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회 조직행정과 교회 성장의 상관관계 분석

        양영태 한국교회법학회 2022 교회와 법 Vol.9 No.1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hurch Organization Administration and Church Growth Yang, young tae * This article is relationship of how the administration of church organization affects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church. It is Jesus Christ himself who founded the church. The church is a place where there is no choice but to grow. Because God is the one who builds and leads the church. Of course, growth here does not mean only quantitative growth.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measure qualitative growth or spiritual growth, this paper focused on quantitative growth. An important fact in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church is that the administration of the church organization is closely related. As an example, the Yeouido Full Gospel Church,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chur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church that has grown by effectively utilizing the administration of district organization. Second, the rapid growth of global churches in a short period of time is ranch organization administration. In addition, Gwacheon Church is a church that has grown through regional organizational administration and evangelism. As such, it shows that the church is growing according to how to manage organizational administration. At the moment when the growth of the church has stopped, the need for more management of the church organization administration is raised. However,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pursuing only this quantitative growth can lead to damage to the nature and spirit of the church. In addition to quantitative growth through administration, the church should have a mission of church organization administration to restore the true nature of Jesus Christ, the spiritual essence of the church. True church growth can be achieved when administration is carried out by the center of God's sovereignty, which is a true church organization administration. The administration of church organization is God-centered, and it is hoped that the church will grow more quantitatively through more strategic church organization administration. ■ 초록 “교회 조직행정과 교회 성장의 상관관계 분석” 본 논문은 교회 조직행정이 교회의 양적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관계성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교회를 세우신 분은 예수 그리스도 자신이시다. 교회는 성장할 수밖에 없는 곳이다. 왜냐하면 교회를 세우시고 이끌어 가시는 분이 하나님이시기 때문이다. 물론, 여기서 성장은 양적 성장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질적 성장 혹은 영적 성장은 측정하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본 논문은 양적 성장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교회의 양적 성장에 있어서 중요한 사실은 교회 조직행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그 사례로, 교회의 양적 성장의 가장 대표적인 여의도 순복음교회는 구역조직행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성장한 가장 대표적인 교회라 하겠다. 두 번째로, 짧은 시간에 급성장한 지구촌교회의 양적 성장은 목장 조직행정이라 하겠다. 또한, 과천교회는 구역조직행정과 전도를 통하여 성장한 교회라 하겠다. 이렇듯이 교회는 조직행정을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따라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교회의 성장이 멈춰진 현시점에서 교회 조직행정을 좀 더 어떻게 운영할지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다만, 이러한 양적 성장만을 추구한다면 교회의 본질과 영적인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교회는 행정을 통한 양적 성장과 더불어 교회의 영적인 본질인 예수그리스도의 본 모습을 회복해야 하는 교회 조직행정의 사명을 가져야 한다. 진정한 교회 조직행정인 하나님 주권 중심에 의한 행정이 이루어질 때 진정한 교회 성장을 이룰 수 있다. 교회 조직행정은 하나님 중심적이며, 좀 더 전략적인 교회 조직행정을 통하여 교회가 더욱 양적으로 성장하기를 바란다.

      • KCI등재

        한국교회 성장동력의 분석과 평가

        조재국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6

        본 논문에서는 먼저 한국교회의 현실을 분석하여 성장둔화의 원인에 대하여 살펴보고, 선교의 당위성과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교회 성장학에서 논의해온 교회성장의 개념과 평가지표 및 한국의 교회성장이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에 한국의 대표적인 8개교회, 즉 서초중앙교회, 지구촌 순복음교회,여의도침례교회,신양교회,거룩한빛광성교회,만나교회,향상교회,오산평화교회에 대한 신학자들의 실증적 연구결과를 분석, 종합하고, 신학자들이 제시한 성장의 요인들을 중심으로 교회의 성장의 인과관계를 찾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장에서의 평가지표를 염두에 두면서 공통적인 성장동력을 분석, 해석하였고, 미래교회의 새로운 모델을 전망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다음과 같다. 한국교회는 지금 장기간의 성장 둔화 및 침체기를 극복하려는 움직임으로 충만하다. 거기에는 지난 한 세기를 풍미한 전통적인 목회와 교회조직이 아니라, 새로운 성장동력의 발견을 통한 적극적인 교회갱신이 필수적인 조건이다. 필자의 생각에는 상기의 성장동력교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문제의식은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고 본다. 그것은 교회의 본질에 대한 바른 이해와 더불어 교회다운 교회의 형성을 위한 전략적 차원으로서의 성장이해이다. 성숙한 신앙의 삶을 실천하여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일이 교회성장의 목적인 바, 그것은 필연적으로 신앙적, 영성적 성장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다음으로, 한국교회의 새로운 선교를 위해서는 교회의 이미지 개선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교회의 브랜드 가치의 제고는 한국교회의 모든 역량을 다하여 달성하여야 하는 과제이다. 왜냐하면 한국의 일반인들은 개신교를 다양한 삶의 방식과 현대문화를 싫어하는 매우 배타적인 종교집단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기독교 선교에 대한 거부감을 불식시키는 일이 중요하다. 성장동력교회들이 모두 사회봉사프로그램을 통하여 섬김과 나눔을 실천하려고 하는 것도 교회에 대한 이미지 쇄신 없이는 교회성장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교회는 지난 세기에서 넘어온 부(負)적 유산, 즉 제도교회의 경직성과 이미지의 손상을 치유하지 않으면 미래교회의 성장을 맞이할 수 없다. 한국교회는 각 교회가 위치한 지역과 처지에 따라 최선의 동력을 찾겠지만, 그것은 분명 성장 동력 교회의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목회철학과 목회자의 리더십, 역동적인 예배, 교회의 거버넌스(행정)개혁, 평신도의 사역훈련, 가정 중시의 목회, 지역사회의 봉사라는 다섯 가지 가운데 하나가 될 것이다. This essay aims to analyze the cause of growth stagnation and to find out the justification and possibility of church growth in practice. At first, we seek the concept of the growth and value index or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hurches through the study on church growth. Then, we also analyze the results of a study by Korean theologians on 10 churches as follows; Seocho Central Church, Jigoochon Ful Gospel Church, Youido Baptist Church, Sinyang Church, Seodaemun Church, Geruhanbit Gwangsung Church, Mana Church, Hyangsang Church, Osan Pyungwha Church and Gunsan Sungkwang Church. We try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to assess causation of growing and emerging of those churches proposed by theologians. At last, we interpret the common growth elements of those churches with the value index as mentioned above and prospect a new model for the future church. We can propose the following contents resulting from the study. Korean churches are trying to overcome growth stagnation for the long term in order to find out a new strategy or renewal for church growth or emerge instead of a traditional church ministry or system during the last century. The above emerging churches have two tasks commonly as follows; one is the right understanding of nature for church, and the other is church growth as a strategical dimension for forming the desirable church. The purpose of church growth is to glorify God according to practice of a mature Christian life relevant to growth both in faith and in spirit. Moreover, renewing the church image to Korean churches comes first for new church growth. Korean churches have to try to restore their blended value to full capacity. Most Koreans view the Korean church as a very exclusive religious group to modern culture, so they have a negative image towards the Korean churches’ mission. To overcome it, the emerging churches are trying to practice sharing and servicing through various programs for their local communities. The Korean church cannot welcome its desirable growth in the future without solving its negative legacy from the last century due to the stiffness and image damage of the institutional church. The Korean church will find out the powerful emerging engines according to locations and situations of the church. One of them will come from ministry philosophy and leadership of minister, dynamic worship, governance renewal, layperson training, family central ministry and local community service resulted by this study.

      • KCI등재

        교회성장 동력의 요인으로서 신양교회 사례연구와 분석에 관한 연구 - 사람을 살리고 사람을 세우는 신양교회 -

        위형윤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2

        한국교회 성장요인의 배경에는 경제성장과 더불어 카리스마적 지도자들의 출현, 등으로 대형 교회들이 출현하여 소형교회를 돕는 일, 대사회적인 교회사명을 감당하는데 앞장서 왔던 것으로 집약 할 수 있다. 동시에 선교적 열정이 고조되어 해외로 많은 선교사를 파송하여 대교회들은 선교적 열정에 힘을 쏟았다. 그러나 물질주의가 교회에 침투하면서 기복신앙이 강해져서 신앙의 샤머니즘화로 말미암은 육신의 안일과 물질주의를 부채질하게 되었다. 동시에 지도자들의 공명화로 개교회주의가 형성되었고, 대량화과 물질주의는 빈익빈 부익부의 교회를 양산하여 사회적 양극화로 이어졌고, 더불어 교회의 양극화로 인한 분열과 파벌주의, 지역주의, 학벌주의를 낳게 하여 교회는 뜻있는 젊은이들을 외면하기에 이르렀고, 소외계층에게는 교회가 지탄의 대상이 되어진 것이다. 또한 통계적으로 보면 교인 수에 있어서 성장률의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교회 성장에 대한 관심이 목회자들에게 높아져가고 있다. 이에 교회 성장운동은 신양교회를 모범으로 하여 사례를 「MS 4steps 평신도 훈련과정」을 개발하여 신입교인을 양성, 평신도 봉사자와 교회의 기둥으로 “사람을 살리고 세우는 참된 봉사자를 육성”하는 것에서 그 해답을 찾았다. 다시 말하면 훈련 받은 평신도 사역자들이 스스로 사역할 수 있는 리더십을 확보하는 것이 교회성장의 동력요인이 되었다. 또한 현실의 삶과 문화와 동떨어져 가는 교회중심의 교회성장주의는 교회성장에 저해된다는 것을 서구교회를 통하여 이미 체험하였다. 그러므로 이제는 사회적 삶 속에서 지역사회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만규 목사가 주장하는 「하나님 나라 세우기 운동」으로 지역사회의 지도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러나 과거 한국교회는 ‘교회와 사회’의 이중구조 속에서 하나님의 창조적 보편적 삶을 부정하는 이원론적 성향이 강했다. 그래서 자연히 개인구원을 강조하게 되었고, 교회의 사회적 책임과 삶을 부정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오늘 그리스도인들의 보편적인 삶을 부정하지 말고 하나님의 창조적 삶으로 승화시켜야 할 것이다. 노령화로 인한 노인문제, 외국인 노동자 문제, 노숙자, 탈북자, 등의 인간의 기본적 삶과 보편적 삶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The backgrounds of the growth of Korea Church include the emergence of charismatic leaders and larger churches to help small churches and expansion of church’s missions for society in addition to the economic growth. At the same time, larger churches full of missionary enthusiasm have sent many missionaries to foreign countries to provide missionary enthusiasm. The reinforcement of religious faith for relief and shamanism furnace fueled physical complacency and materialism as materialism penetrated into churches. Church individualism was formed by church leaders’ love of fame, and mass production and materialism led churches to social polarization by making the rich-get-rich and the poor-get-poorer. The polarization of churches gave birth to divisions, factionalism, regionalism, and academic elitism, which turned away young people. And therefore people who are destitute and neglected got to condemn the churches. Statistically speaking, the increasing rate of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also evidently diminished. Hence pastors are becoming more interested in the growth of Korean churches. The movement of church development found a key answer from model case of Xinyang Church, “MS 4step training course” to induce and train new members and volunteers. The model case was “to foster true volunteers who make people live and develop” with lay servants and pillars of the church. In other words, the procurement of leadership of the trained lay workers to work themselves was the engine of the growth factors of the churches. Additionally it was already experienced in the Western churches that the church-centered principle of growth away from real life and culture did not help in the church growth. Now therefore, the leadership of the community shall be procured in the local society by “build the kingdom of God movement” which pastor Lee Mangyu claimed through a variety of programs for the community. However in the past the Church of South Korea had a strong dualistic tendency to deny God’s creative universal life in the dualistic structure ‘church and society.’ So, naturally more emphasis was put on personal salvation, and the church’s social responsibility and life were denied. So universal life of Christians today shall not be denied and it shall be sublimated to God’s creative life. We need to have interest in fundamental and universal human life in line with the problems of elderly due to aging rapidly, foreign workers, the homeless, and refugees.

      • KCI등재

        교회성장학과 선교적 교회론에 기초한 통섭적 목회 패러다임 연구

        김신구 한국선교신학회 2023 선교신학 Vol.69 No.-

        이 논문의 목적은 기독공동체가 본질적 목회를 추구하면서 건강한 성장을 이루는 성경적 목회 패러다임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교회 운동의 두 축인 교회성장학(church growth)과 선교적 교회론(missional ecclesiology)을 살핀다. 연구의 진행은 두 이론을 대표할 만한 학자들의 견해를 살핀 다음 다시 두 이론의 공통점과 합일점을 이해하여 상호보완적으로 결합한다. 이는 초기 교회성장학의 선교 정신을 재이해하면서 선교적 교회론과의 협력을 통해 본질적 교회성장을 추구하기 위해서다. 또한, 교회성장과 선교(또는 통전적 선교)의 관계를 동일선상에서 해석하는 ‘통전사적 궤도’(holistichistorical Orbit)의 관점 때문이다. 다시 말해, 하나님의 선교는 구속 사적(redemptive-historical)이고 약속사적(promise-historical) 인 선교의 양방향을 모두 아우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교회성장과 선교는 우선성의 논의주제가 아니라 ‘하나님 나라’(Kingdom of God) 를 위한 절대적이고 유기적인 동역 관계라는 의미다. 이런 관점에서 이 논문은 두 이론의 ‘통섭’을 중시하고 이로 인한 교회성장을 ‘통섭적 교회성장’(church growth of consilience)이라고 칭한다. 이런 측면 에서 이 연구는 중도주의적이고 연결주의적이며, 모이고 흩어지는 교회론적 균형을 통해 ‘참된 교회의 성장’을 추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roper biblical ministry paradigm for the modern Christian community to achieve sound and healthy growth while pursuing its essential minist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vides a comparative analysis of church growth and missional ecclesiology to examine the essential mission of the church. The research process is attributed to the perspective of ‘holistic-historical orbit,’ which interprets the church movement from a missiological perspective, a theological commonality between the two theor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growth and mission (or holistic mission) collinearly. In other words, church growth and mission should ultimately be interpreted as an organic and absolute cooperative relationship for the ‘Kingdom of God’ rather than debated to determine priority.

      • KCI등재

        교회성장의 정의를 통해 살펴본 교회의 성장 방향에 대한 연구

        허준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6 복음과 실천신학 Vol.40 No.-

        본 논문의 목적은 교회성장의 정의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교회성장의 본질적 인 목적과 핵심가치를 인식하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교회성장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교회성장의 본래의 강조점이 전도와 제자화 그리고 재생산에 맞추어져 있음을 재조명하였으며 이러한 핵심 가치들이 교회 의 목적과 지상 대명령과 밀접히 연결돼 있음을 논하였다. 이러한 핵심가치들 은 교회성장의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기본원칙이 되며 이 원리들을 바탕으로 교회성장 본래의 취지와 목적에 맞게 실천 방향을 만들어 갈 때 비로소 교회는 세상에 영향력을 전파하며 지속적으로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교회성 장의 정의를 통해서 살펴보는 교회의 나아가야 할 방향은 세상을 향한 교회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전도 전략과 실천 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 다. 또한 이 사명을 감당하는 제자로서 말씀에 대한 기본 지식과 부르심에 합 당한 삶의 기준과 목표를 세우며 그리스도를 의지적으로 따르기 위한 훈련을 자신의 삶에 적용하는 제자화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더 나아가 교회의 본질적 인 사명과 이웃에 대한 사랑을 실천하고 세상으로 그 영향력을 확대하는 재생 산하는 제자를 통해 교회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교회성장 본래의 강조점과 방향성을 교회의 목적과 본질적인 기능과 연결해 실천적인 내용을 접목함으로 교회성장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This thesis aims to recognize the purpose and core value of church growth through the study of definition of church growth and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church growth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study. This study refocuses that the original point for church growth is on evangelism, discipleship, and reproduction. And also discuss that these core values are related deeply to the purpose of church and the Great Commission. These core value becomes basic principles of the church growth direction setting. And the church will be influential to the world and will be expected to develop constantly when practice direction is made according to it’s original meaning and the purpose with these principles, Future direction of the church which observed through the definition of church growth should suggest strategy of evangelism and practice direction to perform the purpose of the church towards the world effectively. Also, we need to set a goal and standard of life and basic knowledge on Bible as a disciples, who carry out this responsibility. And go through the process of following Christ with free will. Moreover, we can expect the church growth through the essential calling of church and the practice of love to the neighbors and the disciples who reproduce their influence to the world. I expect the church would grow by linking main purpose and basic function of the church with focus of church growth and direction which will drive practical contents.

      • KCI등재후보

        전통적인 교회성장학과 자연적 교회성장학의 신학적 패러다임 연구

        김한옥 한국실천신학회 2008 신학과 실천 Vol.0 No.15

        전통적인 교회성장학은 반세기 동안 교회성장학을 주도해 왔으나, 자연적교회성장학이 대두되면서 실천신학에서 사라졌다. 자연적 교회성장학이 전통적인 교회성장학의 후속적인 연구가 아니라, 전혀 새로운 패러다임과 함께 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것은 학문 간에 세대교체가 일어났다고 하기보다 새로운 세대가 탄생하였다고 하는 것이 더 적절한 표현이다. 전통적인 교회성장학은 다음과 같은 신학적인 패러다임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교회의 양적인 성장을 추구하며, 신학적으로 복음주의적인 노선을 취하고, 교회성장 방법에 있어서 실용주의적인 입장에 선다. 이들은 교회의 내적인 것보다 외적인 것들을 교회성장학의 연구범위에 넣는다. 전통적인 교회성 장학은 동질성의 원리(The Homogeneous Unit of Concept), 대중 운동의 원리(People Movement), 수용성의 원리(Receptivity), 피라밋 원리(The Pyramid Principle) 그리고 지도력의 원리(Leadership Theory)를 교회성장의 원리로 한다. 자연적 교회성장학은 교회의 양적인 성장보다 질적인 성장을 지향한다. 그것은 질적인 성장을 통해서 양적인 성장을 기대한다. 전통적인 교회성장학이 복음주의 신학과 실용주의적인 방법을 기초로 하는 반면에, 자연적 교회성장학은 신학적으로 양극적 패러다임(Bi-polar Paradigm)을 가지고 있으며, 원리 를 중심으로 한다. 자연적 교회성장학은 교회의 질적인 성장에 관심을 갖기 때문에, 교회 외적인 문제보다 교회 내적인 문제들을 주로 연구한다. 자연적 교회성장학의 핵심적인 패러다임은 여덟 가지 질적 특성, 여섯 가지 생명체적 원리이다. 전통적인 교회성장학을 밀어내고 새롭게 대두된 자연적 교회성장학은 앞으로 두 가지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먼저, 실천신학의 다른 분야들과, 또한 신학의 여러 분야들과의 관계를 정립해야 한다. 다음으로, 교회에서 자신의 자리를 확보해야 한다. A theology of traditional church growth have led church growth studies for half a century, but disappeared in practical theology as a theology of natural church growth is risen. The meaning is large in terms of a theology of natural church growth started with a entirely new paradigm and do not followed a theology of traditional church growth. This is more suitable expression that new generation born rather than speak that change of generation between two studies. A theology of traditional church growth has following theological paradigm. It purposes quantitative growth of church, and takes theologically evangelical position, and stands in pragmatical situation in church growth method. They involved in the range of study of a theology of church growth that a intern things than a external. A theology of traditional church growth has the principle of a church growth that the Homogeneous Unit of Concept, People Movement, Receptivity, the Pyramid Principle and Leadership Theory. A theology of natural church growth intends more qualitative growth than quantitative growth of church. It expects quantitative growth through qualitative growth. While a theology of traditional church growth does based on method of Evangelical theology and a pragmatism, a theology of natural church growth has "Bi-polar Paradigm" theologically, and studies a principle in its center. Because a theology of natural church growth is interested in qualitative growth of church, it studies more mainly church inner problems than church exoteric problems. Central paradigm of a theology of natural church growth is eight qualitative special quality, six lively principles. Push out a theology of traditional church growth and risen newly a theology of natural church growth must solve two subjects forward. First, it must have triangular position in connection with different fields of practical theology and also relations with several fields of theology. Next, it must secure own seat at church.

      • 교회성장의 성경적 원리 : 엡 4:11-16을 중심으로

        임영효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11 고신신학 Vol.- No.13

        본고의 목적은 에베소서 4장 11-16절에 근거하여 교회성장의 성경적 원리들, 즉 교회성장의 방편과 교회성장의 과정, 교회성장의 목표와 결과, 그리고 교회성장의 원천과 환경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오늘날 우리 주변에서는 주님의 교회가 정체내지 퇴보하고 있다는 우리의 목소리들이 들려지고 있다. 그러나 교회는 인간의 계획의 산물이 아니라 성육신 하시고 부활하시고 승천하신 주님께서 친히 설립하신 영적 유기체로 독특한 기능과 사명을 가지고 있다. 이런 교회가 어떻게 성장해 나가게 되어지는가는 모든 교회사역자들의 관심과 조목을 받고 있는 중요한 이슈로서 지금까지 많은 이론과 방법론들이 제시되어져 왔다. 그러나 그 동안 제시되어져 왔던 교회성장의 원리와 방법론들이 확고하게 성경의 기초를 가지지 못하고 성경의 지지를 받고 있지 못하다는 평가가 주어지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따라서 교회성장의 원리를 성경에서 찾아 체계화시켜 나가는 것의 시급함을 인식하면서 본고에서는 이 에베소서의 본론 가운데 가장 간명한 형태로 그리스도께서 교회성장을 이루어 가시는 하나님의 계획이 들어있음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특별히, 에베소서 4장은 말씀을 전하거나, 말씀으로 양육하거나 가르치는 은사를 가진 사역자(복음전하는 자, 목사와 교사)들을 강조하고 있는 이유는 주님의 교회가 하나님의 계획대로 성장해 나가고, 그 기능과 역할을 다하는 영적 공동체가 되기 위해서는 말씀을 바로 전하고 먹이고, 가르치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 이 핵심 사역자들은 교회의 설립과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자들로서 이들이 교회 구성원들을 온전케 하므로, 지체들로 부름받은 구성원들이 받은바 은사를 따라 봉사의 일을 온전히 감당해 나가게 되어지고, 그 결과 주님의 몸된 교회가 세워지고 성장해 나가게 될 것을 가르쳐주고 있다. 무엇보다도, 에베소서 4장은 교회의 영적 지도자들은 교회의 모든 구성원들이 한 사람도 예외 없이 사역에 부르심을 받았으며, 이러한 봉사의 사역을 수행해 나갈 수 있는 은사를 주님께로부터 받았다는 사실을 일깨워 주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성장하는 건강한 교회의 표식은 모든 구성원들이 받은 은사와 능력의 분량을 따라 능동적으로 사역에 참여하는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오늘날 마케팅 이론의 영향으로 교회 구성원을 단순히 소비자 혹은 고객으로 대하고자 하는 사상은 지극히 위험스럽고 왜곡된 생각임을 밝혀주고 있다. 따라서 교회 지도자들은 성도들을 대신하여얼마나 일을 많이하고 잘 하느냐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 성도들이 사역할 수 있도록 얼마나 잘 구비시켜 가고 있는가에 의해 평가를 받아야 할 것이다. 또한 에베소서 4장은 교회성장의 목표가 진리 안에서 교회의 영적 하나 됨과 교회의 머리되신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구성원들의 영적 성장에 있음을 언급하고 있으며, 이 목표가 성취되어질 때 그 결과로서 믿음에 견고히 서게 되어지고 사랑의 증거를 통하여 삶의 모든 영역에서 복음의 영향력을 끼치게 되어지고 전도의 열매를 맺게 되어짐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자리에 이르기 위해서는 교회의 구성원 각자가 충만하게 성장해 나가지 않으면 공동체로서의 교회가 충만하게 성장할 수 없음을 가르쳐 주고 있다. 또한, 교회를 떠나서는 개인의 온전한 성장도 일어날 수 없음을 암시해 주고 있다. 왜냐하면 몸의 구성원으로서 각 지체는 서로에게 속하여 있고, 서로에게 도음을 주고, 서로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또한 교회성장의 원천이자 원동력은 바로 머리되신 예수 그리스도이시기에 교회 사역자들과 구성원들은 모두는 주인 안에 거하여야 하며 주님의 능력을 힘입을 수 있도록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나가야 함을 말씀하고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주님의 계획대로의 교회성장이 이루어져 나가기 위해서는 사랑이라는 교회성장의 환경이 반드시 조성되어져야 함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왜냐하면 교회는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성장하는 영적 공동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그리스도의 사랑이 교회 안에 충만하게 되어질 때에(엡 3:18-19), 비로소 교회는 생기와 활력을 얻어서 이 사랑의 통로를 통하여 모든 구성원들이 부여받은 은사가 막히없이 흘러내림으로 몸된 교회는 최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면서 매력적인 모습으로 질적으로 양적으로 성장해 나가게 될 것이며 주님의 계획대로 교회로서의 기능과 사명을 온전히 감당해 나갈 수 있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에베소서가 보여주는 교회성장은 질적 성장의 결과로서 양적 성장이 주어지게 됨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오늘날 교회 사역자들은 질적 성장에 초점을 맞추지 아니하고 이를 무시하고 양적 성장을 추구하는 것은 정상적인 교회 혹은 건강한 교회로서 성장해 갈 수 없음을 인식하여 무엇보다도 성도를 온전케 하는 질적 성장에 사역의 최우선 순위를 둘 수 잇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교회의 말씀 사역자들이 영적 성장을 목적으로 사역하면, 수적 성장은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biblical principles of church growth based on Ephesians 4:11-16. That is, this paper deals with the means of church growth, the process of church growth, the goals and results of church growth, and the source and atmosphere of church growth. Although there were voices of worry about stagnation and retrogression of the Lord's church, the church is not the production of human plan, but the organic body that the Lord himself built. Thus, the church has the unique function and task. The past decade or so has witnesse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discussing principles and methods for church growth. Many of the efforts are helpful, buy only to the extent they ar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the Bible teaches. It is God's plan for the evangelists and pastor-teachers to equip church members by the procedure set forth in Ephesians 4:12-16. Especially, the chapter 4 of Ephesians places great emphasis on the evangelists and pastor-teachers because of their roles, that is, evangelizing and teaching. These core ministers prepare God's people for works of service, so that the body of Christ may be built up. Above all things, Ephesians 4 emphasizes that the spiritual leaders in church should make all the members of church aware of their calling for works of service. That is, a mark of healthy church is that all the members of church are participating in the works of service according to their spiritual gifts. This principle shows that considering church members customers or consumers according to the theory of marketing is very dangerous and perversive. So, the spiritual leaders in church should be judged not by their own works instead of church members, but by their equipping works for church members. Also, Ephesians 4 indicates that the goals of church growth are church members' spiritual oneness and spiritual growth which imitates Christ, the head of church. When these goals are accomplished, as the result of them the church members stand firm in faith, spread the Gospel, and produce the fruits of evangelism. To reach this step, every church member should grow in truth and love. Moreover, Ephesians 4 intimates that without church full growth of individual cannot be made because every member of church belongs to each other, gives help to each other and needs each other. In order to grow according to the Lord's plan, love as the atmosphere of church growth should be given because the church is a spiritual organism which grows in God's love. In conclusion, Ephesians 4 shows that the quanititative growth is given as a result of spiritual growth. Therefore, today's church ministers should not seek the quantitative growth without focussing on the qualitative growth. Thus, they should put the top priority on qualitative growth of equipping the church members, so that the church may be a healty church.

      • KCI등재

        칼 바르트의 교회론

        김영관(Young?Gwan Kim)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9 No.-

        칼 바르트(1886–1968)의 신학은 “그리스도 중심주의”에 기초하며, 그의 교회론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계시되고 기록되어 선포된 그 삼위일체 하나님 말씀진리의 실존적인 역사성과 현실성을 강조한다. 20세기 초 비성경적인 관점에서 주창된 독일교회 지도자들의 왜곡된 정치참여의 정당성을 강하게 비판했고, 교회는 온전히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진리를 설파하며 그 말씀 안에 계시되고 기록되어 선포된 창조주 하나님의 유일성이 고수되어야 함을 바르트는 강조했다. 또한 교회공동체들의 급진적인 세속화와 이로 인해 파생된 자유주의신학과 염세적이며 관념적인 철학사상들과의 융합주의적인 신학연구 방식을 거부했다. 이 지상의 모든 교회들의 우선적인 사명은 어제나 오늘이나 내일이나 변함없이 2천 년 전 나사렛 시골동네에서 목수의 아들로 성육신하신 그 예수 그리스도의 겸손한 주인성과 메시아성 양자 모두를 더욱더 강력히 선포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교회의 지속적인 성장이 유지될 수 있음을 바르트는 역설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칼 바르트가 그의 저서 Church Dogmatics 4권에서 주창하는 “성장하는 기독교공동체”로서의 교회개념을 정리–분석하기 위함이다. 또한 21세기 현대 기독교 교회공동체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지체들로서 추구해야 할 진정한 성장모형과 성장목적 그리고 그에 따른 세상 안에서의 사명들과 책임들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맹목적인 양적–수적 성장을 거부하며 순수한 복음전파 사명에 충실해야 할 기독교 교회 공동체로서의 그 존재 본질과 실존성을 강조하는 바르트의 복음주의 신학적 관점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분석했다. (1) 기독교 교회공동체 성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성령님의 초월적이시며 일깨우시는 초자연적인 능력, (2) 교회공동체 성장에 필수적인 상호적인 사랑의 실천, (3) 교회공동체 성장에 기초가 되는 아가페 사랑의 실천, 그리고 (4) 교회공동체 성장에 결속력을 제공하는 믿음과 소망개념.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Karl Barth(1886–1968)’s doctrine of the Church by focusing on his concept of the “Upbuilding Christian Community,” explicated on his book Church Dogmatics IV.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how Barth understands the genuine model and the goal of the Church growth in the 21st Century. Accordingly, this paper pinpoints Barth’s Christocentric ecclesiology, which not only emphasizes the Church as the earthly and historical body of Jesus Christ in terms of her given task and responsibility as the faithful Christian community in this world, but also her ultimate task as the proclamation of the truth of the Gospel revealed, written, and spoken in Jesus Christ for the accomplishment of the perfect salvation in this world rather than expanding simply the number of congregation or constructing church buildings.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comprehensively Barth’s concept of the Church as the Upbuilding Christian community as follows: (1) The Holy Spirit as the Quickening, Transcendental, and Supernatural Power for the Upbuilding of the Christian Community; (2) The Mutual Love as Essential for the Upbuilding of the Community; (3) Agape–love as the Foundation for the Upbuilding of the Community; and (4) Faith, Love and Hope as the Bond for the Upbuilding of the Community.

      • KCI등재

        교회성장학의 학문적 특성과 실천신학적 평가

        최동규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6

        본 연구의 목적은 통섭성과 사회과학적 연계성의 관점에서 교회성장학이 가지고 있는 학문적 특성을 정리하고, 그것을 실천신학적 관점에서 평가하고 교회성장학이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야 하는지 논하는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이런 논의를 통해서 실천신학이 어떻게 발전해야 하는지를 말하고자 한다. 19세기 중반에 태동한 실천신학은 근대 이후에 발전한 사회과학의 경향을 따라 여러 가지 분야로 분화되고 전문화되었다. 그러나 각 분야들은 지나치게 전문화됨으로써 다른 분야와의 연계성이 약해지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개별 학문들을 통섭적으로 아우를 수 있는 학문적 방법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런데 교회성장학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적 관심 아래 실천신학의 제반 학문 분야들을 하나로 묶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건전하고 건강한 교회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교회의 내적 영역과 외적 영역에 속한 목회의 여러 분야들이 균형 있게 발전해야 한다는 점에서 교회성장학은 실천신학의 다양한 제 분야들을 통합적으로 아우르고 그것들의 상호 유기적 연관성을 도모하는 학문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교회성장학은 기본적으로 교회성장에 관한 신학적 이해를 중시하면서도 교회성장을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사회과학의 학문적 결과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교회성장학은 처음부터 선교 현장에서 성장하는 교회들과 성장하지 않는 교회들을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성장 또는 침체의 원인을 밝혀내려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교회성장학자들은 지역 연구, 다양한 조사 연구 방법, 전략 수립, 조직과 인사관리 등을 연구하고 적용한다. 교회성장학이 이처럼 사회과학적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이유는 교회성장에 텍스트(text) 곧 복음의 능력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콘텍스트(context) 곧 상황에 대한 이해와 적응도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거룩한 구원계획을 성취하기 위해 사회과학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인간적인 도구를 개발하고 활용하려는 교회성장학은 매우 실용주의적인 태도를 취한다. 그런데 교회성장학의 입장은 방법론적 실용주의(the methodological pragmatism)로서 윤리적 차원을 무시한 채 결과를 위해서 어떤 수단과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절대적 실용주의와는 구분해야 한다. 교회성장을 위한 모든 방법론은 하나님의 나라와 하나님의 선교 개념 아래 종속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회과학적 방법들은 그 자체로 결코 목적이 될 수 없으며, 신학이 설정해 놓은 구조 안에서 도구와 수단으로만 사용되어야 한다. 필자는 이런 이해를 토대로 삼아 교회성장학 방법론의 세 요소로서 성경적 원리, 신앙 공동체의 삶과 선교적 상황을 설정하고 그것들의 상호 연관성을 학문적 방법론의 구조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church growth in light of integration and connection with social science, as well as to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for developing church growth based on evaluation from a viewpoint of practical theology. Through such discussion, this study also attempts to talk about how practical theology should be developed. Practical theology, born in the mid-19th century, has been divided and specialized into several categories to the trends of social science. However, excessive specialization of each category resulted in weakening its connection with others. For this reason, practical theology needed an academic methodology to integrate its many disciplines. Church growth satisfies such a need by integrating the diverse disciplines of practical theology based on the missional concern of the triune God. To grow healthily, the church must develop its internal areas and external areas in balance, viewing itself as an organism. Not only does it value theological understandings related to the church and its ministries, church growth also actively utilizes academic results of social science to effectively apply those understandings into its ministries. In fact, church growth began with the intent of analyzing both growing and non-growing churches in mission fields to identify reasons of growth and stagnation. To accomplish this, church growth experts utilize social science methodologies including area studies, diverse research methods, strategies, planning, and organization management. Such academic attitude is based on the belief that healthy church growth needs the power of the Gospel related to the biblical text as well as an understanding of situational conditions around the church. It is very pragmatic for church growth to seeks development of diverse human means based on methods derived from social science in order to achieve God’s holy plan of redemption. Nevertheless, the attitude that church growth takes is not unconditional pragmatism but methodological pragmatism. While advocates for the former believe in using any kind of ways and means ignoring ethical dimensions, advocates for the latter believe that every method should be subordinated to the Kingdom of God and God’s mission(Missio Dei). Clearly, methodology of social science cannot be an end in itself, and must be used only within theological frameworks. As such, I set three─biblical principles, life of the faith community, and missional context─as methodological elements of church growth, and present their reciprocal relations as the methodological structure of church growth.

      • KCI등재

        건강한 교회 성장에 관한 실천적인 고찰 : 교회의 기능을 중심으로

        임채남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4 복음과 실천신학 Vol.31 No.-

        세상의 영향을 받아 교회에도 세속화와 물질만능 주의가 확산된 지 오래다. 이러한 교회의 아픈 현실은 교회 성장과 건강의 본질적인 의미마저 희미하게 만들었다. 이에, 본 논문은 교회의 기능을 중심으로 건강한 교회 성장에 관한 실천적인 고찰을 통해, 교회의 성장과 건강의 수량적 측정에 의한 교회의 본질적 의미의 훼손을 방어하고, 동시에 교회의 양질의 균형 있고 건강한 성장에 대한 작은 대안을 제시하고자 고안되었다. 우선, 건강한 교회 성장의 바른 이해를 돕고자 그 정의가 제시된다. 이러한 정의는 교회 성장의 본래적 의미와 건강한 교회의 정의의 융합이 시도되고 있다. 다음으로, 건강한 교회 성장의 역사적 배경이 나열되고 있다. 그 첫 번째로 교회 성장에서 교회 건강으로의 변천 과정이 제공된다. 그런 다음, 교회 성장과 건강으로 부터 오늘 날 유행처럼 번져 가고 있는 하나님 나라 중심의 교회와 선교적 교회에 이르기까지 건강한 교회 성장의 현대 적인 동향이 보여 진다. 끝으로, 본 논문의 중심 내용으로써, 건강한 교회 성장의 실제적 고찰이 기술된다. 이 부분에서는 건강한 교회 의 기능적인 특징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교회에서 그 기능들의 실천적 역할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 . 이 기능들에는 역동적인 예배, 예수 닮는 제자도, 모본을 보이는 지도력, 생명력 넘치는 소그룹, 그리고 사랑 을 실천하는 복음 전도가 포함된다. 본 연구가 건강한 교회 성장에 관한 바른 이해와 오늘날 정체와 침체를 겪 고 있는 오늘날의 교회 현장에 작게나마 도움이 되기를 소원해 본다. Under the bad influence of the worldly customs, the church has long been in secularization and the spread of materialism. This painful reality of the church made essential meaning of church growth and health even faded. This article was designed to present actual alternatives for the church to be healthy growth in a balance of quantity and quality, focusing on the functions of a healthy, growing church on the practical consideration. First of all, the definition of healthy church growth is presented for its correct understanding. For the presentation of this definition, fusion between the original meaning of church growth and the definition of a healthy church is attempted. Next, historical backgrounds of healthy church growth is provided with the change process from church growth to church health. Then, the church's modern trend of healthy church growth is shown from church growth and health to kingdom focused church to missional church, which has been emerged as a famous trend today. Finally, practical considerations are discussed as the primary contents of this study. This section deals with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 healthy church. In addition, what are practical roles of that features in the church is researched. The features includes dynamic worship service, Christlike discipleship, modeled leadership, small group full of vitality, and evangelism with the practice of love. This researcher expects that the study help proper understanding of the healthy church growth and contribute to revitalize the church in stagnation and recession spiritually and even physically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