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九曜의 羅睺信仰으로 풀어본 신라 處容 - 처용을 보는 또 하나의 시선 -

        정진희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9 동국사학 Vol.67 No.-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fer of navagraha faith‘s Rahu to Korea through the legend and the record of Cheoyong. Rahu is one of nine stars in India’s navagraha religion(九曜信仰). Rahu makes the solar eclipse. Cheoyong resembles Rahu’s ability to create fog and heal the Measles. The year 879, when Cheoyong came to Silla, is similar to the time when the religion was Tejaprabha Buddha Fait introduced in China. The contents of the story to solve the problem in the Buddhist way by the command of the king. This indicates that there was a Tejaprabha Buddha Fait before Cheoyong came to Silla. In the year when Cheoyong came to Silla, Muslims fled to China to escape the war of Wangso(黃巢之亂). This fact indicates that Cheoyong has relations with the astrologers of the Gentiles who came to Korea in the late 9th century. In the Korean peninsula, the navagraha religion disappears from the process of passing along the age. However, through the legend and the record of Cheyung introduced to the Korean shows another aspect of navagraha fa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data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historical records.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explain the existence of Tejaprabha Buddha sculpture of later Goguryeo at the beginning of the 10th century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founding of the Guyodang(九曜堂). 처용신앙과 인도 점성신앙인 구요의 라후가 많은 부분에서 유사한 특징을 갖고 있다는 것은 처용의 정체성을 모색하는데 또 하나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처용이 신라에 당도하였던 879년은 중국 불교의 구요신앙이라 할 수 있는 치성광여래 신앙이 한반도로 전래된 9세기 중후반과 시간차가 크기 않다. 왕의 명령에 의해 불교식으로 천재지변을 해소하는 처용설화의 내용은 라후신앙의 渡來 이전 불교 치성광여래 신앙이 신라에 전래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사실은 두 신앙이 비록 한반도로 전파된 경로는 달랐지만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갖고 있음을 알려 준다. 고려 가사 <처용가>에는 직접적으로 처용을 라후라 지칭하고 口舌을 경계하며 돈을 태워 소재의식을 치르라는 의미를 내포한 구절이 있다. 이슬람 점성신앙의 특징을 보여주는 신라 처용에 비해 고려 가사의 처용은 불교 경전에 소개된 라후와 유사한 성격을 나타낸다. 이는 소재도량이 성행하였던 고려시대는 불교의 라후 소재법이 대중화되었기 때문이었다. <악학궤범>에서 처용무 후반에 불보살을 소청하는 부분이 삽입된 이유 역시 사라진 고려 소재도량의 잔재로 사료된다. 그리고 조선후기 민속놀이인 제웅치기도 불교에서 구요가 사라진 이후 민간의 세시풍습으로 전승된 처용신앙의 흔적이다. 한반도의 구요는 시대를 따라 전승되는 과정에서 사라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처용의 전설과 전승기록을 통해 구요는 세월의 흐름에 적응하며 또 다른 모습으로 변화하여 신앙의 명맥을 잇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고는 처용의 정체성에 대한 또 하나의 시선으로 서역 점성신앙인 구요의 라후를 통해 처용설화를 풀이하였다. 이를 통해 918년 후고구려 동주 발삽사에 있던 치성광여래와 구요 소상의 존재와 924년 왕건에 의해 구요당이 창건되어진 사회적 배경에 대한 설명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中國熾盛光如來圖像考察(중국치성광여래도상고찰)2

        정진희(Jin Hee Ju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3

        9세기 초반 이후에 성립 되어진 치성광여래도상은 시대에 따라 전승되며 변화를 보이는데 이는 신앙의 성격이 변화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9세기 중기 五星이 眷屬으로 그려진 초기도상은 외래신앙인 九曜信仰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중국인들에게 익숙한 전통점성신앙인 오성신앙과 연관지어 치성광여래신앙을 이해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12궁과 28수가 나타나는 10세기 이후 강림형식의 개인공덕용 도상과 설법회형식의 예배용도상의 유행은 당시 신앙이 정착되어 대중의 인기를 얻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14세기 이후 도상에서 12궁과 28수가 사라지고 있는 현상과 치성광여래가 화면에서 강조되고 대승의 보살행을 의미하는 白牛車가 출현하는 것은 신앙의 내용이 초기 星變과 관련된 특수한 목적의 소재길상에서 수명장수와 부귀영화를 희망하는 일반적인 기복신앙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도상에서도 星宿像은 본질적인 의미를 잃고 불화의 일반권속들과 같은 의미로 그려져 전승되고 있었다. The periodical transformation which has been shown in the transmission of the icon of Buddha in China indicat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faith in the country had also been changed with the course of time. During the formation of the belief of Tejaprabha Buddha(熾盛光如來), Chinese had understood the Navagraha(九曜) faith introduced from India as their traditional astrology. As a result of this inclination, the initial form of the icon ``the Advent of Buddhas in Progression’(降臨圖上) in Tang(唐) Dynasty and Five Dynasties and Ten Kingdoms(五代十國) period had a transitional feature in which Tejaprabha Buddha depicted with the Five Stars(五星) or the Big Dipper(七星). Most of the icons with this initial form had narrow width, and more related to ``the Print of Invoking A Blessing’(消災吉祥圖) which had been used to practice the Buddhist merit of an individual person, rather than the Scene Painting of a Buddhist(後佛畵) used for worship. By the 10th century, the full-scaled icon of worship that illustrates the assembly of Tejaprabha Buddha(說法形式) had begun to emerge with the icon of the Advent of Buddhas in Progression for private practice of virtue. This phenomenon refers to the prosperity and establishment of the faith on the country. The reconciliation of tradition had progressed as a branch of the establishment,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advent of the icon of a government official(卿相形) holding chinese ritual baton(笏板)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form of the Star Icon(星宿) into a hermit in a robe of feathers. Furthermore, the Golden Wheel(金 輪) known as the distinct symbol of Tejaprabha Buddha had been firmed in China and become the significant feature of the icons after the 12th century. Since astronomical knowledge in Islamic culture had been introduced into China in the 14th century, Constellations of the Zodiac and Twenty-eight mansions(十二 宮·二十八宿) disappeared from the icons. The trait of the belief of Tejaprabha Buddha had also changed to focus mainly on the wish of good auspices(消災吉祥), and there had been a change of the figures in the icons to be arranged with Tejaprabha Buddha as the central figure. The icon which was painted as the scene painting in a royal palace(殿閣) for worship depicting the assembly of Tejaprabha Buddha, especially, was a large scale as a worship picture. In addition, multifarious figures appeared in the icon, including a attendant Bodhisattva(脇侍菩 薩) who had not been in existence in the icons of the earlier periods. The form of icons on the descent from heaven(降臨形式) is surmised that it had been transmitted by being used in smaller scale works, such as the icon giving an explanation as a picture of Sutra(經變相圖). Moreover, it is noticed that the shape of the Saturn(土曜) which had appeared in the icons illustrating the assembly of Tejaprabha Buddha and the Holy Crowd(聖衆) that had been shown in that of Yuan·Ming(元·明) Dynasty also exist in the form of icons on the advent.

      • KCI등재
      • KCI등재

        羅末麗初 熾盛光如來 信仰과 圖像의 傳來

        정진희(Jung, Jin-hee)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5 한국고대사탐구 Vol.20 No.-

        치성광여래 신앙은 북극성을 부처로 나타낸 치성광여래와 더불어 밤하늘의 별에게 소재구복하는 신앙으로 8세기 말 9세기 초 중국에서 인도 점성신앙인 구요신앙의 영향으로 생성된 불교의 새로운 북극성 신앙이다. 이 신앙은 당대를 거쳐 송 · 원 · 명 · 청대로 그 전통이 계승되었고 국경을 넘어 한반도와 일본까지 전래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 치성광여래는 칠성도라고 알려진 불화의 주존으로 모셔진다. 한반도로 전래된 치성광여래 신앙과 도상은 『고려사』 작제건 기사에 나타난 늙은 여우로 둔갑한 치성광여래와 동주 발삽사 치성광여래와 전선소상 기사에서 그 흔적을 살펴 볼 수 있다. 치성광여래 신앙은 9세기 전반 중국에서 본명성 소재신앙으로 대중의 호응을 얻고 있었다. 따라서 당시 서해해상에서 활약하였던 장보고의 활약상과 중국과 한반도 간의 활발한 교류 등 시대적 정황을 염두에 두면 신앙의 전래 시기는 9세기 전반에서 중반을 넘지 않을 것이다. 신앙의 전래자로는 중국과 한반도를 오고 갔던 승려, 사신, 상인들이 추정되며 특히 『고려사』에 등장하는 작제건과 왕창건과 같은 해상에서 활동한 세력의 역할이 적지 않았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기사에 묘사된 ‘하늘에서 내려오는 치성광여래와 성신’, ‘치성광여래 앞에 서있는 전성’의 내용은 강림형식과 설법회 형식의 치성광여래 도상이 전래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전래 초기 치성광여래 신앙은 대중의 호응을 얻지 못하였지만 시대에 따라 변천하면서 한반도에서 영성로 모시던 북두칠성, 삼태성, 남두육성 등을 신앙의 대상으로 포함하는 토착화 과정을 통해 정착되어갔다. 전통 민간신앙이 불교에 습합되면 종속적인 형태로 변모하는 것이 일반적임에 반해 치성광여래 신앙으로 흡수된 북두칠성은 신앙의 중심을 바꿔 치성광여래 의식에서 북두칠성에게 의례를 드리고 <북두칠성공양문>을 읽는 것으로 신앙의 형태를 변모시켰다. 이는 한민족 성수신앙에서 북두칠성이 갖는 중요한 의미를 실감케 하는 부분으로 치성광여래도를 칠성도라 부르고 치성광여래를 모신 전각의 명칭까지 칠성각이라 하는 것도 같은 원인으로 고찰된다. 나말여초에 전래되어진 치성광여래신앙에 의해 우리민족의 영성들은 부처의 권속이 됨으로써 인간의 재난을 구제해 주는 불교의 호법신중으로 변모하였다. 특히 다라니를 염송하며 재앙을 소멸하고 복을 구하는 구체적인 신앙 방법은 도교의 성수신앙과 구별되는 불교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신앙을 통해 현실적인 어려움을 예방 극복하려는 일반인들의 성취가 불법 속에서 구체화 될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의 치성광여래 신앙과 도상 역시 중국과 일본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밤하늘의 영성들이 총망라된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특징이 확연한 것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 KCI등재
      • 한국불교의 칠성청(七星請) 의식

        김성순 ( Kim Sung-soon ) 세계불학원 2023 세계불학 Vol.- No.3

        본 논문은 한국의 도·불교섭적 성수신앙인 치성광여래신앙과 칠성신앙에 관한 기존의 선행연구를 발판으로 한국불교 의례집에 수록된 칠성청(七星請)의식, 그리고 근현대 칠성청 의식의 내용과 절차에까지 연구를 확장한 것이다. 2세기 중반 무렵에 인도의 구요(九曜)신앙이 불교와 함께 중국에 전래되면서 토착 도교의 북극성(北極星) 신앙과 결합한 결과물로 탄생한 중국의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신앙은 9세기 무렵에 한국에 전달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으로 전입된 치성광여래신앙은 민간의 성수신앙인 칠성신앙과 융합하면서 한국적 개성이 드러나는 칠성신앙으로 전개된다. 조선시대에는 도교의 성수들이 불교의 호법신중(護法神衆) 형태로 흡수되었으며, 여러 형태의 성수신앙이 북두칠성신앙 위주로 변화하게 된다. 조선시대 후기에 들어 민간의 전통적인 성수신앙의 중심이었던 칠성이 불교에 수용되면서 칠성신앙과 관련된 의식 역시 불교의례집에 수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현재도 한국불교 사찰에서 설행되고 있는 칠성청 의식을 보면 조선시대 중후기 의례집의 절차보다 훨씬 복잡하고 다양하게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의식설행의 목적이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현상을 절차에 반영했기 때문일 것으로 짐작된다. This paper expands on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astral beliefs of Tejaprabha Buddha faith and Big Dipper faith, which are fusions of Korean Taoism and Buddhism, in order to expand the study of the meaning and practices of the Chilseongcheong ritual (七星請, Big Dipper Ritual), which appears in texts documenting Korean Buddhist rituals, as well as modern Chilseongcheong rituals. Tejaprabha Buddha faith in China emerged as a result of the Navagraha faith of India being introduced to China alongside Buddhism in around the middle of the second century and its fusion with the Polaris faith of indigenous Taoism. Moreover, it is estimated that the Tejaprabha Buddha faith spread to Korea in approximately the ninth century. Once in Korea, the Tejaprabha Buddha faith developed into a uniquely Korean form of Chilseong (Big Dipper) faith by fusing with an indigenous form of Big Dipper faith. During the Joseon Dynasty, Taoist astral gods were incorporated as gods protecting Buddhism (護法神衆), and various forms of astral beliefs transformed in response to Big Dipper faith. In the late Joseon Dynasty, Chilseong (the Great Bear), which was the center of the traditional folk belief in constellations, was incorporated into Buddhism, and accordingly, rituals related to the Big Dipper faith also became part of Buddhist rituals. The Chilseongcheong, which is still practiced at Korean Buddhist temples, is much more complex and diverse than the practices of the mid-to-late Joseon Dynasty, presumably because the procedure reflected the continuous expansion of the ritual’s purpos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