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특별시 공립 중학교의 학교회계 수익자부담경비 운영실태 분석

        김소형(Kim, so-hy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0 No.1

        이 논문은 의무교육 무상성에 비추어 서울시 공립중학교의 학교회계 수익자부담경비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수익자부담경비 운영의 정책적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09년 간 서울시 1,458개 공립중학교의 학교회계 수익자부담경비 추이와 학생1인당 수익자부담경비의 격차를 비교분석하였다. 학교회계 수익자부담경비 실태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회계 세입대비 학부모가 부담하는 경비가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둘째, 교특전입금은 규모의 경제로 인해 학교규모가 작을수록 비중이 커지고 학부모부담금은 학교 규모가 커질수록 비중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익자부담경비세목 중 방과후학교교육활동비, 학교급식비, 학생수련활동비, 기타수익자부담 경비는 학교규모에 상관없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방과후학교 교육활동비가 가장 큰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넷째, 수익자부담경비를 차지하는 세목 비중의 크기는 학교규모에 상관없이 학교급식비, 학생수련활동비, 방과후학교교육활동비의 순으로 대체로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섯째, 11개 지역교육청 모두 학생1인당 수익자부담경비는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지역교육청 간 격차 또한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동일 지역교육청 내 학교 간 학생1인당 수익자부담경비의 격차는 크게 나타났으며, 단위학교간 방과후학교교육활동비의 최대 격차는 514,422원, 학교급식비는 475,201원,학생수련활동비는 289,892원, 현장학습비는 205,215원으로 나타났다. 학교교육과정과 관련이 있는 학교회계 수익자부담경비의 격차가 크다는 점에서 단위학교 간 교육의 질에 영향을 미쳐 교육격차가 발생할 가능성을 초래한다고 볼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상성의 범위 확대와 수익자부담경비 완화를 위한 재원 확보를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서울시교육청수준에서 학생1인당수익자부담경비 격차를 줄일 수 있도록 지역별․학교별 여건이 불리한 상황에 대한 우선적 지원을 확대하는 배분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look into actuality of managing user’s fee on school accounting among public secondary school in Seoul and to explore and political issues on managing user’s fee based on the principle of free compulsory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analyze the aspects of change of total amount of user’s fee and user’s fee per student on 1,458 of public secondary schools throughout from 2004 to 2009.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following here; first, approximately the half of total school is come from user’s fee compared to total amount of income. Second, the rate of the special accounts for education came out bigger rate as the smaller schools and the rate of user’s fee came out larger as the bigger schools. Third, among subsections of user’s fee, those following categories have increased regardless of the size of schools; cost of afterschool programs, school food service, student training programs and other user’s fee, and the cost of afterschool programs is the most highly increased section. Fourth, the aspect of rate of subsections is largely about the same in sequence of; from cost of school food service, student training programs to afterschool programs. Fifth, every 11 local education authorities has increased user’s fee per student and the gap of user’s fee between those local education authorities has shown bigger difference. Sixth, from same local education authority, there is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rates of user’s fee per student and the maximum gap is 514,422 won for the cost of afterschool program, 475,201 won for school food service, 289,892 won for student training program and 205,215 won for field trip programs. From above all, these great gap of user’s fee among the subsections directly related schools’ curriculum can effect on the educational quality of unit schools then it came to be the educational gap.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eded to try to secure school financial resource for enlarging the spectrum of free educational service and reducing the user’s fee and also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s demanded to coordinate the priority of financial support to local education agencies and unit schools according to their financial profiles to reduce the gap of user’s fee per student.

      • KCI등재

        교육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교육투자수익 분석

        백일우(Paik, Il-Woo),김동훈(Kim, Dong-Hoo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2 No.1

        본 연구는 기존의 국내 교육투자수익률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면서 우리나라의 교육투자수익률을 교육경제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LIPS 1-11차년도(1998-2008)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교육투자수익률 추정방법으로는 OLS 방식으로 추정하는 전통적인 Mincer(1974)의 인적자본 소득함수방법, 교육변수의 내생성을 극복하기 위한 도구변수(Instrumental Variables: IV)방법을 각각 적용하여 비교ㆍ분석하였다. 특히 더미(dummy) 도구변수방법을 사용하여 교육경제학 및 교육분야에 더욱 실질적인 정책적 함의를 지닌 학교급별 한계수익률을 좀 더 정밀하게 추정하고자 하였다. 교육투자수익률에 대한 분석 결과 첫째, 학교급별 한계수익률의 OLS 추정결과에서는 대졸자의 한계수익률이 고졸자의 수익률보다 다소 높았으나, IV 추정결과 대졸자의 수익률이 고졸자의 수익률 보다 2배 정도 높게 나타나 여전히 대학교육에 대한 금전적 투자수익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OLS 방식으로 추정한 학교급별 한계수익률 추정치가 IV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남에 따라 누락변수 등으로 인한 내생성의 존재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학교급별 한계수익률 추정시 IV방법이 일반적인 OLS 방법보다 더 적절함을 도출하였다. 둘째, 교육투자의 평균기대수익률은 10%내외로 10여 년간 안정되어 있으며, 전반적으로 여성의 평균 수익률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육투자수익률에 대한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추정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의 교육에 대한 투자가치가 검증되었으며, 특히 여성의 교육에 대한 투자가 증대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The study is designed to comprehensively review literature about rates of return to investment in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conomics of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calculating the trend of the rates of return, OLS and IV estimation were employed through using 11 waves (1998-2008)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In particular, dummy IV approach made it possible to resolve endogeneity problems and offer more implications based on schooling level. The finding was that the average rates of return were ranging around 10 percent, consistently stable over ten years. On the whole, the average rates of return to women were higher than those of men. Moreover, rates of return for college graduates were twice higher than those of high school graduates in terms of using dummy instrumental variables; in particular, it was recognized that there still exist endogeneity problems in the equation.

      • KCI등재

        대학교육의 계열별 투자수익률 분석

        김지하(Kim Ji Ha),우명숙(Woo Myung Sook),박상욱(Park Sang Wook),김태우(Kim Tae W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대학의 교육비 구조와 규모 및 교육수익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급별, 전공계열별, 개인적 · 사회적 교육투자수익률을 산출하여 교육재정 정책 관련 개선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대학의 공교육비는 계열별 등록금 차이도에 기초한 가중학생수를 산출하여 총규모를 추정하였다. 사교육비는 전국 161개 일반대학을 대상으로 5,965명 학생들이 응답한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대학교육의 수익은 2010-2014년도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산출된 직 · 간접교육비와 수익자료를 토대로 내부수익률법을 적용하여 대학교육의 투자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남자 대졸자의 사회적 수익률은 7.01%이고 계열별로는 의약계열 9.71%, 공학계열 7.65%, 인문사회계열 6.83%, 자연계열 6.05%, 예체능계열 4.36%로 나타났다. 여자 대졸자의 사회적 수익률은 6.37%이고 계열별로는 의약계열 8.85%, 공학과 인문사회계열 6.66%, 자연계열 4.58%, 예체능계열 2.16%로 나타나 남자 대졸자보다 각 계열별로 낮게 나타났다. 사적 수익률을 보면, 남자 대졸자가 7.83%이고 계열별로는 의약계열 10.35%, 공학계열 8.57%, 인문사회계열 7.87%, 자연계열 6.5%, 예체능계열 4.56%로 나타났다. 여자 대졸자는 7.22%이고 계열별로는 의약계열 9.53%, 공학계열 7.75%, 인문사회계열 5.17%, 예체능계열 2.24%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근거로 대학의 설립유형 및 전공계열별로 차이가 있는 공 · 사교육비와 간접교육비, 교육투자수익률을 고려하여 재정투자의 등록금과 장학금의 적정 수준을 결정하고 차등화할 것, 개인의 교육투자가 금융 · 실문자산에 대한 투자보다 수익률이 높으므로 지속적인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 계열별 교육투자수익률 산출결과를 노동생산성과 노동시장 여건 분석 지표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finance structure, size and benefits of general universities, with the goal of obtaining the internal rate of return on social education investment and proposing improvements to present-day educational fiscal policy. For general universities, the average social rate of return for the male graduates was found to be 7.01%, while that for the female graduates was 6.37%. By each majors, the male graduates' social rate of return for medicine majors was the highest at 9.71%, while that for engineering majors was 7.65%. For liberal arts majors, the rate was 6.83%, while majors in the natural sciences had a result of 6.05%. Students majoring in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had a result of 4.36%. The female graduates' social rates of return for each majors listed above were lower than those for male graduates' as followed: 6.37%, 8.85%, 6.66%, 4.58% and 2.16%. The average personal rate of return for the male graduates was 7.83%, and that for the female graduates was 7.22%. For the male graduates, the personal rates of return for the above majors were 10.35% for engineering majors, the highest, followed by 8.57% for medicine majors, 7.87% for liberal arts majors, 6.5% for natural science majors, and 4.56% for students majoring in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Also, the female graduates' personal rates of returns by majors were 9.53%, 7.75%, 5.17% and 2.24% in the above order. Based on the following analysis of the educational costs structure and the calculation of educational rate of return, the finance policy suggestions on higher education were made.

      • KCI등재

        한국의 교육과 사회이동 : 여성과 남성의 차이

        장상수(Sang-soo Ch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여성연구 Vol.88 No.-

        This paper reviewed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education and social mobility which have been published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Although these research can be classified into some detailed topics, this paper examined only the two education-related topics: the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and the returns to education. Each of these two topics includes two details respectively: the former is consisted of the inequality of academic achievement and of educational attainment, whereas the latter comprises both the returns in the labor market such as occupational and monetary and the returns in the marriage market such as cultural and monetary. Summarizing the various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this paper tried to show both the present status or level of inequality in Korea in comparative perspective and the temporal change of it over the recent several decades. It found the following distinct trends; first,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regardless of whether it is the inequality of academic achievement or of educational attainment, has deteriorated since the early 2000s. Second, all of the returns to education, regardless of whether it is the labor market returns or marriage market returns, have declined since the mid 1990s. 이 글에서는 지난 수 십 년 동안 한국의 사회이동을 다룬 국내외 경험 연구를 개관하였다. 사회이동 연구는 여러 가지 세부 주제로 나뉘지만 여기에서는 교육과 관련한 두 연구 주제, 즉 교육기회의 불평등과 교육의 수익을 살펴보았다. 특히 여성의 교육기회와 여성 교육의 수익을 더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교육기회의 불평등은 다시 학업성적의 불평등과 학력성취의 불평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교육의 수익은 직업 수익과 화폐 수익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이 글은 한국의 교육기회의 불평등과 교육의 수익이 국제 사회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였거니와 시계열 변화 방향도 알아보았다. 이런 비교로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첫째, 학업성적이든 학력성취든 교육기회의 균등성은 1990년대 또는 2000년대 이후 점차 악화하였다. 둘째, 교육의 직업 수익과 화폐 수익, 그리고 여성의 혼인 수익은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 KCI등재

        사범대학 교육의 투자 수익률 분석

        이광호 한국상업교육학회 2006 상업교육연구 Vol.12 No.-

        이 연구의 목적은 사범대학 교육의 교육비 지출 규모와 수익 규모를 조사하고, 이를 기초로 사범대학 교육의 투자 수익률을 분석하는 것이다. 사범대학 교육의 가치는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의 두 측면에서 생각할 수 있다. 사범대학 교육의 내재적 가치는 사범대학 교육 그 자체가 갖는 교육적인 가치를 말한다. 사범대학 교육의 외재적 가치는 사범대학 교육을 받은 후에 얻게 되는 이익으로 표현되는 가치를 말한다. 사범대학 교육의 외재적 가치의 대표적인 것이 사범대학 교육을 받은 후에 취업하여 얻는 경제적 이득이 될 것이다. 사범대학 교육의 교육 투자 수익률 분석 결과는 사범대학 교육의 외재적 가치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사범대학에 진학을 고려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학교 선택의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사범대학 교육의 투자수익률은 졸업 후 교사로서 20년 이상 근무할 경우, 10%이상으로 나왔다. 정년까지 근무할 경우, 사범대학 교육의 투자수익률은 13.02%로 나왔다. 이는 3년 만기 국고채 수익률과 비교하여 거의 9%포인트 가까이 높은 수치이다. 즉 사범대학 교육은 투자할 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ate of return to college of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amount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480 student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for college of education is 1,368,888 won for freshman, 1,265,791 won for sophomore, 1,377,032 won for junior, 1,313,271 won for senior. So, the total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for college of education is 4,011,711 won. The rate of return to college of education is 13.02%. The rate of return to college of education is higher than market interest rate(4.11% in 2004).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following.First, the finding of this study may become important basis data that prove value of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help that students may do reasonable decision-making in selecting university by offering students the objective information about the rate of return on investment of college of education.

      • KCI등재

        교육의 비금전적 수익 추정

        김지하(Ji-Ha Kim),백일우(Il-Woo Pai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8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이 가져오는 비금전적(non-monetary) 수익을 외국의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경험자료를 통해 실증분석함으로써 이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KLIPS) 7차년도 부가자료인 "근로시간과 여가"를 사용하여 프로빗, 순위 프로빗, 음이항, ZINB 등 다양한 회귀모형에 근거하여 비금전적 수익을 추정하였다.<BR>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년수 증가 및 학교급 향상은 생활만족도, 건강인식도, 독서량으로 측정된 사적ㆍ비금전적 수익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년수 증가 및 학교급 향상은 사회적ㆍ비금전적 수익(지역사회 봉사참여여부, 시민의식 수준의 대리변수인 일간지 구독여부 및 월간 구독 횟수)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BR>  이상의 연구결과는 교육의 사적ㆍ사회적 비금전적 수익이 경험적으로도 측정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며 나아가 정확한 교육의 수익률 추정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비금전적 수익 측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증분석결과에 근거한 고등교육의 사회적 수익, 즉 확산효과의 존재는 정부의 고등교육 지원 및 투자 확대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view the prior researches which were focused on the non-market outcomes of education and empirically analyze the non-monetary benefits of education through the KLIPS data which include the additional data for the leisure and time allocations in the 7th Wave. To take into account of the characteristics of 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employed a few regression models such as, Probit, Ordered Probit, Negative Binominal ZINB models. The finding was that education leve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non-market private benefits like "overall satisfaction with life", "self-perception of health", and "time allocation for readings". In addition, the education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non-monetary social benefits measured by "volunteerism" and "frequency of newspaper readership" after controlling the age, household"s income, gender, status of employment, and marital status. The results showed the strong evidences of the non-monetary outcomes of education and implied the estimated values of non-market outcomes from additional years of schooling would be substantial. These results will provide a valid ground for continuous governmental support for the education.

      • KCI등재

        내부수익률법에 의한 계열별 대학교육 투자수익률 분석

        이정미(Lee, Jung-Mi),한유경(Han, You-Kyung),최정윤(Choi, Jeung-Yun),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8 No.2

        이 연구는 내부수익률법을 활용하여 대학의 전공계열별 개인적 수익률 및 사회적 투자수익률을 산출함으로써 고등교육 재정정책의 개선을 위한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남자 대졸자의 사회적 투자수익률은 5.77%이며, 의약 9.60%, 교육 7.88%로 수익률이 높게 나타났다. 여자 대졸자의 사회적 투자수익률은 6.05%이며, 의약 9.43%, 교육 8.98%로 나타났다. 한편, 남자 대졸자의 개인적 투자수익률은 6.65%이며, 의약 11.05%, 교육 8.95%로 나타났다. 여자 대졸자의 개인적 투자수익률은 7.38%이며, 의약 11.79%, 교육 10.53%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대학의 계열별 직․간접교육비, 투자수익률을 고려하여 고등교육재정 투자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계열별 등록금 및 장학금 수준의 적정화 및 차등화, 학자금 대출의 계열별 차등 지원, 대학 통합공시지표 항목 등에 관한 정책적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uggestions for improving financial policy in higher education through estimating social and private rate of return to higher education by using Internal Rate of Return. Male college graduates' social rate of return were 5.77% and those in the medical were 9.60%, those in the education 7.88%. Female college graduates' social rate of return were 6.05% and those in the medical were 9.43%, those in the education 8.98%. Meanwhile, Male college graduates' private rate of return were 6.65% and those in the medical were 11.05%, those in the education 8.95%. Female college graduates' private rate of return were 7.38% and those in the medical were 11.79%, those in the education 10.53%. These finding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for policy improvements such as deciding priority of investment to higher education considering direct, indirect expenditures and rate of return to higher education by major, expanding investment to engineering, optimizing and differentiating level of tuition and scholarship, differentiating support for school loan depending by major.

      • KCI등재

        중국 고등학생의 고등교육수익에 대한 기대에 관한 탐색적 분석

        강가려(Jiali Jiang),나민주(Minjoo Rah)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본 연구에서는 중국 고등학생의 고등교육의 수익에 대한 기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고등교육수익은 금전적·투자적 수익, 비금전적·투자적 수익, 소비적 수익으로 구분하였고, 학생개인변인 및 가정배경변인에 따른 기대 차이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산동성 연태시의 2개 고등학교에서 각각 300명 학생과 그들 학부모 300명, 총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 등을 통해 집단 간, 항목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고등학생들은 전반적으로 고등교육의 수익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둘째, 성별, 학년, 성적 등 학생개인변인에 따라 고등교육수익에 대한 기대에 차이가 있다. 셋째, 가정배경변인에 따라 고등교육수익에 대한 기대에 차이가 있다. 넷째, 학부모와 학생 간에 고등교육수익에 대한 기대에 차이가 있다. 앞으로 고등교육정책이나 대학운영에서 이러한 다양한 기대와 차이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 an exploratory analysis on the expectation of Chinese high-school students on the benefits of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benefits were categorized into monetary-investment benefit, non monetary-investment benefit and consumptive benefit. The differences in expectation according to independent student factors and family background were analyzed. The survey data on every high school’s 300 students and 300 their parents total 1200 in 2 high schools in YanTai was put into the analysis.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and items were analyzed using Cross tabulation, ANOVA, etc with SPS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high-school students’ overall expectation on higher education benefits was high. Second, Expectation on higher education benefits differed according to independent student factors, such as gender, academic year, grade, etc. Third, expectation on higher education benefits differed according to factors of family background. Fourth, level of expectation on higher education benefits between parents and students differed. In the future,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such various expectations and differences when dealing with higher education policies and university operation.

      • KCI등재

        직접교육비의 산업연관효과를 고려한 교육의 사회적 수익률 연구

        박경호(Park, Kyoungh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1 No.1

        본 연구는 개인이 교육을 받느냐 아니면 다른 재화 및 서비스를 소비하느냐에 따라 국내총생산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산업연관분석의 관점을 활용해 이러한 차이를 교육의 사회적 수익률 계산에 포함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조정된 교육의 사회적 수익률이 기존 방식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정부는 조정된 교육의 사회적 수익률에 기초해 교육재정을 추가로 지원하는 경우 준거는 어떠해야 하는지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먼저 산업연관분석 관점에서 볼 때, 교육과 여타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개인 지출행위에 따른 산업연관효과의 차이는 사회적 수익률 계산시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직접교육비의 산업연관효과를 고려하는 경우 교육의 사회적 수익률은 현재보다 상승할 여지가 있다. 셋째, 정부의 교육재정 확대는 정부지출로 감소된 교육의 사회적 수익률을 상쇄할 수 있을 만큼 임금이 상승한다면 지지받을 수 있다. 넷째, 정부가 사회적 수익률 관점에서 재정지출 분야를 결정한다면 직접교육비의 산업연관효과를 고려하는 경우 여타 분야에 비해 교육분야에 대한 재정지출을 확대할 근거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djust social rate of return calculation regarding inter-industry effect of direct educational cost. It analysed the difference between adjusted social rate of return calculation and original social rate of return calculation. And it analysed the standard for the government to support direct educational cost to the students additionally based on the adjusted social rate of return calculation. In the view of inter-industry analysis, we should regard the difference of inter-industry effect between education service and the other goods calculating the social rate of return. Social rate of return will rise more than now if inter-industry effect of direct educational cost can be included in the social rate of return calculation. Government's additional educational expenditure is proper if earnings rise enough to surpass decrease of the social rate of return. Government can support more money on the education than other field because 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 of education is the highest in the 28 industry field.

      • KCI등재

        기업 전자교육프로그램의 교육투자수익률 일(-) 분석

        이현경(Hyun-Kyung Lee),이명근(Myung-Geun Lee),김윤희(Yoon-Hee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6 No.5

        이 연구에서는 기업 전자교육프로그램(e-learning program)의 효과성 평가를 위한 일종의 투자수익률 분석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전자교육프로그램의 투자수익률 분석을 위한 정확한 비용과 수익 산출은 복잡한 과정이기 때문에 이를 분석하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니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기업 전자교육프로그램의 투자수익률 분석에 대한 연구는 쉽게 찾아볼 수가 없다. 그러나 투자 대비 수익을 중시하는 기업 환경에서 교육투자수익률 분석은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투자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근거가 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특정 회사의 전자교육프로그램의 투자수익률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기업 전자교육프로그램의 투자대비 수익률을 규명하고자 하는 데에 구체적인 방안을 제공하고 다양한 기업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투자수익률 분석을 위해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The study explored a way to analyze return-on-investment for evaluating corporate e-learning programs. It is said to be not easy to measure return-on-investment due to complexity of determining exact amount of cost and benefit of any e-learning program. In this vein, it has been rare to see researches regarding return-on-investment for corporate e-learning programs. Nevertheless, it is needed to try to document return-on-investment evidence for verifying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More concrete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raw up guidelines in making decisions about whether companies should invest in e-learning programs any more at particular point of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