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의회 통합 이후 교육위원회의 활동 및 그 특징 분석

        김용(Kim, Yong),임희경(Lim, Heekyeo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5

        본 연구는 과거 교육위원회와 지방의회의 상임위원회로 전환한 이후의 교육위원회 활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교육청에서 대 의회 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들은 과거 교육의원과 지방의원으로 구성된 교육위원회에 비하여 현재의 교육위원회의 활동을 전체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연구자들이 교육위원회 활동 기록을 분석한 결과 역시 전체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 변화가 교육위원회 구성 방식과 상관이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해를 거듭하면서 지방의원들과 지방의회가 성숙하고, 그 결과가 투영된 것일 수도 있다. 이번 조사에서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위원회 활동은 타 시·도 교육위원회에 비하여 매우 일관되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위원회가 교육의원과 지방의원으로 구성된 사실을 상기하면, 지방의원으로 교육위원회를 구성해서 긍정적 변화가 가능했다고 단언할 수 없다. 한편, 교육위원회가 지방의회 상임위원회로 완전히 전환한 이후 특징적인 변화가 보인다. 의원들이 적극적으로 지역 민원 해결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교육위원회의 구성과 성격이 전환되면서, 가장 우려를 산 것은 교육 전문성의 약화였다. 그러나 회의 중 발언이나 행정사무감사, 예·결산 심의 과정을 검토하면 지방의원의 전문성에 대한 우려의 근거는 분명해보이지 않는다. 교육 ‘전문성’과 교육위원회 ‘위원’으로서의 ‘전문성’이 같은 것은 아니다. ‘의원으로서의 전문성’을 갖추었는가 여부를 평가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activities of the Board of Education after the transition to the standing committee of local council.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ublic officials of bureau of education who perform the work of local council generally positively evaluate the current activities of the Board of Education compared to the past Board of Education, which consisted of members of the Board of Education and local councils. The results of the researchers analyzing the records of the Board of Education seem to be improving as a whole. However, it is not clear whether this change has anything to do with the way the Board of Education is formed. It may be that local councils have matured over the years, and the results have been reflected. In this survey, the activities of the Jeju Provincial Board of Education were highly consistently evaluated compared to other city/provincial boards of education. Recalling the fact that the Jeju Board of Education was made up of education councilors and local legislators, it cannot be said that the positive change was possible by forming the education committee with only local councilors. On the other hand, a few characteristic changes have been seen since the Board of Education was completely converted to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local council. Legislators are actively working to resolve local complaints. As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 of the Board of Education changed, the biggest concern was the weakening of educational expertise. When examining the remarks during the meeting, the audit of administrative affairs, and the review of budget and settlement of accounts, the grounds for concern about the professionalism of local councilors do not seem clear. Education ‘professionalism’ is not the same as ‘professionalism’ as a ‘member’ of the education committee.

      • KCI등재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필요성 논의에 비추어본 동 위원회 입법 방향

        박남기 ( Park Nam Gi ) 대한교육법학회 2017 敎育 法學 硏究 Vol.29 No.1

        이 논문은 지금까지 진행된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필요성 논의를 재검토한 후, 그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입법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그동안 시도되어왔던 국가교육위원회 논의 전개 과정을 간략히 분석하였다. 이어서 국가교육위원회 필요성과 성공 전제조건을 집권당(교육부 포함)이 정책 수립 시에 감안해왔던 요소를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아울러 교육부에 대한 비판 유형을 토대로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방향을 탐색하였다. 또한 2012년에 국회의원과 교원을 대상으로 실시했던 국가교육위원회 관련 설문 분석결과, 합의제 기관의 하나인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와 의 면담을 바탕으로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방향에 대한 시사점도 찾아보았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박홍근 의원과 안민석 의원이 발의한 관련 법안을 비교분석하면서 바람직한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법안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the legislative direction of National Education Commission(NEC) Law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ecessity of the commission. For this purpose, the history and the related research of NEC are analyzed. And the arguments on the necessity and preconditions for the success of NEC are also analyzed. At the same time the criticisms on the rol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re categorized. This study also uses the survey and the interview data on the necessity of NEC. Finally, the two laws proposed by Park Hongun and Ahn Minsuck,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are examined. Based on all of these analysis, the study suggested the legislative direction.

      • KCI우수등재

        교육과정심의회의 참여위원회 신설과 과제

        박창언(Park, changun)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1

        이 글은 교육과정심의회의 하부조직으로 참여위원회 신설에 대한 의미와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의 달성을 위해 다룬 내용은 참여위원회의 신설 배경과 운영의 개요, 참여위원회의 구체적인 추진계획, 참여위원회 운영의 과제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먼저 신설의 배경과 운영의 개요에서는 국가교육과정의 제․개정 과정에서 학생과 지역의 의견을 수렴해 이들 주체의 의견을 공식적으로 교육과정심의회의 각 위원회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추진계획에서는 학생참여위원회는 사전준비와 참여지원을 통해 참여위원회를 개최하고, 사후지원을 하는 단계를 제시하고, 지역참여위원회는 지역의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 의견을 제시하고, 학교별 및 운영위원회에서 이를 검토하여 현장 적합성 제고를 위한 내용과 절차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위원회의 운영의 과제에서는 성격과 위상의 정립, 국가적 공통성 외의 학생과 지역의 여백의 마련, 대표성 확보에 따른 전문성 취약의 근본적 한계, 피드백 체제의 정비, 국가교육위원회의 교육과정시행령 마련에 대비한 위상의 재정립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논의 결과 교육과정심의회에 참여위원회를 만든 것은 교육과정심의회의 기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최근 입법예고된 「국가교육과정 제․개정 등에 관한 규정」 규정안에서는 교육과정심의회를 대체하는 기구를 제시하고 있다. 교육과정심의회가 국가교육과정 제․개정에서 견제와 균형을 원리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권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였다면, 이러한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논의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lower-level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Council, participation committees, and it aims to present the purpose and tasks designated in the establishment of participation committees. The contents dealt with to achieve this purpose focused on the background and operation of the participation committees, the specific implementation plan for participation committees, and the tasks of the participation committees. First, in the outline of the background and operation of the new establishment, the opinions of students and of regions were collected in the process of enacting and revising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opinions of these subjects were officially delivered to each committee of the Curriculum Council. In the following specific implementation plan, student participation committees held meetings with preliminary preparation and support for their participation, and regional participation committees presented opinions on improvements to local curriculum, which were reviewed by school and steering committees. Finally, the participation committees discussed setting forth the character and status for the committees to have and resolving the gaps in student and regional committee opinions (other than policies set nationally), fundamental limitations of vulnerability to expertise, maintenance of feedback systems, and the re-establishment of status in preparation for the National Board of Education s curriculum enforcement ordinance.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the creation of participation committees under the Curriculum Council served to further strengthen the function of the Curriculum Council. However, the recently announced Regulations on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suggest an organizational structure that replaces the Curriculum Council. If the Curriculum Council played a role in ensuring learners right to learn through checks and balances in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t would need to be discussed how a new organization could properly play this role.

      • KCI등재

        국가교육과정위원회 설치에 대한 정당화 논리 검토

        권혜정,홍후조 대한교육법학회 2017 敎育 法學 硏究 Vol.29 No.4

        Article 23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is not detailed the principals, procedures and processes of the curriculum, and the current curriculum can be amended whenever the Education Minister approves the Minister's approval. While the National Curriculum outlines and regulates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nationwide, the frequent revisions to the curriculum cause problems such as duplication and omission of learning contents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that can be change frequently. A proposal for a national level committee that will be continued to lead the national educational process beyond the interests of certain subjects in the long run, which will be inevitably lead to the needs to revise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is intended to logically review the validit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Committee. First, it is the legal ‘propriet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Committee. Under Article 31 of the Constitution of Article 31 of the Constitution, the Act on Governing the National Curriculum shall be established and based on the rule of law, not governed by the rule of law. Second, it is ‘systematic’ of legislation related to the educational process. Education courses related to curriculum are insufficient and require systematic maintenance in relation to national education courses, such as the enact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ird, it’s the 'effectivenes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Committee. Temporary president, there are limits to independent entities with advisory body or control of the Education Ministry Committee. Educational amendments should be substantially beneficial to the relevant parties and involved persons. Fourth, it’s the 'Flexible' from an educational standpoint. The Act should be flexible enough to act flexibly according to the trends of the age and reflected the education and social curriculum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national curricula, reflecting the educational and social need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ifthly, it’s the 'stability' of the curriculum policy. Educational policies should be given sufficient time for education to be adapted by the education parties, and national importance should be reflected in the legislation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ittee, such as the minimum curriculum and revision cycle. 초ㆍ중등교육법 제23조에는 교육과정 개정의 주체, 절차 및 과정들이 자세히 규정되어 있지 않으며, 현행 국가교육과정은 수시 개정 체제로 교육부장관의 재가만 있으면 언제든지 개정을 할 수 있다. 국가교육과정은 전국의 초ㆍ중등학교 교육활동을 계획하고 규율하지만, 불명확한 수시개정으로 인해 수요자들은 자주 바뀌는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학습 내용의 중복 및 누락 등의 문제를 겪는다. 미래지향적이고 장기적으로 특정 교과나 세력의 이해관계를 넘어서 국가교육과정 개정을 지속적으로 책임감있게 주도할 국가 수준의 위원회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제안이 있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교육과정위원회 설치의 정당성에 대해 논리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첫째, 국가교육과정위원회 설치의 법적인 ‘타당성’이다. 헌법 제31조 제6항의 교육제도 법정주의 등에 따라 정치권력에 지배받지 않고 법의 지배를 바탕으로 국가교육과정위원회를 설치하자는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관련 법령의 ‘체계성’이다. 현행 교육과정 관련 교육법규가 미비하며 국가교육과정기준의 제ㆍ개정 주기 등 국가교육과정 관련하여 법적으로 체계적인 정비를 필요로 한다. 셋째, 국가교육과정위원회 설치의 법적인 ‘실효성’이다. 한시적인 대통령 자문기구나 교육부 산하 위원회로는 독립적인 주체로 한계가 있다. 교육과정 개정은 관련 당사자와 수요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적인 관점에서의 ‘융통성’이다. 법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유연하게 작용할 수 있어야 하며 국가교육과정위원회에서 교육 및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교육과정 정책 및 국가교육과정기준 설정 등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육과정 정책의 ‘안정성’이다. 교육 정책은 교육 당사자들이 적응할 충분한 시간이 주어져야 하며 최소한의 교육과정 제ㆍ개정 주기 등 국가적으로 중요한 사항은 위원회 설치에 관한 법률 속에 반영되어야 한다.

      • KCI등재

        가칭 ‘국가교육위원회’ 설치・운영에 관한 전문가 의견 분석: 델파이 조사를 바탕으로

        황준성,박균열,김규식 한국교육정치학회 2019 敎育政治學硏究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eds and directions of launching the 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as well as seek optimal solutions to key issues. For this purpose,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30 expe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of all,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is a consensus on the need to set up the 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separately from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reasons are securing consistency and stability in policies, overcoming administrative-centered bureaucracy, securing independence and political neutrality in education, ensuring autonomy of universities, the need to manage educational conflicts, and eliminating non-democracies in administration. Second, experts agreed that the 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should be granted legal status as an independent body by law, while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maintain its current status. Third, with regard to the main functions of the 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the consensus was reached on the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and long-term national education plans, proposals for major education-related laws, coordination of conflicts in the education sector, establishment and coordination of major education policies,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major education policies. Fourth,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should be made from a compromise perspective that takes into account both education expertise and social representation. Fifth, an agreement was reach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kindergarte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Committee, Higher Education Committee, and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Committee as sub-committees. Finally, it proposed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so that problems such as the delay of the transfer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authority to local and university, and the reduction of functions of the legislature and judiciary for education would not arise. 이 연구는 가칭 국가교육위원회의 설치를 중심으로 하는 중앙교육행정체제 개편에 대해 전문가의 의견을 모아 개편의 필요성과 방향을 확인함과 함께 주요 쟁점에 대한 최적의 대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관련 연구 수행자 등을 중심으로 30명의 패널을 구성한 후 3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부와 별도의 국가교육위원회 설치를 중심으로 하는 현행 중앙교육행정체제의 개편이 필요함에 합의가 이루어졌으며, 그 이유는 정책의 일관성·안정성 확보, 행정 중심의 과도한 관료주의 극복, 교육의 자주성·정치적 중립성 확보, 대학의 자율성 보장, 교육갈등 관리 기제 필요, 행정의 비민주성 제거로 의견이 모아졌다. 둘째, 국가교육위원회의는 법률상 독립 기구의 법적 지위를 갖도록 하되, 교육부는 현재와 같이 행정각부의 하나로 유지하는 방안에 가장 많은 전문가의 의견이 모였다. 셋째, 국가교육위원회의 주요 기능과 관련하여 종합적·장기적 국가 교육계획 수립, 주요 교육 관계 법률의 제안, 교육분야 갈등 조정, 주요 교육정책의 수립 및 조정, 주요 교육정책의 모니터링 및 평가는 합의가 이루어졌으며, 교육재정 및 교육예산 심의의 경우 합의되지는 못하였지만 많은 전문가의 지지를 받았다. 넷째, 국가교육위원회의 구성은 교육 전문성과 사회적 대표성을 함께 고려하는 절충식의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과 위원 수는 15인으로 함에 의견이 모아졌다. 다섯째, 하위 분과위원회로 유·초·중등교육위원회, 고등교육위원회, 평생·직업교육위원회를 설치하는 데 합의를 이루었다. 끝으로 국가교육위원회 설치와 관련된 우려도 확인할 수 있었는바, 신중하고 정교한 설계와 함께 특히, 교육행정권한의 지방 및 대학으로의 이양 지연 그리고, 입법부와 사법부의 교육에 대한 기능 축소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교육감선출과 지방의회 일치형 교육위원회제도에 대한 비판적 연구

        김학성(Haksung Kim)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7 江原法學 Vol.50 No.-

        교육감선출과 교육위원회 구성에 관해 매우 다양한 제도를 경험했고, 이와 관련하여 수많은 글들이 제시되어 있다. 지금의 교육감직선제가 올바른 방법인지 동시에 시도의 상임위원회로 귀결된 교육위원회제도가 바람직한가에 관해 논란이 있으며 더 큰 논란이 필요하다고 본다. 교육감 직선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고, 지금의 교육위원회제도에 대한 불만족의 소리도 적지 않다. 본 연구를 함에 있어 몇 가지 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감선출과 교육위원회 구성 문제는 분리해서 접근하거나 이해 되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교육위원회는 교육학예에 관한 의결기관이며 교육감은 집행기관으로서 양자는 내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고 또 지녀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 교육감과 교육위원회 구성문제는 확고하게 정착된 제도가 아니며, 아직도 건설 중에 있는 제도라는 사실이다. 셋째, 교육감선출과 교육위원회구성을 논함에 있어 교육학이나 행정학이 아닌 헌법학의 입장에서 문제를 풀고자 한다. 동시에 적극적 방법보다는 소극적 방법도 병행하고자 한다. 여기서 소극적 방법이란 이미 제시된 수많은 개선방안 중 어느 것이 가장 헌법에 부합하느냐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헌법에 합치되지 않는 방법을 제거하는 방법을 병행하겠다는 것이다. 본 연구가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가장 이상적인 방법을 추구하겠지만, 적어도 헌법상 용인되기 어려운 제도를 분명히 해서 문제되는 방법을 제거하는 것도 앞으로의 논의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교육자치가 시작된 이후, 교육위원회는 구성 조직과 관련하여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개선이라기보다는 시련에 가깝고, 지금의 교육위원회도 미봉책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아직도 격랑 속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교육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 의결하는 교육위원회는 교육감과 더불어 교육자치의 양대 축을 형성하는데, 교육감을 통제하는 교육위원회가 아직도 제 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어 답답하기까지 하다. 전문성을 지니고 정치적 중립성을 지켜내는 자주적 교육대의기구로 완성되기를 기대해 본다. We have experienced a wide variety of institutions in the election of the superintendent and the composition of the board of education. It is controversial whether the current system of directors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s the right way. There is a voice to improve the election system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nd there are also a lot of dissatisfaction about the current system of the board of education. We have had a lot of experience with how to organize the Board of Education and now it has come to the local parliamentary standing committee. As mentioned before, the inclusion of the Board of Education as a standing committee in the local council is clearly contrary to Article 31 (4) of the Constitution. This is because it undermines the independence and professionalism of education as well as political neutrality. It is very unusual for local councilors to decide on education that requires political neutrality. I can think of ways to elect a member of the board of education from the local council, but it is not desirable because the question is whether the board member can maintain his political neutrality. It is possible that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can appoint a member of the board of education with the consent of the local council, but it seems to be a resistance to us who have been accustomed to electing the superintendent. Since the beginning of the educational autonomy, the Board of Education has made many changes in relation to the composition of the organization. It is closer to the trial than to the improvement, and the present Board of Education has the character of the reserve and it is still in the ripple. The Board of Education, which deliberates on important issues related to education, forms the two pillars of education and autonomy together with the superintendent. Even the board of education, which controls the superintendent, is still unable to find its place, and it is frustrating. I hope that this will be completed as an independent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maintains professional neutrality and political neutrality.

      • KCI등재

        감사위원회 대상 교육의 현황 진단 및 효과성 검토

        최종원 ( Jong Won Choi ),박주형 ( Ju Hyoung Park ) 한국회계학회 2023 회계저널 Vol.32 No.3

        2018년 외부감사법이 개정되면서 감사위원회의 전문성 유지 및 강화를 목적으로 감사위원회에 교육을 제공하고 이를 기업공시서식 작성 기준에 포함하여 공시하도록 규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감사위원회 대상 교육의 현황을 진단하고 효과성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감사위원회 대상 교육의 방향성에 대해서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에 대한 감사위원회 교육 현황 자료를 기술적으로(descriptive) 분석하였다. 감사위원회 교육의 대상이 되는 감사위원회는 대다수가 3인,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고, 공인회계사 전문가 유형을 가장 많이 선임하고 있었다. 또한, 표본의 과반수 이상이 감사위원회 대상 교육을 1회 이상 실시하고, 외부교육을 상대적으로 많이 수행하고 있었다. 외부교육 주체로는 BIG4 회계법인과 감사위원회 포럼이 많았고, 회계감사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관련 내용을 주로 교육하고 있었다. 특히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교육 실시 기업 및 외부교육 비중이 늘어나고 있으며 회계감사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교육내용이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였다. 다음으로 감사위원회의 운영적 측면을 검토해본 결과, 감사위원회 교육을 실시하는 기업일수록 감사위원회의 활동횟수가 높고, 감사위원회 내에 더 많은 사외이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감사위원회가 다양한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감사위원회 대상 교육의 효과성을 검토해본 결과 감사위원회의 교육은 회계이익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감사위원회의 교육 및 외부교육 실시횟수가 많은 기업일수록 회계이익의 품질과 뚜렷한 연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감사위원회의 교육을 다룬 국내외 연구가 극히 드문 상황에서 감사위원회 교육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는 데 유용성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는 감사위원회의 교육이 입법 취지에 따라 운영되려면, 기업 스스로가 교육의 실시횟수를 높이고, 다양한 경로에서 외부 교육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때 더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 for audit committees. 'The External Audit Act' mandates education for audit committees to enhance their expertise and requires disclosure. W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the business reports of listed companies from 2018 to 2020, specifically focusing on audit committee education. Most audit committees consist of three outside directors, with an average of one or two types of experts, primarily CPAs. We found that more than half of the companies conducted audit committee education at least once, with external education being implemented relatively more frequently than internal education. External education was primarily organized by the BIG4 accounting firms and audit committee forums, and the main topics covered were accounting audits and internal control systems. Particularly, we found that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companies conducting education and external education over the past three years, and the topics of accounting audit and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s have shown a consistent upward trend. We also found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audit committee education and the frequency of their activities, the number of outside directors, and expertise diversity. Additionally, audit committee education appears to improve the quality of accounting earnings.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limited research on audit committee education and provide meaningful data for future discussion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audit committee education, companies should increase training sessions and utilize various forms of external education.

      • KCI등재

        국가교육위원회의 법적 성격과 관련법제의 개선방안

        이상만 대한교육법학회 2023 敎育 法學 硏究 Vol.35 No.2

        2002년부터 꾸준히 대선후보자들에 의해 장기적인 비전을 가진 교육정책 수립이라는 공약이 제기되어 왔다. 여러 차례 논의 끝에 2021. 7. 20. 「국가교육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고, 2022. 7. 21.부터 시행되었다. 이를 근거로 2022. 9. 27.에는 우여곡절 끝에 국가교육위원회가 출범되기에 이르렀다. 설치부터 찬·반 의견이 나뉘었고, 제정과정 및 위원구성에서도 많은 일들이 있었다. 그러나 국가교육위원회의 출범은 정권교체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일관된 교육정책을 희망하였던 국민의 입장에서 가지는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것이다. 이런 국민들의 기대와는 달리 국가교육위원회가 출범이후 현재까지 이렇다 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국가교육위원회법이 시행된 지 불과 1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고, 국가교육위원회가 구성된 지 1년 남짓 지난 시점에서 향후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국가교육위원회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국가교육위원회가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 국가교육위원회의 법적 성격 내지 지위, 교육부와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소관업무 및 그 범위 등이 핵심적인 문제점이라고 판단하고, 이에 대한 국가교육위원회법의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법학전문대학원 평가 법제 개선 방안

        전학선 유럽헌법학회 2024 유럽헌법연구 Vol.- No.45

        법학전문대학원이 출범할 때부터 많은 논의와 우려있는 전망도 나왔으나, 15년이 지난 현재에는 어느 정도 정착이 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사법시험을 통한 법조인 양성에서 벗어나서 학교교육을 통한 법조인 양상을 목표로 하는 법학전문대학원이 대학원 과정이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법학전문대학원에 대한 평가는 대한변호사협회 소속의 법학전문대학원 평가위원회가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법학전문대학원 평가위원회는 대한변호사협회 소속이라 법학전문대학원을 평가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고 본다. 대한변호사협회는 법학전문대학원에 대한 근거없는 불신을 가지고 있고, 우리나라 변호사 수와 관련하여 이해관계가 있는 기관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대한변호사협회 소속의 법학전문대학원 평가위원회는 법학전문대학언의 교육과정을 비롯한 다양한 평가요소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법학전문대하구언에 대한 평가는 독립성과 중립성이 보장되는 전문성을 가진 다른 기관이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법학전문대학원과 관련하여 교육부 장관 소속의 법학교육위원회가 있는데, 법학교육위원회의 기능과 구성을 변경하여 법학교육위원회가 법학전문대학원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법학전문대학원은 고등교육법상의 교육기관으로 교육부의 관리ㆍ감독을 받고 있으므로 교육부 장관 소속의 법학교육위원회가 법학전문대학원 평가를 담당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이를 위하여 법학교육위원회의 구성과 권한을 개정하여 전문성과 독립성을 갖추도록 할 필요가 있다. 법학전문대학원 평가기준에 있어서도 현실에 맞지 않는 평가기준이 있으며, 합리적이지 못한 평가기준이 많이 있다. 이는 교육에 있어서 전문성이 부족한 법학전문대학원 평가위원회가 평가기준을 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인 것도 있다. 법학전문대학원에 대한 평가기관도 변경할 필요가 있고 평가기준도 교육 현장의 상황을 반영하여 합리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Since the launch of the law school,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and worrying predictions, but now, 15 years later, it can be said that the situation is becoming somewhat settled. Law schools are evaluated regularly because they are graduate programs that move away from nurturing legal professionals through bar exams and aim to become legal professionals through school education. Currently, the Law School Evaluation Committee of the Korean Bar Association is in charge of evaluating 25 law schools. However, since the Law School Evaluation Committee belongs to the Korean Bar Association, it is not considered appropriate to evaluate the Law School. The Korean Bar Association believes that it is desirable for another organization that guarantees independence, neutrality, and expertise to evaluate law schools due to unfounded distrust of law schools and lack of expertise to evaluate the curriculum. In relation to law schools, there is a Legal Education Committee under the Minister of Education. It is desirable to change the function and composition of the Legal Education Committee so that the Law Education Committee evaluates law schools. When it comes to law school evaluation standards, there are evaluation standards that do not fit reality, and there are many evaluation standards that are not reasonable. This is partly because the law school evaluation committee, which lacks expertise in education, sets the evaluation standards.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evaluation agency for law schools, and the evaluation standards need to be improved reasonably to reflect the situ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국가교육위원회와 교육부의 공법적 관계와 과제

        전지수 대한교육법학회 2023 敎育 法學 硏究 Vol.35 No.2

        지난 2022년 9월 27일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국가교육위원회가 출범하였다. 국가교육위원회는 정권이 바뀌어도 헌법상 교육의 기본원칙을 준수하고 교육정책의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어야 한다. 국가교육위원회는 교육부의 교육정책결정권의 독점에서 벗어난 정치적 편향성이 배제된 장기적인 교육계획의 수립에 대한 국가과제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헌법과 교육 관련 법령에 따라 사회적 갈등의 골을 좁혀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는 국가교육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을 요구한다. 국가주의적 교육행정체제는 교육제도와 운영이 획일적으로 경직되어 개별 교육의 주체 또는 이해 당사자의 자기결정권과 선택권을 침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가교육위원회와 교육부의 공법적 관계에서 헌법상 교육의 기본원칙인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을 주요골간으로 교육정책에 대한 과제를 도출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따라서 헌법상 교육이념과 교육의 기본원칙에 입각하여 국민의 교육권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국가교육위원회와 교육부의 헌법적 역할과 의무를 공법적 관계와 과제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