the specifical characters and status of each subcategories.

      • KCI등재후보

        초국가적 범죄에 대한 인간안보적 접근과 대응

        이만종(Lee, Man Jong) 한국테러학회 2012 한국테러학회보 Vol.5 No.2

        본 논문은 북한의 탈북자ㆍ마약ㆍ인신매매ㆍ조직범죄 등 초국가적 범죄에 대한 인간안보적 접근과 국제공조방안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탈냉전 이후 전통적인 안보위협이었던 국가간의 전쟁가능성이 줄어들면서 테러, 해적, 마약밀거래, 환경오염 등과 같은 국경선을 초월한 초국가적 범죄가 개별국가 및 지역의 안보에 새로운 도전으로 등장함으로써 오늘날의 안보위협은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초국가적 범죄들은 어느 한 국가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국경과 주권을 넘나들며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 북한정권은 불법적인 마약의 생산 및 운송에 관여해왔다. 중국에 있는 많은 탈북자들은 강제노동은 물론 인신매매의 희생이 되고 있다. 탈북자문제는 주요 현안으로서 탈북자의 생활조건과 인권상황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북한의 접경지역에서의 탈북자들과 관련된 인신매매, 조직범죄와의 연계 및 마약거래 등과 같은 초국가적 범죄에 대한 대응은 한국정부와 국제비정부단체(NGO) 및 국제난민기구(UNHCR) 등의 원조를 통한 다각적인 접근과 초국가적인 공조체제 마련이 요구된다. 이제는 북한의 초국가적 위협과 위기상황을 정부차원의 대응뿐만 아니라 국제기구와 국제 비정부 단체 그리고 전통적 안보의 개념에서 진일보하여 인간안보적이고 다각적인 차원에서 초국가적인 공조체제를 확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요컨대 북한의 탈북자ㆍ마약ㆍ인신매매ㆍ조직범죄 등 초국가적 범죄를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인 인간안보적 차원의 접근과 다각적인 국제공조가 필요하다. 즉 마약, 인신매매 등과도 연계된 조직범죄를 포함한 다양한 초국가적 범죄의 제거 또는 감소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할 시점이라 생각된다. This paper is to analyze human security approach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measures to resolve transnational threats in North Korea such as NK defectors, drug, organized crime, and human trafficking. For the purpose of that, this paper intends to search for introduction; concept/pattern/tendency of transnational threats; real state of drug, organized crime, and human trafficking in North Korea; human security approach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measures to resolve transnational threats, and conclusion.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military threats, the nature of today’s changing security threats can be summed up as being complicated and multifarious due to the increase of transnational and non-military threats. In particular, transnational threats (for example, NK defectors, drug, organized crime, and human trafficking) transcend national boundaries and sovereignty so that a country alone cannot resolve these threats. North Korean regime has been involved in the production and trafficking of illicit drugs. Many North Korean defectors in China become victims of human trafficking as well as forced labor. The problem of North Korean defectors has been a major issue, the living conditions and human rights situation of the defectors are not improving. In short, we need more efficient human security approach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measures to resolve transnational threats in North Korea such as NK defectors, drug, organized crime, and human trafficking. We have to do our best to reduce and remove various transnational threats including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s associated with drug and human trafficking, etc.

      • KCI등재후보

        김정은 정권에서 나타난 北韓의 초국가적 조직범죄 활동 변화

        함중영 한국국가정보학회 2017 국가정보연구 Vol.10 No.1

        Jumping on the trend of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ique and the expansion of globalization, the small criminal groups as well as the well-known international organized criminal groups, such as Mafia, Yakusa, and Triads are getting mo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 expanded to wider areas dealing with illegal activities, such as drug and firearms trafficking, money laundering, human trafficking and illegal immigrants, and smuggling. Considering such crimes as serious matters, the United Nations adopted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against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UNTOC)” in 2000, making the definition of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clearly and has encouraged all the member states to fight against the criminal groups and crimes. North Korea unlikely such civil criminal groups has been committing the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s to make money at the level of the regime to support for “Royal Court Economy”, which has been supporting Kim Jong-Il and now Kim Jong-Un’s leadership. This study investigates on the illegal activities of North Korea regarding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especially on seven types of crimes; drugs, firearms trafficking, counterfeit currency, fake products (cigarettes and medicines), human trafficking, smuggling, and cybercrime. In addition, it analyzes the features and changes in the era of Kim Jong-Un’s regime to find out what kinds of particular crimes are mainly focused on and predicts the regimes’ illegal activities in terms of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s. In comparison to the recent spotlight on North Korea’s illegal activities on nuclear weapon development and violation of human rights, North Korea’s traditional ways of committing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such as drug trafficking, smuggling, counterfeit currency and products, which are classified as ‘non-traditional’ security areas or ‘human security’ issues, are relatively unknown. However, because the illegal money earned by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s has filled the fuels to develop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such illegal activities should be concerned as the threat of security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including South Korea. Thus, it is urgently required to check and seal all the cracks of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s illegal activities and to make sure the efficient control, so that North Korean regime should turn from the rogue country to the eligible member stat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정보화의 발전과 세계화의 확대에 편승하여 전 세계에 산재한 군소 조직범죄 집단은 국경을 넘어 상호 연계하면서 점차 초국가적 조직범죄 집단으로 확장하며 활동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조직범죄 집단들인 마피아·야쿠자·흑사회 등은 마약·무기 밀매, 자금세탁, 밀수, 인신매매 등의 불법 활동을 통해 경제적 이득을 취하면서 그 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국제연합은 마약 관련 3개 국제협약과 “유엔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협약(UNTOC, 2000)” 등을 채택하면서 국가 간 협력을 독려하며 이에 대응하고 있다. 북한은 왕조식(王朝式) 독재정권을 고수하면서 궁핍한 경제상황을 타개하고자 1970년대 중반부터 국가 차원에서 초국가적 조직범죄를 자행하기 시작하였으며, 소위 “고난의 행군” 시절을 맞이한 1990년대부터 마약, 위폐, 가짜담배를 대규모 생산·유통시키면서 외화를 확보하며 북한지도부의 통치자금과 핵무기 및 미사일 개발 자금을 충당해 왔다. 최근 현안으로 대두되는 핵무기·미사일 개발 및 反인권범죄와 더불어 북한의 초국가적 조직범죄 활동은 국제적 범죄와 테러의 위협을 제고시키는 국제 안보적 위협이라할 수 있다. 김정일 정권에 이어 김정은 정권에서도 북한 정권 차원의 초국가적조직범죄 활동은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사이버범죄, 무기밀매, 노동자 해외 송출을 통한 임금 착취 등의 유형에 집중하면서 외화벌이를 전개하는 특징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초국가적 조직범죄 활동과 특히 김정은 정권에 들어서 외화를 벌어들여 소위 ‘궁정경제’의 자금을 충당하고 있는 실태를 고찰한다. 또한, 핵무기 개발로 국제사회를 위협하면서 불량국가(rogue country)의 대표적 행태를 보이고 있는 김정은 정권에 대해 국제사회의 실질적인 대북제재를통한 통제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불법 활동의 틈새를 찾아 메꾸는 조치가 효율적이라는 함의를 제시한다.

      • KCI등재

        초국가적 범죄조직의 국내침투 전망과 대응방안 -사회구성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강욱 ( Wook Kang ),전용태 ( Yong Tae Chun ) 한국경찰학회 2016 한국경찰학회보 Vol.18 No.1

        1990년대 이후 급속하게 진행된 세계화 (globalization) 및 관련 국가와의 활발한 교류로 인하여 초국가적 범죄는 이제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문제가 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는 2015년 11월에 UN의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협약``에 가입하였으나, 아직까지 초국가적 범죄에 대한 개념도 명확하게 정립이 되어 있지 않으며, 관련 통계도 제대로 갖추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초국가적 범죄와 관련된 여러 연구 결과를 고려하고 초국가적 범죄가 가지는 특성을 감안한다면, 초국가적 범죄는 ``2개 이상의 국가가 범죄의 주체 또는 객체로 연결되는 행위로 범죄의 모의부터 실행, 결과가 2개 이상의 국가와 관련이 있는 범죄라고 정의 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하여 외국인 범죄, 외국인 출입국 현황 등 관련 통계를 살펴보면 앞으로도 초국가적 범죄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이 된다. 증가하는 초국가적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초국가적 범죄에 대한 근거규정 마련, 국제공조 체제의 강화, 주요 국가와의 공동 협력체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Transnational Crime has been a critical issue in a country due to the fast globalization and active exchange with other countries since 1990s. Korea joined United Nations Convention against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However, the definition of transnational crime has not been established and related statistics are not collected. Considering the context of studies on transnational crime, transnational crime can be defined as criminal activities which are occurred in more than two countries from planning to results by subjects. Transnational crime will increase with examination of statistics of foreigners`crimes and immigration based on social constructionism. Establishment of regulations on transnational crime, enhancement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construction of cooperative system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respond to increasing transnational crime.

      • KCI등재

        국가중요시설 침입범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명일(Kim, Myung il),김태영(Kim, Tae Young) 한국경호경비학회 2021 시큐리티연구 Vol.- No.66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침입범죄 영향요인을 실증적 자료를 통해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상황적 범죄예방이론에 입각하여 예방대책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0년까지 발생한 국가중요시설 침입범죄 48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침입범죄 영향요인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해볼 수 있었다. 첫째, 국가중요시설 침입범죄에 대한 사법처리 수위가 낮음에 따라 범죄자의 행위를 억제하기 어렵고, 둘째, 일과 후나 휴무일에 침입범죄가 더욱 빈번하게 나타나는 것은 국가중요시설의 방호태세가 상시 유지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방호인력의 전문성의 부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침입범죄 대부분이 월담이나 출입문을 통한 무단침입 임을 고려하면 국가중요시설의 물리적 보안수준이 견고하지 못하여 침입자의 범행의지를 억제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국가중요시설 침입범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침입범죄를 엄중하게 사법처리하여 침입범죄의 심각성을 국민이 인식하도록 하여 잠재적 범행동기를 억제하고, 방호인력의 전문화 및 물리적 방호시스템을 강화하여 범행의 기회를 축소해야 하며, 국가중요시설과 이해관계에 있는 인원 및 단체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여 침입범죄 유발 유인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국가중요시설 침입범죄의 영향요인 및 대책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시도한 본 연구는 민·관·군·경 통합방위 차원의 국가중요시설 방호정책 수립 및 침입범죄에 대한 학술적 관심을 높이고 향후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intrusion crimes on national major facilities, and to present preventive measures based on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theo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ctors influencing intrusion crimes on national major facilities could be discussed in three main aspects. First, the level of judicial treatment was low, so the criminals actions could not be suppressed. Second, the more frequent occurrence of intrusion crimes after work or on holidays meant that the national major facilities were not always maintaining their protection posture. This means that the protection personnel lack expertise. Third, most of the intrusion crimes were simple methods means that the physical security level is not robust, so that the intruder s will to commit crimes cannot be suppressed. In order to cope with such crimes against trespassing, the intrusion crimes on national major facilities must be treated strictly by law. Through this, the public should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the intrusion crime and suppress potential criminal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chances of crime by reinforcing the specialization of protective personnel and the physical protection system.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centives to induce intrusion crimes by maintaining a smooth relationship with personnel and organizations that have an interest with important national facilities.

      • KCI등재

        북한형법 중 국가재산침해범죄

        이백규(Lee, Baek-Gyu)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東亞法學 Vol.- No.66

        국가재산침해범죄는 절도, 사기, 횡령 등 재산권 침해행위의 객체가 국가 및 사회협동단체 소유인 경우의 범죄들에 대한 규정들로서 북한형법 제5장 제1절에 위치하고 있다. 제9장 제2절의 개인소유를 침해한 범죄와 그 행위 유형은 동일하거나 비슷하지만 행위 객체가 국가 및 사회협동단체 소유인 범죄들을 따로 떼어내 별도로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재산범죄를 그 침해대상에 따라 이렇게 별도의 처벌규정을 둔 입법례는 매우 드물다. 북한형법의 특징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이것은 북한이 개인재산보다 국가재산 및 사회협동단체의 재산을 더 보호하려는 태도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정작 그 처벌 정도를 보면 개인재산침해범죄와 그다지 큰 차이가 없다. 기본형은 동일하고 가중형에 있어 국가재산침해범죄가 다소 더 높을 뿐이다. 다만, 국가재산침해범죄에는 개인재산침해범죄에 없는 국가재산공동탐오죄나 과실에 기한 국가재산파손죄를 추가로 규정하고 있다. 모두 국가재산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우리 형법과 비교해 보면 배임죄가 없는 반면 공동탐오죄나 빼앗은죄가 있는 것이 눈에 띄는 차이점이다. 특히 국가재산 빼앗은 죄는 다른 사람이 보는데서 공공연하게 탈취해 가거나 강도에 이르지 않을 정도의 폭행ㆍ협박을 가해 빼앗는 범죄로서 우리 형법의 날치기 절도나 공갈죄에 해당한다. 국가재산 속여가진 죄, 국가재산 횡령죄, 국가재산 강도죄 등은 우리 형법의 사기, 횡령, 강도 범행과 크게 다르지 않다. 행위 객체가 국가 및 사회협동단체 재산이라는 점에 특색이 있다. 전반적으로 북한의 국가재산침해범죄의 법정형은 그다지 높지 않고, 오히려 우리 형법의 법정형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 양형과정에서 작량감경 등을 거쳐 처단형을 낮추고, 그 안에서도 법정 최저형에 가깝게 형을 정하거나 집행유예 등을 선고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단순히 법정형만 보아 북한이 우리보다 처벌이 가볍다고 단정해서는 안 된다. Infringement crime regulations of national estates are on crimes of infringing actions against property rights such as theft, fraud, and embezzlement in case that objects of the infringement belong to a nation or social cooperative groups. The rules are in clause 1 of chapter 5 in Criminal Laws of North Korea. Though crimes which infringed private possession in clause 2 of chapter 9 and the action types are same or similar, from separately removing crimes that action objects are owned by a nation or social cooperative groups, they are regulated additionally. About estate crimes, legislation cases that additional punishment regulations are had like this according to the infringement objects are very rare. It is originated from that North Korea has an attitude to protect estates of the nation or social cooperative groups more than private estates. By the way, when the punishment degrees are seen actually, there is no big difference with infringement crime of private estates. The punishments for basic crime forms are on the same degree; only in additional punishment, the infringement crimes of national estates carries somewhat higher sentences. But, joint corruption crime of national property and crime of destroying national estates by mistakes which are not in the infringement crime of private estates are regulated additionally. All are for strengthening protection of national property. When comparing with South Korea’s criminal laws, there is no misappropriation in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that there is the joint corruption crime or extortion crime is noticeable. Especially, the crime of extortion for national property is to take something publicly when other people watch or to take something from committing an outrage or giving threat to an extent of no robbery though. It corresponds to snatching & theft or blackmailing. Crimes of cheat, embezzlement, and robbery for national property are not different from fraud, embezzlement, and robbery of crime laws in South Korea. The feature is that the action objects are estates of a nation or social cooperation groups. Overall, statutory punishment about the infringement crimes of national property in North Korea is not high; rather, statutory punishment of South Korea is higher. But, in case of South Korea, in the course of weighing offences, punishment is lessened through the mitigation of punishment in extenuation of circumstances. Even in the course, because there are lots of cases to set punishment near legally minimum penalties or to sentence probation, it should not be predicated that North Korea is not more severe in punishment than South Korea just simply from seeing legal punishment.

      • KCI등재

        국가가 연루된 비국가행위자의 사이버공격에 대한 국가책임 귀속성

        김효권 한국법학원 2022 저스티스 Vol.- No.193

        The UN GGE report distinguishes international law applicable to cyberspace from voluntary and non-binding norms as responsible state behavior. Considering the former, the report makes it clear that states’ malicious ICT activities may constitute international wrongful acts whereby a victim state could invoke the law of state responsibility. On the contrary, subsuming a cybercrime under the latter, the report simply recommends that states should seek cooperation and mutual assistance to effectively punish a cybercrime. This difference implies that while a cyberattack committed by states is subject to the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law, a cybercrime perpetuated by individual criminal organizations falls within the scope of domestic criminal law.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there are legal gray areas where the law of state responsibility, as well as states’ domestic criminal law, could not resolve or regulate certain patterns of cyber operations. The ambiguity of the boundary between the cyberattack committed by states and the cybercrime perpetrated by non-state actors appears in the case of cyber operations suspected using of proxies. The article argues that the dichotomy cannot properly solve the complex aspects of cyber operations where states and non-state actors are complicatedly involv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GGE report, the only legal principle that can hold the state responsible for malicious cyber operations of non-state actors is the law of state responsibility. Considering the anonymity of cyber operations and various types of links between states and non-state actors, however, it is nearly impossible to prove that the non-state actors concerned were acting on the instructions of, or under the direction or control of, the suspected state. Concerning the domestic law regulating cybercrime, it is unrealistic for the victim states to expect cooperation between the hostile state for cybercrime investigations. Accordingly, this article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principle of due diligence affirmed in the ICJ Corfu Channel case as a way to remove the gray areas. 오늘날 사이버 수단을 이용한 적대행위로서 타국을 대상으로 일국이 자행한 사이버공격은 국제법의 영역에 포섭되는 반면, 해커와 같은 범죄조직이 저지른 사이버범죄는 국내 형사법의 규율을 받는다. 본고는 이처럼 행위의 주체에 따라 국제법과 국내법을 각각 적용하는 현재의 규율방식이 실제 현실에서 나타나는 복잡한 사이버공격 혹은 사이버범죄의 양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를 제기한다. 국가가 자행하는 사이버공격과 개인이 저지른 사이버범죄 간 경계의 모호성은 여하한 방식으로 국가가 개입되거나 관여되었다고 추정되는 비국가행위자의 사이버공격 사례에서 나타난다. 2007년 에스토니아 사태와 같이, 국가 간 정치적 갈등을 배경으로 발생하는 사이버공격 사례는 이를 수행한 비국가행위자의 배후에 피해국과 적대관계에 놓인 국가가 은밀히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가책임법과 국내 형사법은 이처럼 국가와 개인이 복잡하게 연계된 사이버공격을 적절히 규율하기 어렵다. 먼저 국제법의 한계로서, UN GGE 보고서에 따르면 오늘날 비국가행위자의 사이버공격에 대하여 피해국이 원용 가능한 유일한 법원은 국가책임법이다. 그러나 ILC 국가책임초안과 ICJ 판례는 사인 행위의 귀속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실효적 통제 기준을 제시하는바, 사이버공격의 익명성과 국가와 개인 간 다양한 유형의 연계 방식을 고려할 때, 실제 문제 된 공격이 국가의 지시·지휘·통제 아래 자행되었다는 사실을 법적·기술적으로 입증하는 작업은 지극히 까다롭다. 다음으로 국내법의 한계로서, 적대국을 배후로 둔 비국가행위자의 사이버범죄에 대하여 피해국은 디지털 증거의 보전 등 사이버범죄 수사를 위한 국가 간 공조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국가면제 원칙에 따라 국가의 행위를 처벌할 수 없다는 사실은 국내법을 통한 사이버범죄의 처벌이 국가 간 갈등 및 분쟁을 배경으로 한 사이버공격의 근본적 해결책이 될 수 없음을 시사한다. 이에 본고는 국가가 연루된 비국가행위자의 사이버공격 혹은 사이버범죄를 규율하기 위하여 어떠한 법리가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 그 해결방안으로 ICJ Corfu Channel 사건에서 확인되는 상당주의의무가 사이버공간에 적용되는 국제법 영역에 포섭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 KCI등재

        동아태 지역에서의 초국가적조직범죄 척결을 위한 국제협력방안

        백기봉(Kee Bong Paek) 서울국제법연구원 2013 서울국제법연구 Vol.20 No.1

        초국가적조직범죄는 현대 사회에서 지역, 국가를 막론하고 인간의 기본적인 안전과 행복한 생활에 다양한 위협을 가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 나라가 속한 동아시아·태평양 지역도 마찬가지이다. 초국가적조직범죄집단의 활동을 차단하는 것은 국제사회의 우선적 관심사항이며, 지역내 형사사법·법집행기관간의 밀접한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것은 초국가적조직범죄에 대한 보다 나은 대응을 위해 중요한 일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 ``유엔 마약 및 범죄 사무소의 동남아시아·태평양 지역사무소``가 지원 중인 지역내 ``형사사법공조 네트워크``와 ``범죄수익환수를 위한 법집행기관간 협력 네트워크``의 구축 활용은, 국제조직범죄의 척결과 범죄수익의 환수를 위한 각국의 노력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가동 중인 ``유럽사법협력 네트워크``, ``범죄수익환수 법집행기관간 협력을 위한 캠덴 네트워크`` 등의 예를 참조하여, 이 지역 국가들도 ``공식적인`` 형사사법공조 네트워크와 ``비공식적인`` 범죄수익환수를 위한 법집행기관간 협력 네트워크 등으로 구성되는 초국가적·조직적인 형삿사법협력 시스템을 지역 내에 구축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유로저스트``를 모델로 하는 소위 ``아시아저스트``, 즉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상설 형사사법 국제협력 기구``를 설립하려는 시도도 다양한 현실적 이유를 고려하여 충분히 긍정적으로 추진해 볼 만하다. 우리 나라는 법무부가 담당하고 있는 형사사법공조조약과 대검찰청이 추진하고 있는 아시아·태평양 마약정보 조정센터 등을 통해 그간 축적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이 지역에서의 초국가적·조직적 형사사법협력 시스템 구축을 위한 노력에 주도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 권고된다.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TOC) is posting a variety of serious threats to human security and well-being in every corner of this planet. East Asia and the Pacific region, which Korea belongs to, is not remote from these threats at all. Stopping the operations of TOC groups is a matter of international priority and close cooperation of judicial/law enforcement agencies within a region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better response. In this vein, the establishment of mutual legal assistance (MLA) network and asset recovery inter-agency network (ARIN), which UNODC ROSEAP is supporting, will be conducive for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cooperation among judicial/law enforcement agencies in their efforts to fight against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and confiscate proceeds of crime. Taking lessons and good practices from existing precedents, such as European Judical Network (EJN) and Camden Asset Recovery Inter-agency Network (CARIN), countries in this region should pursue transnational organized justice scheme comprising of ``formal`` MLA network and ``informal`` ARIN with clear recognition that it takes a network to defeat a network. On top of this approach, the initiative to develop a standing judicial/law enforcement cooperative body, so called ``Asiajust``, following the ``Eurojust`` model, will have to be considered more affirmatively in cognizance of a wide rage of practical reasons. Based on the substantial knowledge and experience accumulated through bilateral MLA treaties and multilateral APICC and looking forward to ensuing and contingent beneficial effects,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Korea will take a leading role for development of transnational organized justice scheme in this region.

      • KCI등재

        일반연구논문 ; 사이버테러 범죄 대응에 관한 제도적 문제점과 대책

        김태계 ( Tae Kye Kim ) 한국법정책학회 2014 법과 정책연구 Vol.14 No.3

        우리나라는 IT 세계 최강국이며, UN 평가 전자정부 세계 1위 국가이고, 우리 국민의 대다수가 오늘날 전자기기의 문명혜택을 누리며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사이버공간에서의 사이버테러범죄로 인하여 현실 공간보다 더 심각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현실적으로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사이버테러범죄 발생건수는 연간 10만 건이 넘고, 북한에 의한 사이버테러는 매년 반복하여 자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이버테러범죄에 대비하는 우리나라의 정책은 정부나 정치권의 단발성 정책으로 인하여 근본적이 해결책을 내 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근본적인 해결을 위하여 사이버안전 선진국들의 제도와 법령을 참고로 할 필요가 있는데, 그 중에도 2001년 9·11 테러를 겪고 난 후 국가의 힘을 집중하여 현실공간의 테러는 물로 사이버공간의 테러에 대하여 법과 제도를 끊임없이 제정하며 보완하고 수정한 미국의 법과 제도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미국의 국가사이버안전의 총괄관청은 모든 재난이나 테러에 대비하는 국토부와 그 소속의 국가사이버안보센터가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국토안보법과 일정한 시민의 권리를 강력히 제한 할 수 있는 애국법이 있으며 사이버전에 대비하여 4성 장군을 사령관으로 하는 사이버사령부를 창설하여 있으며, 연방정부기관이나 주정부 민간기관과의 조정협력을 위한 대통령 직속의 사이버조정관을 두고 현재의 사이버위협에 대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사이버안보에 관한 정책으로 가장 문제점으로 보고 있는 것은 국가정보원이 그 소속하에 국가사이버안전센터를 두고 국가사이버업무를 총괄하고 있다는 것이다. 국가정보원의 주된 임무는 국가의 정보와 기밀에 관한 사항과 대공수사를 담당하고 있으므로, 국가사이버보안업무는 업무 특성상 민·관·군의 협력이 절실하고 공개적으로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국가정보원의 주된임무와 맞지 않다. 입법을 통하여 세월호 침몰을 계기로 신설되는 미국의 국토부와 유사한 조직인 국가안전처로 사이버안전업무의 총괄청을 이관하여야 한다. 또한 사이버테러의 위협의 주된 세력이 북한이라고 여러 차례 정부합동조사단이 발표하였으나 이념적 갈등만 초래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세계최고의 사이버수사력을 보유한 우리나라 경찰 사이버수사기관이 사이버테러범죄에 한하여 독립된 수사권을 가지고 수사에 임하여야 하며, 아울러 수사기관은 기존의 수사지휘체계에서 독립된 사이버수사기관임을 요한다. 나아가 평시 사이버법률적용의사각지대를 규정할 수 있는 사이버기본법의 제정과 현실공간의 계엄과 비교될 수 있는 사이버상의 위기에 대비한 국가사이버위기관리법의 제정이 필요하다. 한편 사이버안보를 위한 국제공조가 절실하며, 국제조약 가입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는 현행 실체법과 절차법에 대하여 선진 국가 수준으로 사이버테러범죄에 대한 구성요건과 절차를 규정하는 법률개정절차를 이행하고 최초의 사이버범죄국제조약인 부다페스트 협약과 UN의 반사이버범죄 조약에 서명하여야 할 것이다. The Korea is IT world superpower. According to the UN assessment, is the world``s No.1 national e-government. Today, people are living in Korea Electronics civilization benefits. But that is the more serious damage can occur due to terrorist cyber crime in cyberspace. In fact, cyber attacks occur constantly. More than 100,000 cyber-terrorist crime can occur in our country for one year. Especially Cyber terrorism has been repeated year after year by North Korea. But a lot of the wrong policy of the country to prepare for cyber terrorism crimes. So there is no fundamental solution. Shall refer to the system with the developed countries to the fundamental law of cyber security solutions. September 11, 2001.Was equipped with the laws and regulations with respect to the terrorist attacks in the United States have experienced cyber attacks in real space as well. The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and the National Cyber Security Center of the Department responsible for the cyber security of the United States. DHS is Federal agency to prepare forall disasters and terrorism. To this end, and the Homeland Security Act, the Patriot Act to limit civil rights is strongly. The creation of a Cyber Command as a four-star general and commander against cyberwar. It is in charge of the mission of the Korean National Intelligence and Cyber Security National Cyber Security Centre is the problem. It is about the information about the state and the Communist secret investigation of National Intelligence main task. National Cyber Security work is to be required, and the cooperation of civil, militaryand government to publicly perform the work. Does not fit the mission and tasks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national cyber security. Therefore, to amend the Government Code,We assume that the State Security Department cyber security work The cyber attacks against major national North Korea. Still do not believe in good government announced that North Korea of cyberterrorism, some people have called. Many ideological conflicts between peoples. The cyber crime police are investigating the ability of Korea world. So it is necessary in dependence of the investigation with respect to the Cyber Crime Investigation. In addition, it requires the installation of cyber investigators. The Act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cyber crisis against the Basic Law and Cyber Security cyber crisis. And shall be joined to the Budapest Convention on Cyber crime or the cyber security diplom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