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직업유무와 자녀의 교육포부수준과의 관계

        주동범 한국교육사회학회 2006 교육사회학연구 Vol.16 No.3

        Using 1,294 fifth and tenth graders who were attending public schools and living in both parents families in Busan, and their mothers,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ployment and the child's educational aspirations by gender and grade level. The results of the full sample of fifth and tenth graders showed that after controlling for the child's gender and grade level, family income, maternal involvement, and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maternal employment influenced children's educational aspirations negatively. The results analyzed separately by the child's gender and grade level revealed that full-time maternal employment and the number of hours worked had negative effects on girls'(but not boys') and fifth graders'(but not tenth graders') educational aspirations. And maternal involvement and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in part mediated the negative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on children's educational aspirations, suggesting that the harmful effect of maternal employment on children's educational aspirations, especially girls' and fifth graders' educational aspirations, can be compensated for by working mothers' involvement in children's education. These findings, gender and age difference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립학교에 다니면서 양친과 함께 살고 있는 1,294명의 초등학교 5학년생들과 고등학교 1학년생들 그리고 그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이 연구는 성별과 학년수준별로 어머니의 직업유무와 자녀의 교육포부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는 학생의 성과 학년수준, 가족수입, 어머니의 자녀교육에 대한 관심, 부모의 교육적 기대를 통제한 후 어머니의 풀타임 직업이 자녀의 교육포부수준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성별과 학년수준별로 분석한 결과는 어머니의 풀타임 직업과 주당 일하는 시간 수가 여학생들(남학생들은 아님)과 초등학교 5학년생들(고등학교 1학년생들은 아님)의 교육포부수준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자녀교육에 대한 관심과 부모의 교육적 기대가 어머니의 직업이 자녀의 교육포부수준에 미치는 부적인 효과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이것은 어머니의 직업이 학생들의 교육포부수준, 특히 여학생들과 초등 5학년생들의 교육포부수준에 미치는 부적인 효과는 가정 밖에서 일하고 있는 어머니들의 자녀교육에 대한 낮은 관심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주요 연구결과, 성차 및 연령차, 그리고 미래 연구를 위한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어머니의 직업유무와 자녀의 교육포부수준과의 관계

        주동범 한국교육사회학회 2006 교육사회학연구 Vol.16 No.2

        Using 1,294 fifth and tenth graders who were attending public schools and living in both parents families in Busan, and their mothers,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ployment and the child's educational aspirations by gender and grade level. The results of the full sample of fifth and tenth graders showed that after controlling for the child's gender and grade level, family income, maternal involvement, and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maternal employment influenced children's educational aspirations negatively. The results analyzed separately by the child's gender and grade level revealed that full-time maternal employment and the number of hours worked had negative effects on girls'(but not boys') and fifth graders'(but not tenth graders') educational aspirations. And maternal involvement and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in part mediated the negative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on children's educational aspirations, suggesting that the harmful effect of maternal employment on children's educational aspirations, especially girls' and fifth graders' educational aspirations, can be compensated for by working mothers' involvement in children's education. These findings, gender and age difference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립학교에 다니면서 양친과 함께 살고 있는 1,294명의 초등학교 5 학년생들과 고등학교 1학년생들 그리고 그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이 연구는 성별과 학년수준별로 어머니의 직업유무와 자녀의 교육포부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분 석 결과는 학생의 성과 학년수준, 가족수입, 어머니의 자녀교육에 대한 관심, 부모의 교육적 기대를 통제한 후 어머니의 풀타임 직업이 자녀의 교육포부수준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내 었다. 성별과 학년수준별로 분석한 결과는 어머니의 풀타임 직업과 주당 일하는 시간 수가 여학생 들(남학생들은 아님)과 초등학교 5학년생들(고등학교 1학년생들은 아님)의 교육포부수준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자녀교육에 대한 관심과 부모의 교육적 기대가 어머니의 직업이 자녀의 교육포부수준에 미치는 부적인 효과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이것은 어 머니의 직업이 학생들의 교육포부수준, 특히 여학생들과 초등 5학년생들의 교육포부수준에 미치는 부적인 효과는 가정 밖에서 일하고 있는 어머니들의 자녀교육에 대한 낮은 관심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주요 연구결과, 성차 및 연령차, 그리고 미래 연구를 위한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자본과 교육포부 수준과의 관계: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안우환 ( Wo Hwan A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9 중등교육연구 Vol.57 No.1

        교육포부 수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본 연구에서는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자본을 상정하였다.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자본은 사회 구조 내에 위치한 가족 내 부모-자녀간의 관계를 통하여 목적 달성 행위를 촉진하는 메커니즘으로 학생이 얻게 되는 유·무형의 자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자본이 학생의 교육포부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고자 대구 시내 초등학교 7개를 무선으로 표집한 4학년, 6학년생 총 763 (남학생: 298, 여학생: 465명)명이 연구에 동원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포부 수준에 학생의 성별, 학년별 특성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면서 6학년 학생들이 보다 더 교육포부 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육포부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배경 요인은 부모의 학력으로 나타났다.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자본 변수 중에서 학생의 교육포부 수준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는 부모의 자녀에 대한 교육적인 관심과 대화(ECC), 적극적인 지원(PS), 부모의 기대와 규범(ENP) 변수들로 나타났다.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자본의 교육포부 수준에 대한 전체적인 영향력은 26%로 가족배경 23%, 개인특성 13%보다 높은 영향력을 발휘하는 변수들로 나타나 학생들의 교육포부 수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강력한 변수들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child relations social capital and educational aspiration. Social capital is measured by the density of the interaction among parents, children and school. Within the family, social capital is measured by the amount of positive parent-child interaction. Using 7 elementary schools, fourth and sixth student were sampled. The final subjects were 763(298 male, 465 female), the fourth,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gu city.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the PCRSCQ questionnaire and educational aspiration score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is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he result of the full sample showed that child`s gender and grade influenced children`s educational aspirations. Specially, male and sixth students level of educational aspiration appeared high.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mother appeared that it is related to a majority effects variables. The influence of family background of the child on educational aspirations was 23% and parent-child relations social capital which gives an effect was 26%. parent-child relations social capital variables that gives an effect to educational aspiration of the child are ECC(educational concern and communication), PS (positive support), ENP(expectation and norm of parents).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화와 교육포부, 직업결정수준과의 관계 분석

        변주영(Jooyoung Byun),조은혜(Eunhye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이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인식을 유형화하고, 자아인식 유형별 교육포부와 직업결정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0 6차년도 자료(2015)를 활용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중1 코호트의 6차년도 시기의 자아인식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교육포부와 직업결정수준에 각각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SPSS 25.0과 Mplus 8.0을 활용하였다. 결과 분석에 활용된 표본 수는 1,366명이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은 4가지로 나뉘며 선행연구 및 유형별 프로파일 특성에 따라 자아혼미형, 진로집중형, 탐색진행형, 진로탄력형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별 교육포부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자아혼미형의 교육포부 수준이 탐색진행형, 진로집중형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별 직업결정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진로탄력형, 진로집중형, 탐색진행형, 자아혼미형 순으로 직업결정수준이 높았으며 진로탄력형과 진로집중형의 차이를 제외한 모든 유형 간 비교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학술적 제안을 도출하였다. 실천적 차원에서 부처는 교육과정 내 자아정체감 및 자아존중감 내용을 강화하고, 학교는 자아인식 유형별 맞춤 지원을 활성화하며, 학생은 자아인식을 높이고 자기주도적 진로개척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학술적 차원에서 연구 대상의 다양화, 교육포부 영향요인에 대한 다차원적 탐색, 진로 및 직업결정 수준 향상을 위한 자아인식 확립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self-awareness of Korean General high-school students’ and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educational aspiration and job decision level by type of self-awareness.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sixth year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0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Mplus 8.0. The number of samples used for the analysis is 1,366. Results First, the self-awareness types of 3rd grade general high-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which are self-diffusion type, career identity laden type, search progressive type, and career-resilience laden type. Second, the educational aspiration of the self-diffusion typ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earch progressive type and of career identity laden type. Third, the level of job decision of each type of self-awaren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pecifically, the job decision level of career-resilience laden type is the highest, then that of career identity laden type is next, and that of search progressive type, that of self-diffusion type is the lowest. Conclusions Practical and academic proposal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t the practical level, ministries need to emphasize self-identity and self-esteem in the curriculum, and schools need customized support for each type of self-awareness. Students need to raise self-awareness and make efforts to develop self-directed career development. At the academic level, it was suggested that follow-up studies are needed on diversification of research subjects, multidimensional exploration of factors influencing educational aspiration, and illuminatation of self-awareness to improve career and job decision-making levels.

      • KCI등재

        청소년 진로포부 영향 요인 구조 분석

        김경주,송병국 한국직업교육학회 2011 職業 敎育 硏究 Vol.30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ested the differences of result between youth of general and alienated clas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discussions are derived from results of the study. First, it showed parent's education status, maternal attitude, teacher and friend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ve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parent's education status, friend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n career aspiration except father rearing attitude. Seco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s an indirect effect as a medium, respectively between parent's education status, maternal attitude, teacher and friend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between parent's education status, maternal attitude, teacher and friend support, and career aspirat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youth of general and alienated classes in a model.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포부에 환경적요인과 심리적 특성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함께 일반청소년과 소외계층 청소년집단 간의 차이를 구조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환경적 요인 가운데 아버지 양육태도를 제외한 부모의 교육수준, 어머니 양육태도, 교사 및 친구의 지지는 진로결정 자아효능감에, 부모의 교육수준, 교사의 지지, 진로결정자아효능감 등은 학업성취에, 그리고 부모의 교육수준, 친구의 지지, 진로결정 자아효능감 및 학업성취는 진로포부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결정 자아효능감은 부모의 교육수준, 어머니 양육태도, 교사의 지지 및 친구의 지지 등과 학업성취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내고 있으며, 아울러 부모의 교육수준, 어머니 양육태도, 교사의 지지 및 친구의 지지 등과 진로포부 사이에서도 매개효과를 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환경적요인과 심리적 특성요인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과 경로는 소외계층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후보

        가족구조와 중학교 청소년의 학업성취 및 교육포부수준과의 관계

        주동범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9 미래청소년학회지 Vol.6 No.2

        Using a sample(N=2,992) from first year data of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in Korean Youth Panel Survey(KYPS), the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family structure to the middle school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educational aspirations and factors that mediate the relationship. The results represented that even after controlling the adolescent characteristics(gender, age), family's economic resources(parent's educational level, income), and family's social resources(parent's educational expectancy, parent-child interaction, and supervision and monitoring), one-parent family had a negative relation to academic achievement which suggests that family's economic and social resources didn't mediate the relation. In the other hand, after controlling the adolescent characteristics and family's economic and social resources, one-parent family didn't have a significant relation to educational aspirations any more which suggests that the family's economic and social resources mediated the relation compositively.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by considering previous research focusing on the family's economic and social resources.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중 2 패널 1차년도 데이터에서 추출한 2,992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가족구조와 학업성취 및 교육포부수준사이의 관계와 그런 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를 보면, 학업성취의 경우 청소년특성(성별, 연령), 가족의 경제적 자원(부모교육수준, 소득) 및 사회적 자원(부모기대교육수준, 부모와의 상호작용, 외출지도)을 통제하였을 때조차도, 한부모가족은 학업성취와 유의미한 부적 관계가 있었으며, 이것은 경제적 자원과 사회적 자원이 한부모가족과 학업성취사이를 매개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교육포부수준의 경우 청소년특성, 가족의 경제적 자원 및 사회적 자원을 통제하였을 때, 한부모가족과 교육포부수준사이의 관계가 더 이상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이것은 경제적 자원과 사회적 자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한부모가족과 교육포부수준사이를 매개함을 암시한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의 경제적 및 사회적 자원을 중심으로 선행연구에 비추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