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비문학’ 현지조사 연구의 윤리적 쟁점과 ‘상호주체적 만남’을 위한 모색

        김영희 ( Kim Young Hee ) 한국고전문학회 2020 古典文學硏究 Vol.58 No.-

        ‘구비문학’ 현지조사는 사라져갈 위기에 있는 ‘구비문학’ 자원을 발굴하여 보존하고, 연구하고자 하는 이들의 의지와 기획에 따라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발견 및 해석과 분석의 주체라는 능동적 위치에 연구자를 두고, 발견과 해석을 기다리는 대상이라는 수동적 위치에 구술자를 둠으로써, 구술자와 구술 행위를 대상화하고 타자화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대상화와 타자화를 강화한 것은 ‘구비문학’ 현지조사 연구를 둘러싼 ‘객관적 신화’의 관념들이었다. 조사 주체인 연구자가 연행 현장에 미치는 영향을 소거하고 조사자를 ‘현장’ 바깥의 존재로 규정함으로써, 조사자가 현장의 맥락 속에서 만들어내는 다양한 효과들을 은폐하고 절대화하는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 따라서 현지조사 연구를 구술자와 조사자가 서로를 대상화하거나 타자화하지 않는 ‘상호주체적 만남’으로 인식하고, 이 ‘만남’을 구술자와 조사자가 정체성을 수행하는 동시에 변화하는 과정으로 상상하는 연구 관점과 태도의 전환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현지조사 과정에서 조사자가 만들어내는 역동을 조사 및 분석 대상으로 관찰하고 기술하는 태도가 필요하며, 이와 같은 관찰과 서술 행위의 결과물을 현지조사 자료의 일부분으로 간주하여 ‘두텁게 기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일종의 ‘매개’ 층위로 규정할 때 ‘매개’ 층위를 두텁게 함으로써 현지조사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호주관적인 다양한 맥락들을 가시화하고, 이를 통해 조사의 과정 자체를 학술적 탐색과 논쟁의 대상으로 만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화를 위해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것은 현지조사 과정에서 구술자의 권리 존중에 관한 연구자의 윤리의식을 강화하는 것이다. 우선 인간 대상 연구 행위의 윤리에 관한 IRB 규정 등을 참고할 수 있지만 이를 준용하되 그보다 더 포괄적이고 적극적으로 구술자의 권리 존중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구술 동의의 방식과 과정, 동의서 양식 등을 점검하고 새롭게 구성하며, 구술 자료의 최종 결과물에 대한 편집권 공유 문제 등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구술자의 권리나 의지, 구술 동기를 단순히 방어 대상으로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구술자의 능동성을 연구 현장으로 적극 끌어들여 구술 연행에 대한 현지조사가 구술자와 조사자의 ‘만남’과 ‘협업’이 될 수 있는 길이 무엇인지 모색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criticizes the modes to otherize and objectify oral performance and performer revealed in the researches of the fieldworks of ‘Oral Literature’. Many researchers have considered themselves as discoverers and interpreters of oral stories, and the same times have considered performers as objects of discovering and interpreting, since the fieldworks of ‘Oral Literature’ had start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esearchers have been regarded as subjects, and the performers have been regarded as objects. The myth of objectivism has intensified the modes of otherization and objectification in the researches of the fieldworks of ‘Oral Literature’. So the researcher have to visualize their influences on oral performanc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oral performers and themselves, so as to overcome the modes of otherization and objectification. In this essay, the thinking and writing ‘thickly’ of the mediation of fieldwork is proposed to break up the myth of objectivism. The layers of the mediation of fieldwork include the researcher’s influences on oral performance in the fields. And the researches of the fieldworks of ‘Oral Literature’ have to reflect their modes and to think performers’ rights more carefully and broadly, so as to make the researches of the fieldworks of ‘Oral Literature’ into the acts of the intersubjectivity.

      • KCI등재

        구술 생애사 스토리텔링의 분절과 결합 구조

        장노현 대중서사학회 2010 대중서사연구 Vol.- No.23

        이 논문은 서사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된 개인 생애사 스토리텔링에 관한 것이다. 서사인터뷰란 조사자의 개입을 최대한 줄이고 구술자가 자신의 삶 전체를 이야기 형식으로 구술하는 것이다. 서사인터뷰의 구술자는, 잘 짜여진 질문지에 답변하는 구술자와는 달리, 자신의 삶에 대한 창의적인 이야기꾼이 된다. 이 논문은 지난 2007년부터 2009년 사이에 조사된 총 30건의 구술 생애사 스토리텔링 자료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서사 인터뷰를 통한 개인 생애사 스토리텔링은 삶을 재구성하는 행위이다. 이 작업은 일견 근대적 소설가의 창작 작업과 유사한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구술자와 소설가의 작업은 서사 구조의 측면에서 무시할 수 없는 차이를 보인다. 구술 생애사 텍스트는 서사적 분절의 원리에 따라 구술되고, 그 결과 크고 작은 분절된 텍스트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텍스트가 분절되는 지점에는 다양한 형태의 분절 표지들이 자리잡게 된다. 분절 표지는 시작 표지와 종결 표지가 있다. 그것은 쉽게 알아볼 수 있는 통사적 표지로 나타나기도 하고, 좀처럼 인식하기 어려운 내용적 표지로 나타나기도 한다. 분절 텍스트는 기본적으로 자립적인 자질을 갖는다. 하지만 그것은 상위체험의 관점에서 볼 때, 다시 결합되면서 좀 더 역동적인 이야기 구조를 만든다. 구술자들은 주제 귀속적 관점이나 소재 귀속적 관점에서 다양한 상위체험을 설정한다. 한 개인의 생애사 스토리텔링에서 상위체험은 보통 여러 개가 설정되며, 이런 상위체험들은 상호 대등한 수평적 구조를 갖거나, 중요도에 따른 계층적 구조를 형성하기도 한다. 개별적인 분절 텍스트들이 상위체험의 관점에서 결합될 때의 양상은 크게 4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시간적 순서에 따른 결합, 문제 제기와 해결에 따른 결합, 공간(관심대상)의 이동에 따른 결합, 연상의 기법에 따른 결합 등이 그것이다. 이런 결합 양상들은 구술자의 삶을 대하는 태도, 스토리텔링의 전략이나 능력 등에 따라 쓰임이 선택된다. 예컨대, 삶의 전개 과정을 주체의 의도에 따른 것이라고 생각하는 구술자는 문제제기와 해결의 방식을 선호하고, 변화가 적은 시대나 삶을 살았던 구술자는 공간(관심대상)의 이동 방식을 선호했다.

      • KCI등재

        `쥐(두더지) 혼인담`의 서사적 의미와 문학치료 활용

        김균태 ( Kim Kyun-ta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문학치료연구 Vol.26 No.-

        본고는 누적적 형식담인 `쥐(두더지) 혼인담`의 여러 각편들을 대상으로 구술자가 보여준 의미와 서사 구조를 분석해서 얻은 의미들을 고찰했다. 이를 위해서 이 설화의 원형담으로 판단되는 인도의 『판차탄트라』에 있는 <암쥐 이야기>를 비롯해서 중국의 『민간문학』에 소개된 <노서가녀> 그리고 한국의 문헌설화 『어우야담』에 수록된 <두더지의 혼인>과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수록된 다섯 각편들을 자료로 삼았다. 그리하여 인도의 설화 <암쥐 이야기>에서 구술자는 `내심은 바뀌지 않는 다는 것`을 말하였고, 중국의 설화 <노서가녀>에서 구술자는 쥐날 풍속 유래를 설명하였으며, 한국의 문헌설화 <두더지 혼인>에서 구술자는 국혼으로 인한 화가 두더지 혼인만 못하다며 분수 모르고 국혼으로 사치스러운 생활을 누리려는 자들을 풍자하였고, 구전설화 각편들의 구술자들은 두더지 자기보다 나은 구혼자를 찾다가 자기 무리로 회귀한 쥐(두더지)의 어리석음을 소화로서의 흥밋거리로 삼아 즐기고 있음을 알았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구전설화로 전하는 `쥐(두더지) 혼인담`의 공통 서사가 구술자들이 즐긴 것처럼 단순히 소화의 흥밋거리가 아니라는 것을 서사구조와 화소들의 속성을 통해서 분석했다. 쥐(두더지)는 자기 욕망에 사로잡혀 자신이 처한 세계를 부정하고 다른 세계로의 구혼 여행을 떠났다가 회귀한다. 이 서사 구조는 단순히 소화의 대상이 아니라 도리어 자기 세계에 대한 부정적 심리를 가진 사람들의 심리 치료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도 밝혔다. 따라서 쥐(두더지)의 욕망을 비판적이거나 풍자적으로만 볼 것이 아니다. 오히려 자기 세계에 대한 부정적 심리를 가진 사람들의 내면에 있는 욕망을 자극해서 쥐(두더지)처럼 정신적 여행을 떠나게 한다면, 이 설화는 문학치료의 훌륭한 서사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f meanings of story-teller`s to be shown and meanings of analyzing narrative structure about versions of a mouse(mole) marriage tale type to belong to a cumulative formula tales. For this purpose in this paper was used as materials < Story of a female mouse > in Panchatantra of India, < A mouse`s marriage tale > of China, < A mole`s marriage tale > of Eouyadam(於于野談) and 5 versions of < A mouse(mole)`s marriage tale > in Gubimunhakdakye(口碑文學大系) of Korea. The story teller of a India fable told one`s inmost heart never be changed in the fable, the story teller of a China folk tale explained the origin of the mouse day through the folk tale, the story teller of Eouyadam(於于野談) satirized for peoples to enjoy high living through the marriage with the Loyal family to compare unfavorably with a mole and the story tellers of the 5 versions of Gubimunhakdakye(口碑文學大系) thought as a laughingstock with the stories. But meanings of the common narrative of the 5 versions is not simple like that. In this paper the results to analysis the structure of the common narrative and the properties of likely bridegrooms` motifs in the folk tale were very interesting. The likely bridegrooms to meet through the long journey were originally impossible things to get marry with the mouse(mole). the mouse(mole)`s journey even though to be begun from her worldly desire, became a momentum to change her from negative attitude about the world belong to one`s self to affirmative attitude. Therefore in this case there is no need a desire regards as a denial. On the contrary a desire can be used to a literary therapy. If we can make a client psychological journey like a mouse(mole)`s journey for a spouse, this folk tale will be used as a material for a literary therapy.

      • KCI등재

        忠南 錦山地域 女性口述者의 이야기 現況과 世界觀

        김균태(Kim Kyuntae) 한국언어문학회 2007 한국언어문학 Vol.63 No.-

        I studi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tories and the world-views of the female story-tellers of Keumsan area. Even though male story-tellers had many issues about females, I thought to be reasonable that the world-view of the female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the stories of female-tellers. In this essa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ries were got a through going over the types of stories with the numbers narrated orally by females. The results were ordered as animal story, funny story, mysterious story, filial piety story, chastity story, trial story, virtue and destiny story. The animal stories are like fables to tell the various characters of humans. The funny stories are easy to remember and to have hearer"s considerations with laugh. Especially sexual funny stories were more narrated by females than males in this area. The others in the mysterious stories, goblin stories were familiar with storie-tellers. In the filial piety and chastity story main themes were stories about ethics of family. The trial stories were mainly experienced stories to lead a hard married life. And in the virtue and destiny stories were reflected life style and hope of females. The world-views of the female story-tellers were considered in priority cognition of reality and consciousness-oriented about the point of view of ethics, ghost, male and female. For this I discussed in centralizing with the hidden meanings than the story-teller"s personal history and narrating situation. In the ethics point of view, I examined about filial piety and chastity. And then they didn"t get over the traditional filial piety consciousness. But they criticized an untruth of chastity women to get rid of the traditional consciousness. In the ghost point of view, even though the ghosts had super-powers and to be things of horror, they thought to keep away them to be foolish aspect. In the point of male, they showed two faces. One is to understand as a unadaptable man their husbands through the stories of a foolish bridegroom and a little bridegroom. The others is to understand as a trouble-solving man through the stories of a salt-peddler and a Buddhist priest. In the female point of view, they understood as keeper of family and origin of fortune. And the others they also showed a negative cognition. So they criticized female"s brutal nature and selfish mind. With the end they understood the female as a being to wish going to the heaven.

      • KCI등재

        여순사건 경험담의 구술양상과 기억의 역사로서의 의미 - 전남 곡성군을 중심으로 -

        서해숙 ( Seo Hae-sug ) 남도민속학회 2020 남도민속연구 Vol.41 No.-

        본 연구는 역사적 시각에서 여순사건 무렵 곡성군 일대의 시대적 상황과 분위기를 살펴보고, 그 당시 곡성군에서 벌어진 상황을 기억하거나 경험했던 구술자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파악한 자료를 주제별로 살펴서 구술 속에 담긴 의미를 해석하였으며, 이에 드러난 구술집단의 인식과 기억의 역사로서 의미를 분석하였다. 1948년 10월 19일 여수 주둔 국방경비대 제14연대 소속 군인들의 반란으로 시작된 여순사건 당시 곡성군의 희생규모는 여순사건의 주된 전투 지역이었던 여수와 순천에 비하면 적은 숫자이고, 반란군 점령지역 가운데에서도 적은 숫자이다. 그러나 여순사건 이후 지리산으로 입산한 반란군이 인근 지역인 백아산, 백운산, 조계산 등으로 옮겨 다니면서 곡성군을 지나갔다. 이러한 과정에서 반란군을 추적한 진압군들은 마을을 지나갈 때마다 반란군에게 도움을 준 주민들을 부역자로 간주하고 사살, 폭행, 감금 등을 무차별적으로 자행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겪은 곡성군 구술자들이 들려준 여순사건 경험담은 저마다의 기억을 표출한 것이기에 다양할 수밖에 없으나, 크게 여순사건에 대한 구술과 기억은 ‘군경의 만행, 반란군의 약탈 그리고 그로 인해 민간인들이 겪은 고난과 죽음’에 대한 기억으로 점철되었다. 이 구술의 공통점은 모두가 구술자 주변에 일어난 일이고 생과 사의 갈림길에 고통 받은 심경이 사무치기에 시간이 흐른 현재에도 생생하게 구술하고 있다. 그들이 들려준 수많은 이야기는 모두가 그 당시 주민들이 겪은 위기, 고난, 슬픔, 죽음을 압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결국 이런 기억은 특정 개인의 기억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개개인이 모여 집단적으로 기억하고 재현되고 있으므로 ‘집단기억’으로 확장된다. 그리하여 그 기억은 더욱 견고해지면서 그들만의 정서와 인식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험담이 구술집단에게 ‘기억의 역사’로서 의미를 충분히 갖추고 있고, 공동체적 기억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experiences of the Yeosun incident in Gokseong-gun, this study examined the situation and atmosphere of the times in Gokseong-gun at the time of the ‘Yeosu-Suncheon Rebellion’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By examining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oral passage, the meaning of the oral group's recognition and memory was examined. At the time of the Yeosu-Suncheon Rebellion, which began on October 19, 1948 as a revolt by soldiers of the 14th Regiment of the National Defense Guard stationed in Yeosu, the size of the victims of Gokseong was smaller than that of Yeosu and Suncheon, which were the main battle areas of the Yeosu-Suncheon Rebellion, and even among the rebel-occupied areas. However, after the Yeosu-Suncheon Rebellion, the rebels who entered Jirisan, moved to nearby areas such as Baekasan, Baegunsan, and Jogyesan, passing Gokseong-gun. In this process, the rebels who followed the rebels regarded the residents who helped the rebels as assistant workers whenever they passed through the village, and committed killing, assault, and imprisonment indiscriminately. The dictations and memories of the Yeosu-Suncheon Rebellion told by the Gokseong-gun dictators who went through such a period of time were filled with memories of “the brutality of the military and police, the looting of the rebels, and the suffering and death suffered by the civilians.” The commonality of this dictation is that everyone has happened around the dictator, and even now, as time has elapsed due to the pain of suffering at the crossroads of life and death, it is being dictated vividly. The numerous stories they have told are all condensed expressions of the crisis, suffering, sorrow, and death experienced by the residents at that time. The dictations and memories of the Yeosu-Suncheon Rebellion told by the Gokseong-gun dictators who went through this era were marked by memories of “the brutality of the military and police, the looting of the rebels, and the suffering and death suffered by civilians. The commonality of this dictation is that everyone has happened around the dictator, and even now, as time has elapsed due to the pain of suffering at the crossroads of life and death, it is being dictated vividly. The numerous stories they have told are all condensed expressions of the crisis, suffering, sorrow, and death experienced by the residents at that time. Therefore, these experiences have sufficient meaning as a “memory history” for the oral group, and can be said to be the product of community memory.

      • KCI등재

        『한국전쟁 체험담 집성』에 비친 6⋅25전쟁 시기 주민의 삶에 관한 탐구: 사회복지 측면에서

        최옥채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23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한국전쟁 체험담 집성』을 통해 6⋅25전쟁을 겪은 주민의 삶이 어떠했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2012-13년에 10권으로 만들어진 『한국전쟁 체험담 집성』에서 6⋅25전쟁 당시구술자들의 체험과 관련된 개념을 이끌어내 분석하고, 이 결과를 해석하였다. 이 자료를 분석한 결과 6⋅25전쟁을 겪은 구술자의 경험은 1) 겪지 않으면 모를 비참한 생활, 2) 피난, 3) 여성이라서 겪은 특별한 경험, 4) 북한에서 피난한 사람의 경험, 5) 좌우충돌속의 혼란과 피해, 6) 개인의 처지에 따라 서로 다른 경험, 7) 마비된 정부 행정, 8) 휴전 후 생활 8개 주제로 드러났다. 여기에서 사회복지의 함의를 보여주는 1) 겪지 않으면 모를 비참한 생활, 3) 여성이라서 겪은 특별한 경험, 6) 개인의 처지에 따라 서로 다른 경험 3개 주제만을 범주화하는 개방코딩을 통해 당시 주민의 삶을 해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6⋅25전쟁을 체험한 1) 주민의 외상, 2) 여성의 고통, 3) 처지에 따른 서로 다른 경험을 논의하였다. 아울러 이 연구의 한계를 밝히고,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sidents’ life during the Korean War in the light of The Collection of Stories about the Korean War Experiences. The extracted concepts from narrator’s experience about the Korean War have been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open cording. The source material for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llection which had been composed of 10 volumes during the years of 2012 and 2013. The narrators’ experience about the Korean War is thematically bound as follows: 1) unknown miserable existence without suffering; 2) refuge; 3) women’s special experience; 4) refugee’s experience from North Korea; 5) chaos and harm within collision between the Right and the Left, 6) mutually different experiences by the individual situation; 7) paralyzed government; and 8) existence after armistice. Among the results, for the implications on social welfare 1) unknown miserable existence without suffering, 3) women’s special experience, and 6) mutually different experiences by the individual situation have been interpreted. Finally, the results are discussed with residents’ trauma, women’s torture, and mutually different experiences by the individual situation. Additionally, the limit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for following studies.

      • KCI등재후보

        중국 조선족 한 여성 구술자의 삶과 가족사를 통해 본 디아스포라 애환 -생애 내러티브(Life Narrative)를 중심으로-

        박경용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3 다문화와 평화 Vol.7 No.2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everyday lives of Korean diaspora through joys and sorrows of them. For this, I gave attention to the life and family history of a female Chinese-Korean in China. A diaspora itinerary of her three family generation contains all the migration history and joys and sorrows of Chinese-Korean in China(Joseon-jok). The previous generation emigrated to China on account of poverty, colonial coercion and private reasons etc., but could not returned to the homeland. Although A few of them came in their hometown to Korea by a relative invitation, they were suffered of a break of relation with a near relative for what reason an interest like her father`s case. Her all five brothers and sisters have been in Korea to labor after 1990`s, but having felt pain on account of family breakdown by divorce, death etc.. This article is worth to make allowance for understanding and policy-making about multi-culture and diaspora, seeing through joys and sorrows of Korean diaspora by giving attention to the life and family history of a female Chinese-Korean in China.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개인생애사를 통한 도시민속학의 접근 방법의 모색

        정형호(Chung Hyung-Ho) 실천민속학회 2007 실천민속학연구 Vol.9 No.-

        기존에 민속학은 전통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 농촌 지역을 주요 대상으로 삼았다. 농촌은 지역민들에게 전통이 균등하게 전승되고 있기 때문에, 제보자에 따른 편차가 크게 드러나지 않는다. 따라서 어느 누구를 조사 대상자로 선택해도 무방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전승 주체인 사람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도시에 오면 양상은 크게 달라진다. 공간의 급격한 변화, 생업의 다양화오 잦은 이동으로, 개인에 따른 민속의 편차가 심하게 드러난다. 도시의 급격한 팽창으로 본격적인 도시민속에 대한 조사는 시급한 시점에 와 있다. 그러나 쉽게 접근 가능한 단편적인 민속분야 이외에 체계적인 민속조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현재 도시는 민속의 심한 변화와 개인에 따라 민속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크다. 이런 점을 고려해서 이 논문에서는 서울 용산 지역에 연고가 있는 6인의 개인생애사를 통해 도시민속학의 접근 가능성을 모색했다. 도시민속학은 조사 대상자에 따라 내용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개인적 삶을 고려하지 않고는 조사의 의미가 없다. 따라서 개인적 경험과 기억을 면밀히 검토해야 하며, 주거 지역의 공간과 생업의 변화 양상도 고려해야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조사 대상자를 유형화시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런 점에서 도시민속은 개인생애사에 대하 조사가 병행되어야 그 실상이 제대로 파악될 수 있다. The existing folklore of Korea focuses on farm villages which have effectively handed down traditions. This is because they have has not changed quickly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ought no matter which any resident of the village we interview. Therefore, the existing folklore has had a tendency to ignore the people who are the center of the transmission. Korea is fast becoming urbanized, so a new study of the civil folklore is needed. However, it has not been studied properly. In contrast to the farm village, the folklore of any given town is changing every minute, and there is a great deal of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the folklore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in the farm. Considering this, this paper has tried to point out the possible approaches to civil folklore through the individual life stories of six people who are living in the Yongsan area. To understand the civil folklore, we have considered the space of the investigation area, the change of occupations, the subjects to be investigated, their individual experiences and their own memories. Consequently, civil folklore should be a compilation of individual life st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