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구약중심주제의 논쟁점과 신학적 주석관점으로서의 구속사

        신득일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2 고신신학 Vol.- No.4

        본고는 구약의 중심주제로서 구속사를 제시하고 이 주제가 신학적 주석관점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쓰였다. 구약본문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주제가 있는데 그 자체로 어느 정도는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어떠한 개념도 구약의 실체를 전체적으로 적절하게 파악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넓은 개념은 없다. 본고에서는 구속사가 전포괄적인 주제는 아니라 할 지라도 다른 주제에 비해서 구약의 더 많은 부분을 정당하게 밝힐 수 있는 개념으로 제시된다. 이 주제는 구약과 신약, 두 성경을 연결 시키고 이스라엘 종교생활과 신앙의 근거가 되며 구약의 성격을 설명하는데 독특한 성격을 지닌다. 또한 성경 자체가 제시하는 관점이기도 하다. 그래서 구속사가 구약을 주석하는 신학적 출발점으로 채택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지만 이 개념이 다른 주제에 대해서 배타적인 입장을 취하지는 않는다. 구속사는 하나님의 영원한 작정이 그리스도 안에서 통일성을 이루는 시공간 속에 실현되는 역사로서 구약뿐만 아니라 성경 전체의 중심주제가 된다. 그것은 이 개념을 적절하게 다루지 않고는 정당한 해석을 할 수 없다는 말이다. 이 중심주제는 또한 구약해석을 위한 유용한 신학적 접근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왜냐하면 성경이 본문 의미 파악을 위해서 구속사에 관심을 둘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is to suggest redemptive history as a center of the Old Testament and to evince that the theme can be employed as a perspective of theological exegesis. There are different theological themes, motifs and concept available for exposing the meaning of Old Testament text: covenant, kingdom of God, promise and fulfillment, redemptive history, the name Yahweh, God himself etc. Despite that they all bear their own worth as themes of the Old Testament to some extent, any concept is not broad enough to include adequately within its grasp the totality of the Old Testament reality. In this article, redemptive history, introduced as "Heilsgeschichte" in German, has preference to be adopted in this study to interpret the Old Testament. It may not be going to far to state that redemptive history plays such a significant part in the Old Testament that it is remarkably broad enough to, at times, be compared with other themes, even if it is not an all-inclusive center. This concept links the two Testaments together and is acted as a ground of religious life and faith of Israel. Redemptive history is also able to be used as a comprehensive concept relating to a varity of other themes such as covenant, kingdom of God, promise and fulfillment. The redemptive history theme has distinctive character opposed to making use of the Old Testament in other religions such as Judaism and Islam. In many respects, it may deserve to be adopted as a theological point of departure to interpret the Old Testament. The concept of redemptive history is a theological presupposition that is not set forth but is set up and anticipated by the Bible itself. The redemptive history which comprises the totality of history and forms unity in Christ and progressive realization of God's eternal councel in time is a central theme of the Scriptures. As a result, it appears impossible to properly interpret Old Testament texts without appropriat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redemprive history. The redemptive history can be placed as a useful methodology of theological approach to biblical interpretation because the Bible itself requires the bestowing of attention upon redemptive history, both in exegesis and in preaching. The inevitable consequence of not employing a biblical perspective in textual exposition is that the exegetes fail to function as servants of the Word. Instead they do the opposite, namely treating the Word as if it were their servant.

      • KCI등재후보

        조나단 에드워즈의 시대와 구속사 함의

        손성지 ( Shon Sung Jee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8 생명과 말씀 Vol.20 No.-

        본고의 목적은 조나단 에드워즈의‘구속사’라는 주제가 갖는 신학적 의미를 당시의 역사적 상황 속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뉴잉글랜드 대부흥운동의 영적지도자로서의 명성과 다른 유명 저작들에 비해 『구속사』는 주목을 덜 받는 편이었다. 하지만 에드워즈는 구속사 연속 설교를 통해 구속 사역이“하나님의 핵심 섭리 사역”으로서“하나님의 모든 사역 가운데 가장 중대한 사역”임을 강조하였다. 시대적 민감성을 지닌 에드워즈는 기독교의 본질에 위협적인 도전을 던지는 반기독교적인 흐름에 대항하고자 하였다. 유럽을 휩쓴 계몽주의 사조가 이미 뉴잉글랜드에도 유입되고 있었던 상황이었다. 에드워즈는 특히 아르미니우스주의와 이신론의 흐름에 대항하여 하나님의 역사적 섭리 가운데 전개되어 가는 구속 사역의 역사를 강조하며 그 체계를 발전시켜 나갔다. 이렇게 전개된 구속사 주제는 그 시대적 상황 속에서 몇 가지 중요한 신학적 함의를 지녔다. 첫째, 에드워즈에게 있어 구속사는 그의 신학적 여정 가운데 하나의“핵심 주제”였다는 점이다. 둘째, 구속사 주제는 에드워즈의 신학적 이정표로서 초기부터 쓴 『신학묵 상록』를 비롯한 주요 저술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구속사』는 원래“새로운 형식의 신학 체계”를 정립하고자 에드워즈가 오랫동안 기획했던 신학적, 역사적 작품이었다. 넷째, 에드워즈의 구속사는 이성의 빛으로 성경과 복음을 공격하는 시대의 흐름을 바꾸기 위한 소명이자 신학적 도전이었다. This study aims at clarifying the theological implication of Jonathan Edwards’ theme of ‘the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in consideration of his age.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is one of Edwards’ works that need a due attention. Edwards emphasized that the work of redemption was “God’s main work of providence, ”thus the greatest of His works. The Enlightenment, which had already swept Europe, penetrated New England at that time. Edwards taught the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against Arminianism and Deism. The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was Edwards’ vocation and challenge to change the current of his days that attacked the Bible and the Gospel with the weapon of human reason.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 De Civitate Dei(『하나님의 도성』)에 나타난 보편사와 구속사

        김종희 ( Jong-hee Kim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5 성경과신학 Vol.76 No.-

        본 고는 아우구스티누스의 De Civitate Dei (『하나님의 도성』)에서 보편사와 구속사를 분석했다. 천상의 도성과 지상의 도성이 공동체로서 살아가는 역사가 보편사라면, 하나님의 도성이 예정에 따라 구속되어가는 역사를 구속사라 할 수 있다. 구속사는 보편사를 통해 지속되는 하나의 선과 같은 역사로 보인다. 따라서 아우구스티누스의 보편사는 구속사의 자리를 허용하지 않는 판넨베르크의 보편사와 다르며, 그의 구속사 개념은 구속사 속으로 보편사를 흡수시키는 쿨만의 구속사와도 다르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전개한 두유형의 역사는 구별은 되지만 분리되지는 않는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기독교 역사교육의 내용을 제시하고, 보편사나 구속사에 편향된 연구자들에게 균형과 조화의 표준을 제공하며, 일반은총과 특별은총의 관계 연구를 증진하고 확장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This article explores universal and redemptive history by analyzing Augustine’s De Civitate Dei(the City of God). I argue that in the work of Augustine, universal history is the story of two cities, the heavenly city and earthly city, living together as one community, and redemptive history is the story of the heavenly city that is saved by election. Redemptive history does not take place alongside of universal history, but runs like a line through it. Therefore, Augustine’s universal history differs from that of Pannenberg, which does not allow a place for redemptive history. Moreover, his concept of redemptive history is not embraced by Cullman, who absorbs universal history into it. This paper provides scholars who treat this issue in biased ways, with the balanced content of Christian history. It also deepens the research of those wh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on and special grace, since the distinction between universal and redemptive history corresponds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rmer two concepts.

      • KCI등재

        신앙고백서의 구원론 - 구원의 서정을 중심으로

        이은선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0 No.-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WCF), many theologians debated over the imputation of Christ's active obedience in the justification. In the final statement, it is expressed in eclectic manner. This expression is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draw an agreement among the theologians with different opinions and to avoid excluding any of them. The themes of historia salutis and ordo salutis are interconnected and developed in a supplementary manner. These themes were already established by Calvin and well received by the westminster theologians. However, WCF does not include union with the Christ while the Larger Catechism expresses it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At least, the elements expressing union with the Christ are reflected in Chapter 10 and 11 of WCF. It is the same appearance with that regeneration is not treated independently but is handled within the effectual calling. Ordo salutis in WCF is arranged in a way that God's monergism covers effectual calling, justification, and adoption while sanctification, saving faith, and repentance can occur with the coexistance of human being's obedience and God-driven work. The deep interest in sanctification can be viewed as an attempt to overcome the threat of antinominianism. They tried to reveal God's glory through sanctification which is a fruit of good work, and tried to get over antinominianism. One of the most heated debate in this period was about imputation of the Christ's obedience with willingness. Scholars even differ in interpretation on whether this issue is fully included or not. This issue draws more attention among scholars nowadays because the scholars in New Perspective on Paul and Federal Vision camps denies the imputation of the Christ's obedience with willingness. Though WCF relaxed on the expression about the Christ's obedience with willingness considering the opponents' stance at that time, it is better to view that the expression is reflected with phrases like complete obedience and entire satisfaction.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칼 바르트와 토랜스(T. F. Torrance)에 의해 그리스도와의 연합이란 구속사를 반영하지 않는다고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나 웨스트민스터 대소요리문답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이란 구속사를 분명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신앙고백서는 구속사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있으나, 그리스도와의 연합이란 구속사의 내용이 유효한 소명과 칭의를 비롯한 여러 항목에 녹아들어가 있어 간접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그러므로 구속사와 구원의 서정이 대립적이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구원의 서정을 다루나 구속사를 반영하지 않는다는 그들의 주장은 근거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칭의와 성화의 동시성을 주장하는 칼빈과 달리 신앙고백서는 칭의와 성화의 논리적인 순서를 인정하고 있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구원의 서정은 신앙고백서 10장 -18항에 걸쳐 칼빈의 순서와도 다르고 개혁파가 일반적으로 인정하는 순서와도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10항은 유효한 소명 11항은 칭의, 12항은 양자, 13항은 성화, 14항은 구원 얻는 믿음 15항은 생명 얻는 회개 16항은 선행, 17항은 성도의 견인 18항은 구원의 확신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의 원칙은 10-12항은 하나님께서 단독적으로 역사하는 것들이고, 나머지는 하나님께서 주권적으로 역사하실 때 인간의 순종의 요소가 들어가 있는 것들이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구원론은 성공회의 39개 신조의 칭의를 개정하는 과정에서 “온전한 순종과 만족”이란 표현이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과 수동적 순종을 나타내는 의미로 제시되었다. 많은 찬반논란을 거친 후에 최종본에는 “온전한”이란 용어가 삭제되었다. 그래서 능동적 순종이 빠진 것으로 해석되나, 고백서 8장 5절에 그리스도의 “완전한(perfect) 순종과 희생”을 비롯한 여러 표현들이 능동적 순종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신앙고백서가 반대파들의 의견을 고려하여 간접적으로 표현하였지만, 능동적 순종의 전가를 포함하고 있다.

      • KCI등재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구원론: 구원의 서정을 중심으로

        이은선 ( Eun Seon Lee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0 No.-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칼 바르트와 토랜스(T. F. Torrance)에 의해 그리스도와의 연합이란 구속사를 반영하지 않는다고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나 웨스트민스터 대소요리문답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이란 구속사를 분명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신앙고백서는 구속사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있으나, 그리스도와의 연합이란 구속사의 내용이 유효한 소명과 칭의를 비롯한 여러 항목에 녹아들어가 있어 간접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그러므로 구속사와 구원의 서정이 대립적이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구원의 서정을 다루나 구속사를 반영하지 않는다는 그들의 주장은 근거가없는 것이다. 그리고 칭의와 성화의 동시성을 주장하는 칼빈과 달리 신앙고백서는 칭의와 성화의 논리적인 순서를 인정하고 있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구원의 서정은 신앙고백서 10장 -18항에 걸쳐칼빈의 순서와도 다르고 개혁파가 일반적으로 인정하는 순서와도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10항은 유효한 소명 11항은 칭의, 12항은 양자, 13항은 성화, 14항은 구원 얻는 믿음 15항은 생명 얻는 회개 16항은 선행, 17항은 성도의견인 18항은 구원의 확신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의 원칙은 10-12항은 하나님께서 단독적으로 역사하는 것들이고, 나머지는 하나님께서 주권적으로 역사하실 때 인간의 순종의 요소가 들어가 있는 것들이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구원론은 성공회의 39개 신조의 칭의를 개정하는 과정에서 “온전한 순종과 만족”이란 표현이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과 수동적 순종을 나타내는 의미로 제시되었다. 많은 찬반논란을 거친후에 최종본에는 “온전한”이란 용어가 삭제되었다. 그래서 능동적 순종이 빠진 것으로 해석되나, 고백서 8장 5절에 그리스도의 “완전한(perfect) 순종과 희생”을 비롯한 여러 표현들이 능동적 순종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신앙고백서가 반대파들의 의견을 고려하여 간접적으로 표현하였지만, 능동적 순종의 전가를 포함하고 있다.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WCF), many theologians debated over the imputation of Christ`s active obedience in the justification. In the final statement, it is expressed in eclectic manner. This expression is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draw an agreement among the theologians with different opinions and to avoid excluding any of them. The themes of historia salutis and ordo salutis are interconnected and developed in a supplementary manner. These themes were already established by Calvin and well received by the westminster theologians. However, WCF does not include union with the Christ while the Larger Catechism expresses it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At least, the elements expressing union with the Christ are reflected in Chapter 10 and 11 of WCF. It is the same appearance with that regeneration is not treated independently but is handled within the effectual calling. Ordo salutis in WCF is arranged in a way that God`s monergism covers effectual calling, justification, and adoption while sanctification, saving faith, and repentance can occur with the coexistance of human being`s obedience and God-driven work. The deep interest in sanctification can be viewed as an attempt to overcome the threat of antinominianism. They tried to reveal God`s glory through sanctification which is a fruit of good work, and tried to get over antinominianism. One of the most heated debate in this period was about imputation of the Christ`s obedience with willingness. Scholars even differ in interpretation on whether this issue is fully included or not. This issue draws more attention among scholars nowadays because the scholars in New Perspective on Paul and Federal Vision camps denies the imputation of the Christ`s obedience with willingness. Though WCF relaxed on the expression about the Christ`s obedience with willingness considering the opponents` stance at that time, it is better to view that the expression is reflected with phrases like complete obedience and entire satisfaction.

      • KCI등재

        구속사를 통한 성경적인 용서의 발전과 그 용서 개념의 통합적인 이해

        송경아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9 복음과 실천신학 Vol.5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경적 용서를 구속사적 관점에서 통시적으로 봄 으로써, 성경적 용서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에 도달하는 것이다. 구속사 적 관점으로 시선을 옮길 때, 죄, 율법, 언약 같은 성경 계시가 창조-타 락-구속-완성이라는 거대한 이야기 속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기 적으로 조금씩 발전되었음을 보게 된다. 유기적 발전이라 함은 초기 형 태와 마지막 형태가 서로 다른 모양이라 할지라도 본질적으로 완전히 동일한 성격의 계시라는 것과, 초기 형태가 비록 원시적이라 할지라도 구속사의 그 해당 발전단계에 적합한 완전한 계시라는 것, 그리고 최종 적 형태의 계시는 그 이전단계의 모든 형태를 내포하는 계시라는 것을 함축하고 있다. 정경은 구속사적 관점에서의 용서의 계시 또한 다양한 상황 속에서 점진적으로 발전되었다는 것과, 그 정경의 발전과 함께 정 경을 받은 하나님의 백성에게 요구되는 용서의 의무 또한 확장되었음 을 보여주고 있다. 성경은 용서에 대한 계시가 신적 용서에서 인간용서 로, 조건적 용서에서 무조건적 용서로, 공의 중심에서 사랑 중심으로, 가해자의 회개의 책임에서 피해자의 용서의 책임으로 이전 것을 토대로 점차 발전되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성경적인 용서가 이전 단계의 계시를 자양분 삼아 발전해 왔기 때문에, 성경적 용서의 개념을 어떤 한 단계에만 고착하거나 환원하는 대신, 용서의 완전한 구현 되시는 예 수님을 통한 최종계시를 중심으로 이전단계의 용서 개념을 포괄하여 통합적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uch a comprehensive model of biblical forgiveness by diachronically inspecting the concept through a redemptive-historical lens. Viewing the topic from a synchronic perspective, rather than a diachronic will show that the revelation of sin, covenant, redemption and law have been organically and progressively developed through biblical history in the context of the meta-narrative of creation, fall, redemption, and consummation. A redemptive-historical view reveals diverse forms of forgiveness according to different contexts; divine forgiveness which refers to God’s forgiveness of sinners and human forgiveness which refers to a human victim’s forgiveness of a perpetrator. The argument of this paper is that the revelation of forgiveness in the Bible has developed through redemptive history with shifts in emphasis (1) from divine to human forgiveness, (2) from a conditional to unconditional offer of forgiveness, (3) from justicefocused to love-focused forgiveness, and (4) from the offender’s responsibility to repent to the victim’s willingness to forgive, until divine forgiveness is finally revealed through Jesus Christ (Rom 5:8-11). Because biblical forgiveness - both divine and human - is built upon the revelation of each prior stage, its development should not be overlooked or reduced to the form of only one of the stages.

      • KCI등재후보

        기독교 역사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김종희 ( Jong Hee Kim ) 개혁신학회 2013 개혁논총 Vol.28 No.-

        본고는‘기독교 역사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했다. 이를 위해 우선 기독교 역사교육의 성격을 규정할 수 있는 역사관을 어거스틴의 『하나님의 도성』을 통해 분석하고, 그 내용으로 구속사와 일반사를 논의하였다. 교육 방법으로는 포스트모더니즘과 맥을 같이하는 내러티브가 기독교 역사교육에 적합한지 모색하였다. 어거스틴은 직선사관, 섭리사관, 종말사관으로 성경에 뿌리를 둔 기독교 역사관을 확립하였다. 어거스틴의 역사관은 기독교적 역사교육에서 마땅히 적용되어야 할 기독교 역사관이다. 이 역사관은 구속사와 일반사라는 두 가지 유형의 역사와 연관된다. 일반사와 구속사 모두 기독교적 역사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 두 유형의 역사는 모두 기독교 역사관으로 가르치는 역사교육의 내용이 될 필요가 있다. 포스트모던 시대에 역사교육의 실제적인 상황에서 요구되는 효과적인 방법은 역사 내러티브에서 찾을 수 있다. 역사 내러티브는 과학성을 배제한 문학 내러티브와 구별되는 것으로서, 과학적이고 규범적으로 설명하는 모던 시대의 방법과 포스트모던 시대에 부활한 문학 내러티브가 상호 보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요컨대, 기독교 역사관으로 구속사와 일반사를 역사 내러티브 방법으로 교육할 때, 우리는 그것을 기독교 역사교육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How can we teach history in a Christian way?`` It analyzed the Christian viewpoint of history in Augustine`s The City of God and found the contents and the method of the teaching history in a Christian way. There is the Christian viewpoint of history which is deeply rooted in the Scriptures in Augustine`s The City of God. We can find his argument that history is moving linearly, God provides all the history, and history will end at the last time. Augustine`s Christian viewpoint of history deserves to be applied to teaching history in a Christian way. This viewpoint of history is related to salvation history and general history. Both salvation history and general history need to be the contents of teaching history in a Christian way. History narrative may be effective method to it in the post-modern era. In short, in order to teach history in a Christian way, we need to teach salvation history and general history with the Christian viewpoint of history in history narrative style.

      • KCI등재

        종말론적 되갚음의 구속사적 의미와 누가의 백부장의 믿음 해석

        김성종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22 Canon&Culture Vol.16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콘첼만의 누가의 신학을 비평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누가가 설정한 구속사의 연속성을 유대-그리스도교 전통에서 설명하는 것이 다. 다수의 학자가 누가의 구속사적 구도를 위해서 콘첼만의 3시대구분을 2시대구분으로 대체해야 함을 제안했지만, 구속사의 연속성 문제는 여전히 미해결로 남아 있다. 이 논문은 종말론적 ‘보복/되갚음’의 구속사적 의미가 그공백을메울수있다고제안한다. 그래서성취와묵시사이의단절이 구속사의 불연속성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불연속성의 문제가 ‘구속 없는 구속사’를 통해서 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새롭게 제안되는 종말론적 구속의 개념은 이 세대의 구속에 대한 비판적 식견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누가복음 7장 백부장의 믿음이 반영된 6b절이 새롭게 해석될 수 있다. 백부장이 예수의 선포를 받아들이는 이야기를 통해서 드러나는 누가의 구속사적 의도는 고대 지중해 세계에서 초기 그리스도교의 이방 선교의 비전 을 제시하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구속사에서 갈릴리의 위치

        이동수 ( Lee Dong Su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8 생명과 말씀 Vol.20 No.-

        이 글은‘구속사에서 갈릴리의 위치’에 대한 의미를 찾기 위한 것이다. 구약 예언의‘약속’과‘성취’의 땅인 갈릴리는 옛 언약과 새 언약의 과도기에 중요한 구속사적 위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갈릴리가 옛 언약 백성인‘이스라엘’과 새 언약 백성인‘교회’사이의 교량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은 정체된 것이 아니다. 옛 언약에서 구속사의 진전에 따라서 하나님께서는 아담의 후손 중에 셋을, 셋의 자손 중에 노아를, 노아의 자녀들 가운데 셈의 후손들을 택하셨다. 그 셈의 후손 중에 아브람을 부르셨다. 아브라함의 자손들 중에 이삭과 야곱을 거쳐 이스라엘을 부르셨다. 하나님께서는 야곱의 열두 아들로 이스라엘 나라를 세우신다. 남북으로 나누어진 이스라엘 중에 남왕국 유다를 선택하신다. 그래서 예수께서 이 땅에 오셨을 때는 유대인의 세상이었다. 북쪽에 위치한 갈릴리는 멸시의 상징이었다. 그러나 새 언약이 시작될 무렵, 갈릴리가 주목을 받는다. 이‘멸시의 갈릴리’는 옛 언약에서 새 언약으로 전환기에 표적과 영광이 나타나는 성취의 땅이 된 것이다. 새 언약에서 예루살렘의 유대인들이 복음을 거부하는 것과 비교 되면서, 갈릴리에서 복음이 전파되기 시작되고 제자들이 부름을 받는다. 이제‘갈릴리 사람’은 예수님의 제자들의 별명처럼 사용 된다. 그들은‘예수당’이었고,‘부활의 증인’이었다. 그러나‘갈 릴리 사람들’은 곧 역사 저편으로 사라진다. 갈릴리는 작은 교회로 남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속사에서 갈릴리의 위치에 대한 연구가 주는 교훈은 자명하다. 어제의 언약백성이 언제나 언약백성으로 남아 있을 수는 없다는 것이다. 비록 오늘날 한국교회가 기적적인 성장과 축복을 경험하고, 세계선교에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지만, 이것이 영원할 수는 없다. 우리는 로마서 11장의 바울의 경고를 마음에 두어야 할 것이다. 하나님께서 불신앙 때문에 원 가지인 이스라엘을 꺾으셨다. 그러므로 접붙여진 가지인 이방 신자들은 높은 마음을 품지 말고 도리어 두려워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이 원가지들도 아끼지 아니하셨으니, 우리도 아끼지 아니하실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커다란 구속사적 진전 가운데 한국교회가 감사해야 할 동시에 두려워해야 할 이유인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find a meaning of the Galilee in redemptive history. Galilee has a important position between old covenant and new. Because it acts as a bridge in the transition period. God’s plan for the salvation of mankind is not stagnant. In the covenant process, there coincides both selection and abandonment. Under the old covenant, God choose not Cain but Abel and Seth instead of him. God choose Shem from among the three sons of Noah. God choose Abram from the many descendants of Shem. Among the offspring of Abraham, God choose not Ishmael but Isaac and the sons of Isaac, Jacob. God choose the 12 sons of Jacob, as the tribes of Israel. When Israel became divided into a north part that retained the name of Israel and a south part called Judah, he chose Judah and forsook Israel for a time. So When Jesus come to earth, he came into a Jewish world. Though they were the same Jews, the people of Galilee were despised by the southern Jews because of their assimilation with gentiles. Galilee of the Gentiles had become a symbol of contempt. But God’s choice has not always been the older brother but the younger. He chooses the humble but not the prideful. As an old covenant people, Israel was abandoned in the new covenant. At this turning point,‘Galilee of the Gentiles’or“Galilee of contempt”was a proper role of the bridge. The process of salvation history is revealed to progress through Israel, then through the Jews, and then through Galilee to the Gentiles. Meanwhile, when Galilee became the church of God, the Jews - God’s people of old - became apostate in a similar way that Cain persecuted Abel. The former members in the history of salvation persecuting the latter more recent members in the history of salvation. However we, as gentiles, should keep in mind St. Paul's warning to the members of the new covenant in Romans chapter 11. If God cut off the branches of Israel because of their unbelief(verse 20), then we must be humble and afraid.“For if God did not spare the natural branches, neither will he spare you(verse 21).”

      • KCI등재

        성스러운 역사와 구속사: 엘리아데의 유대-기독교 서사 해석

        임형권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8 문학과종교 Vol.23 No.2

        엘리아데의 종교 현상학에서 성스러움은 초역사적 개념이지만 역사와 전혀 무관하지 않다. 왜냐하면 성스러움은 여러 역사적 조건에 의해서 제약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엘리아데에 따르면 성스러움은 역사적 조건을 뛰어넘는 종교 현상의 핵심적 상수이다. 따라서 엘리아데의 종교 연구의 목표는 여러 종교 현상들에서 성스러움이 드러나는 일반적인 패턴을 찾아내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필자 의 관심은 엘리아데의 성스러움의 변증법이 그의 유대-기독교 서사를 해석하는 데서 어떻게 해석학적 원리로 작동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엘리아데는 유대- 기독교 서사가 순환론적 역사 이해를 극복하고 직선적 역사 이해를 제시하고 있다고 평가함과 동시에 그 역사 자체가 창세기 1-11장의 성스러운 역사를 여러 상징을 매개로 반복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또한 그는 성스러운 역사의 전개는 성스러움의 변증법에 지배를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그는 유대- 기독교 전통의 한 특징적 요소인 믿음이라는 범주가 유대교와 기독교 역사의 형성에서 추동력이었음에도 주목하고 있다. For Eliade, the sacred manifests itself only in history. However, the sacred is viewed as independent of historical conditions. Therefore, the goal of Eliade’s study of religion is to illustrate the general patterns of the sacred across various religious phenomena. This paper focuses on showing how Eliade’s dialectic of the sacred serves as a hermeneutical framework with which to understand religious phenomena,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Judo-Christian tradition. While estimating that the Judeo-Christian narrative offers a linear view of history overcoming cyclical view of history, Eliade holds that Judeo-Christian salvation history repeats the sacred history of Genesis 1-11 through the mediation of various religious symbols. Moreover salvation history has, in his view, developed as described in his central thesis of the dialectic of the sacred. However, he also notes that faith, which constitutes a peculiar element of the Judeo-Christian tradition, serves as the driving force for the formation of Jewish and Christian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