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부 농어촌 지역 경찰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가구강건강상태와의 연관성

        구인영 ( Ku In-young ),가경환 ( Ka Kyung-hwan ),김은희 ( Kim Eun-hee ),문선정 ( Moon Seon-jeong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3

        경찰공무원은 업무 특성상 스트레스, 분노, 불안 등의 정신적·감정적 상태를 동반하는 위험하고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고, 직무스트레스는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기능에 크고 작은 변화뿐만 아니라 중요한 전신건강 영역인 구강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경찰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가구강건강상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구강건강증진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구강건강상태와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6년 6월부터 7월까지 일부 농어촌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경찰서에 근무하는 경찰공무원 53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하였다. 설문조사는 경찰공무원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및 취지를 설명한 후 직접방문을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내용이 불성실한 24부의 자료를 제외한 506부의 설문 결과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의 구성내용은 일반적 특성 7문항, 자가구강건강상태 5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직무스트레스 도구는 한국직무스트레스학회에서 개발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 24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ANOVA, 카이제곱검정,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가구강건강상태와의 연관성을 조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치아의 통증이 1.748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잇몸출혈은 1.80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취 증상은 2.798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턱소리 또는 통증은 3.56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인지하는 자가구강건강상태는 좋지 않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경찰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요인 및 수준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자가구강건강상태를 비교함으로써 경찰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가 치아통증, 잇몸출혈, 구취, 턱 통증을 포함한 자가구강건강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여 향후 경찰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구강건강증진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경찰 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고, 자가구강건강상태의 개선을 위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홍보 방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olice officers are often exposed to dangerous and unpredictable situations accompanied by mental and emotional states such as stress, anger, and anxiety due to their work characteristics. Their job stress can affect not only large and small changes in physical, mental, and emotional functions, but also oral health, an important general health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of police officers and to establish basic data for developing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is study, we surveyed 530 police officers who work in police stations in Kyungbuk area from June to July, 2016, using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fter visiting the police officers, explaining the purpose, contents and purpose of the study. The results of 50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the 24 questions which were not answered properl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7 general characteristic items and 5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items. The job stress inventory used was shortened 24 items measuring Korean job stress developed by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Stress. Independent sample T-test, ANOVA,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conducted for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study finding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of the police officers were as follows. First, the 1.748 times higher the job stress, the more pain in the teeth appeared. Second, the 1.806 times higher the job stress increased, gum bleeding and the 2.798 times higher the job stress increased, bad breath symptoms appeared. Third, the 2.798 times higher the job stress, the more the jaw sound or pain was caused. Therefore,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worse the perceived oral health condition.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related to job stress and oral health promotion of police officers in the future, through identifying the factors for job stress and job stress level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ed police officers,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and the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of them, and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 job stress level of the police officers on their oral health status including dental pain, gum bleeding, bad breath, and chin pain. Based on the results, the government should devise measures to reduce the job stress of police officers, and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improving oral health conditions.

      • KCI등재

        일부 군인의 구강건강상태인식과 구강증상의 관련성

        김민지(Min-Ji Kim),하정은(Jung-Eun Ha),심재숙(Jea-Suk Shim),강윤미(Yoon-Mi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0

        본 연구는 일부 군인의 구강건강상태인식과 구강증상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추후 군인들의 구강건강향상과 삶의 질 증진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여 참여를 희망하는 군인 26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일반적인 특성과 구강건강상태인식을 교차분석 하였으며, 구강증상이 구강건강상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건강하지 않음’은 29.7%, ‘보통’은 52.9%, ‘건강함’은 17.5%로 나타났다. 구강건강상태인식에 영향을 주는 증상으로는 ‘치아가 아프다(β=0.262), ‘잇몸에서 피가 난다(β=0.170)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군인들에게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하여 군인들이 구강건강에 관심을 가질 동기부여의 기회를 제공하고, 또한 구강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함으로써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과 인식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This purpose of study is to develop basic data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along with the enhancement in oral health by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related symptoms among the Korean soldiers.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263 soldiers. The collected data was performed frequency & percentage, chi-squar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29.6% of Korean soldiers rated their oral health as poor, 52.9% as fair, and 17.5% as good.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 of the Symptoms to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ooth pain(β=0.262)’, ‘gingival bleeding(β=0.170)’. Accordingly, the purpose is to offer an opportunity of motivation that soldiers will have interest in oral health, by carrying out continuously oral health education, and is also to increase knowledge and awareness level on oral health by allowing them to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 oral health.

      • KCI등재

        일부지역 고등학생들의 매점이용에 따른 칫솔질행태와 구강건강상태인식

        윤성욱(Sung-Uk Yoon),오나래(Na-Rae Oh),정미애(Mi-Ae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2

        본 연구는 매점이용과 구강건강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대구, 경북 28개의 고등학생들 280명의 매점이용에 따른 칫솔질 행태와 구강건강상태인식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결과를 얻었다. 식사 및 간식 후 칫솔질은 여학생, 3학년에서 높았다. 칫솔질 후 10번 이상 입헹굼은 여학생, 자가용, 구강보조용품을 사용하는 경우는 여학생, 3학년, 자가용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매점이용 빈도 전체 평균은 2.26이며 구강건강상태인식은 3.44이다. 매점이용 빈도는 2학년, 등교시간 오전 8시 이전, 용돈은 많을수록 높았다. 구강건강상태인식은 남학생, 통학버스, 용돈은 많을수록 높았다. 칫솔질행태에 따른 매점이용 빈도는 3분 이상 칫솔질 시간에서 2.45로 높았고, 구강건강상태인식은 구강보조용품을 사용할 경우 3.32로 높았다. 구강건강상태인식, 일반적인 특징, 칫솔질행태가 매점이용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Y(매점이용 빈도)= -952 + .393(구강건강상태인식) - 1.721(등교시간) + .991(용돈) + 1.124(칫솔질 시간)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내 올바른 구강보건관리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이를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교육적인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toothbrushing behavior and perception of oral health con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use of cafeteria, 280 Students of 28 high schools in Daegu and Gyeongbuk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afeteria use and oral health. and then obt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like below. Toothbrushing after meals and snacks was high with female students and Grade3. Rinsing mouth for ten times or more after toothbrushing was high with female students and private car while the use of oral care products was high with female students, Grade3, and private car. The whole average frequency of using cafeteria was 2.26 while the perception of oral health condition was 3.44. The frequency of using cafeteria was high with Grade2, before time for school, and lots of allowance. The perception of oral health condition was high with male students, school bus, and lots of allowance. The frequency of using cafeteria in accordance with toothbrushing behavior was high with toothbrushing for longer than three minutes(2.45) while the perception of oral health condition was high in case when using oral care products(3.32). I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oral health conditi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oothbrushing behavior on the frequency of using cafeteria, it was analyzed like Y(frequency of using cafeteria)=-952+ .393(perception of oral health condition)- 1.721(time for school)+ .991(allowance)+ 1.124(duration of toothbrushing).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system to continuously practice the correct oral health care education in school.

      • KCI등재

        일부지역 임신부의 구강건강상태와 행태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OHIP)

        허아롱(A-Rong Heo),송귀숙(Kwui-Sook Song),차은종(Eun-Jong Cha),김경아(Kyung-Ah Kim),손호선(Ho Sun Shon)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8

        본 연구는 임신부의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행태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조사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6월23일∼7월30일까지 전라북도 일부지역 임신부 12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을 사용하여 주요 측정변수에 대한 Shapiro-Wilk 정규성을 검정하였다. 대상자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관심도는 임신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사대상자의 46.5%가 자신이 ‘건강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51.2%가 자신의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다’고 응답했고, 57.5%가 자신의 구강건강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했다. 구강건강행태에 따른 삶의 질은 구강보건교육경험이 없는 경우, 칫솔질 횟수가 3회 이하인 경우,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지 않은 경우, 치석제거 경험이 없는 경우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 OHIP-14에 유의한 영향변수는 임신기간이 길수록, 분만경험이 없고,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지 않을수록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구강건강 상태와 구강건강행태가 밀접한 연관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performed an investigation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behavior of pregnant women on quality of life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data was tested using the Shapiro-Wilk normality test for the key measuring parameters by using PASW Statistics 18.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interes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eriod of in pregnancy. 46.5% of surveyed subjects considered themselves as ‘healthy’, and 51.2% considered their oral health status was ‘healthy’ while 57.5 responded they were interested in the oral health. As for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behaviors, when the subjects did not have any experience of receiving oral health education, when the tooth brushings were ≤ 3 times, when they had not received examination on a regular basis, and when they had no experience of scaling, the quality of life was very low. Significant impact variables on the OHIP-14 include longer pregnancy term, no experience of childbirth,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poorer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the low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as necessary to develop improve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because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closely associated with oral health and oral health behaviors perceived subjectively.

      • KCI등재

        노인의 구강건강상태 및 구강건강행태가 의치필요와의 관련성

        정유연(Yu Yeon Jung),박효정(Hyo-Jeo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6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여 노인들의 구강건강상태와 의치필요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민건강 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 (2010)원시자료’의 건강설문조사와 구강검진을 활용하여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 수준과 구강관리 행태에 따른 의치필요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분석하였다. 목표 모집단을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대한민국 국민이며, 65세 이상 노인표본 1,419명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의치필요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카이제곱검정과 교차비 확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 중 씹기 불편(p<0.001)과 말하기 불편(p<0.001)이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객관적 구강건강상태에서는 치아우식증 유병률(p<0.001)이 있는 노인에서 의치필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구강건강관리 행태에 따른 의치 필요도는 구강위생보조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노인과 치과치료를 받지 않는 노인에서 의치필요도가(p<0.001)매우 높은 것으로 검토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노인의 주관적?객관적 구강건강상태 및 구강건강관리 행태에 따른 의치필요도가 파악되었으며 이러한 결과의 바탕으로 노인의 구강건강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보존될 수 있도록 활발한 구강보건교육 및 전문가 관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계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basic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program for promotion elderly people’s oral condition, and oral health behavior upon the appearance of denture. This study was performed by utilizing health questionnaire survey and oral examination survey for first year(2010) law data of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research subjects were 1419 people who were aged over 65 and completed the oral examination and oral questionnaire survey.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need of denture was indicated highly in the male elderly. Factors of having relationship with a need of denture in oral health condition were indicated to be chewing difficulty(p<0.001) and dental caries(p<0.0001). The case of not using oral hygiene device was high in a need of denture(p<0.001). Also, a case of not dental treatment was indicated to be high in a need of denture(p<0.001). Through these related findings, the elderly’s oral condition and oral health behavior were indicated to have high relationship with a need of denture. There is a need of securing basic data for promoting the elderly’s oral health in the future and of seeking a plane for appli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elderly’s health in the aging society. Therefore there is a need of securing and seeking elderly’s health program which is considered the aging society’s characteristics to improve the elderly’s health promotion.

      • KCI등재

        만성정신질환자의 구강건강 상태, 지식 및 실천행태에 관한 연구

        김영선,안혜경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d the status, knowledge and practice of oral health, and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the practice of oral health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The examination and questionnaires survey were done 133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in certain areas from Oct 10, 2014 to Nov 30, 2014. As for the practice oral health,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according to exercise (t=3.09, p=0.002),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F=3.06, p=0.003), oral health education (t=2.56, p=0.012), dental check-ups (t=5.12, p<0.001), scaling (t=3.81, p<0.001), brushing times for day (F=9.67, p<0.001) and subjective oral dryness (F=4.25, p=0.007). The practice of oral health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rushing times for day (r=0.42, p<0.001) and knowledge of oral health (r=0.38, p<0.001).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practice of oral health for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were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β=0.20, p=0.006), dental check-ups (β=0.26, p<0.001), brushing times for day (β=0.28, p<0.001) and knowledge of oral health (β=0.30, p<0.001), which explained 37.0% of variance in practice of oral health. 본 연구는 만성정신질환자들의 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함에 중요한 구강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구강건강상태는 우식경험영구치지수, 평균치면세균막지수 및 구취지수로 측정하였으며, 구강건강지식과 구강건강실천행태는 설문지를 통해 측정되었다. 본 연구결과 정신질환자들의 구강건강상태에서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14.11±5.38점, 평균치면세균막지수 1.71±1.10점, 구취정도 3.85± 1.43점이었고, 구강건강지식의 평균점수는 3.72±0.60점, 구강건강실천행태는 3.13±0.69점이었다. 구강건강실천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β=0.20, p=0.006), 정기적인 치과검진(β=0.26, p<0.001), 양치횟수(β=0.28, p<0.001)와 구강건강지식(β=0.30, p<0.001)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요인들이 대상자의 구강건강실천행태를 37.0% 설명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일부 성인의 비만과 구강건강 상태의 연관성

        박은선(Eun-Seo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비만과 구강건강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성인의 구강건강과 비만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3월 10일부터 6월 13일까지 인천 지역에 소재한 ‘K’ 치과에 내원한 환자 중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지 작성에 동의한 환자 229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비만도 조사는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를 이용하였고, 구강상태는 자가인지한 구강건강상태, 치주건강상태, 치아건강상태, 점막건강상태, 상실치아상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문항으로 조사하였다. 체질량지수와 열악한 치주건강 상태는 33.3%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복부비만은 치주건강상태가 나쁜 경우 10.9%를 나타냈다. 현존하는 치아가 20개 이하인 군에서 복부비만이 28.6%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체질량지수와 복부비만이 높은 군은 정상인 보다 신체 동통, 심리 불편, 신체적 능력저하, 심리적 능력저하, 사회적 불리,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만과 치주상태, 입안점막상태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따라서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구강건강습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기적인 검진과 교육 뿐 만 아니라 비만을 예방하고 관리시킬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는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oral health and obesity management of adults by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oral health. Among the patients who visited the dental clinic, 229 patients who agreed to fill out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self - filling questionnaire.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used for the study of obesity. Body mass index and poor periodontal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ly higher(33.3%) and abdominal obesity and poor periodontal health status were 10.9%.Abdominal obesity was significantly higher(28.6%) in the group with less than 20 teeth. Body mass index and abdominal obesity were higher in body pain, psychological discomfort, physical abilities, psychological abilities, social disadvantage, and oral health than in normal subject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with obesity index, it was found that the more period of obesity, the more periodontal disease and mucosal state related symptoms appeared(p<0.05). Therefore, in order to solve health problems such as obesity,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and to make efforts to induce positive oral health behavior.

      • KCI등재

        장기요양보험 재가 수급자를 대상으로 한 구강건강 행위, 상태 및 요구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조민진 ( Min Jin Cho ),이광수 ( Kwang Soo Lee ),문경준 ( Kyeong Jun Moon ) 대한보건협회 2015 대한보건연구 Vol.41 No.3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보험 환자 중 재가 수급자를 대상으로 사회경제학적 특성을 통제한 후 구강건강행위,상태, 요구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원주시와 경기도 화성시에 소재한 방문요양센터 5곳에 등록된 재가 장기요양서비스 수급자를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013년 9월 25일부터 10월 25일까지 한 달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180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기술통계와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고, 경로분석은 AMOS 19.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결과는 첫째, 구강건강행위는 구강건강상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둘째, 구강건강상태는 구강건강관리요구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셋째, 구강건강행위는 구강건강관리요구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넷째, 구강건강행위와 구강건강상태는 구강건강관리요구도에 연령그룹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재가 수급자들을 관리하는 방문요양센터 구강건강관리자는 지속적으로 구강건강행위 습득을 전달하고 수행 할 필요가 있으며, 재가 장기요양서비스 수급자의 구강건강행위와 상태 그리고 구강건강관리 요구도를 파악하여 구강건강을 향상시킴으로써 전신건강도 함께 향상 될 것이다. 고령화가 본격화되는 장래에는 구강관리에 대한 요양수요를 안정적으로 흡수하고 맞춤형 방문구강위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준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ral health behavior, oral health condition and oral health management needs after controlling the socioeconomic factors for the home carebeneficiaries of long-term care insurance. Methods: The data was gathered from 180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the beneficiaries of long-term care insurance program in Korea who registered in the elderly day care center of Wonju, Gangwondo and Hwaseong, Gyeonggido between 2013. 9. 25 and 2013. 10. 25. SPSS v21.0 was used for the descriptive analysis, factorial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Path analysis was applied with AMOS v19.0. Results: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were as following: (1) oral health behavior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oral health condition, (2) oral health condi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needs for oral health management, (3) oral health behavior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needs for oral health management, (4) the effects of age on oral health behavior, oral health condition and oral health management needs were differed depending on the age groups.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s reveal that it is necessary for an oral health care giver to train the home care service beneficiaries to have desirable oral health behavior on the long-term basis. Improving oral health condition by understanding their oral health behavior, condition and needs will also improve their overall health condition.

      • KCI등재

        노인의 구강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건강과 사회활동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은진 ( Lee Eun-jin ),김준표 ( Kim Jun-pyo ) 한국융합과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노인의 구강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주관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사회활동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분석 자료로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 7차 본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4,181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형 검증은 SPSS PROCESS macro의 model 4와 model 8을 적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부트스트랩검정을 실시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구강건강은 삶의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구강건강의 악화는 삶의 만족을 감소시킨다. 둘째, 주관적 건강상태는 노인의 구강건강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구강건강의 악화는 삶의 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주관적인 건강상태를 감소시켜 삶의 만족을 떨어뜨리는 것이다. 셋째, 노인의 구강건강과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의 매개모형에서 사회활동은 구강건강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 각각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활동 수준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가 구강건강 악화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의 감소를 완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론: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노인 구강건강 관리 및 구강질환 예방 차원의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노인 구강건강 증진 서비스의 확대가 필요함을 제안하였고, 노인의 구강건강 상태를 고려한 사회활동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을 제언하였다. Pu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self-rated health and moderated-mediation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Methods: Data for the study was 4,181 elderly from the 7th waves of KLoSA(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For analysis, frequency, descriptives, correlation with SPSS were used, and with SPSS macro Process model 4, 8 and bootstrap analysis were performed for examining moderated-mediation effects and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Result: First, the oral health of the elderly affected their life satisfaction negatively. Next, self-rated health showed the partially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Third, in the mediation model among oral health,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ed-mediation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were examine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showed a moderation effect that relieved the self-rated health from worsening oral health and the decrease of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suggested expansion of elderly oral health examination from the needs of social program for maintaining oral health and preventing dental disease. It also suggested ways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elderly oral health status.

      • KCI등재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허성은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9

        본 연구는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융합연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비 흡연 그룹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흡연 그룹보다 높게 나타났고,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에 대한 고 그룹이 저 그룹에 비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 모두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정 (+)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주관적 전신건강상태가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전신건강을 통한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전신과 구강의 융합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은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의 연관된 중요성을 교육할 수 있는 중요한 매체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bjective systemic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rough a convergence study. The data collected by a survey on adults liv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non-smoking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moking group, and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higher in the high group for the subjective systemic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than in the low group. Subjective systemic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both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especially the subjective systemic health status had a greater influence. Therefore, as the improvement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s expected through systemic health, it is considered that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could be an important medium to educate the associated importance of systemic health and oral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