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滿文『金剛經』의 내용과 특징

        박서연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9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ntent and main ideas presented in the Manchu Edition of the Diamond Sutra, pointing out contrasts between the Manchu and Chinese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Canon. The two texts are different in format a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content. I discovered that the Manchu Edition of the Diamond Sutra was not based on any particular Chinese translation of the Buddhist Canon. I think the translators of the Manchu Edition of the Diamond Sutra consulted Tibetan and Mongolian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Canon as well as the Vajracchedik.prajn.p.ramit.. They transliterated some Sanskrit terms into Manchu, words such as sirawasti, anatabindadi, .igiyamuni, etc. However, they made broad translations in Manchu of the terms Bhagav.n and Tath.gata and did not transliterate them. I argue that the most notable feature in the Manchu Edition of the Diamond Sutra is the word “atonement.” We do not see it in other editions of the Diamond Sutra. In the 18th century, the Manchus considered reciting and preaching the Diamond Sutra a good deed for removing any sin committed in past lives. I also emphasize the fact that the dh.ran. found in the Manchu Edition of the Diamond Sutra is different from Kumarajiva’s. On the contrary, it is quite similar to the one in Tibetan and Mongolian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Canon. 『금강경』은 만문대장경 제52함에 들어 있다. 호경판(上)에는 좌우에 석가모니불과 佛母의 도상이 있고, 중앙에는 귀경게와 『금강경』의 범어 경명이 만주어로 음역되어 있다. 이러한 체재는 한역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것이며, 티벳역이나 몽골어역의 호경판 양식과 유사하다. 만문『금강경』의 번역자들은 인명이나 지명을 나타내는 범어 고유명사 및 주요 불교용어에 대해 음역하였으나, ‘세존’이나 ‘여래’는 의역하였다. 세존은 “eteme yongkiyafi colgoroko fucihi(이기고 갖추어서 초월한 부처)”로, 여래는 “ineku jihe fucihi(그 오신 부처)” 로 의역하였는데, 이것은 티벳역이나 몽골어역을 참조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만문『금강경』을 한역 6종과 대조하여 고찰한 결과, 만문 『금강경』은 여러 한역본들 가운데 어느 하나의 본에 의거하여 번역된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범본이나 티벳역, 몽골어역도 참조한 것으로 보인다. 만문『금강경』의 내용 중에서 범본 및 한역, 티벳역, 몽골어역과 비교하여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속전’이라는 단어이다. 이 ‘속전’이란 표현을 통해,『금강경』을 수지독송하고 남에게 설해 주었음에도 이생에서 남의 천대와 멸시를 받는 것은 그 복덕으로써 전생의 악업을 정화한 것이며 궁극에는 부처의 깨달음을 얻게 된다고 한 것에서 18세기 만주족들이 불교에 대해 가졌던 인식을 엿볼 수 있다. 만문『금강경』의 마지막에 보이는 진언은 범본에는 없는 것이다. 한역 중에서 진언이 있는 것은 구마라집 역이 유일하다. 그런데 구마라집 역의 진언은 만문에 비해 그 분량이 짧고 내용도 차이가 있으므로 만문『금강경』의 번역자들이 구마라집 역을 참조한 것 같지는 않다. 만문『금강경』의 진언은 티벳역과 몽골어역에도 있으므로 이들 역본을 참조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만문『금강경』의 번역자들은 가능한 범본에 충실하면서도 한역, 티벳역, 몽골어역 등을 참조하여 만주족의 언어로 불교의 가르침을 전달하고자 했던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구마라집 역경에 나타난 ‘참회(懺悔)’ 용어의 분류와 분석

        이상옥(형운) 한국선학회 2013 한국선학 Vol.34 No.-

        ‘참회’는 불교가 종교로서 존재하는 기반이다. 참회는 내적 의식이며 또한 외적 행위로 나타난다. 최초 번역 경전인 후한의 『사십이장경』으로부터 신역인 당 현장의 역경에 이르기까지 중요 용어로서 활 용되었다. 초기 ‘회(悔)’에서 ‘참(懺)’이 부가되고 ‘참회’로 합쳐졌다. 이는 실천이나 신앙으로 정착되었 으며 또한 문화 형태로 계승되었다. 후한 안세고가 『사리불회과경』을 번역했던바 일찍이 참회의 중 요성을 인식했던 것이다. 특히 지겸이나 강맹상에 이르러 ‘참회’ 용어가 정착되었으며, 이후 시간의 흐 름과 함께 여타 단어들과 조어되면서 풍부한 어휘들로 구성되는 추이를 검토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연구방식은 대장경 전수(全數)조사를 통한 일자 색인으로, 즉 용어들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과거 색인작업에 비해 현저히 발전된 형태이다. 검색된 ‘참회’ 용어들을 분류하고 분석하여 그 뉘앙스들을 검토하였다. ‘(참회)懺悔’ 혹은 ‘(참)懺’과 ‘(회)悔’가 다른 단어들과 결합되면서 의미 변화와 넓은 활용성을 갖게 되는 경우들을 찾았다. 또한 신역으로 대표되는 당 현장의 역경 전체 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구마라집의 이름으로 역경된 분량은 여타 역경가들에 비해 방대한 편이다. 『고승전』이 가리키듯이 요흥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경전 번역이 이루어졌다. 소요원(逍遙園)을 중심으로 많은 중국 의해승들이 참여했으며 또한 정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참회’와 관련하여 많은 숫자의 조어들이 나타 났으며 그 의미의 다양한 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 양무제의『자비도량참법』성립에서 보듯이 참회는 의례나 의식(儀式)의 발전을 초래하였고 오늘에 이르기까지 불교문화로 정착했던 것이다. The ‘kṣama(懺悔)’ is the fundamental value the Buddhism exists as a religion. ‘Kṣama(懺悔)’ is the repentance of internal consciousness and it again appears as an external action. The terminology of ‘kṣama(懺悔)’ was utilized as a major terminology from the forty-two sūtra the first ancient chinese transla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 till the new translation by Xuanzang(玄奘) the Buddhist monk of Tang(唐) dynasty. The term utilized in the initial translation was Hoe(悔)- lamentation. Here Cham (懺)- repentance, was added to have become ChamHoe- kṣama. As a result, kṣama was settled down as practice or faith of the Buddhism. Also it was succeeded as a cultural form. Ān shì gāo early age in Later-Han Dynasty translated the shè̌ lì fú huǐ guō̇ jīng(舍利弗悔過經) . This teaches the importance of repentance. Specially, the term of ‘kṣama’ was settled down when it came to Zhī qiān in the age of Wu(吳) Dynasty or Kāng mèng xiáng and henceforth developed as sentences through combination of related words in the course of flow of times. Through this study, the trend of specific age can be examined by the terminologies that composed of kṣama. The method of study for this article was the Date Index Review through the complete enumeration method. So to speak, the concerning terminologies were able to be searched by the use of computer. This was a much developed form compared to the Index Work method in the past. Those searched kṣama and related terminologi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nd every nuance of them was examined. The cases of meaning changes and given wider utilizations were reviewed upon combination with other words by respective Cham or Hoe. Also, the relationship with the translation by Xuanzang represented as the new translation was examined. The volume of translations in the name of Kumarajiva indicated to be rather vast. As referred by Gao-Seng-Chuan(高僧傳)”, the translation of the Buddhist script was completed by the active support of Yaoxing. Chinese student monks were participated centered on Xiāo yáo yuán(逍遙園). Thus it is quite natural to have been implemented an accurate review about the translation. Kṣama was developed repeatedly to be rite( 儀禮) or ritual(儀式), and eventually settled down as the Buddhist culture till today.

      • KCI등재

        조계종(曹溪宗) 금강경(金剛經)에 대한 교감(校勘)(3)

        조현춘 ( Hyunchun Cho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5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1 No.3

        대한민국 최대 불교종단인 대한불교조계종 한문·한글 금강경을 저본으로 교감(Ⅰ)에서는 1∼5장을 교감하였고, 교감(Ⅱ)에서는 6∼10장을 교감하였으며, 본논문(교감 Ⅲ)에서는 11∼15장을 교감하였다. 다른 연구자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금강경’을 번역하거나 복원하는 노력을 많이 하였다. 그러나 여러 본을 가지고 ‘완본 금강경’으로 복원하려는 노력은 하지 않은 것 같다. 결과적으로 낙간이 심한 금강경들이 ‘원본으로서’ 유통되고 있었다. 가장 애용되고 있는 구마라집 한문역 금강경조차도 낙간이 심하다. 그래서 화엄경과 화이트헤드 연구회의 도움으로 낙간부분을 보완한 ‘비교적 완전하게 복원한 금강경’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조계종 금강경 11∼15장을 교감하여, 한글세대를 위하여 현대 한글로 번역하고, 다시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가사체로 다듬어서 제시한다.즉 작업은 삼단계로 이루어졌다. 1단계는 낙간부분을 보완하는 작업이었다. 천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되는 10편의 금강경을 근거로 조계종 한문 금강경에 500글자 정도를 보완하였다. 문장투는 조계종 한문 금강경 즉 구마라집 한문역 금강경을 최대한 존중하였다. 즉 낙간 부분을 보완하면서도 구마라집식 한문으로 번역하려고 노력하였다. 2단계는 한글 번역인데 내요은 산스끄리뜨 말을 존중하였으며, 산스끄리뜨어는 심한 수동형에 명사중심적이며, 영어는 약한 수동형에 조동사중심적이며, 한글은 심한 능동형에 동사중심이라는 것을 고려하여,논리적 분석을 통해 현대어로 번역하였다. 3단계는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가사체 즉 4자-4자-4자-4자씩 한 줄에 16자씩 배치하는 형식으로 다듬었다. In the Renewed Diamond Sutra(Ⅰ), Chapter 1∼5 of the Kumarajiva``s version(Jogye-order version) were corrected. In the Renewed Diamond Sutra(Ⅱ), Chapter 6∼10 were corrected, and in this paper, Chapter 11∼15.The Diamond Sutra was translated into English and into Korean by many scholars, but little effort was offered to complete the Diamond Sutra. As a result,almost all of the Diamond Sutra, even the Kumarajiva``s version, have many severe problems and/or dropout.On the support of "Huayen Sutra and Whitehead Study Group", I propose more perfect Diamond Sutra and the 4-4-4-4 Korean-alphabet version. the work is composed of 3 stages. the first stage is achieving a complete version. The second stage is translating into modern language, as you know, the sanskrite is severely passive style and noun-centered, the English is mildly passive and auxiliary verb-centered, and the Korean is severely active and verb-centered. The last stage is to accommodate into 4-4-4-4 Korean-alphabet version.

      • 七佛庵 石經에 대한 硏究

        박부자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보 Vol.0 No.40

        본고는 新羅의 石經 중 경주 七佛庵에서 출토 혹은 발견된 石經 5片을 대상으로 그간의 논의를 되짚어 보고, 각 片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핀 것이다. 먼저 [경주 155](大)는 그간 『金剛經』으로 알려진 조각인데 본고를 통해 金剛經의 여러 異譯 중 鳩摩羅什 번역본임이 밝혀졌다. 한편 [경주 155](小), [경주 200], [경주 10586]에 대해서는 그간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으나 본고를 통해 약사경 중 玄奘 번역본인 『藥師琉璃光如來本願功德經』임이 밝혀졌다. [경주 155](大)와 마찬가지로 1행 36자로 되어 있으며 내용 상 [경주 155](小) - [경주200] - [경주 10586]의 순서임을 알 수 있었다. 校勘한 결과 [경주 155](小)에서 기존에 ‘完’이라고 판독한 글자는 ‘肉’의 異體字인 ‘宍’이며, ‘所’ 등도 古字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황수영 소장 칠불암 석경은 두 글자만 남아 있기 때문에 經名을 명확히 알 수 없다. 다만 남아 있는 글자로 추론해 보건대 금강경보다는 약사경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provides a literature review of five pieces of scripture stones either excavated from or discovered at Chilbulam(Seven Buddha’s Hermitage) in Gyeongju and examines each piece in detail. Firstly, this paper shows that [Gyeongju 155] (large), which is known was a copy of Diamond Sutra(金剛經), is a version translated by Jiūmóluóshí(鳩摩羅什). Although little is known about [Gyeongju 155](small), [Gyeongju 200], and [Gyeongju 10586], this paper has discovered that they are identified as Sutra of the Vows of the Medicine Buddha(藥師琉璃光如來本{願功德 經) translated by Xuánzàng(玄奘) from Buddhist scriptures of the medicinal doctor (藥師經). In common with [Gyeongju 155](large), they are written in one line with thirty-five words. It has been also discovered that the contents of three pieces are in order of [Gyeongju 155](small), [Gyeongju 200], and [Gyeongju 10586]. Furthermore, The result of cross-checking says a letter deciphered as 完 in Gyeongju 155] (small) has turned out to be 宍, which was another letter for 肉. Similarly, old letters were used in replacement for several letters such as所. Lastly, the scripture stone owned by Suyeong Hwang has only two letters left on it, thus it is not difficult to know the title of the scripture. However, one surmise from the letters available that it is likely to be from Buddhist scriptures of the medicinal doctor(藥師經), rather than Diamond Sutra(金剛經).

      • KCI등재후보

        현장의 五種不飜의 음역 이론의 연구

        문을식(Moon eul-sik) 한국불교연구원 2007 불교연구 Vol.26 No.-

          This study requires Hsuantsang’ translating attitude, the principle of the use of transliteration, propriety etc of five kinds of non-translation. Then this aim at study the basic study to devise a proper measure. The main contents deal with the principle of the use, he actual conditions, propriety of five kinds of non-translation. However according to take a census of the transliteration in the Praj??p?ramit?h?dayas?tra and Vajrachedikapraj??p?ramit?s?tra, it is found out that Hsuantsang himself did not keep to the principle of the non-translation.

      • KCI등재

        19세기 유럽에서 발행된 만문(滿文) 『금강경』에에 관한 연구

        박서연 한국불교학회 2020 韓國佛敎學 Vol.95 No.-

        This writing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churian manuscript of the Diamond Sutra published in Vienna, Austria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one published on a woodblock by Emperor Qianlong. the Manchurian manuscr -ipt of the Diamond Sutra was transcribed by Ching Chai and the imperial Miyan Fang prior to being brought to Europe. The Manchurian manuscript of the Diamond Sutra does not have a Buddha’s picture in the sense of protecting the scriptures. This system is different from the version by Emp -eror Qianlong. The Manchurian manuscript of the Diamond Sutra has an oath and a mantra that cleanses the mouth before the text. The Manchurian manuscript of the Diamond Sutra is very similar to that translated by Kumārajīva. The transliteration of the Sanskrit appears in the Manchurian manuscript of the Diamond Sutra. But it does not appear in the translation of Kumārajīva. In addition, there are some examples of the cha -nge of Manchu vocabulary used in about 50 years between the late 18th century and the mid 19th century. In terms of content, there is also a difference between the Manchurian manuscript of the Diamond Sutra and the Emperor Qianlong version. 본 연구는 1897년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 동양학연구소에서 발행한 학술지에 실린 만문 『금강경』 [샤를 드 할레(Charles de Harlez) 가 필사본을 전사한 것]과 18세기 후반에 편찬된 만문대장경 제52함에 수록된 만문 『금강경』(목판본)을 상세히 대조하여 두 문헌간의 연관성 및 만문 『금강경』 필사본의 저본과 관련한 문제점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만문 『금강경』 필사본을 필사한 사람은 칭 차이(Tching tchai)와황족 미얀 팡(Miyan pang)이며, 필사기간은 1834년에서 1836년 7 월까지이다. 이후 어느 시기에 유럽으로 전해진 듯하다. 샤를 드 할레가 입수한 필사본에는 만주어역과 한역 외에 몽골어역과 티벳어역이 첨부되어 있었다. 이 필사본은 그 당시까지 유럽에는 없었고, 또유럽인들에게 전혀 알려지지 않은 것이었다. 샤를 드 할레가 전사한 것에는 호경판이 없으며, 『금강경』 본문 앞에 『반야심경경』 및 ‘입을 청결히 하는 진언’과 개경게 등이 있다. 이러한 필사본의 체재는 목판본과 다른 것이며, 현재 우리나라 대한불교조계종에서 펴낸 독송용 『금강경』의 체재와 매우 유사하다. 필사본과 목판본을 대조한 결과, 어휘와 구문 및 내용상의 차이를확인할 수 있었고, “sindambi”, “bargiyambi” 등의 단어를 통해 18세기후반과 19세기 중반 사이에 진행된 만주어 어휘의 변화 양상을 읽을수 있었다. 필사본은 구마라집 역 『금강경』과 매우 유사하지만 범어음역에서 차이를 보이며, 목판본은 참조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투고논문 : 범(梵),장(藏),돈황본 『금강경』 대조 연구

        최종남 ( Jong Nam Choi ) 인도철학회 2009 印度哲學 Vol.0 No.27

        실크로드 역사에서 중심역할을 한 돈황은 세계적인 造型遺産과 文獻遺産을 남겼다. 이 중에서 문헌유산은 2만 여점의 필사본들이다. 이들은 莫高窟제 17호굴에 밀봉된 채 보존되어 있다가 도사 王圓?과 그의 조수 楊씨에 의해 光緖226(1900)년에 발견되었다. 발견된 필사본 2만 여점은 대부분 佛典들로서 한문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돈황사본 중에서 完本, 혹은 完本에 가까운 20점의 대승불전 『금강경』을 산스크리트어 원전, 티베트어 번역본, 고려대장경과 대조하고, 그리고 이와 함께 중국과 일본의 大藏經類인 房山石經, ?砂大藏經, 永樂北藏, 乾隆大藏經, 大正新修大藏經을 각각 대조·연구하였다. 이들의 언어별, 大藏經類別대조에 의하면 돈황사본에 상당수의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①단어, 혹은 문장 생략, ②단어 첨삭, ③비슷한 한자로 誤記, ④단어倒置, ⑤단어를 바꾸어 필사, ⑥단어, 혹은 문장을 중복 필사, ⑦문장을 다르게 구성하여 필사, ⑧필사시 빠뜨린 단어, 혹은 문장을 오른쪽 옆빈 行에 기록한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은 예들로 보아 돈황사본은 신앙과 기원을 위하여 필사하였고, 그리고 돈황사본의 필사 시기는 대부분 北宋蜀版大藏經의 開版이전인 971년 전에 필사되었으리라고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敦煌寶藏』에 수록되어 있는 卷5까지 중에서 스타인 본 『금강경』(구마라집 번역) 20점만을 중심으로 대조·연구하였다. 아직도 수천 점의 『금강경』이역본별, 언어본별 필사본들이 현존하고 있다. 많은 관련학자들이 동참하여 이와 같은 필사본들을 경전의 原意에 가깝게 교감·연구하였으면 한다. Dunghuang who took an important role in history of the Silk Road left legacies of international formative arts and literatures. Among these, The legacies of literatures consist of 20 thousand manuscripts. They were in good preservation with sealing up in the 17th cave of Mogao Cave, and found by an enlightened buddhist Wang Yuanlu and his assistance Mr. Yang in Guangxu 226(A.D. 1900). Most of the found manuscripts are Buddhist scriptures in Chinese. The rest are manuscripts in Sanskrit, Tibetan, Mongolian and languages of Central Asia. These manuscripts that were collected by expedition parties of England, France, Japan, Russia, America, etc. are displayed in libraries, museums, etc. of each countries. This treatise compares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 20 Mahayana scriptures that are complete works or close to them in Dunghuang`s manuscripts with original works in Sanskrit, translated ones in Tibetan and Tripitaka Koreana. In Addition, this paper studies Tripitakas of China and Japan such as Fang Shan Shi Jing, Tripitaka of Jisha, Tripitaka of Northern Yongle Edition, Tripitaka of Qianlong and Taisho Shinshu Daizokyo im comparison. I have found a lot of faults in Dunghwang`s manuscripts by comparison in languages and with other Tripitakas. The faults are followings. ①omission of words or sentences, ②correction of words ③miswriting with similar Chinese character, ④inversion of words, ⑤use of new words ⑥duplication of words or sentences, ⑦change in construction of sentences, ⑧writing omitted words or sentences at copying in the blank line at left, etc. I presume with above mistakes that Dunghwang`s manuscripts were copied for faith and prayer before A.D. 971 when Tripitaka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Shu edition had been revised. This paper compares and studies only 20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s(translation by Kumarajiva) of Stein among 5 books contained in Dun Huang Bao Zang. Thousands of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s still exists in other languages and translation versions. I hope that a lot of scholars take part in studying the above manuscripts in comparison with original works.

      • 현장의 불전 번역 원칙

        조윤경(Yoonkyung Cho)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9 불교와 사회 Vol.11 No.2

        서역의 불전을 한문으로 정확하게 번역해내는 것은 중국불교가 당면한 과제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것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논문은 현장 이전의 번역을 대표하는 도안과 구마라집의 불전 번역에 관해 살펴보고, 현장의 불전 번역이 지닌 특징을 도출하기 위해 현장의 번역 원칙이 이들과 어떤 점에서 다른지 고찰한다. 현장 이전의 불전 번역가들은 대략 직역파와 의역파로 나뉜다. 도안은 ‘오실본삼불역(五失本三不易)’이라는 원칙을 제시하며, 불전 번역에서 직역을 중시한 반면, 구마라집은 비교적 간결한 문장으로 원문의 내용에 충실한 의역을 추구했다. 현장의 신역은 양적․질적인 측면에서 모두 뛰어난 번역이라고 평가받는데, 특히 인도의 원본에 가장 충실한 정확한 번역이라는 후대의 평가를 받았다. 현장은 보다 체계적이고 발전된 형태의 불전 번역 이론을 갖추었는데, 바로 ‘오불번(五不翻)’ 및 ‘정번(正翻)’, ‘의번(義翻)’이다. 그의 번역 이론은 음역, 직역, 의역의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불전 번역에서 여러 가지 번역 방법을 다양하게 구사하여 이전 번역에서 보이는 단점을 보완했고, 후대 동아시아 불전 번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It was undoubtedly the most important task to translate Indian Buddhist texts correctly into Chinese characters in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This paper examines the translation of Xuanzang compared with the previous translation by Dao’an and Kumārajīva, especially focused on their principles for the translation of Buddhist texts. While Dao’an emphasized literal translation proposing the principles of Transformation in the Five Cases and Preservation in the Three Cases (五失本三不易), Kumārajīva’s translation was closer to liberal translation and he tried to translate the texts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 original Sanskrit texts using concise Chinese sentences. The new translation of Xuanzang was evaluated for being excellent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and particularly appreciated for being the most accurate translation in accord with the original Sanskrit texts. He presented a more systematic and advanced theory of translating Buddhist texts: Transliteration in the Five Cases (五不翻), Literal Translation (正翻), and Liberal Translation (義翻). It is significant in that Xuanzang's translation theory provided the criteria for transliteration, literal translation, and liberal translation, and he overcame the imperfections of previous translation by using various methods in the translation of Buddhist texts.

      • KCI등재

        梵・藏・돈황본 『금강경』 대조 연구

        최종남 인도철학회 2009 印度哲學 Vol.0 No.27

        Dunghuang who took an important role in history of the Silk Road left legacies of international formative arts and literatures. Among these, The legacies of literatures consist of 20 thousand manuscripts. They were in good preservation with sealing up in the 17th cave of Mogao Cave, and found by an enlightened buddhist Wang Yuanlu and his assistance Mr. Yang in Guangxu 226(A.D. 1900). Most of the found manuscripts are Buddhist scriptures in Chinese. The rest are manuscripts in Sanskrit, Tibetan, Mongolian and languages of Central Asia. These manuscripts that were collected by expedition parties of England, France, Japan, Russia, America, etc. are displayed in libraries, museums, etc. of each countries. This treatise compares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 Sūtra 20 Mahayana scriptures that are complete works or close to them in Dunghuang's manuscripts with original works in Sanskrit, translated ones in Tibetan and Tripitaka Koreana. In Addition, this paper studies Tripitakas of China and Japan such as Fang Shan Shi Jing, Tripitaka of Jisha, Tripitaka of Northern Yongle Edition, Tripitaka of Qianlong and Taisho Shinshu Daizokyo im comparison. I have found a lot of faults in Dunghwang's manuscripts by comparison in languages and with other Tripitakas. The faults are followings. ①omission of words or sentences, ②correction of words ③miswriting with similar Chinese character, ④inversion of words, ⑤use of new words ⑥duplication of words or sentences, ⑦change in construction of sentences, ⑧writing omitted words or sentences at copying in the blank line at left, etc. I presume with above mistakes that Dunghwang's manuscripts were copied for faith and prayer before A.D. 971 when Tripitaka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Shu edition had been revised. This paper compares and studies only 20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 Sūtras(translation by Kumārajīva) of Stein among 5 books contained in Dun Huang Bao Zang. Thousands of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 Sūtras still exists in other languages and translation versions. I hope that a lot of scholars take part in studying the above manuscripts in comparison with original works. 실크로드 역사에서 중심역할을 한 돈황은 세계적인 造型遺産과 文獻遺産을 남겼다. 이 중에서 문헌유산은 2만 여점의 필사본들이다. 이들은 莫高窟 제 17호굴에 밀봉된 채 보존되어 있다가 도사 王圓籙과 그의 조수 楊씨에 의해 光緖 226(1900)년에 발견되었다. 발견된 필사본 2만 여점은 대부분 佛典들로서 한문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돈황사본 중에서 完本, 혹은 完本에 가까운 20점의 대승불전 『금강경』을 산스크리트어 원전, 티베트어 번역본, 고려대장경과 대조하고, 그리고 이와 함께 중국과 일본의 大藏經類인 房山石經, 磧砂大藏經, 永樂北藏, 乾隆大藏經, 大正新修大藏經을 각각 대조・연구하였다. 이들의 언어별, 大藏經類別 대조에 의하면 돈황사본에 상당수의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①단어, 혹은 문장 생략, ②단어 첨삭, ③비슷한 한자로 誤記, ④단어 倒置, ⑤단어를 바꾸어 필사, ⑥단어, 혹은 문장을 중복 필사, ⑦문장을 다르게 구성하여 필사, ⑧필사시 빠뜨린 단어, 혹은 문장을 오른쪽 옆 빈 行에 기록한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은 예들로 보아 돈황사본은 신앙과 기원을 위하여 필사하였고, 그리고 돈황사본의 필사 시기는 대부분 北宋蜀版大藏經의 開版 이전인 971년 전에 필사되었으리라고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敦煌寶藏에 수록되어 있는 卷5까지 중에서 스타인본 금강경(구마라집 번역) 20점만을 중심으로 대조・연구하였다. 아직도 수천 점의 금강경 이역본별, 언어본별 필사본들이 현존하고 있다. 많은 관련학자들이 동참하여 이와 같은 필사본들을 경전의 原意에 가깝게 교감・연구하였으면 한다.

      • KCI등재

        동아시아적 전환 시발점으로서의 돈황 불교에 대한 고찰

        한지연 ( Jee Yeon Han ) 인도철학회 2012 印度哲學 Vol.0 No.34

        An awareness of the Dunhuang tends to be appraisal quite oriental in the way of thinking. However entering to 21century, for the first time reconsideration on the Dunhuang is arising in new also an awareness of the Dunhuang Buddhism showing that still has a matter to reconsider. Accordingly, this paper reinterprets about the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Dunhuang Buddhism and makes an attempt to solve the problem about that changing process limit to the Sui-Tang period. But the sources given definition on Dunhuang Buddhism are limited and thus take a look which appearing in the Mogao Caves and Yu-lin-ku of Anxi with in phenomenological side. Through this, investigate character of the Dunhuang Buddhism and watched the religious belief, social aspect and interchange of ideas at that time. On this, introduction of Buddhism is not one sided introduction in the start point of Dunhuang Buddhism and able to see a series of development process which exist in harmonize with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lso, just before the raising Chang-An Buddhist period, it is able to identify the Dunhuang Buddhism took a role of later Chang-An Buddhism. The reason that described centering to Chang-An Buddhism, for remaining active activity in records as an ending point and the Dunhuang which via area of active Buddhist monks actually over a medium role, must see as a foundation role to develop the Buddhism in Chang-An. And up to now being discussed mainly the maximization of Buddhist faith through the culture of Dunhuang though, on the other hand when concern the activities of many different races, it must consider of possibility that Buddhism was the role in represent not the Chinese culture but the culture of different race. Development of Northern Buddhism in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y and in Tang dynasty, it is able to see of appearing the point of similarity with method of Buddhist development. This is not the reconsideration of Dunhuang Buddhism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later Buddhist history but will be the interpreted result due to the affect in central district in directly and indirectly by the method of Buddhist development in Dunhua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