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문교육 연구 방법론의 止揚과 指向

        진재교 한국한문교육학회 2010 한문교육논집 Vol.34 No.-

        It has been frequently pointed that weakness of teaching methods of classical Chinese comes from its short history as an academic discipline. This argument is no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ether teaching classical Chinese constitutes a viable discipline, just as the criticism that it lacks methodology. This kind of argument not only denies the possibility of teaching classical Chinese to stand as an independent field of study, but also dismisses what has been achieved by many researchers in the field. Highly desirable at this status is the reflection that the progress in teaching classical Chinese has been hindered by the lack of interest in its methodology as well as the skepticism about its being a viable discipline. In order to achieve a progress in teaching methodology of classical Chinese, researchers need to develop the methods that helps gain its viability and also need to be aware of the problems and perspectives different from those in studying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Such perspectives and efforts are much in need to achieve teaching classical Chinese as a field of discipline. 한문교육에서 연구 방법론이 허약한 이유로 한문교육의 학문적 연륜이 짧다는 것을 든다. 이는 ‘방법론이 부재한 학문’이라는 비판과 하나의 ‘학문’으로 성립할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은 아니다. 한문교육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태도이자, 그간 노력을 무화시키는 논리다. 무엇보다 현 시점에서는 한문 교육 연구자들이 한문교육 연구방법론에 대한 인식과 한문교육을 하나의 학으로 선명하게 자각하지 않았다는 점을 반성해야 한다. 이 시점에서 한문교육에 대한 학문적 정체성을 분명한 인식을 할 필요가 있다. ‘한문학’과 ‘한문교육’은 학문 연구의 대상으로 당연히 그 층위가 다르다. 인문학으로서의 한문학 연구와 달리, 한문교육은 그 귀속 여부는 인문학과 사회과학 등에 두루 걸친다. 이러한 점을 십분 이해하고 한문교육의 연구방법론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문교육의 연구자는 한문교육 연구 방법론을 통한 학문적 정립을 추구하며, 한편으로는 한문학 연구 방법론과 달리 어떠한 문제의식과 시각을 통해 연구방법론을 모색해야 할 것인가를 근본적으로 재인식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각과 노력이야말로 ‘한문교육학’의 정립을 위해서도 필요한 작업이기 때문이다. 또한 새로운 연구방법론 역시 학교 현장(교실)과 정치하게 결합되어야 연구방법론으로 기능하고 학문적으로 성립할 수 있다. 지금부터라도 한문교육 현실에 맞는 연구방법론을 창신하여 한문교육학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 KCI등재

        국어교육 양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연구자의 인식

        윤준채 ( Jun Chae Yoon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교육 연구자를 대상으로 국어교육 양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그것을 토대로 국어교육 양적 연구방법론과 관련된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최근에 국어교육 프로그램의 박사과정을 마쳤거나 현재 공부하고 있는 37명의 국어교육 연구자가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17문항으로 구성된 <국어교육 양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인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설문에 응답한 국어교육 연구자는 국어교육 현상을 연구하는 데 양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지식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응답자는 국어교육 프로그램이 양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강좌를 충분히 제공하고 있지 않고, 이로 인해 양적 연구방법을 사용한 논문을 이해하고 연구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응답자의 과반수가 국어교육 양적 연구방법론 필수 이수 학점으로 3~6학점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였다. 독립적인 모국어 교육 연구자가 되기 위해서는 모국어 교육 현상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양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어교육 석.박사과정 프로그램은 양적 연구방법론과 관련된 교육과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urvey study was to examine researchers` recognition of research methodology, especially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for Korean education and to provide some useful ideas necessary for rebuilding research-method related curriculum for the researchers in the area of Korean education. For this study, 37 researchers from universities in Seoul were participated. In order to collect data, <Korean Researcher`s Checklist for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as used. Results from the study documented as follows. First, the 37 researcher thought that knowledge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for Korean education is necessary. Second, their doctoral programs did not provide sufficient classes related to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us they experienced som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related research works and in doing research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Finally, they thought that 3~6 credit hours for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area of Korean education should be required. For Korean education researchers to become independent researchers, curriculum related to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hould be restructured.

      • 교육비평방법론을 활용한 질적연구

        김명희,조재성 한국질적탐구학회 2016 질적탐구 Vol.2 No.2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theoretical concept of educational criticism for qualitative researchers and present practical process of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methodology of educational criticism. The concept of educational criticism is composed of two elements; criticism and connoisseurship. Criticism refers to a task in which a researcher evaluates a phenomenon, based on certain grounds, by observing a scene or a site as it is. In criticism, there is no final, conclusive or perfect definition. Depending on the context of research, the result of criticism can always be different. On the other hand, connoisseurship is dependent on intellectual capacity of a researcher and it is a capability of carefully analyzing certain event and phenomenon that is likely to be overlooked, to distinguish various characteristics out of them. According to the concept of connoisseurship,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nd criticize the fact artistically, based on sharp discernment in conjunction with rational judgement and scientific analysis on a certain scene or a site.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realize ourselves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our world of life. Educational criticism combines both concepts and is characterized as a research methodology of which a variety of phenomena happening in the field are described and analyzed. The process of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educational criticism can be explained as follows: First, it defines research problems. As for the necessity of research, it can use episodes, while the type of research problems can be stated in the form of description,understanding and depic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preliminary research results in parallel with the importance of research and the limitations of research. Second, it explains research methods. It is required to describe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spot where the event occurred in detail, as they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form the structure of a research. Moreover, it is vital to make a full explanation about theoretical knowledge of connoisseurship, constituting a core concept of educational criticism. As for the research process, the researcher should choose the best way to explain the research. At the last stage, it is important to clarify how the problems of research ethics have been solved. Third, data is collected and analyzed. In educational criticism methodology, data collection takes place in a circular and concurrent way. So as to ensure the research validity, educational criticism applies the methods of structure corroboration, consensual validation and referential adequacy. Finally, research results are laid out. The results are also laid out in paper writing. When the research results are described, it is essential to clearly mention, from whom the paper is originated and apply the appropriate writing strategy.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의 주요한 방법 중 하나인 교육비평방법론을 소개하고 이론에서 중요하게 생각되는 개념들의 의미를 다시 되새김과 동시에 심화시키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질적연구자들에게 교육비평방법론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논의하려 한다. 한편으로는 교육비평방법론을 적용한 질적연구의 절차를 탐색할 것이다. 이를 토대로 질적연구의 과정을 재구성하고 교육비평을 활용하고자하는 질적연구자들에게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도 교육비평과 감식안 개념은 생소하고 새로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교육비평에 대한 이론적 설명은 많이 시도되었지만 구체적으로 현장작업과 관련하여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방법적 과정에 대한 상세한 소개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 아직 구체화되지 않고 있는 교육비평방법론의 실제적 적용의 가능성을 더욱 확장시키고자 한다. 그리하여 조직, 기관, 집단, 프로그램의 과정 연구에서 교육비평방법론을 활용한 질적연구가 더욱 널리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방법론의 함의에 관한 소고(小考)

        박성일(Piao ChengRi),민용성(Min, Yong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는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의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고 그 연구방법론의 함의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후기구조주의는 오늘날 교육 연구에서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고, 이미 수많은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의 양상과 특징을 다음과 같은 연구사례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Ball의 교육정책개혁 연구, Giroux의 비판교육학 연구, 佐藤学의 교육언어와 담론 해체적 분석 연구, Lather, Grumet, Noddings의 페미니즘 교육 연 구, Taubman, Daignault, Wen-Song Hwu의 교육과정 해체적 분석 연구 등이 그것이다.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는 후기구조주의 이념과 방법론을 근본과 기저로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탈중심화’와 ‘차이’ 주목, ‘메타 서사’와 ‘절대 진리’ 해 체, ‘권력’ 거부와 ‘권력관계’ 해체, ‘주체성’ 해체, ‘텍스트’와 ‘담론’ 해체 등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의 양상 및 특징과 연구방법론의 근본과 기저를 보다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교육연 구자들이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방법론을 현실의 교육 연구에서 보다 직접적으로 수용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al research and explore the Connotation of it’s Methodology. Post-structuralism has had a tremendous impact in education research and so many Post-structuralism education research has been conducted recent decades. This study selected some examples to exam that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 research, those are include: (1)Ball s study of educational policy reform; (2)Giroux s post-structuralism critical pedagogy research; (3)Satomanabu s research of deconstruction of educational language and discourse; (4)Lather, Grumet, Noddings s feminism education research; (5)Taubman, Daignault, Wen-Song Hwu s curriculum deconstruction analysis. Further, this study explored the fundamental foundations of methodology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 research. The Post-structuralism educational research based on Post-structuralism idea and methodology, and take it as the research methodology foundation. Concretely, this study take it into as follows to exam: (1)“Decentralization” and gaze “differance”; (2)“Grand narrative” and “absolute truth” Deconstruction; (3)“Power” deny and “Power relations” Deconstruction; (4)“Subjectivity” Deconstruction; (5) “Text” and “Discourse” Deconstruction. In conclusion, through to comparative analysis that it with structuralism educational research to clarified the change and evolve, and deepen our understandings for the methodology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al research.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hat researchers may have a clear understandings for the modality and features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 research, and for the fundamental foundations of it’s methodology. Further, we hope that it can be helpful for education research today.

      • KCI등재

        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편성·운영·재구성을 제약하는 사항과 제약의 원인 연구

        이재창(Jaecha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이 다문화교육과정을 편성·운영·재구성하는 가운데 겪는 제약사항들의 종류와 그 원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교사의 학교급, 다문화교육과정 관련 접근법, 관련 전문성 신장 기회, 그리고 실행 수준에 따른 제약사항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제약사항들이 발생하는 원인을 질적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방법 첫 번째와 두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이론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설문조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후 초·중·고교 교사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명4, 중학교 교사 3명, 고등학교 교사 4명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여 설문조사 결과의 원인을 각각 살펴보았다. 결과 첫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모든 학교급에서 타문화를 한국식으로 한정짓는 제약을 겪었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다. 이 가운데 중학교 교사는 학교교육과정 지침, 고등학교 교사는 교육청의 지시로 인한 제약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기여적 접근법을 활용하는 교사는 교육청의 지시, 부가적 접근법을 활용하는 교사는 타문화를 한국식으로 한정한다는 점과 국가수준 교육과정 지침, 사회적 운동 접근법을 활용하는 교사는 부장교사의 지시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다문화교육 경력과 관련 업무담당경력은 교육지원청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다문화교육과정 연수이수시간과 타문화를 한국식으로 한정하는 제약이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제약하는 사항들은 각기 학교 구조적, 맥락적 원인에서 비롯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첫째, 다문화교육과정에 특화된 연수를 제공하되,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보다 유익한 연수가 될 수 있도록 실제적인 내용, 실천 사례, 교수학습자료, 체험 활동 지원을 함께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둘째, 다문화교육과정을 학교교육 평가계획에도 반영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causes of constraints th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experience while organizing, operating, and restructuring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This study investigated trends of the constraints depending on each teacher’s approach to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the opportunity to develop expertise, and the level of practice. this research analyzed the causes of major constraints by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Questions to be surveyed were developed based on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prior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Afterward, a survey was conducted on 316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for analysis. And then Writte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teacher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survey results. Results Regarding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highest rate of responses was that all schools experienced re-strictions that limited other cultures to Korean style. And restriction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chool level. Regarding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nd restriction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eacher’s approach to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and related work exper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ducation Support Office's guideline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raining time of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and the restriction that limited other cultures to the Korean style. About the third research question, it was examined that the constraints stemmed from school structural and contextual causes, respectively.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raining specialized in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but provide incentives for teachers to actively participate and provide practical content, practice case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o make the training more beneficial.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an institutional de-vice that can reflect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in the school education evaluation plan is needed.

      • KCI등재

        미술교육 연구를 위한 방법론 고찰

        정현일(Jung, Hyun Il)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3

        본 논문은 미술교육에서 연구되어지고 있는 프로젝트를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전개해 나가기 위한 연구방법론들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필자는 현장연구에서 폭넓게 사용되어지고 있는 실행연구 방법론들 중에서도 가장 친-합리적, 친-민주적, 그리고 친-평화적 연구접근이라 할 수 있는 커뮤니티 중심의 연구(CBR)와 커뮤니티 중심의 실행연구(CBAR)를 중심으로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한다. 그 CBR과 CBAR의 연구방법론들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필자는 먼저 방법(method)과 방법론(methodology)의 올바른 정의와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해서 조선시대 아낙네들에 의해서 만들어진 ‘조각보’의 비유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런 후에 실행연구 분야의 저명한 학자들이 출간한 논문들을 통해서 CBR과 CBAR의 연구 목적들, 특징들, 정의들, 그리고 기원들 등을 심층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한 가설을 통해 미술교육연구에서 CBR과 CBAR의 연구방법론들을 어떻게 현장연구나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research methodologies for conducting a study in art education systematically and logically. It mainly focuses on defining the terminologies method, methodology, community-based research(CBR), and community-based action research(CBAR). This study also focuses on how to apply CBR and CBAR into the practices of art education that are especially associated with the local communities, such as schools, community libraries, community agencies, churches, youth clubs, ethnic groups, and many other settings. To better understand the meaning of CBR and CBAR, I first give a background that defines the differences between method and methodology using a parable that the process of conducting a research in art education is very similar to the process of making. a Korean patchwork(Jogakbo) created in the 19th century. After defining the meaning of the terms and the principles of CBR and CBAR,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ommunity-based research and community-based action research through a chart that compares the two methodologies in terms of origins, goals, features, the researcher and participant's roles, and other important aspects of research. To address wha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I have reviewed variety books written by prominent scholars in the field of action research and also reviewed two web-sites to give an additional layer to compare the methodologies. Lastly, I mention a hypothesis to suggest one of many ways in which how art educators can apply CBR and CBAR to a research in field-based art education or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 KCI우수등재

        교육연구방법론으로서 행위자-네트워크이론(Actor-Network Theory)의 가능성 탐색

        박은주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8

        이 연구는 교육연구 방법론의 뿌리 깊은 대립을 극복하고, 복잡하게 변화하는 시대에 유연하게 대처하며, 발전하는 학문적 동향에 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교육연구방법론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오늘날 학교현장에는 기존의 틀로는 이해할 수도 없고, 설명할 수도 없는 새로운 현상들, 기존의 이분법적 경계를 허무는 초경계적・융합적 사건들이 속출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들을 포착하기 위해서 더 세밀하고 다양한 방법론의 도입이 시급한 형편이다. 이 연구는 현재 교육연구가 당면한 현실에 부응하기 위해 라투르의 ANT가 지닌 다양한 학문적 가능성을 검토하되, 특히 ANT의 교육연구 방법론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ANT의 새로운 교육연구방법론은 복합적이고 탈경계적인 교육현상에 부합하는 교육실재를 기술함으로써 교육실천을 개선하고, 결과적으로 새로운 동향의 학문적 진보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국내 교육공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의 질적 탐색

        이은택,임상훈,이두섭,유영만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그동안 수행되어온 교육공학 분야의 질적 연구의 질적 변화를 분석하고 앞으로 교육공학분야의 질적 연구의 성숙을 위한 방향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저자의 특성, 연구제목, 질적 연구에 대한 정의 부분, 연구방법, 연구목적, 연구자의 연구개입 정도(연구도구로서 연구자), 연구에 대한 평가(제언)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시간성과 공간성의 기준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는 질적 연구 수행의 인식 변화과정과 상호작용을 살펴보는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의 성찰과정이기도 했다. 시간적 흐름은 질적 연구를 하나의 ‘방법론’으로 이해하는 과정으로 데이터-방법적-방법론적 단계 변화가 있었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특수한 상황은 질적 연구의 방법론적 성장에 촉매제가 되었다. 공간적 제약은 양적 연구가 다수인 교육공학 분야의 특수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연구의 정당성을 위한 양적 연구자 설득하기, 질의 양화를 통한 연구의 객관성 입증하기, 소극적인 결론 제시를 통한 양적 연구 회귀하기와 같은 현상들이 발견되었다. 향후 교육공학 분야에서 질적 연구의 성숙된 발전을 위해서는 질적 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접근, 질적 연구에 적합한 심사기준 마련과 방법론 교육, 방법론 수용에 있어 유연성이 필요하다. 특히 다양한 방법론에 대한 수용은 개인적 노력을 넘어서 학문공동체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노력은 학문공동체의 질적 성장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한국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주제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강승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2 한국언어문화학 Vol.9 No.1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수행된 한국문화교육 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한국문화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것이다.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수행된 한국문화교육 관련 연구들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이 연구들에 대한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한국문화교육의 실제를 반성하고 한국문화교육이 학문적 발전을 위해 연구가 갖추어야 할 측면들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 국내 대학원에서 학위논문으로 발표된 한국문화교육관련 석사, 박사학위 논문과 한국어교육관련 학술지로서 심사학술지에 해당하는 학술지 게재 논문들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하여 분석한 분석대상 논문은 419개이고 연대, 주제, 방법론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이들은 주제별로 총 8개의 학문적 범주로 구분된다. A comprehensive review of research in Korean Culture Education with the aim of examining the research topic and its methodology thus far not been executed, though lot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research has been accomplished since the eighties. A thorough review of the previous research on Korean Culture Education will assist in understanding the topic area needed to be studied in the field and the relevant methodology as well. This study will analyse previous research on Korean Culture Education, about 419 studies published in the journals related to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as well as academic dissertations made up the study. The research was analysed based on three variables: chronology, topic and methodology. There was a total of 8 academic categories for topics.

      • KCI등재

        해외연구소개 : 스웨덴 교육사학 연구의 현황과 쟁점; 주요 학회 및 대학별 연구현황을 중심으로

        이윤미 ( Yoon Mi Lee ) 한국교육사학회 2011 한국교육사학 Vol.33 No.3

        이 글은 스웨덴에서의 교육사연구동향을 주요 학회에서의 연구와 주요 대학에서의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스웨덴에서의 교육사학 연구는 1920년대 스웨덴교육사학회 설립 이래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지역교육사 및 학교사 등과 관련한 기초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주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사학 연구주제들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여러 분야에 걸친 주제사적인 접근이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스웨덴에서 교육사학 연구는 현재 전환기라고 할 수 있다. 교육사학을 독자적 학문분야로 세우고자 하는 소장학자들의 입장에서는 2003년 북유럽교육학회에서의 제언이 의미있는 기폭제가 되었다고 본다. 이들은 교육 사학이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강화되어야 한다고 보면서, 교육학 내부에서 고립되지 않고 역사학 및 타학문영역과 협력적으로 소통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스웨덴 교육사학계의 이러한 쟁점은 교육학과 역사학의 경계에 있는 교육사학계의 보편적 문제의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주목된다. 또한, 스웨덴에서의 교육사학 연구자간 학문적 연계체제와 신진 연구자양성을 위한 대학간 협동프로그램 (국립교육사학대학원) 운영사례가 한국의 제도적 현실에 주는 시사점도 크다. This paper examined the current trends in the history of education research in Sweden, focusing on the publications of the Swedish Association for Educational History(Foreningen for svensk undervisningshistoria) and the dissertations and research projects conducted by the researchers in major universities. Some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it has been criticized by professional historians that the so-called "pedagogikhistoria" approach of the Swedish Association for Educational History (Foreningen for svensk undervisningshistoria) was less scientific and lacked the rigor in its methodology, the works of the Association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The Association has a wide collection of various historical sources including books, personal memories, records, etc., crucial to the historical research on education. Second, the inventory study led by the group of cultural and economic historians of education (who have called for the "New History of Education Research [Ny Utbildninghistorisk forskning]") provides a systematic basis for diagnosing the strength and weaknesses of the research orientation of the field. The forming of the social network among the historians of education and the professional programs offered by the National Graduate School of History of Education seems to be an innovative way of promoting collaboration in research and teaching within the community of history of education. Third, an effort by the Swedish "new historians of education" to bring the expertise of the "historical science" into the educational domain sheds light on the ongoing controversy over the "disciplinary/professional identity" of the historians of education, positioned ambiguously between educational studies and historical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