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체위해 저감방안 마련을 위한 미세먼지 구성성분별 건강영향 연구

        배현주,이승민,정다운,오규림,김시진,이종태 한국환경연구원 2019 수시연구보고서 Vol.2019 No.-

        Ⅰ. 연구 배경 및 목적 □ 연구 배경 및 필요성 ㅇ 우리나라는 1990년대 중반 이후 급격한 경제발전과 산업화, 그리고 도시화로 인한 인위적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이 증가함 - 대기질을 개선하고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부담을 경감시키고자 국가적인 차원에서 다양한 환경정책들을 시행 ㅇ 미세먼지(PM2.5)는 입자의 크기 2.5㎛ 이하로 매우 작아 폐포까지 깊숙이 침투하여 인체 위해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ㅇ 미세먼지(PM<sub>2.5</sub>)의 발생원과 구성성분에 따라 건강위해성에 차이가 있으므로, 인체 위해 측면의 관리를 위해서는 미세먼지(PM<sub>2.5</sub>)의 구성성분에 따른 건강영향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필요 □ 연구목적 ㅇ 미세먼지(PM<sub>2.5</sub>) 구성성분의 특성을 파악하고, 미세먼지(PM<sub>2.5</sub>) 구성성분에 따른 건강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 ㅇ 미세먼지(PM<sub>2.5</sub>) 구성성분에 따른 건강영향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인체 위해성이 높은 미세먼지(PM<sub>2.5</sub>) 구성성분에 대한 우선적 관리정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미세먼지 (PM<sub>2.5</sub>) 질적 관리정책 방안 제안 Ⅱ. 미세먼지의 구성성분 및 건강영향 사례연구 □ 미세먼지(PM<sub>2.5</sub>)는 50개 이상의 화학적 성분의 복합 혼합물로, 발생원에 따라 미세먼지(PM2.5) 구성성분의 차이 ㅇ 탄소성분(EC, OC), 금속성분(Al, Ba, Be, Ca<sup>2+</sup>, Cd, Cr, Cu, Fe, Mg<sup>2+</sup> 등), 이온성분(NO<sub>3</sub><sup>-</sup>, SO<sub>4</sub><sup>2-</sup>, NH<sup>+</sup>, Cl<sup>-</sup>, Br<sup>-</sup>, Na<sup>+</sup>, K<sup>+</sup>, Ca<sup>2+</sup>, Mg<sup>2+</sup>) 등 다양한 물질들로 구성 ㅇ 국내 미세먼지(PM<sub>2.5</sub>)의 주요성분은 질산염, 황산염, 암모늄, 유기탄소, 원소탄소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 각 주요성분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상이 - 서울, 인천과 광주의 경우 유기탄소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대전, 부산, 청주 등의 도시에서는 황산염의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남 - 미세먼지(PM<sub>2.5</sub>) 발생 기여도 분석에 있어 상이한 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오염원의 분포는 계절이나 기상현상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남 □ 미국과 유럽의 미세먼지(PM<sub>2.5</sub>) 구성성분의 건강영향 연구 사례 분석 ㅇ 미국 건강영향연구소(HEI: Health Effects Institute)는 미세먼지 구성성분에 의한 건강영향에 대한 통합적 역학 및 독성 연구 등 4개의 연구로 구성 - 시계열 분석 결과 미세먼지(PM<sub>2.5</sub>)와 가스상 오염 물질의 성분은 미세먼지(PM<sub>2.5</sub>) 질량 농도와 같이 건강영향에 밀접한 연관성을 보임 ㅇ 미국 국가대기환경기준의 통합과학평가(ISA: Integrated Science Assessment)는 미세먼지(PM<sub>2.5</sub>) 구성 성분과 사망률 관계에 대한 검토에서 미세먼지(PM<sub>2.5</sub>) 질량과 비교하여 미세먼지(PM<sub>2.5</sub>) 구성성분 농도와 비율에 의한 사망률과 관련성 확인 ㅇ 유럽 MED-PARTICLES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유럽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지중해 연안 국가 14개 도시의 미세먼지 구성성분의 특성을 파악 □ 미세먼지(PM<sub>2.5</sub>) 구성성분의 단기노출에 의한 건강영향 연구 ㅇ 미세먼지(PM<sub>2.5</sub>) 구성성분의 위험도는 지역이나 사망원인, 질병원인, 계절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보고 Ⅲ. 미세먼지 구성성분의 특성분석 □ 서울시 미세먼지(PM<sub>2.5</sub>) 농도 특성 파악 ㅇ 2015~2017년 서울시 미세먼지(PM<sub>2.5</sub>)의 연평균 농도 값은 2016년에 26.29㎍/㎥로 가장 높았음 ㅇ 서울시 북동지역의 미세먼지(PM<sub>2.5</sub>) 농도분포가 다른 지역보다 낮은 패턴을 보였으며 남서지역의 미세먼지(PM<sub>2.5</sub>) 농도가 다른 지역보다 높은 패턴을 보임 □ 2015년과 2016년의 배출원별 전국과 서울시의 미세먼지(PM<sub>2.5</sub>) 배출특성 파악 ㅇ 전국 미세먼지(PM<sub>2.5</sub>) 총배출량은 2015년 98,806톤에서 2016년 100,247톤으로 증가한 반면 서울시의 경우 2015년(2,580톤)보다 2016년(2,524톤) 미세먼지(PM<sub>2.5</sub>) 배출량이 다소 감소 □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서울시 미세먼지(PM2.5) 구성성분(탄소성분(OC, EC), 수용성 이온성분(NO<sub>3</sub><sup>-</sup>, SO<sub>4</sub><sup>2-</sup>, NH<sub>4</sub><sup>+</sup>), 금속이온성분(Ca<sup>2+</sup>, K<sup>+</sup>, Na<sup>+</sup>, Mg<sup>2+</sup>)의 특성 파악 ㅇ 미세먼지(PM<sub>2.5</sub>)대비 비율을 살펴보면 탄소성분의 OC 비율이 평균 26%로 가장 높았으며 이온성분의 NO<sub>3</sub><sup>-</sup>(20.54%)와 SO<sub>4</sub><sup>2-</sup>(16.57%)의 비율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남 ㅇ OC의 계절별 변화는 겨울(7.89㎍/㎥) > 봄(6.36㎍/㎥) > 가을(6.62㎍/㎥) > 여름(5.13㎍/㎥) 순으로 나타남 ㅇ 미세먼지(PM<sub>2.5</sub>)와 비교적 높은 상관성(0.5이상)을 보인 것은 이온성분으로 중NO<sub>3</sub><sup>-</sup>(0.57)과 Cl<sup>-</sup>(0.84)이었으며 금속 이온성분 중 K<sup>+</sup>(0.79), Mg<sup>2+</sup>(0.65), Na<sup>+</sup>(0.67)임 Ⅳ. 미세먼지 구성성분별 건강영향 평가 □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서울시를 대상으로 미세먼지(PM<sub>2.5</sub>)와 미세먼지(PM<sub>2.5</sub>) 구성성분의 농도 증가로 인한 사망영향을 평가 ㅇ 미세먼지의 구성성분에 따른 전체원인 사망영향과 심혈관계 사망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시계열 연구를 적용 - 미세먼지 구성성분 : EC, OC, NO<sub>3</sub><sup>-</sup>, SO<sub>4</sub><sup>2-</sup>, NH<sub>4</sub><sup>+</sup>, Ca<sup>2+</sup>, Cl<sup>-</sup>, K<sup>+</sup>. Mg<sup>2+</sup>. Na<sup>+</sup> ㅇ 미세먼지(PM<sub>2.5</sub>) 구성성분 중 EC와 OC는 전체 연령과 65세 이상 연령집단에서 전체원인 사망위험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임 - EC와 OC의 전체원인 사망위험은 미세먼지(PM<sub>2.5</sub>)의 사망위험보다 높게 나타남 ㅇ Cl-과 SO<sub>4</sub><sup>2-</sup>는 65세 미만 연령집단에서 전체원인 사망위험과 심혈관계 사망위험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임 ㅇ Mg<sup>2+</sup> 전체 연령과 65세 이상연령에서 전체원인 및 심혈관계 사망위험을 유의하게 높임 Ⅴ. 수용체 중심의 미세먼지 관리정책 방안 □ 인체위해성에 기반한 미세먼지 관리정책 국외 사례 검토 ㅇ 미국 남부 캘리포니아 지역은 대기자원위원회(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를 설립하여 자동차 배기가스를 규제. BC 농도가 1960년 대 이후 90% 가까이 감소하면서 매년 약 5,000명의 조기 사망을 예방 ㅇ 유럽연합은 대기환경 관리 및 대기질 개선을 위해 2001년 국가별 배출량 상한 지침(National Emission Ceilings Directive)을 채택하고 미세먼지(PM<sub>2.5</sub>) 배출 저감조치를 취할 때 건강피해를 야기하는 블랙카본(Black Carbon) 검토를 명시 □ 인체위해성에 기반한 미세먼지 관리로 패러다임의 전환 ㅇ 미세먼지 관리가 국민의 건강피해를 감소시키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인체위해성에 기반한 미세먼지 관리로 패러다임의 전환 필요 □ 인체위해성에 기반한 미세먼지 관리방안의 도입 ㅇ 미세먼지와 구성성분의 측정 및 정보제공 - 미세먼지(PM<sub>2.5</sub>) 구성성분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재원과 전문 인력이 필요하지만, 미세먼지 관리의 기본적인 요소인 구성성분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구성성분 측정이 반드시 필요 - 구성성분과 같이 세분화되고 과학적인 사용이 필요한 항목에 대해서는 별도의 정보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함 ㅇ 미세먼지와 구성성분의 건강영향 평가 - 미세먼지(PM<sub>2.5</sub>) 에 대한 양적인 관리뿐만 아니라 질적 관리를 위해 미세먼지(PM<sub>2.5</sub>) 배출원의 배출요인, 배출량, 구성성분별 농도 특성이 분석되어야 하며 이를 통한 인구집단의 미세먼지(PM<sub>2.5</sub>) 노출과 위해도 분석 필요 ㅇ 인체위해 저감을 위한 배출원 맞춤형 관리대책 추진 - 미세먼지(PM<sub>2.5</sub>)와 구성성분에 대한 기여도를 고려하여 관리대책의 추진 가능 범위를 확인. 배출원의 위치, 배출오염물질과 같은 다양한 제한요인을 고려하여 지역별 배출원 맞춤형 관리대책 추진 - 국내에 타당한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미세먼지(PM<sub>2.5</sub>)의 배출원 기여도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필요가 있음 Ⅰ. Study Background and Purpose □ Study Background ㅇ In Korea, the emission of air pollutants has increased since the mid-1990s due to rapid economic development,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 In order to improve air quality and reduce the health burdens caused by air pollution, various environmental policies are implemented at the national level. ㅇ PM<sub>2.5</sub> has particle sizes smaller than 2.5μm and was reported to cause high risks in human health as it can penetrate deeply into the alveolar. ㅇ There is a difference in health risks according to the source and constituents of PM<sub>2.5</sub>, so for the management of the human health risk, scientific evidence for the effects on health according to the constituents of PM<sub>2.5</sub> is needed. □ Study Purpose ㅇ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ituents of PM<sub>2.5</sub> were investigated and the health effects of PM<sub>2.5</sub> constituents were quantitatively evaluated. ㅇ The qualitative management policy for PM<sub>2.5</sub> was proposed to prepare a prioritized management policy for the PM<sub>2.5</sub> constituents with high risks on human health. Ⅱ. Case Studies on PM<sub>2.5</sub> constituents and Health Effects of PM<sub>2.5</sub> constituents □ PM<sub>2.5</sub> is a composite mixture of more than 50 chemical constituents, and the constituents of PM<sub>2.5</sub> vary according to the source. ㅇ PM<sub>2.5</sub> is composed of various chemicals such as carbonaceous components(EC, OC), trace metal(Al, Ba, Be, Ca<sup>2+</sup>, Cd, Cr, Cu, Fe, Mg<sup>2+</sup> etc.), and ions components(NO<sub>3</sub><sup>-</sup>, SO<sub>4</sub><sup>2-</sup>, NH<sup>+</sup>, Cl<sup>-</sup>, Br<sup>-</sup>, Na<sup>+</sup>, K<sup>+</sup>, Ca<sup>2+</sup>, Mg<sup>2+</sup>), etc. ㅇ Major constituents of PM<sub>2.5</sub> in South Korea were nitrate salt, sulfate salt, ammonium, organic carbon, and elemental carbon, and the ratio of each major constituent vary according to region. - Organic carbon was the dominating constituent in Seoul, Incheon and Gwangju, and sulfate salt was the dominating constituents in Daejeon, Busan, and Cheongju. - Different methodologies were applied for contribution analysis of PM<sub>2.5</sub> sources, and distribution of the PM<sub>2.5</sub> source varied according to seasons or weather conditions. □ Case analysis of studies on health effects of PM<sub>2.5</sub> constituents in US and Europe ㅇ The Health Effects Institute in the United States conducted four studies on health effects of PM<sub>2.5</sub> constituents, including studies on integrated epidemiology and toxicity. - Time series analysis showed that the constituents of PM<sub>2.5</sub> and gaseous pollutants were closely related to health effects along with PM<sub>2.5</sub> mass concentration. ㅇ The Integrated Science Assessment of the US National Air Quality Standards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PM<sub>2.5</sub> constituents and mortality, and confirmed a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 and ratio of PM<sub>2.5</sub> constituents and mortality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mass of PM<sub>2.5</sub>. ㅇ MED-PARTICLES in Europe, with support of the European Commission from 2010 to 2013,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PM<sub>2.5</sub> constituents in 14 cities in the Mediterranean countries. □ Study of short-term exposure to PM<sub>2.5</sub> and its constituents and health ㅇ Health risk of PM<sub>2.5</sub> constituents is different based on the region, the cause of death or disease, and season, etc. Ⅲ. Characteristics of PM<sub>2.5</sub> Constituents □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of PM<sub>2.5</sub> in Seoul ㅇ Between 2015-2017, the annual average PM<sub>2.5</sub> concentration in Seoul was the highest in 2016 with 26.29㎍/㎥. ㅇ In Seoul, the PM<sub>2.5</sub> concentration showed that northeastern area had the lowest concentration and southwestern area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 PM<sub>2.5</sub> emission characteristics in Seoul and South Korea according to emission source during 2015 and 2016 ㅇ Total amount of PM<sub>2.5</sub> emission in South Korea increased from 98,806 tons in 2015 to 100,247 tons in 2016, while the amount of PM<sub>2.5</sub> emission in Seoul slightly decreased in 2016(2,524 tons), compared to 2015(2,580 tons). □ Characteristics of PM<sub>2.5</sub> constituents in Seoul from 2015 to 2017 ㅇ A review on the constituents ratio in the PM2.5 showed that the ratio of OC, a carbon constituents was the highest with 26% in average, followed by the ratio of NO<sub>3</sub><sup>-</sup>(20.54%) and SO<sub>4</sub><sup>2-</sup>(16.57%). ㅇ Seasonal change of OC was higher in the order of winter(7.89㎍/㎥) > spring(6.36㎍/㎥) > fall(6.62㎍/㎥) > summer(5.13㎍/㎥). ㅇ The constituents showing relatively high correlations (0.5 and higher) with PM<sub>2.5</sub> were NO<sub>3</sub><sup>-</sup> and Cl<sup>-</sup> among the ion constituents and K<sup>+</sup>, Mg<sup>2+</sup> and Na<sup>+</sup> among the metal ion constituents. Ⅳ. Assessment the Health Effects of PM<sub>2.5</sub> Constituents □ The mortality effects of PM<sub>2.5</sub> and its constituents in Seoul from 2015 to 2017 were assessed. ㅇ Time series study was appli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total death and cardiovascular death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PM<sub>2.5</sub>. ㅇ EC and OC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otal cause mortality risk in the total age group and the age group over 65 years. - The total mortality risk of EC and OC is higher than the mortality risk of PM<sub>2.5</sub>. ㅇ Cland SO<sub>4</sub><sup>2-</sup>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isk of total death risk and cardiovascular death in the age group of less th an 65years. Ⅴ. PM<sub>2.5</sub> Management Policies focused on Receptor □ Case study of PM<sub>2.5</sub> management policies based on human health risks ㅇ The 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 was established in southern California, USA, to regulate vehicle emissions. BC concentrations have declined by nearly 90% since the 1960s, preventing approximately 5,000 premature deaths each year. ㅇ The European Union implemented the National Emission Ceilings Directive in 2001 to improve air quality and manage air environment and enforced the review of the Black Carbon which causes health risks when taking measures to reduce PM<sub>2.5</sub> emissions. □ Paradigm shift to PM<sub>2.5</sub> management based on human health risks ㅇ The management of PM<sub>2.5</sub> is to reduce the health damage of the people and to create a healthy environment.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re should be a paradigm shift first to the management of PM<sub>2.5</sub> based on human health risks. □ Implementation of PM<sub>2.5</sub> management plan based on human health risks ㅇ Measurement of PM<sub>2.5</sub> constituents and information - Although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M<sub>2.5</sub> constituents requires a great deal of resources and professional personnel, PM<sub>2.5</sub> constituent measurement is essential because the constituents information is a basic factor in the PM<sub>2.5</sub> management. - For items such as constituents that are subdivided and need scientific analysis, there should be separate information provided. ㅇ Health effect of PM<sub>2.5</sub> and its constituents - For qualitative management as well as quantitative management of PM<sub>2.5</sub>, emission factors, emission amounts, and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of PM<sub>2.5</sub> emission sources should be analyzed, and we estimate the association between PM<sub>2.5</sub> and its constituents and health. ㅇ Implementing customized management measures for emission sources to reduce human health risk - First, the scope of the management measures needs to be confirmed by considering the contribution of emission source to PM<sub>2.5</sub> and constituents. Then customized management measures for regional emission sources need to be implemented, considering various limiting factors such as the location of emission sources and emission pollutants. -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contribution of various PM<sub>2.5</sub> emission sources more accurately by applying a more adequate analysis method for South Korea.

      • KCI등재

        전통음악의 양악보에서 장단주기박자와 강약주기박자

        이보형 한국국악학회 2009 한국음악연구 Vol.45 No.-

        한국 전통음악인들은 박자라는 개념이 아닌 장단이라는 개념에 익숙해 있어 전통악보 기보법에 장단보(長短譜)는 있어도 박자표는 없었다. 그래서 그런지 근래에 한국 전통음악을 서양음악 기보법으로 채보하여 기록한 악보에는 서양음악의 박자를 주기로 하는 박자표로 기보한 경우도 있지만, 그보다도 장단을 주기로 하는 박자표로 기보한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 장단을 주기로 하는 박자표가 지시하는 박자의 개념은 무엇이며 이것이 또 서양음악에서 말하는 박자와 어떻게 다른가를 규명해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 필자는 우선 양자를 변별하는 용어가 필요다고 생각하여, 장단을 주기로 하는 박자표가 지시하는 박자를 ‘장단주기박자’라 일렀고, 장단주기박자를 지시하는 박자표는 ‘장단주기박자표’라 일렀다. 그 상대 개념으로 서양음악에서 말하는 박자를 ‘최소 강약주기박자’라 하고 이를 줄여서 ‘강약주기박자’라 일렀고, 강약주기박자를 지시하는 박자표는 ‘강약주기박자표’라 일렀다. 그 동안 장단주기박자표와 강약주기박자표를 변별하지 않고 그냥 써왔던 이유는 양자의 차이를 규명하는 이론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그래서 필자는 이미 다른 논문에서 장단주기박자를 규명하는 이론을 만든 바 있었다. 이 이론은 장단의 리듬 통사적 구성성분의 계층적 집합구조로 규명하고 이것이 장단주기박자를 생성하는 원리를 규명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장단 리듬 통사적 구성성분의 계층적 집합구조는 세 층위를 이룬다. 즉 자연태 음악에서는 음들이 2~3개가 집합하여 하 층위 구성성분을 이루는데 이를 ‘최소 리듬 구성성분 요소’(줄여서 ‘리듬소’라 함)라 일렀다. 리듬소들이 2~3개가 집합하여 중간 층위 구성성분을 이루는데 이를 ‘장단 주기보다 작은 리듬 구성성분 유형’(줄여서 ‘소리듬형’이라 함)이라 일렀다. 소리듬형이 2~3개가 집합하여 상 층위 구성성분을 이루는데 이를 ‘보편적인 장단 주기의 리듬 구성성분 유형’(줄여서 ‘여느리듬형’이라 함)이라 일렀다. 이 여느리듬형이 장단주기박자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 이론에 의하여 장단주기박자를 규명되었고 지금까지 잘못 기보된 장단주기박자표를 바르게 적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이론을 서양음악문법으로 된 노래의 박자, 즉 강약주기박자에 적용하여 봤더니 자연태에 가까운 노래에서는 리듬 구성성분이 두 층위를 이르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는 것을 알았다. 즉 음들이 2~3개가 집합하여 하 층위 구성성분인 ‘리듬소’를 이루고, 리듬소들이 2~3개가 집합하여 상 층위 구성성분인 ‘소리듬형’을 이르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즉 소리듬형이 강약주기박자를 생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 봐서 강약주기박자는 장단주기박자의 절반 시가를 이루는 일이 보편적이라는 것을 알았다. 이를 적용하여 한국전통음악의 여러 장단 유형에 나타나는 장단주기박자표와 강약주기박자표로 적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지금까지 잘못 기보된 한국전통음악의 강약주기박자를 정리할 수 있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한국 전통음악에 나타나는 여느장단(보편적인 장단)에 나타나는 장단주기를 강약주기박자로 적게 되면 흔히 두 개의 강약주기박자표로 적게 되는데 앞뒤가 대칭 구조로 된 장단에서는 장단주기의 절반이 되는 강약주기박자표 두 소절을 적으면 되고, 앞뒤가 비대칭 구조로 된 장단의 경우에는 두 가지 서로 다른 강약주기박자로 된 변박자 두 소절로 적게 된다. 이 이론을 적용하여 앞으로 한국 전통음악을 박자표로 적을 때 반드시 이것이 장단주기박자표인지 강약주기박자표인지 표기해야 박자를 바르게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한국전음악을 적은 악보에 박자표를 적을 때 장단주기박자로 적을 것인지 강약주기박로 적을 것인지 정하고 그것들은 장단 리듬 통사론에 의하여 어떤 박자표로 적을 것인지 검증하고 이를 바르게 적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s many of other traditional music shares similar quality in this particular matter, traditional music of Korea is not written in such way where they notify detailed articulations and dynamics. Rather, they simply show types of ‘jangdan’(rhythmic pattern) that the music supposed to be perform with. Recently, many musicians have tried to write out traditional music that is being transmitted orally with the use of western notation. But even when these western notational method is being used, many musicians intentionally write out a type of ‘jangdan’ when designating the rhythmic pattern of the piece prior to the ‘time signature’.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find out what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the two systems, ‘jangdan’ and ‘time signature’ is and how these two represent differentiated meaning within the score. First, I felt the need of treating these two different terms - ‘jangdan’ and ‘time signature’ - separately from each other. In order to separate these two concepts, I have used two terms ; ‘rhythmic cyclic pattern’ for designating the beat that is being made due to the cyclic patterns of grouped rhythm which is being used throughout the piece, and ‘rhythmic pattern signature’ for the time signature that is being used to refer the signature for the grouped rhythmic cyclic patter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omparative two terms, related with western notational system which are; ‘dynamic cyclic pattern’ for designating the ‘time signature’ that is being used throughout the score in the western notational system and ‘dynamic pattern signature’ for the signature indicating such pattern. So far, these terms have been used without any distinction due to the lack of particular theory that supports the difference in the usage of these terms. I have written the ‘jangdan’ theory for many years, which specifically deals with the ‘synthetic constitution of the rhythmic hierarchy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rhythmic cyclic pattern’ that is composed by the former. The key point of the ‘jangdan’ theory is that, there are three major groups consisting the music. The first, and the smallest unit is ‘small rhythm’ that is composed with two to three small notes. This is the lower level rhythm, the ‘basic rhythmic unit’ of music. When two to three of these ‘small rhythm’ are being combined, it makes ‘small rhythmic pattern’, the medium level rhythm. Finally, when two to three of these ‘small rhythmic pattern’ are combined, it produces the ‘grouped rhythmic cyclic pattern’, which is the last and the upper level of the rhythm of the rhythmic hierarchy structure.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specify these rhythmic structure and its synthetic constitution, and its adaptation in scoring the traditional music in the western notational system. In this paper, I have concluded that the rhythmic structure of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style music differ in the composition of its rhythmic cyclic pattern. While the traditional music is consisted with three layers of rhythmic structures which are ‘small rhythm’, ‘small rhythmic pattern’ and ‘common rhythmic pattern’, the western style music only have two layers that are ‘small rhythm’ and ‘small rhythmic pattern’. In the western style music, the ‘small rhythmic pattern’ is the key unit that produces the ‘dynamic cyclic pattern’, which in other words, is represented as ‘time signature’ in the score. In this view, we can say the western ‘time signature(dynamic cyclic pattern)’ has half the length of ‘grouped rhythmic cyclic pattern’, that is found in the traditional musical score. I hope this could be used when clarifying the rhythmic pattern and related matters found in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compared to that of western music. In the actual scores, I would like to suggest two ways in its adaptation; In case of the ‘jangdan’ which is composed with symmetrical structure, two grouped ‘dynamic cyclic pattern(time signature)’ can be put together and regarded as one ‘jangdan’. When the ‘jangdan’ is consisted asymmetrically, it can be interpreted by putting two different time signature together as one passage. When writing dow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western notational system, I would like to suggest to clarify whether the score is written using the ‘rhythmic cyclic pattern’ or the ‘dynamic cyclic pattern’(western time signature). I also would like to address that these matters need to be dealt more prudently.

      • KCI우수등재

        구성성분을 형성하는 구성체의 형식 유형에 대하여

        서형국 국어국문학회 2019 국어국문학 Vol.0 No.189

        This paper aims at surveying the syntactic patterns which contribute to conforming syntactic constituents in Korean. Besides case markers and transfunctionalizing endings, there are a lot of constructions which is come up with lexical units whether it is bound with another grammatical morphemes or not. I here collected syntactic patterns from the dictionary descriptions. The patterns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form classes, syntactic functions, and semantic properties. In this paper, I focused on the function of syntactic constituent, which can be used for explaining the principles of syn- and diachronic sentence formation. So in this paper the syntactic patterns categorized on the criteria of function expressing forms and syntactic functioning. On the basis of the constituent pattern, it can be researched about the principles of pattern formation, and the functional distribution and pattern change which includes functional and formal change. I expect the results of this survey can contribute to the research on grammaticalization of Korean. 본고에서는 체언이나 용언에 형식적 고정성을 갖춘 복합적인 구성체가 개입하여 구성성분을 형성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 구성체를 이루고 있는 형식 단위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는 한국어의 문법적 기능 단위를 형성하는 절차로 문법 형태소가 참여하는 경우 외에도 어휘적 구성이나 그 확장형인 구성체들이 참여하여서도 성분을 형성한다는 점을 감안하고, 이들을 총괄하여 기술하는 것으로 기능적 단위의 형성 과정과 작동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고 본다. 한국어 기능 단위의 문법적 기능이 주로 조사와 어미가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능 단위가 일정한 기능을 부여받는 데 조사나 어미 같은 단일한 문법 형태소만이 관여하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어휘가 성분 형성의 기능을 하기도 하고, 여러 형태가 복합적으로 구성을 이루어서 성분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이런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갖게 되는 고정적 패턴을 총괄하여 살펴보는 것으로 한국어 통사론의 기초적 탐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고에서는 기존에 조사와 어미 외에도, 조사의 기능을 획득한 어휘 부류, 자립 명사나 의존 명사를 중심으로 때로는 격조사와 통합한 명사류, 용언이나 체언을 성분을 갖는 부사류, 용언의 활용형이 논항을 취한 형식으로 성분을 이루는 경우, 특정 어휘가 일정한 조사나 어미와만 어울려 성분을 이루는 경우를 기술적(記述的)으로 정리하였다. 이런 구성체의 형식 유형은 문장 안에서 기능 단위로 사용되는데, 이상의 기술 사항을 문장 안에서의 쓰임에 따라 기능적 유형으로 정리하면서 문장 성분과도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 KCI등재

        한국 자연동요 수행에서 장단 주기 박자구조 생성론

        이보형(Lee Bo hyung) 국립국악원 2008 국악원논문집 Vol.18 No.-

        인간의 음악 수행능력에 의하여 음악이 먼저 생성되고 이것을 체계화한 것이 음악문법체계라 하는 것이 옳다면 음악의 장단 주기 박자는 음악수행에서 어떻게 생성되었겠는가 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 수행에서 장단 주기 박자구조가 어떻게 생성되는가 하는 것을 한국의 자연동요 수행에서 풀어봤다. 필자는 이미 장단 주기를 박자로 적는 것을 장단 주기 박자 라 이르고, 장단 주기로 생성되는 박자의 계층적 집합구조를 주려서 박자 구조 라 이르고, 장단 주기 박자구조를 생성하는 음악의 리듬 통사적 구성성분의 계층적 집합구조를 장단 리듬 통사구조(統辭構造) 라 이르고, 이 장단 리듬 통사구조가 어떻게 장단 주기 박자구조를 생성하는가를 푸는 장단 리듬 통사론 이라는 이론을 밝힌 바 있다. 다시 말해서 음악이 수행 되면서 장단 주기 박자구조라는 음악문법체계가 만들어지는 생성원리가 장단 리듬 통사론 인 것이다. 필자가 이미 밝힌 장단 주기 박자구조를 생성하는 장단 리듬 통사적 생성 원리는 일정한 세(勢)와 길이를 생성하는 음이 2~3개가 집합하여 최소 리듬 통사적 구성성분 유형 이 구성되는데 이 구성성분을 주려서 리듬소(素) 라 일렀다. 이런 세(勢 액슨트)와 길이를 생성하는 리듬소가 2~3개가 집합하여 장단 주기보다 작은 리듬 통사적 구성성분 유형 이 구성되는데 이 구성성분을 주려서 소(小)리듬형 이라 일렀다. 이런 세와 길이 를 생성하는 소리듬형 이 2 ~ 3개가 집합하여 여느(보통) 장단 주기 리듬 통사적 구성성분 유형 이 구성되는데 이 구성성분을 주려서 여느(보통)리듬형 라 일렀다. 이 여느리듬형 이 장단 주기 박자구조를 생성하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이와 같이 음악 수행에서 박자구조를 생성 원리가 바로 필자가 이미 밝힌 음악의 장단리듬 통사구조가 장단 주기 박자구조를 생성하는 원리 그것이다. 그러므로 음악 수행에서 박자구조라는 음악분법체계를 생성하는 원리는 이미 밝혀진 셈이다. 그러나 호택 전통음악에서 중중모리 장단이 느려져서 중모리 장단이 이루진다든가, 중중모리 장단 빨라져 닷모리가 이뤄진다든가, 세영산 장단이 느려져 상영산 장단이 이뤄진다든지 하는 것처럼 기왕에 이뤄진 장단 리듬 통사구조가 전이되어 다른 박자구조를 생성하는 장단 리듬 통사구조가 이뤄지기도 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기왕에 이뤄진 장단이 어떻게 전이되어 다른 장단리듬 통사구조가 이뤄지는지는 원리를 살핀 것이다. 기왕에 이뤄진 장단 리듬 통사구조에서 구성음의 각 층위 박뿐만 아니라 리듬소-소리듬형-여느리듬 등 각 층위 통시축 구성성분이 연장-확대, 단축-촉소, 팽창-확대 , 수축축소와 같은 전이를 일으켜 다른 리듬 통사구조가 이뤄지는데 이렇게 장단끼리는 1차 전이되는 1차관계 뿐만 아니라 원근관계에 따라 2차관계 3차관계가 이뤄진다는 밝힌 것이다. How is the musical grammar of a music generated? Men do not perform music according to the subscribed musical grammar, if the music is a traditional children s song. Rather, the musical grammar is a systemized unit of music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men s musical competence. Then, what is the musical performance model that generates the musical grammar of the music? I believe that the musical performance model that generates the musical grammar in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 song lies in jangdan, or rhythmic cycle. The jangdan is commonly recognized as the drumming pattern in Korea. However, it is a constituent of musical form composed of two rhythmic meters. There are three hierarchical meters in the system of jangdan in Korean children s songs. The rhythmic meters are distinguished one from the other due to the different levels of additive rhythms in the melody of a song. The basic meter of among the hierarchy is the small beat, or sobak. The next level is the common beat, or botong bak, which is recognized as the common beat for Koreans to count the rhythm in a song. The highest level is the large beat, or daebak. In Korea, the rhythmic cycle consists of four beats (or common beat) of triple (small) meter (12/8 in Western notational system) is the most common one. This kind of rhythm is found in Indian or Middle Eastern music. The neighboring cultures, China and Japan for instance, mostly exhibit the rhythm of four beats (or common beat) of duple (small) meter (4/4 in Westem notational system). There are many jangdan consisting of a variety of meters in Korean music. I reconfirmed that they get to have tones with durations and accents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elements of rhythmic syntax such as a basic unit of rhythm, small rhythm type, common rhythm type in jangda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usical grammar of beat is not autonomously formed but is generated in the performance of music in term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of rhythmic syntax structure of jangdan.

      • KCI등재

        한국 지명의 구성과 용어 문제-충북 영동 지명을 중심으로

        성희제 한국지명학회 2017 지명학 Vol.27 No.-

        There has always been confusion about constitutions and terms in the present study of place nam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ry to resolve these problems. I regard the principal constitution as [W], [[W][W]], [[W][[W][W]]]. The primary constitution is referred to as [basic parts]([BP]). The second constitution is called [modifying 1 part](M1P)). The third constitution is called [modifying 2 part]([M2P)). These are replaced by the following terms used in existing papers, ‘front part, back part, constituent’. The data of this thesis is Yeongdong's place names. The study also hopes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lacenames. First, the distribution of place names according to the 3 types of constitution is as follows. The first type is [BP] and the second type is [M1P], the third type is [M2P]. The number of the second type of constitution is overwhelming with 90.22 %. The number of the third type of constitution is 9.69%,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type of constitution is 0.09%. Second, the distribution of IC-analysis types is as follows : [[N][N]](1315, 40.58%) > [[NN][N]](625, 19.10%) > [[NN][∅]] (310, 9.47%) > [[NS][∅]](138, 4.22%) > [[N][[N][N]]](111, 3.39%) > [[A][N]] (91, 2.78%) …… Third, the names of components in the 3 types of constitutions are as follows. There is only noun in the first type. And there are noun, numeral, verb, adjective, adverb, determiner, prefix, suffix in the second type. There are noun, verb, adjective, determiner, prefix, suffix in the third type. There is no particular constraint in terms of the meaning of the word in [M2P] of the third type. Fourth, the total number of derivative word is 401 and 12.25 % of total names. Among them, 85.79 percent of suffix- derivative word, 16.28 percent of prefix-derivative word, and 0.29 percent of prefix-suffix-derivative word. Fifth, the compound words are 3248 and represents 99.24 % of total names. Non-syntactic compound words are also pretty much distributed. Sixth, Non-syntactic compound words correspond to the traditional word formation methods of Korean linguistics. 둘째, 지명의 구성성분 유형의 분포는 [[N][N]] (1315개, 40.58%) > [[NN][N]] (625개, 19.10%) > [[NN][∅]] (310개, 9.47%) > [[NS][∅]] (138개, 4.22%) > [[N][[N][N]]] (111개, 3.39%) > [[A] [N]] (91개, 2.78%)…… 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명의 세 가지 구성형 각각에 오는 성분으로서 1차 구성형에는 명사 하나만 있고, 2차 구성형에는 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부사, 관형사, 접두사, 접미사의 8가지가 있으며, 3차 구성형에는 명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접두사, 접미사의 6가지 있다. 그리고 3차 구성형의 수식 2부에 오는 성분은 의미에 특별한 제약을 받지 않는다. 넷째, 파생어 구성을 보이는 지명은 401개로서 전체 지명의 12.25%이고, 이 중에 접미파생어가 85.79%이며, 접두파생어가 16.28%, 접두접미파생어가 1개 0.29%로 분포해 있다. 다섯째, 합성어 구성을 보이는 지명은 3248개로서 전체 지명의 99.24%에 달하는데, 비통사적 합성어도 상당히 많게 분포해 있다. 여섯째, 비통사적 합성법은 국어 지명의 전통적인 조어법에 해당하며, 어근의 어형을 변형시키지 않고 한 음절씩 결합시키는 방법은 현대의 신조어 생산에도 원칙으로 삼을 만하다.

      • KCI등재후보

        서울지역 미세먼지의 화학적 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박진수,김창환,이정주,김진호,황의현,김신도 한국도시환경학회 2010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10 No.2

        세계 많은 지역에서 인체유해성과 시정장애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미세먼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미세먼지의 악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우선 미세먼지의 구성성분에 대해 명확하게 해석이 되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세먼지의 특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저감대책 수립 및 실천이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의 미세먼지의 측정 및 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그 구성성분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질량농도와 화학적 구성성분을 통한 질량 비교에서 약 30~40%에 이르는 부분이 화학분석을 통하여 해석이 되지않았다. 이러한 불멱확한 부분의 해석을 위하여 추가적인 확인 및 분석작업을 통하여 화학적 분석과정에서의 오차요인과 명확하지 않았던 영향 요소를 확인하였다. 첫 번째로 분석기기의 제한성으로 인한 요인, 두 번째로 토양관련 구성물질 평가에서의 불명확성, 세 번째로 이온성분에서의 주요 이온에 대한 평가의 불확실성, 네 번째로 유기탄소와 유기물과의 관계, 다섯 번째로 항량된 필터에서 존재하는 수분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불확실한 요인들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기존 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해석되지 못하였던 부분이추가적으로 해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5가지 항목에 대한 추가적인 미세먼지의 해석방법을 적용하여 서울지역 미세먼지에 대하여 재계산을 한 결과 약 PM10과 PM2.5의 29%, 19% 이상이 기 분석된 화학성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구성타당도 평가에서 성분점수에 의한 변수 군집분석의 활용

        윤이나,강현철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2

        Valid and reliable measurement instruments are essential components in all the studies. Since the interpretation of results is dependent on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nstrument, the researcher must verify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Validity of an instrument denotes how much it measures what is supposed to. Its measuring is difficult and challenging and take a lot of time. Factor analysis is considered one of the strongest which is more commonly used for establishing the construct validity measured by an instrument. However, in the view of grouping variables, the model of factor analysis has too many unrealistic assumptions, and the model buil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in factor analysis have a lot of difficulties. Variable clustering can be used as a variable-reduction method. A large set of variables can often be replaced by the set of cluster components with little loss of information. A given number of cluster components does not generally explain as much variance as the same number of factors on the full set of variables, but the cluster components are usually easier to interpret than the factors, even if the latter are rotated. In this paper, we introduce variable clustering technique, which divides a set of variables into disjoint of hierarchical clusters. Associated with each cluster is a linear combination of the variables in the cluster. Especially, we discuss the usefulness of variable clustering as a tool of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타당하고 신뢰로운 측정도구는 모든 연구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며, 연구결과에 대한 해석은 측정도구의 타당성에 의존하므로 연구자는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해야 한다. 타당도(validity)란 그 측정도구(검사)가 원래 측정하려 했던 것을 실제로 잘 측정하는가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타당도 분석방법은 크게 내용타당도, 준거타당도, 구성타당도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타당도를 평가하는 과정에는 여러 가지 통계분석 기법들이 사용된다.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 분석은 검사도구가 심리적 구성개념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구성타당도 분석은 쉽지 않고 시간소모적인 여러 절차들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인자분석은 하나의 개념을 측정하는 도구가 여러 하위개념을 구분하여 측정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구성타당도 분석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통계적 분석기법이다. 그러나 변수 군집화의 관점에서 본다면 인자분석의 모형은 너무 많은 비현실적인 가정들을 내포하고 있으며, 모형구축 및 결과의 해석에 많은 난점을 가지고 있다. 변수 군집분석(variable cluster analysis)은 변수의 군집화라는 직접적인 목적을 수행하며, 차원의 축소, 변수들 간의 상호의존관계 분석이라는 관점에서는 인자분석 등의 다변량분석 방법 등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변량분석 방법의 관점에서, 군집성분을 이용한 변수 군집분석과 탐색적/확증적 인자분석의 수행, 결과의 해석, 이들 분석방법들 간의 관계 등을 살펴볼 것이다. 특히 문항의 구성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서 변수 군집분석의 유용성에 대하여 논의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명사 연속 구성

        이규호(I, Gyu-ho) 국어국문학회 2016 국어국문학 Vol.- No.174

        문장 성분, 품사, 형태소 등의 문법 단위는 연속 구성을 이룰 수 있다. 연속 구성은 문법화하여 복합형으로 발달하기도 한다. 명사 연속 구성에서 연속할 수 있는 명사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연속한 명사들은 성분 단위별로 묶여 문장의 구조를 반영한다. 명사 연속 구성을 논의할 때 조사구를 설정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조사는 명사구에 딸린 요소로 본다. 명사구는 내적/외적 구조로 나눌 수 있다. 어떤 명사구가 문장 성분을 반영한다면 외적 구조, 그렇지 않으면 내적 구조로 본다. 명사 연속 구성에서 명사들은 주로 둘씩 짝을 이루는 구묶음 현상을 나타낸다. 구묶음은 의미 단위이며, 통사적 단위와는 다르다. 신문 기사에서 구묶음 명사구는 붙여 쓰는 경우가 많다. Such grammatical units as sentence constituents, word classes, and morphemes can build a sequential construction, which also develops into a complex one through grammaticalization. There are no limits to the number of nouns that can go in sequence in sequential constructions of nouns. Nouns going in sequence are grouped by the constituent units, thus reflecting the sentence structure. Setting a particle phrase offers no huge help when discussing sequential constructions of nouns. A particle is considered as an element that belongs to a noun phrase. Noun phrases are divided into an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 When noun phrases reflect a sentence constituent, they are in an external structure. When they do not, they are in an internal structure. In sequential constructions of nouns, nouns exhibit the chunking phenomenon, which refers to a pair of two. Chunking is a semantic unit and different from a syntactic unit. Noun phrases in chunking are written together in many cases in newspaper articles.

      • KCI등재

        구적 관용어의 통사적 구성과 의미 -NV형 관용어를 중심으로

        이영제 ( Young Je Lee ) 민족어문학회 2009 어문논집 Vol.- No.60

        본고는 구적 관용어의 성분 구조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구적 관용어가 생성되는 원리를 형상 구조와 성분 의미를 중심으로 살필 것이다. 구적 관용어는 표면구조상 일반적인 구구성의 특성을 보인다. 일반적인 어휘적 관용어가 단어 형성 후 통사적 기능을 상실하는 것과 달리 구적 관용어는 단어 형성 후에도 일부 통사적인 기능을 유지한다. 특히 `명사+용언형` 구적 관용어가 그러한 특성을 보이는데 이는 통사 구조와 의미 구조가 서로 비대칭적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이러한 구적 관용어의 비대칭적 구조를 대칭적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설명하였기 때문에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었다. 본고에서는 구적 관용어의 의미는 성분 구조에서부터 비롯된다는 전제 하에 `명사+용언형` 구적 관용어의 특성을 통사 구조와 의미 구조 간의 비대칭적 특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이를 설명하기 위한 성분 구조 분석을 제안한다. 그리고 구적 관용어는 의미적 외심 구조를 이루지만 구성 성분의 분포는 내심적 구조를 띠고 있고, 이를 통사적 내심 구조로 설명할 수 있는 이차원적(二次元的) 성분 구조 분석이 필요함을 주장할 것이다. 이는 성분 구조와 성분 의미, 결합 의미 간의 비대칭성을 보일 수 있는 계층적 형상 구조이다. 이를 통해 구적 관용어의 비대칭적인 구조가 하나의 어휘 단위에 내재된 것임을 설명할 수 있고, 이러한 구조적 특성이 통사적 표상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constituents structures of the phrasal idioms. For the purpose I investigate the formational conditions of the phrasal idioms which are focusing on the configurational structures and meanings of the constituents. The syntactic representations of the phrasal idioms are not the same as lexical idioms but the same as general syntactic structures. The phrasal idioms have syntactic functions, while the lexical idioms lost their syntactic functions. So the functions of the phrasal idioms, especially `N+V` type phrasal idioms, are different from the functions of the lexical idioms. It is motivated by the asymmetries between the syntactic structures and the semantic structures. But the preceding proposals have some conflicts because they are not focused on the asymmetries and they almost explain the phrasal idioms by the general configurational structures. I explored the meanings of the phrasal idioms are made from the constituents structures which can be separated into the two different kinds of the levels of the configurational structures.

      • KCI등재

        입도 분포 특성을 이용한 동해 남한국대지 시추 퇴적물 중 화산재와 황사의 구분

        이홍원,장준호,박장준 한국해양학회 2021 바다 Vol.26 No.2

        End-member (EM) analysis of grain-size distribution data for detrital fractions of IODP Site U1430 core sediments from the South Korea Plateau (East Sea) identified 4 EMs grain-size populations (EM) which represent either Asian dusts (Hwangsa) or volcanic ashes. The two EMs representing volcanic ashes consist of fine and coarse glass shards with various morphologies and constitute 0– 82% of the total grain-size distributions. The 33% mixing percentage of volcanic ash EMs seems appropriate for a cut-off value for discrimination of grain-size data influenced by volcanic ash input from those dominated by Hwangsa. 동해 남한국대지 IODP Site U1430 시추 퇴적물 쇄설성 성분의 입도 자료에 대한 구성 성분 분해 결과 황사 입자와 화산재 입자를 대표하는 4개 구성 입도 집단이 구별되었다. 이 중 화산재 입자를 대표하는 2개 구성 입도 집단은 다양한 형태의 세립 및 조립 유리질샤드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 입도 분포에서 0–82% 범위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분석된 입도 자료 중 화산재 유입 영향을 받은 자료를 제거하고 황사 입경 변화의 경향을 추출하기 위한 기준으로 화산재 구성 입도 집단 비율 33%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