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와 교육내용의 연계성 탐구

        임부연(Lim Boo-Yeun)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20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0 No.2

        Nuri-Curriculum is a nation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r 3-5 young children in Korea, which has recently re-announced its direction toward ‘children and play centered’. This study explore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lay and content knowledge in National Nuri-Curriculum. A critical analysis has done on the tendency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which has often regarded play as the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stead on connection with contents knowledge. In order to overcome this ambiguities tendency, this study firstly focused on exploring the significance of contents on the national curriculum; then tried to focusing on explanation why and what 2019 Nuri-Curriculum has newly slimed the contents knowledge. Sliming content knowledge is important process for manifestation of National Nuri Curriculum on early childhood fields at practical level. In addition, this study described concrete examples of children’s play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which has related to the 5 areas of contents in Nuri-curriculum.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ractice of national curriculum must has to do the content knowledge on the paper of national curriculum with its manifestations on the fields, so thus the Nuri curriculum based on children’s play. 본 연구는 유아·놀이 중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시행되면서 제기될 수 있는 다양한 논쟁 중에서 ‘놀이와 교육내용’의 연계성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전통적으로 유아교육과정에서는 ‘놀이’에 대한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교수·학습에 두는 경향이 높았으나, 개정 누리과정에서는 놀이를 ‘교육내용으로서 5개 영역’과의 연계성에 더 초점을 두고자 한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시급히 요구되는 의제에 초점을 두는 이슈 페이퍼의 성격을 가지며, 개정 누리과정에서 가장 주목받는 놀이와 교육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인 ‘교육내용’과의 관계를 시급한 의제로 선정하여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누리과정에서 교육내용이 무엇인지를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둘째, 유아의 놀이와 누리과정의 교육내용과의 연계성의 의미를 탐구하며, 셋째, 놀이와 5개 영역의 교육내용의 연계가 무엇인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있다. 무엇보다 놀이를 근간으로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해 간다는 것은 국가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이 유아의 놀이 속에서 구현되어야 함을 의미하며, 5개 영역의 내용은 고정된 기준이 아니라, 유아의 놀이를 통해 생성되는 배움의 내용에 근거하여 교사의 넘나드는 의미 해석과 교육과정 문해력을 요구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유아교육과정에서 유아의 놀이의 중요성을 논의하는 담론이 자칫 간과하기 쉬운 교육내용과의 중요한 연계성에서 논의되어야 한다는 점과, 이는 놀이를 단순한 방법론이 아닌 국가교육과정에서 가장 핵심적 구성요소인 교육 내용의 관계성에서 좀 더 본질에 충실하여 심화될 수 있음의 중요성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개발 방안

        방기혁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2

        이 연구는 농업의 변화에 부응하는 교양농업 교육내용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초등학교 수준의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의미와 범위 고찰, 교양농업 교육내용 변화에 대한 교육과정기별 분석 및 문제점 도출, 그리고 이를 토대로 교양농업 교육내용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서는 내용 분석의 준거가 되는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영역을 ‘농업의 이해’, ‘우리생활과 농업’, ‘자연자원과 환경’, ‘동물 생산’, ‘식물 생산’, ‘농산물 가공’, ‘농산물 유통’, ‘농업 정책’, ‘농업과 진로’ 등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실과교육과정기별로 교육내용의 변화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이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실과교육과정기에 따른 교양농업 교육내용은 특정 영역에 편중된 편성, 독립적인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구성, 계열성, 계속성 등의 원리가 반영되지 않은 교육내용의 조직, 실과교육과정기별로 다양성과 일관성이 결여된 농업 교육내용의 편성, 계속적인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감소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개발을 위해서는 ‘농업의 이해’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의 편성, 통합된 내용의 구성, 계속성과 계열성 있는 내용의 구성, 다양성과 일관성 있는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편성, 충분한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확보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초등학교 수준의 교양농업 교육내용은 설정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농업의 변화 및 교양농업교육 구성원의 요구를 반영해야 하며, 이에 의한 최적의 교양농업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scope of educational contents, to analyse the changes and problems of educational contents, to present th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in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contents analysis. The criteria of educational contents analysis by review of literature were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Living and Agriculture’, ‘Natural Resource and Environment’, ‘Animal Production’, ‘Plant Production’, ‘The Crops Processing’, ‘The Crops Distribution’, ‘Agricultural Policy’, ‘Agriculture and Career’ domains.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cont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in practical arts curriculum had various problems : specific and independent organization, deficiency of diversity and consistency, decrease of educational contents etc.(2) The cont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should contain the contents of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domain, organize an integrated contents, and be applicable to diversity and consistency. Also it should secure an enough quantity.(3) The cont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that i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have application to needs of constituents in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2015개정 실과교육과정 식생활 영역에 대한 평가 및 내용 구성 방향

        이성숙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k composition of contents after evaluating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 available in applying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for 2015 to the dietary life area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cooking activities of dietary life area in practical arts curriculum, Korean food making such as rice, soup, side dishes and Kimchi (from the 1st to the 4th, 6th) was changed into one-bowl food making using rice (the 7th), which reflected the influence of the time and there was flour based food or bread influenced by the western style (from the 3rd to the 7th), but cooking food with bread was removed (revised in 2009) and analyzing various food materials (revised in 2015) was newly included. Family life area in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for 2015 included three areas such as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family life and safety, and resource management and self-reliance and dietary life consisted of two factors in 'living culture' and one factor in 'safety'. Compared to the contents in 2009, its titles were reduced to three from four. From content factor, cooking content was greatly reduced and 'food taste' was newly included, 'cooking' was included in 'safety area' and its meaning was reduced to 'cooking for safety'. Achievement standard in family life was dietary life as 5.5 of 20 and 30% of family life contents in textbook should include dietary life contents. As revised in 2009, if family life area by each grade was three units, dietary life area should be one unit. In addition, since practice contents should be included, security of enough quantity is required. For newly introduced taste education, how to taste and express food with five senses and activity to distinguish tastes and enjoy traditional food (local and seasonal food) should be offered and attitude to succeed traditional dietary culture should be educated. More attention has been paid to dietary life and the future of dietary life education depends on how the revised curriculum for 2015 will be operated. It is considered that competence based curriculum must also include various making activities based on the essential feature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rough various experiences. 이 연구는 2015개정 실과교육과정의 식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향후 교육과정 운영, 교과서 집필 등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실과교육과정기별 식생활 영역 중 조리 활동 내용을 분석하였고, 2015개정 실과교육과정에서 고시된 교육과정의 범위와 틀 내에서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등을 검토하여 내용 구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5개정 실과교육과정에서 가정생활 영역은 인간발달과 가족, 가정생활과 안전, 자원관리와 자립 3영역이었으며, 식생활 내용은 ‘가정생활과 안전’영역 중 ‘생활문화’에서 내용요소 2개, ‘안전’에서 내용요소 1개로 제시되었다. 이는 단원명으로 제시되었던 2009개정과 비교할 때 식생활 내용이 4개에서 3개로 축소되었다. 내용요소 측면에서 만들기 내용이 대폭 축소되어 있으며 ‘음식의 맛’이 새롭게 들어가고 ‘조리’가 안전 영역으로 들어감으로써 ‘안전을 위한 조리’로 그 의미가 하향되었다. 실과교육과정기별 식생활 영역 중 조리 활동 내용을 분석한 결과 제1차부터 제4차, 제6차까지는 밥, 국, 반찬, 김치 등 한식 만들기가 있었으나, 제7차에서는 간편식으로 밥을 이용한 한 그릇 음식 만들기로 전환되었다. 제3차부터 제7차까지는 서구식의 영향으로 분식 및 빵으로 음식 만들기가 있었으나, 2009개정에서는 환경의 강조로 빵으로 음식 만들기가 없어졌다. 2015개정에서는 다양한 식재료 맛 분석하기가 등장하는 등 변화를 겪고 있다. 실과교육과정에서 조리 활동 내용은 시대에 따라 변화가 있었으나, 조리 활동은 식생활 영역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다양한 측면에서 초등학생에게 의미 있는 활동이므로 간과되어서는 안되는 활동이다. 2015개정 교육과정의 가정생활 영역에서 성취기준 20개중 5.5개가 식생활 내용이므로 시수 및 교과서에서 가정생활 내용 중 30%가 식생활 내용이 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실습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므로 충분한 분량 확보가 필요하다. 새롭게 도입된 미각교육을 위해서 기본적으로 오감으로 음식의 맛을 보는 방법과 표현하는 방법, 맛을 구분해보는 활동, 전통 음식(지역 및 제철 음식) 등의 맛을 즐겨보는 활동 순으로 진행하며 전통 식문화를 계승하는 태도를 가지도록 한다. 최근 식생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2015개정 교육과정이 어떻게 운영되는가에 따라 식생활교육의 미래가 결정된다. 역량중심 교육과정이라 하더라도 다양한 경험을 통해 실과교육 본래의 특성을 살려 다양한 만들기 활동이 수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

        외국인 어학연수생 대상 한국어교재의 진로교육 단원 내용분석과 교수 방안제시

        이충구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2 No.3

        · 연구 주제: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어학연수생 대상 한국어교재의 진로교육 단원 내용 분석과 진로교육 측면의 교수 목표 및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연구 배경: 중도탈락하는 외국인 재적 학생 중 어학연수생이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 유학은 진로 측면에서 희망이 없다는 인식이 중도탈락의 결정적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교육과 함께 교육과정의 각 단계에서 외국인 어학연수생을 위한 적절한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어학연수생을 위한 한국어교재의 내용분석을 진로 교육적 관점에서 연구되어야 하며, 그에 알맞은 진로교육 목표와 진로교육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선행연구에서는 한국어교재 내용분석은 문화교육과 발음 교육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더욱이 진로교육 관점에서 어학연수생을 위한 한국어교재의 내용분석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로교육 측면에서 어학연수생 한국어교재 내용분석을 통하여 한국어교재 안에 진로교육 내용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밝혔으며, 그에 따른 단계별 구체적인 교수 목표 및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 연구방법: 대학기관에서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서울대 한국어’를 내용분석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진로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어학연수생에게 교육되어야 할 진로교육 내용 초안을 도출한 후, 진로교육 전문가 3인, 한국어 교수자 3인의 검토를 거쳐 분석 확정한 준거에 의거 교육단계별 진로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하여 진로교육 관점에서 서울대 한국어 Student's Book 내용을 분석한 결과 1급부터 6급까지 전 교과 내용 중에서 진로교육을 포함한 단원이 총 132단원 중 117개 단원으로 분석되었다. 진로교육 내용으로 분석된 단원의 진로교육 교수 목표 및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한국어 교수자들이 외국인 어학연수생에 대한 진로 인식이 높아지고, 한국어 교육과정 안에 녹아있는 진로교육 내용을 진로교육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교육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에 따라서 외국인 어학연수생의 진로 인식이 고취되며, 어학연수 중에 자신의 진로에 대한 확신이 생기고, 진로 성공을 꿈꾸며, 성공적인 유학 생활을 하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어학연수생의 중도탈락 예방에 기여될 것으로 기대한다. · Research topics: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career education section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foreign language trainees and present teaching goals and measures in terms of career education. · Research background: Among foreign students who drop out, language trainees account for nearly half, and the perception that studying abroad in Korea is hopeless in terms of career path is a decisive cause of dropout. Therefore, along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appropriate career education for foreign language students must be provided at each stage of the curriculum. To this end, the content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language students must first be studied from a career education perspective, and appropriate career education goals and career education plans must be presented.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Among foreign students who drop out, language trainees account for nearly half, and the perception that studying abroad in Korea is hopeless in terms of career path is a decisive cause of dropout. Therefore, along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appropriate career education for foreign language students must be provided at each stage of the curriculum. To this end, the content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language students must first be studied from a career education perspective, and appropriate career education goals and career education plans must be presented. · Research method: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which is the most frequently used language in university institutions,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content analysis research. A total of 12 volumes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Student's Book were collected. After analyzing previous research, a draft of the career education content to be taught to language trainees was derived, and then reviewed by three career education experts and three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the career education content was analyzed at each stage based on the criteria determined. · Research results: Through this study, the cont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s Korean Student's Book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career education. As a result, the number of units including career education among all subjects from grades 1 to 6 was analyzed as 117 units out of a total of 132 units. The teaching goals and teaching plans for the units analyzed as career education units were presented.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is will help Korean language instructors increase career awareness of foreign language trainees and actively utilize the career education content included in the course at the career education level. Accordingly, it is believed that foreign language trainees' career awareness will be enhanced, and during language training, they will have confidence in their career path, dream of career success, and have a successful study abroad life.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eventing dropout of language trainees.

      • KCI등재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실과(기술·가정) 생명기술 내용과 연계성을 고려한 초·중등 생명기술교육 내용 분석과 주제 구안

        손경희 ( Son Kyeong Hee ),김종우 ( Kim Jong Woo ),이상원 ( Lee Sang Wo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2

        본 연구는 2009 개정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초등학교 교과서의 생명기술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생명기술교육 관련 내용과의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2009 개정교육과정에 의거 출판된 초등학교 교과서 및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를 대상으로 그에 수록된 생명기술 내용과 교과 간, 학년 간 연계성을 항목별로 분석하였으며, 연계성을 고려한 수업활동 예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기술교육 관련 내용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언급되는 빈도가 많아지며, 교과별 내용 건수는 과학과 실과 교과에서 가장 많았다. 둘째, 생명기술교육 관련 내용의 수를 분석 항목별로 살펴본 결과, 생명기술 이용 영역이 가장 많았다. 셋째, 초등학교 실과 교과의 경우 타 교과에 비해 모든 분석 항목이 비교적 다양하게 다뤄졌으며 그 빈도도 가장 많았다. 또한, 초등 교과 중 유일하게 생명기술과 관련한 진로탐색이 이루어졌다. 넷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제시된 생명기술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한 결과 모든 분석 항목 영역을 고루 반영하여 수록하였고, 초등학교와 비교하여 모든 영역에서 깊이와 넓이를 가진 내용으로 전개되었다. 다섯째,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생명기술교육 관련 내용은 일부 영역에 치우쳐 있으며 교과 간 연계성이 부족하다. 여섯째, 분석 항목별 생명기술교육 관련 내용의 학년 간 연계성은 생명기술 이용 영역 외에는 연계성이 부족하고, 다뤄지는 내용의 범위와 수준이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넘어가면서 급격히 확대되어 학생들이 학습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곱째, 연구자는 2015 개정교육 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내용과 초등학교 실과 교과의 내용이 연계성 있게 전개될 수 있도록 `수업활동 예시`를 분석 항목에 따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biotechnological education contents of the elementary textbooks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comparatively to analyze the connections in the contents of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The study was performed in the category of subject and grade and then provided learning activities in consideration of such connect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e study. First, the textbooks for higher grade students contained more of contents related to biotechnological education. In addition, science and practical arts textbooks included the most contents related to biotechnological education. Second,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number of the contents related to biotechnological education by item were found that the domain of the usage of biotechnology showed the highest number. Third, elementary practical arts covered all the items for analysis more variously than other subjects. Furthermore, elementary practical arts were the only elementary subject that included career exploration associated with biotechnology. Fourth,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contents related to biotechnological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 showed that the middle school textbook evenly contained all the items for analysis and included more profound contents in all the domains than the elementary school text book. Fifth, contents related to biotechnological education contain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slanted to some domains, displaying lack of connections between subjects. Sixth, as for connections between contents related to biotechnological education according to grade by analysis item, other domains displayed lack of connection except for the usage of biotechnology. As the contents covered in middle school showed a rapid extension in scope and level compared with the content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expected to have difficulty in learning. Finally, this researcher developed and provided learning activities by analysis item for the connected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and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school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쓰기 지식 범주의 교육 내용 반영에 관한 탐구

        임천택(Im, Cheon-tae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5 No.2

        본고의 목적은 쓰기 지식 범주의 교육 내용 반영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쓰기 지식 중심의 교육 내용 구성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쓰기 지식은 일반 지식의 특성을 공유하는데, 그것은 체계적이고, 맥락적이며, 인지적 영역 뿐 아니라 정의적 영역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그러나 쓰기 지식의 범주를 구분할 때는 일반 지식의 범주 구분과는 달리 쓰기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논리에 근거하여 본고에서는 쓰기 지식을 사회․문화적 지식, 내용 지식, 담화 지식, 과정 지식, 초인지 지식으로 범주화 하였다. 교육 내용으로서 쓰기 지식이 갖추어야 할 조건은 가르칠 수 있는 것, 안정적인 것, 교육적 가치가 있는 것, 국어 교과와 쓰기 영역의 특성을 담아낼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쓰기 지식 범주 중에서 교육 내용이 될수 있는 것은 사회․문화적 지식, 담화 지식, 과정 지식, 초인지 지식의 범주이다. 흔히 교육 내용으로 삼고 있는 전략 은 쓰기 지식 범주의 과정 지식이나 초인지 지식으로 대체할 수 있고, 기능 과 태도 는 교육 내용이기보다는 교육 목표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러 므로 쓰기 교육 내용은 결국 쓰기 지식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쓰기 지식의 반영 양상을 살펴본 결과,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 모두에서 지식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쓰기 교육 내용 체계와 학년별 교육 내용을 검토한 결과, 쓰기에 필요한 지식이 균형 있게 반영되지 못한 점, 쓰기 지식 교육 내용의 범주와 그 관계가 불투명한 점, 쓰기 지식의 습득과 활용이 어려운 내용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 점을 개선할 수 있는 쓰기 교육 내용의 구성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쓰기 교육의 내용 체계는 쓰기 지식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쓰기 교육의 내용 체계는 쓰기 지식의 논리로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쓰기 교육의 내용 체계는 쓰기 지식의 각 범주가 균형 있게 반영되어야 한다. 넷째, 학년별 쓰기 교육 내용은 목표로 제시되어야 하고, 그것은 명확히 나선형으로 배열되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character and a category of the knowledge in writing. And it investigates the education contents reflection aspect of the knowledge category where it gropes the education contents reflection direction of the knowledge in writing. Dividing the knowledge category in writing must reflect the quality of writing. This research regards to writing knowledge dividing knowledge social and culture knowledge, contents knowledge, conversation knowledge, process knowledge, and meta cognitive knowledge. As education contents the condition of the knowledge in writing must be a stable and education value, possibility of teaching, reflecting the quality of the writing and national language subject. Consequently, the fact that it is the possibility reaching the education contents category from the knowledge category in writing social and culture knowledge, conversation knowledge, process knowledge, meta cognitive knowledge. The one side strategy it will be able to substitute with a process knowledge or a meta cognitive knowledge. The skill and attitude correspond to an education aim. Consequently, knowledge finally must be center in writing education. This research tries to observe reflection aspect of the knowledge in the education contents of writing on the basis of present Curriculum. As a result that it emphasizes knowledge aim and a contents all. But dividing education contents category and that the relationship is opaque, the reflection of writing knowledge is insufficient, the contents system of the knowledge category in writing loose, the finding and application of the writing knowledge with difficult appeared are becoming problem point. It presented direction of improvement with after words for this problem point. First, the contents category of writing education must be composed knowledge with the center. Second, the contents system of writing education must be composed of the logic of the writing knowledge. Third, the contents system of writing education must be reflected knowledge of each category with balance. The fourth, grade star education contents must be presented with aim and arranged a spiral clearly.

      • KCI등재

        학교급별 역사교육 내용요소 선정 및 체계화 연구

        이명희(Lee Myung-Hee),김봉석(Kim Bong-Seo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3

        본 연구에서는 초·중·고등학교에서 역사교육의 내용을 어떻게 선정하고, 체계화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선정’과 ‘체계화’를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기준을 명확히 설정하고, 그 기준에 입각하여 학교급별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역사교육 내용요소 구성의 변인으로 학습자, 국가·사회, 학문적 변인을 설정하여 검토하였다. 이에 따라 근대문명을 중심에 둔 역사교육의 내용체계를 다음과 같이 실험적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급별 계열화에 따른 내용체계 제시는 실증적 조사연구가 필요하므로 큰 틀에서만 논하였다. 둘째, 세계사와 한국사를 연계한 역사교육의 내용구성을 시도하였다. 셋째, 문명사적 접근을 통한 역사교육 내용구성을 시도하였다. 넷째, 근대 이전에는 세계적 종교를 축으로 형성된 문명에 주목하였고, 근·현대사는 근대문명의 성립과 발전사로서 파악하여 역사교육의 내용체계를 구상하였다. 다섯째, 연구 의도를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학습과제 형식의 의문문 속에 포함시켜 구상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역사교육의 학교급별 계열화에 대한 새로운 원칙과 틀을 제기하고, 내용선정 및 구성에서도 새롭고 과감한 시도를 한만큼 논쟁의 여지도 있다. 추후 본 연구를 토대로 이를 뛰어넘는 학교급별 계열화와 내용선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질 것을 기대한다. In this study, how to select and systematize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as determined. Learners, national, social, and academic variables were set and reviewed as variables in the composition of content elements of history education. Accordingly, the content system of history education centered on modern civilization was presented experimentally as follows. First, the presentation of the content system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each school level requires empirical research. It was discussed in a large framework. Second, it attempted to construct the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linking world history and Korean history. Third,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were constructed through a civilized historical approach. Fourth, before modern times, attention was paid to civilization formed around world religio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as identified as a history of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modern civilization. The content system of history education was then conceived. Fifth, in order to clearly express the research intention, a plan was proposed by including it in a questionnaire in the form of a learning task. This study raises new principles and frameworks for the sequencing of history education by school level. It is controversial as new and bold attempts are made in content selection and composition. Based on this study, discussion on the sequencing of each school level is expected to be active in the future.

      • KCI등재

        초등학교 중학년 교과서의 진로 교육 내용 분석

        강윤주,안이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6 초등상담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과서에 진로교육 내용이 어떻게 나타나 있는지를 분석하여 진로교육 내용 개선의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3, 4학년 국어, 도덕, 사회 교과서와 지도서를 대상으로 교육부(2012)가 개발한 ‘초등학교 진로교육 세부목표 및 성취지표’를 분석 준거로 하여 진로교육 내용을 분 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 4학년 국어 교과서에는 126시간의 진로교육 관련 내용이 나타나 있다. 특히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역량 개발’, ‘자아 이해 및 긍정적인 자아 개념 형성’ 영역이 가장 강조되고 있다. 둘째, 3, 4학년 도덕 교과서에는 57시간의 진로교육 관련 내용이 나타나 있으며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영역이 가장 강조되고 있다. 셋 째, 3, 4학년 사회 교과서에는 102시간의 진로교육 내용이 나타나 있으며 국어, 도덕 교과와 달리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 영역, ‘진로탐색’ 영역이 강조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3, 4학년 국어, 도덕, 사회교과서에는 진로교육 내용이 대부분의 영역에 많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교 육 기회의 탐색’과 ‘진로계획과 준비’에 관한 내용이 거의 없고 학년에 따른 지도영역과 시 간에 편차가 크다. 내용면에서도 직업가치관이나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 의사결정에 대한 내용이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반영되도록 개선이 필요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 한 논의와 함의가 서술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improvement in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e study looked into how much of the career education contents have been dealt with in these Korean, Mor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s that would target in the third and the fourth gr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total of 126 career education contents were published in the Korean textbooks in the third and the fourth grades. In particular, the study confirms that these categories such as ‘how to cultivat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how to understand yourself and how to form positive beliefs in yourself’ are most emphasized. Second, a total of 57 career education contents were published in the Moral Education textbooks in the third and the fourth grades. In particular, the study confirms that these categories such as ‘how to understand yourself and how to form positive beliefs in yourself’ are most emphasized. Third, a total of 102 career education contents were published in the Moral Education textbooks in the third and the fourth grades. but, what is different about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from the Korean and the Moral Education textbooks is that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emphasize these categories of ‘understanding the world of career and occupations’ and ‘career exploration’. In conclusion, I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in this research.

      • KCI등재후보

        한문과 교과 교육 내용 체계 및 내용 교재 개발

        김왕규 ( Wang Kyu Kim ),원용석 ( Yong Seok Won ),한은수 ( Eun Su Han ),김동규 ( Dong Kyu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 漢字 漢文敎育 Vol.17 No.-

        한문 교육은 교과 교육의 하나이고, 모든 교과는 내용 체계를 가지고 있다. 주지하듯이 교과의 내용 체계는 교과에서 교육할 내용을 집약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본 연구의 핵심 과제는, 한문과 내용 체계의 영역 구분의 기준과 내용 조직의 원리를 탐색하고 내용 체계 시안을 개발한 뒤, 이에 따른 한문과 내용 교재를 개발하는 것이다. 현행 한문과 내용 체계와 학계에 보고된 내용 체계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한 결과, 배경 학문의 지식 결여, 용어의 개념과 범위 혼동, 한문 교과의 학문적 구조반영 미흡 등의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에 본 연구진은 내용 체계의 세로축 곧 영역 구분을 한자 생활, 한문 지식, 한문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가로축 곧 내용 조직과 관련된 범주화 및 구조화를 각각 몇 개의 안으로 설정하였다. 설문 조사, 전문가 협의회, 연구진 협의회 등을 거쳐 세 개의 내용 체계 안을 조정하여 ``내용체계 시안``을 확정하였다. 연구진은 내용 체계 시안을 바탕으로 한문과 내용 교재를 개발하였다. 교재 개발은 우선 한자 생활, 한문 영역 내의 중영역을 대단원으로, 소영역을 한 개의 소단원으로 설정하였다. 단, 한문 지식 영역은 독립 단원으로 편성하지 않고, 학습자료로 교재의 말미에 편찬하였다. 결국 한문과 내용 교재는 5개의 대단원, 14개의 소단원, 그리고 참고 자료로 구성, 편찬되었다. 한문과 내용 교재는 무엇보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구현하는데 치중하였다. 편찬의 기본 방침은 특히 본문의 학습 활동을 통하여 나타나 있다. 기존의 교과서와 달리, 학습 목표의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과정과 절차를 제시하도록 노력하였다. 한편 연구진은 중학교 한 곳, 고등학교 한곳을 택하여 개발된 실험용 한문 교재를 사용하여 현장 시연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반응과 현장 교사들의 의견, 그리고 협력 교사의 비평 등을 참고, 활용하여 교재의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였다. ``한문과 교과 교육 내용 체계 및 내용 교재 개발``의 결과물은 한문교육을 담당하는 한문 교사에게 한문과의 학문적 정체성이 무엇인지, 학습자에게 전수할 한문과 학습 내용의 핵심이 무엇인지에 대한 방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내용 체계가 바뀌면 학교 현장의 한문교육의 양상도 바뀌게 될 것이다. 내용체계의 변화는 내용의 변화를 수반하며 이를 수행하기 위한 교재로서의 교과서 개편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교과서를 구성하는 방식에서 다양한 변화가 예견되며, 이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학교 교실 수업의 교수-학습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Th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one of curricular educations, and every curriculum has its content system. As you are well aware, the importance on the content system of curriculum cannot be overemphasized in that it intensively suggest contents to be educated in the curriculum. The key task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criteria for dividing the fields of content system as well as the principle of content system for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develop the tentative plan of content system, and then to develop a content textbook for th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department according to this. As a result of having review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ontent system reported in the academic circle, many problems were pointed out, including the lack of knowledge on background learning, confusion about the concept and scope of terminologies, and insufficiency of reflecting the academic structure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group set up the vertical axis of content system, namely the division of fields, as classical Chinese life, knowledge on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al Chinese. And we set the horizontal axis, in other words, each of the categorization and structurization related to content system, as several plans. After three content system plans were adjust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questionnaires, expert consultation, and consultation of research groups, the "tentative content system plan" was developed. The research group developed a content text for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based on the tentative content system plan. In the first place, the text development set up middle fields in classical Chinese knowledge and classical Chinese field as a large unit and the small field as a small unit. However, the classical Chinese knowledge field was not made as an independent unit but was compiled at the end of the text as a reference material. After all, the content text for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composed of and compiled with 5 large units, 14 small units and a reference material at the end of it. The content textbook for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placed a lot of emphasis in materializing learner-oriented education above everything else. The basic direction of compilation is demonstrated especially through the learning activities of main text. Unlike existing textbooks, it doesn`t suggest the result of learning objectives but sought to propose the process and procedure to reach the learning objectives.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group conducted preliminary field application tests for the developed content text by selecting one middle school and one high school. Taking account of and utilizing a lot of inputs, including the responses from students, opinions of field teachers, and comments of cooperative teachers, the group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problems of the textbook. The results of the "development of curricular education content system and content text for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ill be able to provide classical Chinese teachers in charge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ith directions on what the academic identit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department is and what the key points of the classical Chinese and learning contents to be taught to learners are. If the content system is changed, the aspec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t school fields will also be changed. It is thought that the change of content system will accompany a change in contents and the modification of textbook for accommodating the change will be inevitable. To start with, a variety of changes in the method forming textbooks are foreseen, and these will als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eaching-learning of classroom class at schools in order to achieve educational objectives.

      • KCI등재후보

        듣기 말하기 영역의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상섭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청람어문교육 Vol.30 No.-

        This study aims to evaluate and suggest the proper direction for the contents of teaching in the fields of speaking and listening language education by analyzing both the current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rimary school. The problem with the contents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provided in the current curricula is not appropriate. Another problem is that the contents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defined in the curricula are not sufficient to accomplish the education goal. The choice of curricula contents should be based on a clear-cut evidence and a sufficient reflec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I give highlight on the need to help each student examine his/her daily speaking and listening and check his/her problems of verbal communication through classroom activities so that every student can live his/her life in harmony with the people around him/her. 본고는 듣기 말하기 교육과정에 대한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듣기 말하기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와 학년별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듣기 말하기 영역의 내용 체계는 전체적으로 읽기와 쓰기 영역의 체계와 거의 동일한 유형과 동일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읽기 쓰기 영역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나머지 화법 고유의 상황맥락 변인, 다양한 담화 변인 등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내용체계의 실제에서도 읽기와 쓰기 영역에서와 동일하게 정보 전달, 설득, 정서 표현, 친교의 말하기와 듣기로 되어 있다. 학년별 내용의 일반적 체계는 교육내용들 사이에 관련성이 별로 없다는 점과 학년별 내용안에서 수준차가 존재하고 학년간 위계가 잘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육내용이 수준별로 제시되지 않아 수준별 교육과정의 정신을 퇴색시키고 있다. 화법교육 측면에서 교육내용은 학년별 교육내용이 화법의 실제 양상인 담화와 연관지어 구성되지 않았고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이 화법의 원리가 아닌 쓰기의 원리에 기초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법(듣기 말하기) 영역 고유의 절차적 지식(‘원리’ 범주)에 대한 교육내용이 부족하고 우리 민족 고유의 말 문화의 관습 및 태도에 관한 내용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이상과 같이 제기한 듣기 말하기 교육 과정 체계와 학년별 내용의 문제가 해결될 때 아름다운 말의 문화가 꽃피고, 삶을 나누는 진실한 화법 문화가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