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敎育空間을 향한 退溪의 視線

        안경식(安京植)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8 敎育思想硏究 Vol.22 No.3

        이 글은 2008년 10월, 한국교육사학회 연차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수정한 것이다. 논문의 구성은 머리말과 본문, 맺음말의 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문에서는 퇴계의 교육공간에 대한 견해를 크게 네 가지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첫째는 산수에 대한 견해이다. 퇴계의 삶에서 산수의 의미는 다의적이다. 병을 조섭하는 휴양의 공간이기도 하였고, 성품과 정서를 도야하는 성정도야의 공간이기도 하였으며, 생생지리(生生之理)를 체험하는 공간이기도 하였으며, 독서 공간, 공부의 공간, 놀이의 공간이기도 했다. 둘째는 불교사원에 대한 견해이다. 퇴계에게 사원은 종교의 공간이 아니라 독서의 공간, 강학의 공간이었으며, 안거의 공간이었다. 셋째, 자신의 설계하고 지은 공간에 대한 견해다. 양진암과 한서암이 이신(頤神) 공간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다면 계상과 도산서당은 강학 공간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다는 차이가 있다. 특히 도산서당은 잠심자득의 공간이기도 하며, 존덕성과 도문학의 공간이기도 하면서 일상에서 리의 구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조영된 교육공간이다. 넷째, 공적 교육공간이라 할 수 있는 성균관, 사학, 향교와 서원인데, 퇴계는 특히 서원을 도학공부의 공간으로서 주목하였다. 本文運用文献研究方法,通過分析退溪李滉關於教育空間之見解,力求透視朝鮮時期儒家有識之士關於教育空間問題的思想, 籍供改善現代敎育空間之參考。 硏究本文所採用的資料, 可分爲三類 : 一、 退溪本人所撰的記文. 二、退溪本人所撰的詩文。 三、當代學者所編的退溪年表。 本文除序論以外, 共分二章四節。 各章、節硏究主題及內容如下: 第二章一節: 退溪之敎育空間其一; 自然山水。以教育空間间觀點探討了自然山水所蕴涵的多層意義。即自然山水作爲休養空間、陶冶性情和禀性、讀書空間和游玩空間等方面的意義。 第二章二節: 退溪之敎育空間其二; 佛敎寺院。探討從敎育空間的來看佛敎寺院之多面意義, 卽是幽息和藏修空間、讀書空間、講學空間的意義。 第二章三節: 退溪之敎育空間其三; 養眞菴、寒棲菴、溪上書堂、陶山書堂。探討退溪本人所造營的敎育空間的多面意義, 卽是潛心自得、道學工夫空間的意義。 第二章四節: 退溪之敎育空間其三; 成均館、四學、鄕校、書院。探討公的敎育空間的意義, 卽是準備科擧空間和鍊磨道學空間的意義。 第三章: 退溪敎育空間之特徵和意義。探討傳統社會敎育空間對現代韓國敎育空間的啓發和意義。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 마을만들기를 통해 공간을 배우다: 공간담론과 교육담론의 연결고리 찾기

        이병준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2017 성인계속교육연구 Vol.8 No.3

        최근 평생교육은 마을만들기의 실천과 담론에 뛰어들고 있다. 그러나 과연 평생교육이 마을만들기 담론과 실천을 얼마나 이해하면서 그 접목을 시도하고 있는가의 문제를 제기한다면 그 현실은 초라하다. 평생교육과 마을만들기 둘 다 지역사회를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프로젝트에서 핵심인력의 역량이 성공을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지역시민들의 교육과 학습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는 같은 문제의식을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마을만들기는 평생교육적 관심을 넘어선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발견된다. 마을만들기는 무엇보다도 지역의 공간에 관심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공간은 지리적, 물리적 공간임과 동시에 이를 넘어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공간이다. 또한 이러한 공간은 과거 세대와 현 세대가 만나고 만날 수 있는 문화적 기억의 공간이기도 하다. 아울러 마을만들기를 통해 형성되어질 공간은 시민들의 공동의 관심을 표출할 수 있는 공론장의 공간이기도 하다. 마을만들기의 공간에 대한 관심은 이 프로젝트에 참여할 때는 기본적으로 공간담론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마을만들기에 참여하는 현재의 평생교육에서의 담론에는 공간담론이 거의 빠져있다. 공간적 실천이 어떠한 점에서 교육적 실천과 연관되어지는지, 그리고 교육적 실천을 위해 어떠한 공간적 실천과 병행해서 가야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교육담론과 공간담론의 연결고리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 KCI등재

        교회 교육공간에 관한 기독교교육적 환경구성

        우지연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0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62

        As an element of education, the educational space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purpose of education. The place of education is not only the passage to deliver actual curriculum, but also the purpose itself that can be accomplished through educational content. That is because the purpose of education cannot be achieved only with instructors, students, curriculum, and methods, but requires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space that represents the goal and the place where it all can be implemented. Nevertheless, the problem that lies with educational space is easy to be overlooked and it has been rather considered as an issue related to the finances or scale of the church. The church educational space gives birth to faith and growth, where spiritual development and experience may occur. However, the reality follows the drawbacks of conventional school classroom arrangements and structures. In addition, even if the church educational space can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its students, it cannot deviate much from the standard uniform format. In particular, the basic environment of church educational space is similar to that of standard school system in terms of arrangement of furniture such as chairs, desks, and its physical structure. As the school system was originally designed and tailored for the purpose of delivering knowledge and standardization, the space for church education must stay away from it. Humans are born and die in a space, where encounter with God also happens. Also, communication with God causes spacial conversion to humans, changing the place of their visitation. So the church educational space must be more meticulously designed and comprehensive than that of school which pursues physical, educational, psychological, social, and artistic purposes because the church educational space pursues the liturgical elements, as well. Therefore, the Christian learning environmental arrangements must seek liturgical elements, which is the major Christian value, by placing Christian artwork or symbols for church visitors. So in this research, I want to stress the role of Christian educational space for spiritual growth and pursue intrinsic and extrinsic changes in learning environment, leading to a greater awareness of the Christian educational space. 교육의 한 요소로써 교육공간은 교육의 목적과 분리될 수 없다. 교육공간은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통로일 뿐 아니라 교육내용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 그 자체이다. 이는 교사와 학생, 교육내용, 방법만 가지고는 충실하게 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고 이를 수행하고 대변할 수 있는 교육공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공간에 대한 문제는 간과하기 쉬운 주제이고 이를 재정이나 교회 규모와 관한 쟁점으로 미뤄두고 있다. 교회 교육공간은 신앙이 잉태되고 자라는 영적 발달과 경험이 일어나는 곳이다. 그러나 현실은 학교 교실 공간의 배열과 구조가 가진 문제점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으며 교회 교육공간을 학습자 중심으로 구성한다고 할지라도 획일적이고 일반적인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학교 교실과 비슷한 교회 교육공간은 의자, 책상 등의 가구 배열이나 물리적 형태의 기본환경이 유사하다. 이는 지식전수, 획일주의 등의 목적에 적합하게 기획된 것이므로 교회 교육공간은 이를 지양해야 한다. 인간은 공간에서 태어나고 죽을 뿐 아니라 하나님과의 만남도 공간에서 일어난다. 그리고 하나님과의 교통은 인간에게 공간적 회심을 일으켜 방문하는 곳이 달라지게 한다. 그래서 교회의 교육공간이 학교 교실보다 더 세심하고 포괄적이어야 하는 것은 교회 공간이 물리적, 교육적, 심리적, 사회적, 예술적 목적을 추구하는 학교와 달리 이 모든 것에 예전적 요소까지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독교적 환경구성은 교회를 방문하는 사람에 대한 공간적 배려, 기독교 예술작품이나 상징물 등을 배치함으로 신앙교육의 환경 조성, 공간이 지니고 있는 기독교적 정체성인 예전성을 통해 기독교적 공간의 특성을 추구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신앙 발달을 위한 공간의 역할이 있음을 강조하고 내·외재적 교육환경의 변화를 추구함으로 공간문제에 교육적 관심을 기울이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공간 경험 중심 미술교과 공간교육의 필요성: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김지은,이지연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4 미술과 교육 Vol.25 No.3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 공간의 개념과 공간 경험의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고 공간교육의 가치를 탐구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먼저 인간의 감각 체계에 따른 공간 지각 특징에 관한 문헌을 살펴보고 공간의 의미와 공간 경험에 대해 교육적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또한 공간 형태와 공간 조형 요소 간 관계 분석을 통해 공간을 경험하고 감상하는 활동이 주는 미술교육적 가치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과서를 공간성에 관련한 단원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공간교육은 학생들의 공간 인지 능력을 비롯한 공간 감각 향상과 창의적 표현력과 종합적 사고에 필요한 입체적 사고 확장을 위해 교육적으로 필요함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공간 경험의 교육적 활용에 관해 예술적 사고력, 삶을 위한 감상교육, 창의적 표현, 감각적 체험과 실천(노작)을 통한 공간교육으로 교육적 가치와 방향성을 제시하며 미술교육에서 공간교육의 다양한 접근 가능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a foundational research project aimed at exploring the concept of space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patial experience in art education, as well as exploring the value of spatial education. Initially, research on spati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human sensory system was reviewed, and the meaning of space and spatial experience was explored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value of activities that involve experiencing and appreciating spa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forms and spatial formative elements. Lastly,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s were analyzed, focusing on chapters related to spatiali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ducational necessity of spatial education for enhancing students' spatial awareness, spatial cognitive abilities, creative expression, and comprehensive thinking skills. Furthermore, the study proposed the educational value and direction of spatial education through artistic thinking, appreciation education for life, creative expression, and sensory experience and hands-on(craft-based) activities. It also suggested various approaches to spatial education within art education.

      • KCI등재

        교육 공간으로서 학교 공간, 자연 공간, 가상 공간의 융합 공간 연구: Lefebvre의 공간론의 관점에서

        강경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convergence space of school space, natural space, and virtual space as an educational space focused on the Lefebvre's spatial theory. Methods In this study, Lefebvre's spatial theory was selected as the analysis framework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spatial practice, spatial representation, and reproduction space of the Lefebvre's spatial theory. Results First,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school space as a recent educational space a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space are the space where control of education and learner's autonomy coexist in the context of spatial practice, the space where the government led of education and the initiative of the learner coexist in the context of spatial representation, and the space where the knowledge transfer of education and learner's activity coexist in the context of reproduction space. The limitations of school space were found to identify school space as a specific physical space, the influence of the educational system on school space, and to limit the members of school space to teachers and students. Second, the characteristics and possibilities of natural space and virtual space as an alternative educational space a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space and virtual space appeared as a space of motivation for learning from the spatial practice, a learning space of community from the spatial representation, and a learning space of interaction from the reproduction space. The possibilities of natural space and virtual space appeared as new educational spaces from the spatial practice, the possibility of qualitative improvement from the reproduction space, and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ion of various educational members from the reproduction space. Third,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s of the convergence space of school space, natural space, and virtual space as a future educational space a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rgence space are a curious learning space through the physical connection of education space and learning spaces from the spatial practice, a self-directed learning space through the systematic connection of education space and learning spaces from the spatial representation, and a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space through experiential connection of education space and learning spaces from the reproduction space. The direction of the convergence space appeared as a space of restoration of relationships for coexistence as a historical space. Conclusions First, a discourse centered on learners and instructors is requir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convergence space of school space, natural space, and virtual space in the educational field. Second,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is requir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convergence space of school space, natural space, and cyberspace in the educational field. Third,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education methods is requir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convergence space of school space, natural space, and cyberspace in the educational fiel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Lefebvre의 공간론의 관점에서 현재 교육 공간인 학교 공간의 한계와 대안 교육 공간으로서 자연 공간, 가상공간의 가능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교육 공간으로서 학교 공간, 자연 공간, 가상 공간의 융합 공간의 방향에 대해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문헌 연구로 Lefebvre의 공간론을 분석 틀로 선정하여 공간적 실천, 공간 표상, 재현 공간을 중심으로 관련 문헌을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현재 교육 공간인 학교 공간의 특징은 공간적 실천 맥락에서 교육의 통제와 학습자의 자율성이 공존하는 공간, 공간 표상맥락에서 교육의 국가 주도와 학습자의 주체성이 공존하는 공간, 재현 공간 맥락에서 교육의 지식 전달과 학습자의 능동성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나타났다. 학교 공간의 한계는 학교 공간을 생활공간의 특정한 물리적 영역으로 파악하는 것, 학교 공간을 교육 제도로규제하는 것, 학교 공간의 구성원을 교사와 학생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안 교육 공간으로서 자연 공간과 가상 공간의 특징은 공간적 실천 맥락에서 학습 동기 유발의 공간, 공간 표상 맥락에서 공동체 학습공간, 재현 공간 맥락에서 소통을 통한 학습공간으로 나타났다. 자연 공간과 가상 공간의 가능성은 학교 공간과 연계한 새로운 교육 공간의 역할, 학교 공간의 교육 제도의 규제를 극복한 교육의 질적 향상, 교사와 학생을 포함한 다양한 구성원의 참여로 나타났다. 셋째, 미래 교육 공간으로서 학교 공간, 자연공간, 가상 공간의 융합 공간의 특징은 공간적 실천 맥락에서 교육 공간과 학습공간의 물리적 연계를 통한 흥미로운 학습공간, 공간표상 맥락에서 교육 공간과 학습공간의 제도적 연계를 통한 자기주도학습 공간, 재현 공간 맥락에서 교육 공간과 학습공간의 경험적연계를 통한 창의적 체험 학습 공간으로 나타났다. 학교 공간, 자연 공간, 가상 공간의 융합 공간의 방향은 역사적 공간으로서 공존을위한 관계성 회복의 공간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첫째, 교육 현장에서 학교 공간, 자연 공간, 가상 공간의 융합 공간의 구축 과정에서 학습자와 교수자를 중심으로 한 담론이요구된다. 둘째, 교육 현장에서 학교 공간, 자연 공간, 가상 공간의 융합 공간의 적용 과정에서융합 공간과 연계한 교육 정책의 제정이요구된다. 셋째, 교육 현장에서 학교 공간, 자연 공간, 가상 공간의 융합 공간의 적용 과정에서 융합 공간과 연계한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의 도입이 요구된다.

      • KCI등재

        교육시설의 공간 프로그램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 충청남도 교육청 진로융합 교육원을 대상으로 -

        이지수,이현성,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Background and Purpose) Currently, our society is entering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emands convergent creativit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yper-connection, super-intelligence, and super-convergence. In this situation, education to cultivate the ability to respond to the future is emerging as a response strategy, and career education is focused on expanding and realizing with interest in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learning and experience to develop various cap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program so that space can provide a faithful experience to the educational field to enhance the importance of career convergence activities such as career education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Method)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s Career Convergence Education Center, the first case of the newly emerging Career Convergence Education Center at the national level. First, the concepts of career education,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future education are review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econd, characteristics for building spatial programs are derived through prior research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of educational facilities. Third, the spatial programs of the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s Career Convergence Education Center, which is the subject of a case study,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flow of space operation. Fourth, th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prior research and the flow chart of space operation are linked to analyze the contents applied to the subject of the program of the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s Career Convergence Education Center. (Result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ior research, diversity, connectivity, and autonomy were derived as characteristics of creative educational spaces. Also, contents such as visual communication through overlapping spaces, activation of mediating spaces, and acceptance of various programs with unclear boundaries were derived as composition methods. The elements related to the derived content were rearranged to suit the subject of this study.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were faithfully used by applying them to the program of the case target site. (Conclusions) In line with the changing demands of the times, career education is at a point where it is expanding into convergence education to cultivate future competencies further in the process of finding dreams. According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stablishing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the role of space for the expansion and realization of career convergence educ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programs of the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 which aims for convergence education with the nation's first career and education.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new space to be created with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future, and in-depth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this.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우리 사회가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진입한 시점에서 초연결, 초지능, 초융합의 특성을 가지는 융복합적 창의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응 전략으로 미래에 대응하는 능력 함양 교육이 대두되고 있으며, 다양한 역량 개발을 위해 학습과 체험을 통한 융합교육에 관심을 두고 진로교육을 중점적으로 확장 및 실현해 나아가는 중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로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과 같은 진로 융합활동의 중요성 제고를 목적으로 교육현장에 공간이 충실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공간 프로그램의 특성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범위는 국가적 차원에서 새로 신설해 나아가고 있는 진로융합 교육원의 첫번째 사례인 충청남도 교육청 진로융합 교육원을 대상으로 한정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진로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의 개념 그리고 미래교육에 대한 내용을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한다. 둘째, 교육시설의 공간 특성과 구성요소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공간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공간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사례연구 대상인 충청남도 교육청 진로융합 교육원의 공간 프로그램을 분석해 공간 운영의 흐름을 알아본다. 넷째,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특성과 공간 운영 흐름도를 연결하여 충청남도 교육청 진로융합 교육원의 프로그램의 주제에 맞게 적절히 적용된 내용을 분석한다. (결과) 문헌연구와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창의적 교육공간의 특성으로 다양성, 연결성, 자율성이 도출되고 구성방식으로는 공간의 중첩을 통한 시각적 소통, 매개공간의 활성화, 불분명한 경계로 다양한 프로그램 수용과 같은 내용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내용과 함께 연관된 요소를 본 연구의 주제에 맞게 재정리하였다. 충청남도 교육청 진로융합 교육의 프로그램에 적용해 그 내용이 충실히 쓰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에 맞춰 진로교육은 꿈을 찾기 위한 과정에서 더 나아가 미래역량 함양을 위한 융합교육으로 확장되고 있는 시점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최초의 진로와 진학을 함께 품으며 융합교육을 목표로 하는 충청남도 교육청 진로융합 교육원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교육시설의 공간 프로그램 특성을 제시함으로써 진로 융합교육의 확장과 실현을 위한 공간의 역할을 살펴보며 그 중요성을 정립하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향후 융합교육 발전에 따라 새롭게 생겨날 공간에 있어 바탕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지며 이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평생교육 공간으로서 에코뮤지엄에 대한 연구

        강경리(Kyunglee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평생교육 공간으로서 에코뮤지엄의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 관점에서 에코뮤지엄의 의미와 구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평생교육 공간으로서 에코뮤지엄의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문헌 연구로 지속가능성, 평생교육, 교육 공간, 에코뮤지엄의 주제를 중심으로 국내·외 문헌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의 교육 요소와 교육 체계를 분석 틀로 활용하여 수집한 국내·외 문헌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평생교육 관점에서 에코뮤지엄의 의미는 지역 기반의 확장 공간, 지역 환경의 연계 및 통합 공간, 지역 주민의 학습 공간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 관점에서 에코뮤지엄의 구조는 수평적 차원에서 다양한 유형의 문화유산 학습 공간, 수직적 차원에서 다양한 세대의 공동체 학습 공간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속가능한 평생교육 공간으로서 에코뮤지엄의 가능성은 앎을 위한 자기주도 학습 공간, 행하기 위한 성찰 학습 공간, 더불어 살기 위한 공동체 학습 공간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속가능한 평생교육 공간으로서 에코뮤지엄은 학습자의 잠재력 향상을 위한 통합적 학습 공간, 학습자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체계적 학습 공간, 학습자의 공동체 학습을 위한 지역 공동체 기반의 학습 공간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otential of the ecomuseum as a sustainable lifelong education space. In this study, the potential of the ecomuseum as a sustainable lifelong education space was derived through analysis of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the ecomuseum from a lifelong education perspective. Methods This study was a literature study and collect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focusing on the topics of sustainability, lifelong education, educational space, and ecomuseum. This study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collected using educational elements and educational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as an analysis framework. Results First, from a lifelong education perspective, the meaning of the ecomuseum appeared as a region-based expansion space, a connection and integration space of the local environment, and a learning space centered on local residents. Second, from a lifelong education perspective, the structure of the ecomuseum appeared as a cultural heritage learning space of various types in the horizontal dimension and as a learning space of various generations in the vertical dimension. Third, the potential of the ecomuseum as a lifelong education space were as a self-directed learning space for knowledge, a reflective learning space for action, and a community learning space for living together. Conclusions As a sustainable lifelong education space, the ecomuseum needs to build an integrated learning space to improve learners’ potential, a systematic learning space for learners’ continuous growth, and a local community-based learning space for learners’ community learning.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 공간에 대한 선호도 분석

        김인숙(Insook Kim),양지희(Jihee Yang)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0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4 No.2

        평생교육은 제 4차 산업혁명, 사회적 갈등 증폭 등 불안정하고 급변하는 사회환경 속에서 지속 성장과 발전을 위한 핵심전략으로써 그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평생교육 필요 공간에 대한 평생학습의 주체인 시민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향후 평생교육 공간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평생교육 공간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평생교육의 필요 공간 및 구성안을 도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평생교육 공간별 선호도를 확인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25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량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최종 도출된 평생교육 공간은 힐링공간, 첨단 스마트공간, 복합문화공간, 집중 학습공간의 4가지 대분류와 18가지 소분류로 분석되었다. 최종 제안된 4가지 공간의 세부 공간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힐링공간은 녹지공간, 카페 등 소통공간, 오락공간, 전신안마기 등이 비치된 휴식공간, 독립된 명상공간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첨단 스마트공간은 3D프린팅룸, XR(eXtended Reality, 확장현실)존, 드론체험장, 사물인터넷(IoT) 기술 융합 체험장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복합문화공간은 소공연장, 미술, 사진 작품 전시장, 세공, 드로잉 등의 실습장, 음악감상 및 악기 연주실, 사진 촬영 스튜디오로 구성하였다. 넷째, 집중 학습공간의 경우 도서관, 토론, 토의가 가능한 회의실, 개별 스터디룸, 오픈 스터디룸으로 구성하였다. 최종 도출된 18개의 평생학습 공간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평생학습 공간에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공간은 첫 번째가 도서관, 두 번째가 녹지 공간, 세 번째가 카페 등 소통공간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평생학습 주체인 시민의 요구에 맞는 효과적인 평생교육 공간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scalating social conflict, Lifelong education is increasingly needed as a core strategy for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amid unst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citizen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lifelong education space. For this purpose, the study is derived necessary space and composition plan for lifelong education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case analysis and confirmed the preference of each lifelong education space through a survey. As a result, the lifelong education space was analyzed in 4 sections and 18 subsections: The healing space, The high-tech space, The complex cultural space, and The intensive learning space. First, the healing space is composed of the green space, communication space, recreational space, rest space and independent meditation space. Second, The high-tech space is composed of 3D printing room, eXtended Reality zone, drone space and Internet of Things(IoT) technology space. Thirdly, The complex cultural space is composed of concert hall, exhibition, workroom for craftsmanship and drawing, music room for listening and playing and photo studio. Fourth, The intensive learning space is composed of library, conference rooms for discussion, individual study room and open study room. According to a survey on preferences of lifelong learning spaces, the first is a library, the second is a green space, and the third is a communication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create an effective lifelong education space that meets the needs of citizens who are the subjects of lifelong learning.

      • KCI등재

        ‘과잉학습 사회’의 파사주로서 교육공간 ― 벤야민의 공간철학과 랑시에르의 ‘역량의 고리’를 중심으로

        김소희 대동철학회 2013 大同哲學 Vol.65 No.-

        ‘과잉학습사회’는 치열한 교육경쟁의 결과로서 바라보기보다 도시공간에서 침윤되는 파사주로서 교육공간을 새롭게 바라볼 필요성이 있다. 도시공간의 파사주로서 교육공간은 이미 주어진 공간이라기보다 새로운 ‘교육분위기’를 피어내는 교육풍경 즉 새로운 감성과 지각조건을 학습자의 ‘역량의 고리’에서 바라볼 필요성이 있다. 도시공간의 특성은 수많은 낯선 사람들과 만나는 익명성의 자유에서 학습자들이 학력코드로 치장하는 ‘상자인간’으로 변모하게 한다. 그러나 ‘상자인간’에 갇힌 교육현실은 교육 세 주체의 소통 단절을 가져오며, ‘감성분할’로서 ‘무능의 고리’에 묶이게 하고, 배제로서 등급화하는 공간해석에 포위당하고 있다. 이 논문은 ‘산책자’로서 모자이크된 도시-교육-공간에 학습자의 산책을 허용하며, 추락한 지점에서 비등할 수 있는 ‘역량의 고리’로서 ‘열정의 플랫폼’이 가능함을 피력하고자 하였다. ‘헤테로토피아 교육공간’의 중요성은 도시공간에 내재된 빈 공간이지만, 오히려 도시공간이 만드는 피로로부터 신선한 활력과 여유를 불어넣어 학습자의 잠재하는 ‘발아력’를 촉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헤테로토피아로서 새로운 교육공간은 학습자들에게 전혀 다른 정서와 감각을 매혹적으로 체험하도록 이끈다. 즉 ‘헤테로토피아로서 교육공간’은 ‘피로사회’와 ‘과잉학습사회’의 탈출구로서 교육에 내재한 ‘이중부담’과 ‘이중낭비’의 사회현상으로부터 급선회할 수 있는 방향성을 모색하게 한다. Over-learning society was not caused by fierce educational competition, but we have to look at educational space as a passage permeated in the urban space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The educational space as the passage of urban space is not the given space, but it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the 'competence link' of learners to understand the concept. They create sensitivity and emotion in the educational landscape that again creates 'educational atmosphere'. The features of urban space turns the freedom of anonymity that enables meeting many different strangers into 'box human' who decorates his/her appearance with educational backgrounds. However, the reality of education encased by 'box human' savers communication and education savers emotions and chains human with competence link and again they are surrounded by space interpretation that tries to classify human for elimination. In the study, city walker is allowed to enter every corner of the mosaic urban educational space and as the competence link that is similar to the site of the crash, 'platform of passion' is possible. Heterotopia's educational space is important but empty space in urban space but it creates fresh vitality and leisure from the fatigue generated by urban space and triggers what is inside learners. As heterotopias, the new educational space attracts learners to have different feelings and senses. Therefore, it finds the ways for heterotopia as educational space to avoid the social phenomena such as double burden and double waste in education as the exit to 'fatigue society' and 'over-learning'. Rather than indulging in zero sum game to preempt better educational backgrounds, learners can find the platform of passion as a walker in the educational space as the passage of urban space. That is, mutual cooperation between social education and educational space in urban space can serve as new heterotopia's educational space and it can find the ways to avoid duplicated burden and duplicated waste inherent in education.

      • KCI등재

        교회교육의 장으로서의 공간에 대한 교육학적 이해

        이은경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38 No.-

        Church is a space for worship, education, mission and koinonia. However,many Korean churches have used to understand the space mainly or only as thatfor worship and liturgical practices, and thus there has been not enough room tounderstand the space as for education. The church has lost sight of the otherroles of the space. The issue of space is a very important subject in pedagogy,especially in educational anthropology. Loris Malaguzzi, who is the progenitor ofReggio-Emilia approach, highly appreciated the educational value of space, saying,“for a child, other children are the first teacher, the school teacher is the second,and the space is the third.”Children have their own unique impression or feeling of their spaces. A childmay try to find a narrow and lsolated place at a corner, while the other childmay find a so small crack that any adult can never find. They may try to enteran unknown place with anxiety and fear or they may dream such a world. For human beings, especially for children, space is a place where life arisesand where imagination and further religiosity begin. Therefore, children should beable to choose their space for actual life, and the dream and fantasy of childrenwhich are generated there should not be suppressed. Friedrich Fröbel, who wasthe modern founder of kindergarten, described this as “the manifestation of thenatural drive to conquer a space.” In this vein, the pedagogical issue of spaceincludes the matters of how children experience their spaces, what they find through their experience of it, and how their discoveries and experiences impactupon their future lives. This article first seek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pace from the perspectiveof educational anthropology. Then, along with Martinus Langeveld’s understandingof a hidden space or a secret place, it tries to elucidate how children understandthe space and what kinds of spaces appear in their lives, and it further attemptsto explai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uch spaces. This article adds asconclusive remarks some suggestions about the disposition of space as the locusof church education. 교회는 본래 예배, 교육, 선교, 친교의 공간이다. 그러나 한국교회는 예배와 예배공간을 중심으로 공간을 구성하다 보니 교육의 공간은 상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소홀히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공간의 문제는 교육학, 특히 교육학적 인간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주제이다. 레지오 교육학의 창시자인 로리스 말라구찌는 “다른 아이가 첫 번째 교사이고, 선생은 두 번째 그리고 공간이 세 번째 교사이다.”라고 말하면서 공간이 가진 교육적 가치를 상당히 높이 평가했다. 아이들은 공간 안에서 저마다 독특한 인상이나 느낌을 받는다. 어떤 아이는 구석지고 좁은 장소를 찾아다니는가 하면, 어떤 아이는 아무도, 특히 어른들은 결코 발견하지못할 만한 작은 틈새를 발견하기도 한다. 그리고 때로는 두려워하면서도 알지 못하는미지의 공간으로 들어가거나 그러한 세계를 꿈꾸기도 한다. 인간에게, 특히 어린이에게 공간은 삶이 일어나는 곳, 그리고 상상력, 더 나아가 종교성이 시작되는 곳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아이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삶의 공간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하고, 그곳에서부터 생겨나는 아이들의 꿈과 환상을 억제하지 말아야 한다. 유치원의 창시자인 프리드리히 프뢰벨은 아이들의 이러한 모습을 “공간을 정복하려는 자연적 욕구의 발로”라고 표현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교육학적인 공간의 문제는 아이들이 공간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으며, 그것을 통해 무엇을 발견하고, 그것이 아이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느냐의 문제까지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교육학적 인간학의 차원에서 공간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를 살펴보고, 마르티누스 랑에벨트의 숨겨진 공간 혹은 비밀 공간에 대한 이해에 근거하여 어린이들이 공간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그들의 삶에는 어떠한 공간들이 존재하는지알아보고, 그 공간들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함의를 밝혀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것을 바탕으로 교회교육의 장으로서의 공간 구성에 관한 몇 가지 제언을 덧붙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