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교육투자수익 분석

        백일우(Paik, Il-Woo),김동훈(Kim, Dong-Hoo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2 No.1

        본 연구는 기존의 국내 교육투자수익률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면서 우리나라의 교육투자수익률을 교육경제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LIPS 1-11차년도(1998-2008)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교육투자수익률 추정방법으로는 OLS 방식으로 추정하는 전통적인 Mincer(1974)의 인적자본 소득함수방법, 교육변수의 내생성을 극복하기 위한 도구변수(Instrumental Variables: IV)방법을 각각 적용하여 비교ㆍ분석하였다. 특히 더미(dummy) 도구변수방법을 사용하여 교육경제학 및 교육분야에 더욱 실질적인 정책적 함의를 지닌 학교급별 한계수익률을 좀 더 정밀하게 추정하고자 하였다. 교육투자수익률에 대한 분석 결과 첫째, 학교급별 한계수익률의 OLS 추정결과에서는 대졸자의 한계수익률이 고졸자의 수익률보다 다소 높았으나, IV 추정결과 대졸자의 수익률이 고졸자의 수익률 보다 2배 정도 높게 나타나 여전히 대학교육에 대한 금전적 투자수익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OLS 방식으로 추정한 학교급별 한계수익률 추정치가 IV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남에 따라 누락변수 등으로 인한 내생성의 존재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학교급별 한계수익률 추정시 IV방법이 일반적인 OLS 방법보다 더 적절함을 도출하였다. 둘째, 교육투자의 평균기대수익률은 10%내외로 10여 년간 안정되어 있으며, 전반적으로 여성의 평균 수익률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육투자수익률에 대한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추정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의 교육에 대한 투자가치가 검증되었으며, 특히 여성의 교육에 대한 투자가 증대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The study is designed to comprehensively review literature about rates of return to investment in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conomics of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calculating the trend of the rates of return, OLS and IV estimation were employed through using 11 waves (1998-2008)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In particular, dummy IV approach made it possible to resolve endogeneity problems and offer more implications based on schooling level. The finding was that the average rates of return were ranging around 10 percent, consistently stable over ten years. On the whole, the average rates of return to women were higher than those of men. Moreover, rates of return for college graduates were twice higher than those of high school graduates in terms of using dummy instrumental variables; in particular, it was recognized that there still exist endogeneity problems in the equation.

      • KCI등재

        대학교육의 계열별 투자수익률 분석

        김지하(Kim Ji Ha),우명숙(Woo Myung Sook),박상욱(Park Sang Wook),김태우(Kim Tae W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대학의 교육비 구조와 규모 및 교육수익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급별, 전공계열별, 개인적 · 사회적 교육투자수익률을 산출하여 교육재정 정책 관련 개선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대학의 공교육비는 계열별 등록금 차이도에 기초한 가중학생수를 산출하여 총규모를 추정하였다. 사교육비는 전국 161개 일반대학을 대상으로 5,965명 학생들이 응답한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대학교육의 수익은 2010-2014년도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산출된 직 · 간접교육비와 수익자료를 토대로 내부수익률법을 적용하여 대학교육의 투자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남자 대졸자의 사회적 수익률은 7.01%이고 계열별로는 의약계열 9.71%, 공학계열 7.65%, 인문사회계열 6.83%, 자연계열 6.05%, 예체능계열 4.36%로 나타났다. 여자 대졸자의 사회적 수익률은 6.37%이고 계열별로는 의약계열 8.85%, 공학과 인문사회계열 6.66%, 자연계열 4.58%, 예체능계열 2.16%로 나타나 남자 대졸자보다 각 계열별로 낮게 나타났다. 사적 수익률을 보면, 남자 대졸자가 7.83%이고 계열별로는 의약계열 10.35%, 공학계열 8.57%, 인문사회계열 7.87%, 자연계열 6.5%, 예체능계열 4.56%로 나타났다. 여자 대졸자는 7.22%이고 계열별로는 의약계열 9.53%, 공학계열 7.75%, 인문사회계열 5.17%, 예체능계열 2.24%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근거로 대학의 설립유형 및 전공계열별로 차이가 있는 공 · 사교육비와 간접교육비, 교육투자수익률을 고려하여 재정투자의 등록금과 장학금의 적정 수준을 결정하고 차등화할 것, 개인의 교육투자가 금융 · 실문자산에 대한 투자보다 수익률이 높으므로 지속적인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 계열별 교육투자수익률 산출결과를 노동생산성과 노동시장 여건 분석 지표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finance structure, size and benefits of general universities, with the goal of obtaining the internal rate of return on social education investment and proposing improvements to present-day educational fiscal policy. For general universities, the average social rate of return for the male graduates was found to be 7.01%, while that for the female graduates was 6.37%. By each majors, the male graduates' social rate of return for medicine majors was the highest at 9.71%, while that for engineering majors was 7.65%. For liberal arts majors, the rate was 6.83%, while majors in the natural sciences had a result of 6.05%. Students majoring in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had a result of 4.36%. The female graduates' social rates of return for each majors listed above were lower than those for male graduates' as followed: 6.37%, 8.85%, 6.66%, 4.58% and 2.16%. The average personal rate of return for the male graduates was 7.83%, and that for the female graduates was 7.22%. For the male graduates, the personal rates of return for the above majors were 10.35% for engineering majors, the highest, followed by 8.57% for medicine majors, 7.87% for liberal arts majors, 6.5% for natural science majors, and 4.56% for students majoring in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Also, the female graduates' personal rates of returns by majors were 9.53%, 7.75%, 5.17% and 2.24% in the above order. Based on the following analysis of the educational costs structure and the calculation of educational rate of return, the finance policy suggestions on higher education were made.

      • KCI등재

        도구변수(Ⅳ) 방법을 활용한 우리나라의 교육투자 수익률 분석

        백일우(Paik Il-Woo),김동훈(Kim Dong-Hoo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8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7 No.2

          기존의 교육투자 수익률 연구는 대부분 Mincer의 임금함수를 OLS 방식으로 추정하였는데, 이는 누락변수로 인한 내생성과 측정오차로 인한 편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교육투자 수익률 연구의 주요한계를 IV 접근 방법을 통해 해결함으로써 좀 더 정밀한 교육투자 수익률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LIPS 8차년도(2005년) 자료를 중심으로 부(父)의 학력 및 직업수준을 도구변수로 사용하여 교육투자 수익률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기존의 Mincer의 임금함수를 OLS 방식으로 추정한 교육투자 수익률은 하향편의(biased)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육투자 수익률에 대한 IV 추정 결과 남녀 전체는 12.37%, 남성은 9.40%, 여성은 15.37%로 나타났다. 셋째, 부(父)의 학력 및 직업수준은 교육투자 수익률 추정시 교육에 대한 도구변수로서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imate the precise rates of return to education using Ⅳ technique to solve the problems of Mincer-type earnings function. For this aim, based on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of KLI(Korea Labor Institute) 2005, IV technique using father"s education/job level is adopted to estimate the rates of return to education.<BR>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OLS estimates of the returns to education are biased downwards. Second, the estimated returns to education using instrumental variables are equal to about 9.40% and 15.37% for male and female. Third, we find that father"s education and job level perform very well in IV procedures estimating schooling returns.

      • KCI등재

        내부수익률법에 의한 계열별 대학교육 투자수익률 분석

        이정미(Lee, Jung-Mi),한유경(Han, You-Kyung),최정윤(Choi, Jeung-Yun),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8 No.2

        이 연구는 내부수익률법을 활용하여 대학의 전공계열별 개인적 수익률 및 사회적 투자수익률을 산출함으로써 고등교육 재정정책의 개선을 위한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남자 대졸자의 사회적 투자수익률은 5.77%이며, 의약 9.60%, 교육 7.88%로 수익률이 높게 나타났다. 여자 대졸자의 사회적 투자수익률은 6.05%이며, 의약 9.43%, 교육 8.98%로 나타났다. 한편, 남자 대졸자의 개인적 투자수익률은 6.65%이며, 의약 11.05%, 교육 8.95%로 나타났다. 여자 대졸자의 개인적 투자수익률은 7.38%이며, 의약 11.79%, 교육 10.53%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대학의 계열별 직․간접교육비, 투자수익률을 고려하여 고등교육재정 투자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계열별 등록금 및 장학금 수준의 적정화 및 차등화, 학자금 대출의 계열별 차등 지원, 대학 통합공시지표 항목 등에 관한 정책적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uggestions for improving financial policy in higher education through estimating social and private rate of return to higher education by using Internal Rate of Return. Male college graduates' social rate of return were 5.77% and those in the medical were 9.60%, those in the education 7.88%. Female college graduates' social rate of return were 6.05% and those in the medical were 9.43%, those in the education 8.98%. Meanwhile, Male college graduates' private rate of return were 6.65% and those in the medical were 11.05%, those in the education 8.95%. Female college graduates' private rate of return were 7.38% and those in the medical were 11.79%, those in the education 10.53%. These finding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for policy improvements such as deciding priority of investment to higher education considering direct, indirect expenditures and rate of return to higher education by major, expanding investment to engineering, optimizing and differentiating level of tuition and scholarship, differentiating support for school loan depending by major.

      • KCI등재

        기업 전자교육프로그램의 교육투자수익률 일(-) 분석

        이현경(Hyun-Kyung Lee),이명근(Myung-Geun Lee),김윤희(Yoon-Hee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6 No.5

        이 연구에서는 기업 전자교육프로그램(e-learning program)의 효과성 평가를 위한 일종의 투자수익률 분석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전자교육프로그램의 투자수익률 분석을 위한 정확한 비용과 수익 산출은 복잡한 과정이기 때문에 이를 분석하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니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기업 전자교육프로그램의 투자수익률 분석에 대한 연구는 쉽게 찾아볼 수가 없다. 그러나 투자 대비 수익을 중시하는 기업 환경에서 교육투자수익률 분석은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투자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근거가 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특정 회사의 전자교육프로그램의 투자수익률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기업 전자교육프로그램의 투자대비 수익률을 규명하고자 하는 데에 구체적인 방안을 제공하고 다양한 기업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투자수익률 분석을 위해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The study explored a way to analyze return-on-investment for evaluating corporate e-learning programs. It is said to be not easy to measure return-on-investment due to complexity of determining exact amount of cost and benefit of any e-learning program. In this vein, it has been rare to see researches regarding return-on-investment for corporate e-learning programs. Nevertheless, it is needed to try to document return-on-investment evidence for verifying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More concrete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raw up guidelines in making decisions about whether companies should invest in e-learning programs any more at particular point of time.

      • KCI등재

        국가 간 대학원 교육의 교육투자수익률 비교 분석

        이호준(Lee Ho Jun),양민석(Yang Min Seok),이현국(Lee Hyun Kook),정지혜(Jeong Ji Hye),유지은(Yoo Ji Eun),정동욱(Jeong Dong Wook) 韓國敎育財政經濟學會 2014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turns to graduate school Education(RGE) among nations and to explore factors on changing of return to education. For this, we utilized the 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IAAC) of 15 nations, which is developed by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We also used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PSM) to reduce sample selection bias. Furthermore, we converted RGE into effect-size, and investigated corelation between effect size and nation characteristic variables(economic, education)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RGE is significantly positive among 13 nations (10.5~30.1%P) except for 2 nations including Czech and Italy. Korea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RGE of 16.4%P. Second, While effect size of RGE has positive corelation with R&D investment of GDP (corr: .21), it has negative corelation with unemployment rate (corr: -.23) and average years of schooling (corr: -.34). This results show not only does graduate school education have research function, professional improvement, it also has economic effect like wage premium. In addition, the result implies that RGE is related to supply-demand of high quality human in the labor marke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suggest that not only graduate school policy be debated in terms of training nation's human capital considering economic effect, but proper policy also be required of supply-demand angle.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간 대학원 교육의 투자수익률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국가 간 대학원 교육의 투자수익률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수준의 특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성인역량조사(The 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IAAC) 데이터를 활용하여 OECD 15개 국가에서 대학원 교육의 투자수익률을 분석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표본선택편의(sample selection bias)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실시하였으며, 내생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개인의 역량점수와 전공 및 세대의 고정효과(fixed effect) 등을 통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15개 국가 중 우리나라를 비롯한 13개 국가에서 대학원 교육의 긍정적인 투자수익률(10.5~30.1%P)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원 교육의 교육투자수익률은 실업률(상관계수: -0.23), 국가평균교육연한(상관계수: -0.34)과 부적상관을 갖는 반면, 국가 GDP 대비 R&D 투자비율(상관계수: 0.21)과는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원 교육이 개인의 전문성 향상뿐만 아니라 임금 상승 등의 경제적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말해주며, 대학원 교육의 투자수익률이 고급 인력에 대한 노동시장의 수요-공급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원 교육이 가지는 경제적 효과를 고려하여 국가인력양성 측면에서 대학원 지원 정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고급인력의 공급과 수요 측면까지 고려한 올바른 대학원 정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 기업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교육투자수익률(ROI) 분석

        이현경(Hyun-Kyung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8 No.2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e-learning program)의 교육투자수익률(ROI)을 산출하여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ROI 모델을 통해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교육투자수익률을 산출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투자 대비 수익을 중시하는 기업에 있어서 교육투자수익률을 분석하는 것은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투자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근거가 된다. 본 연구는 특정 회사의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투자수익률을 산출하여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을 운용하는 모든 기업의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투자수익률을 규명하는 데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향후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투자 및 운용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사범대학 교육의 투자 수익률 분석

        이광호 한국상업교육학회 2006 상업교육연구 Vol.12 No.-

        이 연구의 목적은 사범대학 교육의 교육비 지출 규모와 수익 규모를 조사하고, 이를 기초로 사범대학 교육의 투자 수익률을 분석하는 것이다. 사범대학 교육의 가치는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의 두 측면에서 생각할 수 있다. 사범대학 교육의 내재적 가치는 사범대학 교육 그 자체가 갖는 교육적인 가치를 말한다. 사범대학 교육의 외재적 가치는 사범대학 교육을 받은 후에 얻게 되는 이익으로 표현되는 가치를 말한다. 사범대학 교육의 외재적 가치의 대표적인 것이 사범대학 교육을 받은 후에 취업하여 얻는 경제적 이득이 될 것이다. 사범대학 교육의 교육 투자 수익률 분석 결과는 사범대학 교육의 외재적 가치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사범대학에 진학을 고려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학교 선택의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사범대학 교육의 투자수익률은 졸업 후 교사로서 20년 이상 근무할 경우, 10%이상으로 나왔다. 정년까지 근무할 경우, 사범대학 교육의 투자수익률은 13.02%로 나왔다. 이는 3년 만기 국고채 수익률과 비교하여 거의 9%포인트 가까이 높은 수치이다. 즉 사범대학 교육은 투자할 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ate of return to college of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amount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480 student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for college of education is 1,368,888 won for freshman, 1,265,791 won for sophomore, 1,377,032 won for junior, 1,313,271 won for senior. So, the total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for college of education is 4,011,711 won. The rate of return to college of education is 13.02%. The rate of return to college of education is higher than market interest rate(4.11% in 2004).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following.First, the finding of this study may become important basis data that prove value of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help that students may do reasonable decision-making in selecting university by offering students the objective information about the rate of return on investment of college of education.

      • KCI등재

        학력의 교육투자수익률과 학력내 불평등의 추이 분석

        박소영,Park. So-Yo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5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4 No.1

        교육이 가지고 있는 기능과 성격은 다양하나 특히 현대사회에서는 소득의 원천이 될 수 있는 자격과 기술을 제공하는 핵심적인 장으로 기능한다. 특히 우리 사회는 빠른 학교팽창과 경제발전을 거침으로써 교육을 통한 노동시장내 성과의 변화가 동태적으로 변화해왔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교육과 경 제적 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봄에 있어서 시간의 흐름을 고려하여 그 변화를 살 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자료」와 「경제활동인구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교육과 노동시장내 경제적 성과의 변화 추이를 교육수 준의 분포 및 학력별 교육투자수익률 추이와 소득불평등 분해를 분석해보았 다. 그 결과 우리 사회에서 교육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이고 빠르게 증가했으 며 학교팽창은 노동시장내 공급자의 학력을 상향평준화시켰다. 교육투자수익 률은 1990년대 중반까지 하락하다가 상승하고 있으며 대졸자 이상과 고졸자의 학력간 격차 역시 전반적인 수익률 추이와 비슷한 증감 추이를 보이고 있으며 고학력자에 대한 임금프리미엄이 존재하나 연령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임금을 활용한 소득불평등 지수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했다. 그리고 소득불평등을 학력을 기준으로 분해했을 때 학력간 불평등 보다 학력내 불평등이 총불평등을 견인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1980년대 총불평 등은 고졸・청년층이 주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나 2000년대 이후 총불평등은 중 년층・대졸이상 및 고졸이 소득불평등을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의 흐름을 고려한 학교팽창 및 교육투자를 통한 노동시장내 경제적 보 상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우리 사회는 고등교육자에게 경제 적 보상을 보장했으며 학교팽창을 통해 추가적인 교육투자를 가능하게 함으로 써 학력 인플레이션을 야기했다. 그리고 학력 인플레이션은 고졸자에 대한 하 향평준화 및 고등교육에 대한 대중화를 견인함으로써 학력별 교육투자수익률 의 격차 및 학력내 동질성을 약화시켰다. 그리고 동일 학력에 대한 직종별 이 질적 임금 책정 및 시장 내 대졸자의 비중 증가가 소득불평등을 증가시킴으로 써 Bourguignon et al.(2005)의 주장처럼 학교팽창의 증가가 소득불평등을 야 기하는 ‘진보의 역설(paradox of progress)’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imate the returns to education and inequality over time. I analysed the Mincerian earning model and Theil entropy Index using 1980-2012 the occupational wage survey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first, returns to education in Korea declined until the late 1990s, has increased since then. The rapid expansion of education has caused an upward leveling of worker. wage premium for high education has been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ge group. Second, when the decomposition of income inequality based on education, total inequality was more explained within education than between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re has ensured the economic rewards of higher education educators led to inflation by allowing for additional investment through education school expansion. Education inflation was causing the wage differential by education and weakened homogeneity within education.

      • KCI등재

        청년층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에 따른 소득분위별 교육투자수익 실증분석

        임정준(Ihm, Jung-Joon) 한국여성학회 2012 한국여성학 Vol.28 No.1

        본 연구는 청년층 여성의 고등교육투자가 급증하면서 노동시장 진출이 확대되는 추세를 반영하여 여성교육의 투자수익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특히, 여성임금근로자의 경우 남성근로자에 비해 소득의 분산이 더 크고, 고학력 여성과 저학력 여성간의 소득격차가 남성에 비해 더 크게 발생하는 현상에 착안하여 소득분위별로 교육투자에 대한 수익을 분석하는 분위회귀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청년패널자료(2001-2006)를 사용하였으며 소득분위별로 여성교육에 대한 투자수익률을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 결과, 청년층 여성의 교육투자수익률(11.0%)은 남성의 교육투자수익률(8.8%) 에 비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년층 여성의 고학력화와 전문기술직 진출이 확대되고 있는 세계적인 추세에 직결되는 것으로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여성인적자본의 비중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분위회귀분석 추정결과를 보면, 여성의 경우 교육이외에 관찰되지 않는(unobserved) 요인이 소득분위별로 미치는 영향은 남성에 비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동일한 교육수준(대졸)에서도 졸업대학의 서열, 대학전공, 여성개인의 선천적 능력에 따라 여성임금근로자의 소득수준이 결정되는 정도가 남성에 비해 더 큰 것으로 추론되었다. 향후 여성인력 양성을 위해 대학 및 정부기관 담당자의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higher education for women on their labor income by their quantiles. However, it was suggested that the distribution of women"s labor income was too heterogeneous to estimate return to education. Based upon 2001 through 2006 Youth Panel data set, quantile regression was introduced to resolve the heterogeneity of women"s income distribution. The result is that quantile regression model was quite effective to reveal the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of wage distribution for female workers. Its results pointed out that the local labor market for women would be defined as a segmented labor market consisting largely of both highly-educated, high income group and less educated, low income group.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unobservable characteristics such as ability and quality of education seemed to have more effect on returns to education for women than those for 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