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잠재적 교통수단선택 계층 분류 및 특성 비교? 대구시를 대상으로

        황정훈,이영우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4

        통행자의 불특정 다수의 통행에서 특정 교통수단의 선택빈도가 높다는 것은 그 교통수단에 대한 의존도를 나타내며, 통행시간이나 비용의 변화와 같은 교통환경의 변화에 대한 교통수단선택 행태가 일반적인 경우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이산선택모형에서 교통수단선택의 효용으로 반영되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이나 교통수단의 특성 외에 교통수단에 대한 선호도나 습관적 통행 행태 등과 같은 심리적인 특성이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특정 다수의 통 행에 있어 통행자의 승용차와 대중교통에 대한 선택빈도를 이용하여 승용차 의존층 및 선택층, 대중 교통 선택층 및 의존층 네 가지의 교통수단 선택층으로 분류하고 각 계층별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 국내 지역 공항별 접근체계 분석에 관한 연구

        김웅이,이강석,유광의 한국항공경영학회 2006 한국항공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06 No.-

        최근 김포공항을 비롯하여 지방공항의 항공운송 수요는 고속철도(KTX)의 운행과 고속도로의 신설로 항공여객이 심각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그러나 항공운송 수요는 국제선을 중심으로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국내선의 항공운송수요 역시 낮은 수준이지만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항공수요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지방공항의 운영에는 여전히 적자가 계속되고 있으며, 항공운송을 이용하는 승객들이 이용의 편리성과 신속성에 큰 의문을 가지고 있다. 결국 항공운송을 이용하기 위한 접근 수단의 불편함과 신속성의 결여는 항공운송 선택의 장애가 되고 있다고 조사되었다. 김포공항을 제외한 지방의 공항들은 접근에 상당한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항공수요의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현재의 항공운송 이용을 증대시키기 위해 지역공항은 접근체계를 개선하고 있으며, 이러한 접근 교통체계 및 기타 접근시설은 여전히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또한 각 공항의 활성화를 위해 항공운송 이용자의 교통수단선택 행태에 대한 면밀한 분석은 공항접근교통 및 공항 내 교통시설의 규모, 위치, 운영 등의 계획 수립에 필수적인 요소가 될 것이다. 그런데 아직까지 공항이용객의 교통수단선택 행태에 관한 연구사례는 대부분 접근 수단선택을 통한 선택요인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접근교통에 관한 연구는 이를 선택하는 이용자의 선택요인과 더불어 지역 공항의 특성이 가장 큰 선택의 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국내의 대표적 공항인 국제선을 운용하는 국내 지역공항의 이용객을 대상으로 교통수단 특성 및 이용자의속성이 교통수단을 선택하는데 있어 이용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으로 각 지역공항을 이용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공항이용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항공운송을 선택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설문조사내용을 기초로 공항 이용객에 대한 선택 형태 특성을 각 공항별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조사된 여러 공항들의 각 특성을 분석하여 개별 공항의 접근선택 요인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공항 활성화를 위한 접근교통체계 개선을 위한 전략을 모색해 보았다. 통행목적별, 접근거리별로 접근 교통 자료를 사용하여 공항이용객의 수단선택을 분석하였으며, 공항의 이용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지역의 공항에서는 접근교통체계의 문제점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공항들이 이용객에게 불편한 접근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경쟁 교통수단에 비해 큰 문제를 내재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는 지역공항을 이용하는 공항이용객들은 교통수단선택에 있어서 비행스케줄에 맞게 공항에 도착하여 비행기에 탑승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므로 소요되는 통행비용보다는 통행시간을 더욱 중요한 인자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 공항을 이용하는 이용객의 접근 시간과 접근비용을 조사한 결과 각 공항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공항이용에 거리를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공항과 어느 정도의 근접성에서 그 공항을 이용하는가를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인구통계적인 특성과 공항의 이용 및 접근선택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비즈니스 승객과 레저 승객과의 차이를 보였으며, 개별 선택에 따른 시간가치가 다르다

      • KCI등재

        호남선 KTX 완전개통에 따른 장거리 대중교통 수송분담률 예측

        정해영,배정환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3 산업혁신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호남선 고속철도의 완전개통에 따라 서울-광주간 장거리 대중 교통수단 선택 변화를 예측하고, 고속철도 완전개통이 장거리 대중교통수단 분담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방법은 선택실험법을 이용하였고, 대면접촉 설문에 의해 호남선 KTX 완전개통 전후로 장거리 대중교통수단인 항공기, KTX, 고속버스에 대한 선호도가 이용요금, 배차간격, 운행시간이 변함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호남선 고속철도 완전개통이 장거리 대중교통수단 선택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고속철도 완전개통 전과 후로 시나리오를 구분하였다. 모형 추정 결과 다항로짓의 경우 KTX가 완전개통됨에 따라 배차간격과 운행시간이 교통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보다는 요금이 미치는 영향이 더 커졌다. 패널로짓의 경우에는 모든 요인들에서 개통 후 교통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였다. 개인별 이질성을 검증한 결과 나이가 많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서울왕래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고속철도의 선택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득이 낮을수록 고속버스를 선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요인별 선택확률에 미치는 한계효과의 경우 고속철도 선택확률이 이용요금 1만원 증가시 1.9%, 운행시간 1시간 증가시 3.84%, 배차간격 1시간 증가시 2.16%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송 분담률에서는 고속철도 완전개통에 따라 고속철도에 대한 선택확률이 13.9%p 증가하였으며, 고속버스는 7.5%p 감소, 비행기는 5.7%p 감소하였다. 호남선 KTX 완전개통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소득계층이 많이 이용하는 고속버스의 수송분담률이 가장 많이 감소함으로 향후 장거리 대중교통 정책 수립시 교통수단의 선택 형평성을 감안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서울시의 주차 및 대중교통 이용여건이 통행목적별 교통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

        성현곤,신기숙,노정현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통행목적별 교통수단을 선택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다를 것이라고 판단하고, 교통수단을 결정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그 요인들의 영향을 찾아보았다. 변수들로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속성과 목적지와 거주지에서 대중교통수단 결절점 접근성, 그리고 승용차 이용여건 등으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통행자는 통행목적과 상관없이 교통수단을 선택하는 데에 통행시간을 크게 고려하고 있어서, 통행시간이 길수록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하고, 환승을 감수하며, 버스보다는 지하철을 선택한다. 승용차 여부를 선택 시에는 차량이용 여건과 목적지의 주차용이성을 고려하며, 대중교통수단 선택이후에는 대중교통 결절점 접근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 다. 통행목적간 비교에서는 통근통행에서는 목적지에서의 주차와 차량이용 여건이 좋을수록 승용차를, 쇼핑 및 여가통행에서 는 주거지에서의 버스 및 지하철의 접근성에 따라서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잠재적 교통수단선택 계층 분류 및 특성 비교 – 대구시를 대상으로

        최동민,정일용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4

        The high share of specified mode in unspecified multiple trip indicates heavy reliance on that mode. And these mode-choice class may be different from common case in the mode choice behavior for change of the traffic circumstances as such travel time and cost. Generally, it is known that traveler choose mode considering psychometric factors(feelings of autonomy, self-esteem) and habitual behavior besides their ow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indicators. Accordingly, many researches has investigated on mode choice to reflect psychometric factor or specific preference. In this study, travel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their choice frequency of private car and public transit in unspecified multiple trip(car-dependent, car-choice, public transit-choice, public transit-dependent cla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comparative analyzed by applying logistic regression. 통행자의 불특정 다수의 통행에서 특정 교통수단의 선택빈도가 높다는 것은 그 교통수단에 대한 의존도를 나타내며, 통행시간이나 비용의 변화와 같은 교통환경의 변화에 대한 교통수단선택 행태가 일반적인 경우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이산선택모형에서 교통수단선택의 효용으로 반영되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이나 교통수단의 특성 외에 교통수단에 대한 선호도나 습관적 통행행태 등과 같은 심리적인 특성이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특정 다수의 통행에 있어 통행자의 승용차와 대중교통에 대한 선택빈도를 이용하여 승용차 의존층 및 선택층, 대중교통 선택층 및 의존층 네 가지의 교통수단 선택층으로 분류하고 각 계층별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 KCI등재

        신교통수단 건설사업에 있어 환승을 반영한 교통수요 예측기법

        김익기,한근수,방형준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복합대중교통체계 하에서 환승을 명확하게 반영하면서 신교통수단의 수요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분석방법은 통행특성별로 그룹을 나누어 각 그룹별로 별도의 적합한 교통수요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좀 더 현실적인 교통수요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신교통수단만 이용하는 통행수요(신교통수단 노선구간 내 통행), 신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출발하거나 도착하는 통행수요(신교통수단 노선구간 내-외부 통행), 신교통수단의 노선을 통과하는 통행수요(신교통수단 노선구간 통과 통행)로 구분하여 통행의 특성별로 적합한 교통수요분석방법을 별도로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신교통수단 정책과 같이 승용차에서 대중교통으로의 수단 전환이 가능한 정책 분석에서 사업 시행시와 사업 미시행시 간의 수단별 O/D 값에 차이가 있을 때에도 동일한 지표에 의해 일관된 정책평가 결과를 제시할 수 있는 통행시간 편익산출 방법도 제안하였다. The study suggested a demand forecasting method which explicitly reflects transfer between various transport modes especially related light rail transit project with multi-modal transit system. The suggested method classifies several groups depending on characteristic of trips and applies different demand model for each group to explain travel pattern more realistically. More specifically, the trips was classified by trips within the LRT route, trips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the LRT route, and through trips via the LRT route. The study also suggested a evaluation measurement of time saving due to the LRT construction, which are consistent along with the do-case and the do-nothing-case even though some mode shift could be happen after introducing the LRT.

      • KCI등재

        효과적인 교통수요관리방안의 추진을 위한 교통수단선택 계층별 수단선택특성 및 대중교통으로의 전환의식 비교 분석

        황정훈,Hwang, Jung-Hoon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6

        대도시를 중심으로 승용차 이용을 억제하고 대중교통의 수단분담률을 제고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통수요관리방안이 추진되어 왔으나 승용차 통행량의 감소와 같은 정책적인 효과는 충분하다고 볼 수 없다. 이러한 원인의 하나로 대중교통 서비스의 향상을 통해 승용차로부터의 수단전환을 유도하는 정책들이 대중교통의 수단적 효용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있었으나 모든 승용차 이용자에게 대중교통으로 전환할 정도는 아니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통수단선택 계층에 따라 교통수요관리 방안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불특정 다수의 통행에서 승용차의 이용빈도를 기준으로 교통수단선택 계층(승용차 의존층, 승용차 선택층, 대중교통 선택층, 대중교통 의존층)을 분류하고 각 계층별로 수단선택 영향요인에 대한 인식 및 교통환경의 변화에 대한 통행행태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승용차의 의존도가 높을수록 편리함이나 쾌적함과 같은 정성적 요인을 더 중요시 인식하고 있으며, 주차규제나 통행시간 및 비용의 증가와 같은 교통수요관리기법에 대해서는 승용차의 의존도가 낮을수록 대중교통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또한 주차규제 정책 추진시 주변 도로의 주차단속이 병행되어야 하며,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방법으로는 주차요금과 같이 승용차 이용시 선택적으로 발생되는 비용보다 연료비 인상과 같이 상시적인 비용부담이 가중될 수 있는 방법이 보다 효과적이라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Various schemes of transportation demand management(TDM) to discourage the use of cars and enhance public transit performance have been implemented in large cities. Nevertheless, policy effects in reducing car have not been satisfactory. Car-dependent travelers who tend to keep driving cars regardless of the change of the trip circumstances as such increase of travel time and cost according to car use or improvement of public transit service may be due to not according to utility reflecting mode-specific impedance and their ow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ravel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their choice frequency of private car and public transit in unspecified multiple trip(car-dependent, car-choice, public transit-choice, public transit-dependent cla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comparativ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group of a higher car-dependent is a higher priority on convenience and comfortability of the car when making decisions and the group of a lower of car-dependent is likely to change to public transit.

      • KCI우수등재

        통근.통학자의 지하철 연계교통수단 선택행태분석

        정헌영,김정주 대한교통학회 2000 대한교통학회지 Vol.18 No.5

        교통체계가 지하철 중심의 대중교통체계로 변화되면서 지하철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적절한 연계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고조되고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를 대상으로 타 목적통행에 비해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면서 비교적 안정적인 행태를 보이는 지하철 이용 통근 통학자를 대상으로 대표적인 연계교통수단인 시내버스, 마을버스, 택시 이용시 통행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연계교통수단 선택행태에 대한 다항로짓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의 구축결과 연계교통수단선택시 큰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는 차외시간(OVTT), 차내시간(IVTT), 요금(T-FARE, S-FARE, B-FARE), 소득(INCOME), 성별(SEX), 연령(AGE)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계교통수단의 이용은 환승을 위한 단거리 통행이기 때문에 차외시간이 차내시간보다 수단선택시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행비용관련 변수들은 통행시간 변수들에 비해 연계수단선택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금인하로 인한 수요증가 정책보다는 적정수준으로 요금을 인상하여 이로 인한 수입 등을 이용하여 교통시설의 확충 등 서비스 개선에 의한 대중교통의 통행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서비스의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통행시간가치는 타의시간의 시간가치가 차내시간의 시간가치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아침 통근 ·통학시 요금보다는 시간을 중요하게 인식하여 택시의 시간가치가 시내버스, 마을버스의 시간가치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When new subway lines are considered to construct in a large city,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the appropriate transfer systems between subway and other transit modes, so as to increase the use of subway system. In this study, a multi-nominal logit model is developed to analyze the travel characteristics and the mode choice of subway Passengers transferring to and from the buses, minibuses and taxi. These passengers represent a large Portion of transit Passengers in Pusan city It shows that the explanatory variables that affect Passengers\` mode choice are in order of OVIT(Out-of-Vehicle Travel Time), IVTT(In-Vehicle Travel Time), transit fare,. income, gender, and age in modeling. In particular, OVTT is shown to have more significant impact on the mode choice than IYTT due to the fact that transfer trip is involved only in a short distanc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travel costs, however, do have an insignificant impact on the mode choice. It shows that it would be a better Policy to improve the quality of transit service using additional financial resource by increasing transit fare rather than by reducing the fare to increase travel demand. It also shows that value of travel time of OVTT is remarkably higher than that of IVTT and value of travel time of taxi Passengers is much higher than that of minibus Passengers .

      • KCI우수등재

        통행거리별 행태 차이를 반영한 교통존 기반의 지역 간 교통수단선택 모형의 개선

        이기택,김익기,심재엽,김지혜 대한교통학회 2020 대한교통학회지 Vol.38 No.5

        The demand forecasting for rail has been analyzed with zone-based OD data at macroscopic level analysis, and two type of transportation mode choice model are separately applied for national-wide analysis and metropolitan area analysis each by using the zonal OD data in South Korea. This zone-based analysis has fundamental limitations due to the spatial aggregation. It cannot analyze the various effects according to the traveler’s individual attributes on the mode choice behavior, which is inevitable limitation of the zone-based analysis in aspect of forecasting accuracy. However, the zone-based analysis is unavoidable for analyzing large-scale areas such as the national-wide area or metropolitan are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build a transportation mode choice model with improved accuracy of the model than the currently used model within limitations of the zone-based analysis. In particular, the study tried to reflect travel time and service frequencies of various transit modes between an OD pair into the traveler’s behavior model in a more realistic way. The suggested model can explain the phenomenon that the travel time differently affects the traveler’s mode choice behavior by the travel distance. This study also was performed to verify logically that the proposed model explains more realistically the choice behavior by testing the value of time and elasticity. A case analysis was included to show how the analysis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the mode choice model to be applied. 우리나라에서 수행되는 철도부문의 교통수요예측은 교통존 기반의 자료와 분석 지역에 따른 교통수단선택 모형으로 분석되고 있다. 하지만 교통존 기반의 분석은 통행자의 개별 속성에 의한 다양한 효과 분석을 수행할 수 없고 집합화 자료에 의한 분석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등 공간적 집합화의 기본적인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교통시설 분석에는 집합화 분석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교통존 기반 집합화 분석의 한계 내에서 변수 추가 및 변형하면서 예측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통수단선택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세분화된 통행시간과 철도의 배차횟수 변수를 적용하여 모형을 보다 현실적으로 묘사하였다. 통행시간을 통행거리별로 구분하고 대기시간과 접근시간으로 세분화하여 교통수단 선택행태에 다르게 영향을 주는 현상을 모형에 반영하였다. 또한 제안 모형의 논리적인 현실 설명력을 검증하기 위해 시간가치와 탄력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통계적 분석과 논리적 검증 분석을 통해 제안 모형이 기본 모형보다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통행행태가 반영된 교통수단선택 모형의 예측 정확성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례분석도 수행하였다. 이는 교통수단선택 모형의 선정에 따라 교통정책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 KCI등재

        대구 도시철도 경산 연장 개통 전·후 경산시민들의 경산-대구 간 통근교통수단 선택행태 비교 분석 - 개통 전 RP 모형과 개통 후 SP 모형의 비교 -

        윤대식,박준호 한국교통연구원 2012 交通硏究 Vol.19 No.2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Gyeongsan citizens' mode choice behavior for commuting trip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a new subway line. The paper used RP/SP data collected from Gyeongsan City, which is a satellite city of Daegu Metropolitan City. So far few researches, especially using before and after individual RP/SP travel survey, have been conducted on analyzing travel mode choice behavior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new subway line. For this research, som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Furthermore, some empirical logit models were estimated for analyzing factors affecting the travel mode choice. Finally, some important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he significant findings from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rom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it was expected that after the introduction of a new subway line, the riderships of cars and buses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ridership of subway significantly increased. Furthermore, from multinomial logit model estimation for analyzing mode choice behavior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new subway lin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mode choice models. 본 연구에서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경산시 연장 건설에 따른 통근교통수단 변화를 분석하고,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연장 개통 전과 후의 교통수단 선택행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도시철도 연장 개통 전과 후의 통근교통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다항로짓모형을 추정하였고, 도시철도 연장 개통 전과 후의 통근교통수단 선택모형의 경험적 추정결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개별 계수의 비교를 위한 쌍대 t-검정(pairwise t-test)과 모형 전체의 비교를 위한 우도비 검정(likelihood ratio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철도 연장 개통에 따른 교통수단 분담률의 변화를 보면 승용차와 버스는 각각 47.0%, 28.6%에서 35.6%, 20.7%로 감소하고, 도시철도는 24.4%에서 43.7%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둘째,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연장 개통 전과 후의 통근교통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실시한 쌍대 t-검정결과 도시철도 연장 개통 전과 후 직장소재지1(대구 중심지), 직장소재지2(경산 인접지), 통행시간 변수의 경우 추정계수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행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변수들(성별, 연령, 직업, 가계소득 등)의 추정계수들은 도시철도 연장 개통 전 ·후 통계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도시철도 연장 개통 전 · 후 모형 전체의 비교를 위한 우도비 검정결과는 본 연구에서 경험적으로 추정된 두 모형이 통계적으로 충분히 다르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