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직경력에 따른 초등교사들의 신념과 사회과 교수실제의 관계

        최진영,이경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0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교사발달단계를 교직경력으로 상정하고 교직경력에 따라 초등교사들의 신념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교직경력에 따라 초등교사들의 신념과 사회과 교수실제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 7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첫째, 교직경력에 따라 교사신념이 어떻게 다른지를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둘째, 교직경력에 따라 교사신념과 사회과 교수실제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상관관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사들은 교직경력에 상관없이 대체적으로 학습자 중심 신념에 비교적 강하게 동의했지만 전통적인 신념에 대해서는 교직경력에 따라 동의정도가 달랐다. 둘째, 학습자 중심 교수실제와 교사신념의 관계는 대체적으로 교직경력에 관련 없이 상관관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통적인 교수실제와 교사신념간의 관계는 교직경력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직경력별로 어떻게 각기 다른 교사연수를 실시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제안했다.

      • 고경력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교직의 어려움과 실천적 요구 탐색

        백진숙,안지영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0 No.11

        본 연구는 많은 수의 경력직 보육교사들이 고경력으로 이동하기 전에 보육현장을 떠나고 있는 상황에서 양질의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해 고경력 보육교사들이 현장에 많이 남아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출발한다. 고경력 보육교사들이 현장에 많이 남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들이 처한 상황과 고경력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교직의 어려움과 교직에 대한 실천적 요구는 어떠한가를 알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고경력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교직의 어려움에 대한 실체는 무엇이며 그 어려움에 대해 개선을 바라는 요구는 무엇인지 들어보는 계기를 통해 고경력 보육교사들이 경험하는 교직을 이해하고, 그들의 삶 속에서의 보육 현실을 직시할 필요를 느꼈다. 이를 통해 보육현장에 있는 고경력 보육교사들이 경험하는 교직의 현 상황에 대한 재인식과 그들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개선을 위해 필요한 요구는 무엇인지 알아봄으로 지원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보육현장에서 고경력 보육교사들이 말하는 교직경험의 어려움과 실천적 요구 탐색에 대해 좀 더 세심히 들어보고 살펴봄으로서 그 개선책 혹은 그 지원책 마련에 기초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지체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교직경력의 중요성과 교직적응 노력이 학생지도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현석 국립특수교육원 2020 특수교육연구 Vol.27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research study to find out the importance of the teaching career perceived by teachers in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that the efforts for adaptation to the teaching profession influence the improvement of competencies for teaching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5 questions about teaching career, 5 questions about adaptation to teaching profession, and 10 questions about teaching competencies. The data of 356 teachers of physically disabled schools nationwide were analyzed. I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 question about teaching career and 1 question about teaching adaptation were deleted.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teaching experience of teachers at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closely related to the factors of efforts to adapt to the teaching profession. Second, the teaching competencies of teachers at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not a structure explained by the teaching experience factor. Third, the teaching competencies of teachers at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also not a structure explained by the teaching adaptation factor.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the teaching career recognized by teachers of physically disabled schools and the main viewpoints considered in the efforts to adapt to the teaching profession were investigated, and implications for the main contents for the teaching competencie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지체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교직경력의 중요성과 교직적응을 위한 노력이 지체장애학생 지도를 위한 수행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설문지는 교직경력에 대한 5문항, 교직적응에 대한 5문항, 그리고 수행능력에 대한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전국의 지체장애학교 교사 356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교직경력에 대한 1개 문항과 교직적응에 대한 1개 문항이 삭제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지체장애학교 교사의 교직경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교직적응의 노력 요인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다. 둘째, 지체장애학교 교사의 교직 수행능력은 교직경력 요인으로 설명되는 구조가 아니었다. 셋째, 지체장애학교 교사의 교직 수행능력은 교직적응 요인으로 설명되는 구조도 아니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교직경력의 중요성과 교직적응 노력에서 고려하는 주요 관점에 대하여 알아보고, 교직 수행능력의 구조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직경력의 조절효과

        허혜경(Huh HaeGye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과 교직경력이 긍정심리자본의 교직헌신에 대한 영향력을 조절하는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9년 11월 2주간 서울과 경기도 일원의 유아교육 기관의 현직 유아교사 578명을 상대로 긍정심리자본 및 교직헌신, 경력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은 교직헌신에 유의한 정 (+)의 영향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유아교사들의 긍정심리자본이 높아질수록 교직헌신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들이 교직헌신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는 희망> 낙관주의> 자기효능의 순이었다. 또한, 긍정 심리자본과 교직헌신 간의 관계에서 교직경력의 유의미한 완충적 조절효과가 확인 되었고,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들 중 자기효능과 회복력이 교직헌신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교직경력이 유의미한 완충적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긍정심리자 본과 그 하위요인인 자기효능 및 회복력이 높아질 때 교직헌신도가 높아지는 효과는 경력이 적은 유아교사들의 경우가 경력이 많은 유아교사들의 경우가 보다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와 유아교육기관과 정책당국이 유아교사들의 긍정심리자본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mainly lies in exploration of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of preschool teachers on professional commitment, and moderation effect of their working years o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professional commitment. 578 preschool teachers, who were engaged in the early-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located in Seoul or Gyunggi province, took part in this research as the subject to receiv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along with Professional Commitment Scale, in two weeks from Nov. 1, 2018. From the analysis results, it is found that psychological capital of preschool teachers has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professional commitment, which means that as preschool teachers possess more psychological capital; their professional commitment will get higher correspondingly. Among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Capital, the positive influence of hope on professional commitment is the strongest. The next is optimism, and the next is self-efficacy. In addition, the preschool teachers’ working years demonstrates significant buffering moderation effect in the causal correlation of psychological capital, especially self-efficacy and resilience, to professional commitment. This means that as working years of preschool teachers increases, the influence of their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n the professional commitment will be reduced. Finally,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we proposed suggestions to preschool teachers, kindergartens, and governmental institutes in how to enhance psychological capital and professional commitment of preschool teachers.

      • KCI등재

        누가 교직을 떠나려 하는가? 중학교 교사 교직 이탈 가능성 예측요인 분석

        김지혜(Kim, Ji-hye),변수용(Byun, Soo-yong),전재은(Jon, Jae-Eu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0 교육사회학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교원 및 교직환경 국제비교조사(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이하 TALIS) 2018 자료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교사의 교직 이탈(teacher attrition) 가능성 예측요인을 분석하였다. 교직 이탈 가능성은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향후 5년 이내에 교직을 떠나고 싶은 여부로 조작적 정의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학교 교사들 가운데 교직 이탈 가능성이 있는 교사들의 비율은 약 25%였다. 그러나 교직 이탈 가능성은 연령대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20대 교사의 교직 이탈 가능성 비율은 3%에 불과하였으나, 50대 이상의 경우 그 비율이 60%에 이르렀다. 한편,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연령대와 상관없이 교직 만족도가 낮을수록 교직 이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교사의 경우 교직 경력과 직무관련 스트레스가 교직 이탈 가능성과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었다. 50대 이상의 교사의 경우 석·박사 학위 취득 유무와 교직 경력이 교직 이탈 가능성과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edictors of turnover intentions among middle school teachers in South Korea, using data from the 2018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TALIS). Here, the turnover intention was operationalized as the intention to leave the teaching profession in the next five years.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those who are likely to leave the teaching profession in the next five years among Korean middle school teachers was approximately 25%. This likelihood, however, significantly differed by the age groups. For example, the proportion of those who are likely to leave the teaching profession in the next five years was approximately 3% among early career teachers in their 20s, but the corresponding proportion was 60% among teachers in their 50s.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eaching profession wa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likelihood of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for all age groups, with other things being equal. For teachers in their 40s, job stress was another significant predictor of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For teachers in their 50s, having a graduate degree and longer teaching experiences were additionally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likelihood of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치원 경력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조직몰입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오윤란,문혁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1

        This study examines what influences innovative leadership of kindergarten principals perceived by career teachers, teachers’ professional awareness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have on their job satisfaction. We conducted a survey of 207 career teachers with a first-level regular kindergarten teacher license in the Gyu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Data were compiled, correct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Then we carried out tests for difference in means, correlation analyse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investigated if there could be any difference caused by study object’s socio-demographic variables – kindergarten president’s years of experience and majoring or not majoring in early child education. We found out that there exist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both variables. Specifically, the group of presidents of 21 years and more turned out to have the highest innovative leadership. And the results between the presidents who majored and those who did not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wed that the former is higher than the latter. We found ou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areer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s, and it was the same with the teachers’ professional awareness of their teaching job. Especially, it showed higher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 principals’ innovative leadership. Third, investigated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 three variables innovative leadership of the kindergarten principals perceived by career kindergarten teachers, the teachers’ professional awareness of the teaching job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s. The principal’s innovative leadership showed the strongest explanation ability to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it was followed by professional awareness of the teaching job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s.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at it could provide basic data for making environmental arrangements supportive to promote career teachers’ 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유치원 경력교사가 지각한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 식, 조직몰입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교육청 관내 유치원 1급 정교사를 소지한 경력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차이검정과 상관분석 그리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원장의 경력과 전공여부에 따른 결과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21년 이상의 원장경력을 가진 집단이 가장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높게 나타났다. 원장의 전공여부에 따른 결과는 유아교육전공자가 비전공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경력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직 무만족도와 교직전문성 간에도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경력교사의 직 무만족도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경력교사가 지각한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직전문성 인식, 조직몰입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 향력을 살펴본 결과 경력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가장 높은 설 명력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교직전문성 인식, 조직몰입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경력교사의 직무만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적 지원체제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수준 및 교직경력별 핵심역량 수준 차이 분석

        이경진,최진영,장신호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이 자신의 핵심역량을 어느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핵심역량 수준이 초등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교사의 핵심역량을 능동적 전문성의 관점에서 교수역량, 평가역량, 생활지도역량, 학급경영역량, 전문성개발역량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핵심역량들을 역량의 구성요소인 지식, 수행, 태도별로 추출하였다. 이러한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수도권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핵심역량 별 평균이 모두 3점대로 나타나 초등교사들은 대체적으로 각 핵심역량을 어느 정도는 갖추고 있으나 충분하지는 않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 수행, 태도역량을 비교할 때, 지식의 경우는 교수역량과 평가역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생활지도역량, 학급경영역량, 전문성개발역량들의 수준이 낮게 평가되었으며, 수행의 경우는 학급경영역량 수준이 다른 역량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태도의 경우, 모든 역량에서 지식 및 수행에 비해 평균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한편 교직경력집단 별로 핵심역량의 수준을 비교한 결과, 교직경력이 높아질수록 핵심역량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의 경우 교직경력에 따른 핵심역량 수준의 평균 차이가 가장 확실하게 나타나는 반면, 태도의 경우 교직경력에 따른 핵심역량 수준의 평균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특히 4년 미만 교사들의 경우, 지식역량에 있어 다른 교사경력집단에 비해 평균이 상당히 낮게 나타났으며, 학급경영역량의 경우 지식 및 수행 역량의 평균이 다른 역량들의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초등교사의 직급 및 교직 경력에 따른 교원 연수 선택 및 수강 관련 요인 분

        구양미; 정미강; 김용 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미래융합교육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직급 및 교직 경력에 따라 연수 선택 및 수강 관련 요인 을 분석하고, 국립대학부설연수원 및 중소형 연수원들의 경쟁력 제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 하여 교원 연수에서 가장 높은 연수자 비율을 구성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연수 선택 방 법, 연수기관 정보 취득 경로, 연수 선택 시의 고려 요인 및 수강 시의 부담 요인에 대해 설문을 실시 하였으며, 유효한 181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수 선택 방법 및 연수기관 정보 취득 경로와 관 련하여 직급과 교직 경력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x2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수 선택 시의 고 려 요인과 수강 시의 부담 요인 관련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직급은 독립표본 t검증, 교직 경력은 일 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수 선택 방법 측면에서 직급과 교직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연수기관 정보 취득 경로 측면에서는 직급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직 경력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연수 선택 시의 고 려 요인 측면에서 직급 간 강사의 인지도, 연수 주제의 최신성, 친절한 상담 및 민원 처리, 연수 후 학 습지원, 홈페이지 사용의 편의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직 경력 간 연수기관 의 인지도, 연수기관의 규모, 강사의 인지도, 연수 주제의 흥미성, 친절한 상담 및 민원 처리, 친절한 튜터링, 연수 후 학습지원, 홈페이지 사용의 편의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연 수 수강 시의 부담 요인은 직급과 교직 경력 모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수과정 차별화, 연수과정 개발 및 운영, 홍보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생애단계별 전문적 자본 차이 분석

        최원석 ( Choi Wonseok ),허주 ( Hur Ju ),이동엽 ( Lee Dongyup ),김갑성 ( Kim Kapsung ),김민규 ( Kim Minkyu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전문적 자본이 생애단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여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서 표집된 214개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전문적 자본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인 즉, 인적 자본, 사회적 자본, 의사결정 자본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교사의 생애단계에 따른 집단 간 평균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교사의 교직경력 이외에 전문적 자본에 영향을 주는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관찰된 차이가 유지되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인적 자본의 경우 교직경력 2년 이하인 교사들의 평균에 비해 교직경력 11년 이상인 교사들의 평균이 높았다. 사회적 자본은 경우 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교사들에 비해 16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들의 평균이 더 높았고, 마지막으로 의사결정 자본은 2년 이하 경력교사들보다는 3~5년의 경력 교사들이, 이들보다는 16년 이상의 경력 교사들의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 초기 단계 교사들의 전문적 자본 축적을 돕고, 특히 교직 경력 11년 이후에도 교사들의 전문적 자본 축적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 방법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rofessional capital of primary school teachers based on 7 steps of life cycle stage, if any. A total of 1,821 teachers from randomly selected 214 prim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ch included measures of professional capital as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and decisional capital. A one-way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differences among teachers’ life cycle stage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whether the differences stand with the control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eachers with less than two years of experience had higher human capital compared to teachers with more than 11 years of experience. Second, social capital was greater in teachers with 16 years of experience than teachers with 5 years and less experienced teachers. Lastly, decisional capital showed differences of 16 and more years of experienced teachers being greatest following 3 to 5 years and less than 2 years of experience. These findings had similar patterns with the control variable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re presented for strengthening improvement of professional capital at early stages of teachers as well as teachers with more than 11 years of experience.

      • KCI등재

        고경력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교직의 어려움과 실천적 요구 탐색

        백진숙(Baek, Jin-Sook),안지영(Ahn, Ji-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6 No.5

        본 연구는 고경력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교직의 어려움과 실천적 요구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0년 이상의 고경력 보육교사 8인의 연구참여자를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12주간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서 대면 인터뷰를 원칙으로 하였으나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전화인터뷰와 SNS를 이용한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고경력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교직의 어려움으로는 높은 경력에 비례한 기대치에 대한 부담감, 부질없는 고경력의 의미, 전문성에 대한 왜곡된 인식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경력 보육교사의 교직에 대한 실천적 요구 및 개선점은 안정된 직업에 대한 보장(경력과 호봉에 맞는 급여, 교사의 복지)과 사회적 지지와 인식의 변화(사회적 지위향상, 전문성 신장을 위한 양성과정)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기관별 유형에 따른 차이점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llenges of teaching profession and practical needs of highly experienced childcare teachers. To this end, eight highly experienced childcare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during 12 weeks. The challenges of teaching profession that highly experienced childcare teachers showed were the burden of expectation commensurate with a high career level, meaninglessness of high level of experience, and distorted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In addition, the practical demands of highly experienced childcare teachers appeared to be a guarantee of stable employment (salary commensurate with experience and career level, teacher’s welfare, etc) and changes in social support and perception (improving social status, provid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 in teacher training curriculum, etc). The lack of analysis regards the differences that occur based on the type of nursery school is a limitation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