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군‘위안부’ 구술·증언 관련 연구에 대한 고찰: 증언집, 사진집, 여성가족부 연구보고서를 중심으로

        이지영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2 일본공간 Vol.32 No.-

        본 글은 1991년 김학순의 공개 증언 이후 약 30년간에 이르는 일본군‘위안부’의 구술·증언 관련 연구에 대해 고찰하고, 피해자 구술·증언 연구의 궤적을 그려냄으 로써 어떠한 변화 과정을 거쳐 왔는지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한다. 분석 대상은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생산된 증언집과 사진집, 그리고 여성 가족부의 위안부피해자 구술·증언 관련 연구사업의 결과보고서이다. 분석 결과, 일본군‘위안부’ 구술 증언 관련 연구는 침묵을 깨고 말하기 시작한 피해자의 용기와 조사연구자들의 열정과 헌신에 의해 다음과 같은 성과를 거두어왔다. 첫째는 일본군‘위 안부’ 피해의 전체상뿐 아니라, 증언자들의 귀국 이후의 삶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둘째는 피해자들이 몰개성적이고 정형화된 피해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닌 개개의 개성을 지닌 주체로서 지역 주민들과 소통하며 사회인정을 획득하고 지역 사회와 관계맺음을 해나갔다는 것을 알게 했다. 셋째는 증언집 발간과 증언 자료의 디지털화를 통해 구술·증언의 1차 자료가 상당히 축적되었다. 기존의 증언집에서 사상되었던 증언자의 생애를 복원하고 열린 해석을 위해 기여할 귀중한 자료이다. 한편 과제도 남아있다. 첫째는 광복절, 3.1절, 기림의날 등을 기해 단발성 행사의 성과를 내기 위해 단기간에 무리하게 구술·증언 연구를 구상하고 추진해왔 다. 단발성 사업보다는 장기적으로 연구를 축적해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는 피해자상의 정형화와 물리력에 의한 강제연행의 주장이 미치는 영향의 견고함이다. 그것은 구술·증언에 대해 사료의 공백을 메우고 동원의 강제성을 입증하는 역사 사료 로서의 의미 부여가 강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견고함은 다양한 구술·증언 연구에는 제약이 될 수 있다. 이제 피해 구술·증언과 자료는 집대성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다. 구술·증언 연구의 심화를 위해 현재 비공개 처리되어있는 여성가 족부의 구술·증언 연구사업의 결과는 공개가 전제되어야 한다.

      • KCI등재

        외교·안보 분야 전직 고위관료를 대상으로 하는 구술 증언 채록의 경험

        조동준 한국구술사학회 2014 구술사연구 Vol.5 No.1

        이 글은 필자가 외교·안보 분야 전직 고위관료를 대상으로 구술 증언을 얻는 과정에 서 경험했던 몇 가지 특이점을 소개한다. 필자는 국제정치학자로서 1차 북핵위기 관련 한국의 정책결정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전직 관료를 대상으로 구술 증언을 얻는 작업을 시작하였다. 이후 필자는 1975년 在월남 한국교민철수 작전, 駐월남 한국공관원 수감 사 건, 북핵 2차 위기에 관여했던 고위 공직자를 면담하는 기회를 가졌다. 이 과정에서 필자 는 일반 독자보다는 전문 연구자를 위한 구술 자료를 채록했고, 구술 자료의 신뢰성을 높 이기 위한 작업을 꼼꼼하게 진행하지 못했으며, 구술자의 신뢰를 얻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고, 예산을 규모 있게 사용하지 못하는 실수를 범했다. 이런 실수는 필자의 개인적 한계일 수도 있지만, 외교·안보 분야에서 구술 증언이 가질 수 있는 특징을 반영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4.16구술증언 채록 과정 속의 윤리적 난제들

        김향수 한국구술사학회 2019 구술사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면담자로 4.16구술증언 채록하며 구술자와 만남 속에서 느낀 고민과 긴장들을 포착하여 연구자가 당면한 윤리적 문제들에 대한 성찰을 기술하고자 한다. 4.16구술증언은 4.16참사라는 역사적 사건에 대한 증언이면서 동시에 이해되지 않는죽음의 원인을 밝히려 “그 싸움”에 참여한 한 인간의 경험, 기억, 사유를 담는다. 4.16구술증언의 구술자들의 고통을 개인적인 것으로 병리화하는 것도 문제이지만 고통의 실재성을 간과해서도 안 된다. 이는 채록의 윤리적 난제들을 내포한다. 기획에 있어, ‘안전한’ 구술은 구술자에게 구술참여 여부와 구술 내용으로 불이익을 받지 않으며, 말하고 접근하기 안전한 공간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섭외와 동의에있어, 구술자의 판단과 마음을 존중하는 동시에 충분한 정보 제공과 강권 사이 경계를끊임없이 물어야 한다. 면담에 있어, 묻는 내용과 방식을 끊임없이 검토하며 적극적으로 듣고 세심하게 질문하여야 한다. 구술자의 기억지도를 그려 나가는 조력자이자 촉진자로서 면담자 역할과 구술자 보호라는 면담자 책무 사이 경계는 항상 도전받는다. 구술자와 면담자 관계와 라포는 면담자가 주도하고 설계하는 것이라기보다 쌍방향이며 다면적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연구 윤리는 하나의 도식으로 적용될 수 없기에, 나는 4.16구술증언의 면담자로구술자들을 만나며 윤리적 인식론적 탐구에 초대되었다. 피해자(고통을 겪는 사람)와권리를 가진 주체 사이 경계, 말해진 것과 침묵되어진 것 사이 경계, 말하고자 하는구술자의 욕망과 구술자 보호라는 연구자 윤리 사이 경계. 어쩌면 이 논문은 구술자의 말, 표정에 내재한 기억들을 드러내는 연구 도구(research tool)로서 연구자이자 면담자의 직능적 정체성에 대한 존재론적 질문일 수도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problems that had occurred throughout the course of 4.16 oral testimonies and to reflect on the ethical issu es w hich the i nterviewer c an b e faced with. This s tudy delves into multiple steps of oral research: securing the space for recording, encountering candidates, obtaining candidates’ consent, and interviewing through series of meticulous questions and attentive, active listening with regards to the responses. It also focuses on empathizing with their experiences and emotions. Finally, it analyzes and refl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viewees and interviewer.

      • KCI등재

        구술자료를 활용한 배우 연구 방법에 대한 시론(試論) -아르코예술기록원 소장 배우 김동원 구술채록문과 관련 구술증언의 해석을 중심으로

        백두산 한국연극학회 2021 한국연극학 Vol.1 No.79

        본고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기록원에서 생산한 연극배우 김동원의 구술채록문과 관련 구술증언 기록을 대상으로 한국의 근현대 배우 연구의 방법을 고찰하는 시론이다. 배우 구술채록문과 관련 구술증언은 자료부재의 빈틈을 메우고 배우의 생애를 중심으로 연기행위의 맥락, 공연상황, 배우 및 배우집단의 내면의식, 사회적 관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한 텍스트이다. 또한 해석의 과정에서 ‘자기이해’를 중심으로 생산된 에고다큐먼트이자 상황과 기억의 산물인 구술채록문으로서의 특성에 주의해야 한다. 같은 에고다큐먼트라 할지라도 편집을 통해 최종적으로 완성되는 자서전과는 달리 기억 및 면담상황에 관련되어 있는 구술채록문 안에는 해석이 필요한 모종의 ‘흔적’이 남게 된다. 2장에서는 김동원의 구술채록문과 자서전의 교차분석을 통해 영화체험의 양상이 세 종류의 에고다큐먼트에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사실관계가 동일한 에고다큐먼트라 하더라도, 기억을 회고하는 과정에서 진술 당시의 자기이해에 따라 서사의 양상이 바뀌기에 구술채록문은 구술맥락과 면담상황을 고려하며 여타 문헌과 교차검토를 통해 해석해야 하는 대상이다. 3장에서는 반복을 통한 강조, 구술의 패턴화 경향을 분석하였다. 반복과 패턴화된 서사는 배우 구술채록문에서 심급의 경험 및 연기론과 이어진 것으로, 김동원의 경우 목소리와 발성-내면연기 사이의 딜레마 상황과 연기변신의 맥락이 드러나 있다. 4장에서는 구술채록문의 모호한 답변과 구술증언 및 관련자료의 종합을 통한 상황의 재구성 방법을 시도하였다. 채록문에 나타난 ‘자기이해’는 개인이 속한 배우집단의 관점을 드러내는 자료로도 다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상황의 재구는 ‘자기서사’의 구조에 숨겨진 맥락을 해석하는 방식으로 적극 활용될 수 있다. 김동원 구술채록문에서는 김동원/극단 신협과 유치진/드라마센터의 갈등관계와 드라마센터 개관작 <햄릿>(1962)을 둘러싼 극단 신협의 연극계 변화에 대한 인식과 세대교체의 징후에 주목하였다. 배우 구술채록문은 사실관계에 대한 경험적 진술로서의 가치뿐 아니라, 그 자체가 의미를 해석적으로 규명해야 하는 배우 연구의 자료로 다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증언 자료를 활용한 부·마 항쟁 수업

        최신호 한국역사교육학회 2016 역사교육연구 Vol.- No.2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eaching methods using witness commentaries in teaching Pusan-Masan Democratic Uprising and to verify usefulness of using this material in the history class. At first, definition and categorization of witness commentaries were clarified and teaching elements which are applicable to the history class were suggested. Finally, the effectiveness of witness commentaries in the light of teaching material was attempted to be pro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m in the history class. Following evidences were used in the history class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including oral testimony, trial records, protocol of a suspect-examination, statement of appeal, interview with media. As for the learning elements, local historical background of Pusan-Masan Democratic uprising, subjects and characters of the movement, and inner state of demonstrators were set up. Witness commentaries as one of the historical material used to grasp the historical events tend to be subjective. In addition, because of the emotional elements within them, careful consideration needs to be given when analyzing thoughts and intention of the witness. In the consideration of this aspect, the application procedure of witness commentaries synthesizing the Quellenkritik and empathetic understanding of history was presented in this study. In the class conducted according to this procedure, the effectiveness of witness commentaries in teaching the Pusan-Masan Democratic uprising could be verified. This material seems to be useful in the respect of providing students with the circumstance of at that time vividly and specifically. The specific description by witnesses of atmosphere of the city of the time, the confrontation situation between demonstrators and police, the scene unreleased in the media, and arrest and torture experienced by some demonstrators helped students to feel as if they were in the historical moments of the time. The fact that the Pusan-Masan democratic uprising was democratic movements by people against 'Yushin regime' could be confirmed in this study. Although at that time the reports of the media and announcement of government said that the movement was riot provoked by impure elements, evidences that the Pusan-Masan democratic movement was a prodemocratic movement initiated by common people could be found in this study. This history class applying witness commentaries seems to enable students to recognize themselves as a historical being by identifying their feeling with that of witnesses and having empathy for the witnesses. This application seems to be effective to close the distance between the students and witnesses in that the students are the contemporaries of the witnesses. In addition, name of the place, dialects etc. helped students to feel familiarity and understand the perspectives of local people about the movement. Also, interviews of witnesses who showed affection toward the local communities seem to help students cultivate the local identity. In conclusion, it could be said that the history class of Pusan-Masan democratic uprising using witness commentaries excavated the modern history reflecting local specialty and helped to cultivate the local identities of students. This study could prove the possibilities of witness commentaries to be meaningful mode of teaching in achieving the objectives of history learning. 본고에서는 증언 자료를 활용한 부·마 항쟁 수업 방안을 모색하였다. 부·마 항쟁과 같이 자료가 부족하거나 왜곡된 역사적 사건을 다룰 경우 증언 자료가 어떤 유용함이 있는지 검토해보고자하였다. 역사적 증언의 개념과 범주를 설정하고, 부·마 항쟁 수업에서 학습할 수 있는 요소들이무엇인지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을 통해 증언 자료의 효과를 검증해보았다. 부·마 항쟁 수업에서는 참여자들의 구술증언, 재판상의 공판조서 및 피의자 조서, 항소이유서, 언론 인터뷰 등을 증언 자료로 활용하였다. 학습 요소로는 부·마 항쟁의 지방사적 배경, 부· 마 항쟁의 주체와 성격, 부·마 항쟁 참여자들의 내면’을 설정하였으며,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증언 자료는 역사적 사실을 파악하는 하나의 사료로 주관적인 경우가 많다. 또한 인간의 감정이 드러나며 구체적이고 생생한 목소리로 사건을 전달하기 때문에 행위자의 생각과 의도를 고려해야 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본고에서는 사료비판과 감정이입적 역사이해의 과정을 종합한증언 자료 활용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 절차에 따라 실연된 부·마 항쟁 수업에서 증언 자료의 유용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증언 자료는 부·마 항쟁 당시 상황을 학습자들에게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보여주었다. 부·마항쟁 당시의 마산의 분위기, 시위대와 경찰들의 대치 모습, 언론보도에 나타나지 않은 시위 장면, 참여자 일부가 겪은 체포와 고문 등의 증언은 학습자가 실제 사건의 현장에 있는 효과를 주었다. 증언 자료는 부·마 항쟁이 민중들에 의한 유신체제에 저항한 민주화 운동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당시의 언론보도와 정부 발표에는 부·마 항쟁을 불순분자들의 소요사태로간주하고 있었지만, 참여자들은 부·마 항쟁이 일반 시민들의 민주화 운동이었다고 증언하고 있었다. 증언 자료를 활용한 역사 수업에서는 학습자가 부·마 항쟁 증언자들의 감정을 자신의 감정으로 끌고 와서 역사적 존재로서의 자신을 발견할 수 있었다. 부·마 항쟁 참여자들이 우리 지역의인물이며, 현재 같은 시간과 공간에서 살아간다는 점이 학습자와 역사적 인물과의 거리를 좁히는데 효과적이었다. 부·마 항쟁 증언 자료에는 지방색이 드러나는 인물, 지명, 사투리 등이 드러나기 때문에 친숙함을 느낌과 동시에 지방민들의 시각을 접할 수 있다. 지역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고스란히 표현되는 내용에서 자연스럽게 지역정체성을 함양하는 기회를 만들 수 있었다. 증언 자료를 활용한 부·마 항쟁 수업은 지방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현대사를 발굴하게 하였고, 지역정체성 함양에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역사 학습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증언자료 활용이 유의미한 작업임을 인식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말하기의 정치와 듣기의 윤리: ‘4.16구술증언사업’의 진행 과정과 그 함의

        이현정 한국구술사학회 2019 구술사연구 Vol.10 No.1

        This paper aims to outline the 4.16 oral testimony project, which has been carried out by oral researchers from different disciplines for about three years and eight months from June 2015 to February 2019. It also discusses the project’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as an civic support activity for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in 2014. The paper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the 4.16 oral testimony project and describes the three-step progress of the project in detail. Then, it discusses the unique nature of the project and the problems it has faced so far. Ultimately, the 4.16 oral testimony project has been an attempt to support the victim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who wish to mourn the unexpected death of their children against the state which has rejected official mourning f or t hem. The p roject has als o been a p ractice of c ommunity mourning, not simply by recording an important modern historical event but by embracing their politics of speaking and practicing the ethics of listening. 이 논문은 세월호 참사 이후 유가족의 진상규명 운동에 대한 지지활동으로서2015년 6월부터 2019년 2월 현재까지 약 3년 8개월 동안 다양한 학문 분야의 구술연구자들이 진행해 온 ‘4.16구술증언사업’의 진행 과정을 개괄하고 그 특징과 의의를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문에서는 먼저 ‘4.16구술증언사업’을 시작하게 된 배경을 소개한 뒤, 2015년 6월부터 2019년 2월 현재까지 총 3차에 걸쳐 진행된 ‘4.16 구술증언사업’의 진행 과정을 시간적 흐름에 따라 서술한다. 또, ‘4.16구술증언사업’ 이 갖는 특수한 성격과 그로 인해 진행 중에 직면해야 했던 한계와 문제점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에서는 이 사업이 갖는 함의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해 본다. 결론적으로 저자는 ‘4.16구술증언사업’이 공식적인 애도를 억압하는 국가에 대항하여 투쟁하는 참사 피해자들에 대한 구술연구자들의 적극적인 지지의 표현이자, 중요한 현대사적 사건에 대한 기록화를 넘어 참사 피해자, 특히 단원고 희생 학생 유가족 부모의 ‘말하기의 정치’를 ‘듣기의 윤리’로 수용하고, 피해자와 일반 시민 간의 공감과 공동체적 애도를 실천하는 행위였음을 밝힌다.

      • KCI등재

        5.18 기억과 구술사 : 기억공동체에서 기록공동체로

        윤택림 한국구술사학회 2021 구술사연구 Vol.12 No.2

        구술사는 한국 사회에서 근현대사 관련 기억 투쟁의 중심에 서 있다. 1980년대 말 부터 억압된 개인들의 사적 기억들이 집합 기억을 형성하면서 군사정부의 공식적 기 억에 저항하는 대항 기억이 되었다. 이 대항 기억들 중 공공 기억이 되어 기억 투쟁을 통해 공식적 역사에 편입된 대표적인 것이 바로 5.18 기억이다. 이 글은 한국사회의 기억 투쟁의 흐름 속에서 5.18 기억을 자리매김하고 기억의 정치학의 특징들을 살펴 본다. 그리고 1990년대부터 구술 증언을 통하여 형성된 5.18 기억공동체가 특별법 제정을 통해 기념공동체가 되는 과정을 정리해본다. 또한 이 과정에서 대항기억에서 공식적 기억이 된 5.18 기억에서 드러난 기억의 제도화와 지역화의 문제점을 지적한 다. 그리고 구술 증언으로 시작된 5.18 기억공동체가 현재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는 구술 자료들을 목록화하고 구술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다양성과 다성성을 담보하는 기 록공동체로 거듭날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5.18 기억이 지역화에서 벗어나서 국 가폭력에 맞서는 기억공동체로서 다른 기억공동체들과의 연대를 도모할 것을 제안 한다. Oral history i n Korean society has been a t the center of the politics of memory concerning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e 5.18 memory is a main example of coun ter-memories that have been incorporated i n to the official history. 5.18 oral testimonies from personal recollections formed a collective memory which became a counter-memory against the military government’s official memory. This article seeks to situate 5.18 memory in the context of the flow of Korean society’s struggle of memory and illustrates the features of politics of memory. It also reconstructs the transitional process of the community of 5.18 memory to the commemorative community since the 1990s. While doing so, it deals with the problems and conflicts accompanied by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localization of 5.18 memory. It argues that the 5.18 community of commemoration should become a community of record by constructing the oral archives of 5.18. Oral testimonies of 5.18 community of memory have been scattered in several local institutes which need to be catalogued and serviced through the oral archives including various and multiple voices of the 5.18 participants. Lastly, it suggests that the 5.18 community of memory should overcome the problems of institutionalization and localization, and make an effort to consolidate other communities of memory against state violence, marching toward the memory solidarity.

      • KCI등재

        기지촌 여성의 자기서사와 반(反)역사―최현숙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장영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4 民族文化硏究 Vol.0 No.104

        이 글에서는 2000년대 이후에 한국에서 등장했던 기지촌 여성의 자기서사에 주목하며 증언의 정치적 수행성을 검토하는 한편 최현숙의 구술생애사 작업을 반(反)역사의 관점으로 독해하고자 한다. 2009년에 최현숙은 요양 방문사로 80대 중반의 할머니 김미숙(가명)을 만났다. 2010년 최현숙은 김미숙에게 구술생애사 작업을 제안했고, 2013년 초까지 두 사람은 구술생애사 채록 작업을 진행했다. 최현숙은 평양 출신인 김미숙이 해방 후 화신백화점 구경을 위해 서울로 왔다가 서울에 정착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구술 작업을 제안했지만, 채록 과정에서 화자가 미군을 대상으로 성매매를 한 기지촌 여성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구술생애사의 화자는 자기 삶을 직접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자기 정체성을 재구성하고 재해석한 반면에 기지촌 여성으로 사회적 낙인을 내면화하지 않을 수 있었던 자기 삶의 긍지와 종교적 신념을 적극적으로 표현했다. 구술생애사의 사회적 효용성을 대항의 역사를 살려내는 기능에 있음을 역설한 최현숙은 한국 사회에서 비가시적 존재로 취급되어온 타자들을 화자로 등장시키며 그들과 함께 가난과 고난에 대한 해석의 방식을 전복시키는 것을 구술생애사 작업의 목표로 삼았다. 최현숙은 김미숙의 생애를 미군을 상대로 성매매를 한 여성이 아니라 연고가 없는 남한 사회에서 홀로 아들을 목사로 키운 생활력 강한 어머니이자 성경을 윤리적 준거로 삼으며 자존감을 지키는 기독교인으로 복원시켰다. 한국 사회에서 자신의 존재를 드러낼 수 없었던 80대 중반의 화자가 자신을 편견 없이 대하며 적극적으로 이해하는 청자를 만나 자기 삶의 증언자가 되는 과정은 구술생애사의 정치적 수행성을 입증하는 사례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olitical performativity of testimony by focusing on the self-narratives of U.S. Camptown prostitutes that have emerged in South Korea since the 2000s, and reads Choi's oral life history work through the lens of counter-history. In 2009, Choi met Kim Mi-sook, an elderly woman in her mid-80s, as a care visitor. In 2010, Choi proposed to Kim that she conduct oral life histories, and by early 2013, the two were working on transcribing the oral histories. Choi proposed the oral life history project after hearing Kim's story of coming to Seoul from Pyongyang to work at Hwasin Department Store after the liberation of North Korea, but during the interview process, Choi realized that the speaker was a woman from a U.S. Camptown who made money selling sex to American soldiers. While the narrator of Choi's oral life history reconstructed and reinterpreted her identity by telling her life story, she also actively expressed her pride in her life and religious beliefs, which enabled her to avoid internalizing the social stigma of being a woman in a base village. Choi, who emphasized the social utility of oral life history in its ability to revive the history of opposition, aimed to subvert the way of interpreting poverty and hardship by bringing out other people who have been treated as invisible in Korean society as narrators, and practiced in the process of recording Kim's oral life history that the listener must first respect the narrator and reflect on what interpretation to share with the listener so that the narrator can interpret her life completely differently. Choi restored Kim's life not as a woman who sold sex to the U.S. military, but as a strong mother who raised her son to become a pastor on her own in an unconnected South Korean society, and as a self-respecting Christian who used the Bible as her ethical guide. The process by which a narrator in her mid-80s, who was unable to reveal her existence in Korean society, recreates herself as a witness to her own life by meeting an audience that treats her without prejudice and actively understands her, can be evaluated as an example of the political performance of oral life history.

      • KCI등재

        Memories of Migrant Labor in South Africa : Oral Life-History Testimonies from Msinga

        Park Jeong-Kyung(박정경) 한국아프리카학회 2010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3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노동이 남아프리카공화국 흑인의 삶에 미친 영향을 그들의 시각에서 논의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주노동 체계가 남아프리카공화국 사회에 확립된 이래, 남아공 흑인들 삶은 다양한 측면에서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를 직접 체험한 이들의 구술생애사 증언을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이주노동에 대해 무엇을 기억하고 있는지, 또한 그 경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에 대해 조명할 것이다. 최근 학계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역사적 주체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가까운 과거를 새로운 시각을 통해 조망하고자 시도하는 구술사 연구가 관심을 끌고 있다. 포스트구조주의 및 포스트모더니즘 패러다임 속에서 서구의 거대 담론이 해체되고 탈근대 · 탈식민에 기반을 둔 사상들이 출현하면서, 새로운 역사 쓰기의 중심이 민족과 국가, 사회라는 거시적 주체에서 지방과 개인이라는 미시적 주체로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과거에 소리 없는 주체로 주변화 되었던 사람들의 경험과 기억은 새로운 역사 쓰기를 위한 귀중한 자료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2010년 7월15일부터 8월13일까지 남아프리카 공화국 끄와줄루나탈(KwaZulu-Natal)주(州) 음싱가 (Msinga) 지역의 오툴리니 르웨줄루(Othulini LweZulu)와 끄와은짜말랄라(KwaNxamalala) 마을에서 실시된 현지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이 현지조사에서는 이주노동을 체험한 38명의 구술생애사 증언을 듣기 위한 인터뷰가 실시되었다. 인터뷰에 응한 음싱가 주민들은 도시로의 단독 이주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그들의 젊은 시절을 회상하면서 이주노동을 둘러싼 그들 삶의 다양한 경험을 피력했다. 본 연구는 음싱가 주민들의 구술생애사 증언을 통해 남아프리카공화국 흑인들의 삶에서 이주노동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 있다. 본문의 논의에서는 이주노동을 중심으로 경계 지워진 삶의 단계별로 음싱가 주민들의 자기 일생에 대한 증언을 고찰하고 있다. 본 연구의 초점은 1994년 민주화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는 이주노동 체계가 남아프리카공화국 흑인의 삶에 미친 영향을 음싱가 주민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South African black people's perceptions concerning the effect of labor migration on their lives. Since the migrant labor system was established in South Africa, they have gone through drastic changes in various facets of life. By analyzing the oral life-history testimonies of people who lives in Msinga, the study tries to illuminate what they remember about their labor migration and how they give meaning to the experience. Recently the study of oral history began to receive attention from academia with its new perspective to look into the immediate past. It stemmed from the diagnosis of the inadequacies of the established historical scholarship which alienates ordinary people from historical scenes.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the people who were marginalized as the voiceless became recognized as important data for the new history writing. During the field research which was conducted from July 15 to August 13, 2010 at Othulini LweZulu and KwaNxamalala villages, Keate's Drift, Msinga, Umzinyathi District, KwaZulu-Natal Province, South Africa, 38 people were interviewed. The majority of interviewees were old men, ranging from 54 to 93, who migrated into industrial areas for work and have returned to their home after retirement. The interviews were meant to recall interviewees' memories about important events of their lives, especially the experience of migrant labor. Therefore, their narrations can be taken as reminiscences of their lives. Making use of the oral life-history testimonies of Msinga people, this study attempts to look at how they come to terms with their experience of labor migration. They hold on to various memories to tell the story of their life of migration. In the discussion their testimonies in each stage of life, that can be demarcated by labor migration, are examined. The focus of the study relates to the effect labor migration has on the Msinga people and their lives.

      • KCI등재

        ‘10・19’의 애도 작업을 위한 시론 ― 구술 증언과 구술 생애담을 대상으로 ―

        박찬모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3 감성연구 Vol.- No.27

        From the perspective of mourning work, this paper examines the oral testimonies and oral life stories of the bereaved families that were the basis of the 10・19 reports to consider their significance and value. Mourning can be said to be a process of avoiding the black magic of melancholy caused by the loss of an object, overcoming the emotion of grief, and re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the lost object. As such, it requires mourning work as labor. Moreover, when the object of loss is an othered entity in public memory and national history built on a particular ideology, mourning is virtually impossible due to repression. In this respect, oral testimonies and oral life stories recorded since the late 1980s in relation to the 10・19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have pursued direct and indirect mourning for the 10・19 by identifying the victims of the 10・19 and capturing aspects of subjectivization that redefine the narrator's relationship with the dead as well as the meaning of death. In particular, the oral life stories opens up an ethical and political horizon for pondering the issue of the mourning subject's responsibility, and paradoxically, it reveals the impossibility of closure of the mourning work. 본고는 애도 작업이라는 관점에서 ‘10・19’ 관련 각종 보고서의 토대 자료가 된 구술 증언과 유족들의 구술 생애담을 검토하여 그것들의 의의와 가치를 고찰하고자 한 시론적 성격의 글이다. 애도는 대상 상실에서 비롯된 멜랑콜리의 검은 마술을 피해 슬픔의 정동을 극복한 후 상실한 대상과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기에 그것은 노동으로서의 애도 작업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상실 대상이 특정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구축된 공적 기억과 국사에서 타자화된 존재일 때 그에 대한 애도 작업은 금압으로 인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런 측면에서 10・19와 관련하여 1980년대 말부터 채록된 구술 증언과 구술 생애담은 10・19로 희생된 死者들의 신원을 확인하고, 구술자가 천착한 죽음의 의미뿐만 아니라 사자들과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주체화의 면면을 담아냄으로써 10・19에 대한 직・간접적인 애도 작업을 추동해왔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특히 구술 생애담이 애도 주체의 책임 문제에 대해 숙고할 수 있는 윤리적・정치적 지평을 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설적으로 그것이 애도 작업의 종결 불가능성을 언명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