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외계층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김정숙,연보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진로교육법 제5조(“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 북한이탈주민, 저소득층 가정의 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등 사회적 배려대상자를 위한 진로교육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에 의거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 이주배경청소년, 학교부적응 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등 소외계층을 위한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소외계층 집단별 현황과 특성, 진로요구 수준을 살펴보고, 이들을 위한 진로교육 정책 현황과 정책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를 분석한 후, 소외계층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외계층 집단별 현황과 특성을 제시하면, 우선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약 70%는 지적장애 학생이며 이들 중 약 54%는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재학하고 있다. 이주배경청소년은 다문화가족청소년, 중도입국청소년, 탈북청소년, 외국인근로자자녀 등 다양한 하위집단으로 구성된다. 학교부적응 유형 역시 수업 및 학업부적응, 정서적 부적응, 인간관계 부적응, 규칙 위반형 부적응, 공격성 부적응, 획일적 학교제도 거부형으로 구분되는 등 다양하며, 학교 밖 청소년은 학교를 그만 둔 이후의 경험 사건 분류를 통해 학업, 직업, 무업, 비행형 등으로 구분 가능하다. 이들 집단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낮은 자존감으로 인한 심리적 위축 및 소극적 태도, 기초학력 부족, 자기이해 부족, 사회적 지지의 부족 등의 특성을 보이며, 낮은 진로의식 수준, 진로정보 부족과 높은 진로장벽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진로결정 및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소외계층 집단별 진로․직업교육 정책 현황을 살펴보고, 진로교육 목표 및 방향, 진로교육 콘텐츠, 진로교육 교수방법, 진로교육 전달체계 및 여건개선을 기준으로 진로․직업교육 정책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를 분석하였다. 상술한 분석 내용을 토대로, 소외계층 집단별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한 4대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4개 추진전략 및 10개 세부과제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무엇으로부터 소외인가?”

        김정선(Jung Sun Kim) 한국미술교육학회 2010 美術敎育論叢 Vol.24 No.1

        오늘날 다원주의의 틀 안에서는 다양한 공동체에 근거한 문화예술 활동이 장려된다. 이는 유엔의 세계인권선언(1948) 27조에도 명시되어 있듯이 “공동체의 문화생활에 자유롭게 참여할 권리”는 인간으로서의 기본권리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은 문화권의 대한 구체적 실천으로서 ‘사회복지’ 개념 발달의 연장선상에서 대두되고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참여했던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경험을 바탕으로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을 왜, 어떻게 해야 하는 지를 재질문하고 이를 위하여 소외계층 대상의 문화예술교육의 기본 토대로서 ‘문 화복지’ 개념과 문화복지의 대상으로서 ‘문화소외계층’을 고찰하였다. 특별히 ‘무엇으로부터의 소외인가? ’라는 질문을 통하여 소외 계층의 문화예술교육의 내용과 접근 방식의 문제를 다루고 문화예술교육의 지향과 관련하여 소외를 야기하는 부족한 ‘무엇’에 대한 교육이 아닌 개개의 존재와 존재론적 조건에 맞는 교육을 고민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oday a variety of community-based cultural activities are encouraged within the framework of pluralism. As stated on the United Nations' Declaration of Human Rights(1948) 27, “the right to participate freely in cultural life of the community,” the community-based cultural activity is one of the basic rights as human beings. Arts education for the underprivileged of the culture as a concrete action have been studied on the extension of social welfare. This study is focused on a critical reflection of my experience with the support program, “HEABICHI(해비치)”, of the cultural arts education for underprivileged children. Through my experience, I questioned, ‘Why should arts education do?’, ‘What do I do with arts education?’ To answer for these questions, I examined about ‘cultural welfare’ and ‘underprivileged of Cultural Arts’. In particular, I dealt with contents and approaches of cultural arts education for the underprivileged, while thinking of the question, “Alienated from what?” I expect that this study, based on the project, will provide insights to improve future cultural arts programs for vulnerable groups, especially the underprivileged.

      • 소외계층의 평생학습기관 선호도와 평생교육 성과

        오준헌,우명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연구소 2015 교육정책연구 Vol.2 No.-

        본 연구는 전라남도 공공도서관과 평생교육관의 평생교육에 참여한 소외계층의 평생학습기관 기관선호도와 평생교육 성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첫째, 소외계층의 평생학습기관의 기관, 강사, 강좌 선호도에서 소외계층별로 선호도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저학력자의 선호도는 모든 면에서 낮게 나타나 평생학습기관이 저학력자의 평생교육을 재설계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둘째, 평생학습기관의 교육성과는 삶의 질과 사회참여 면에서 전체 성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보다 높게 나타나 소외계층의 평생교육의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소외계층별로는 노인과 이주여성의 학습성과가 높게 나타난데 비해 저학력자의 성과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평생학습기관의 기관, 강사, 강좌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평생학습기관의 기관과 강좌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삶의 질에, 그리고 강사와 강좌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사회참여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학습기관의 기관, 강사, 강좌의 제요인이 소외계층의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해 개선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eferences for institution, instructors, and courses and the achievement of disadvantaged groups. The study surveyed the elderly, the disabled adults, the adults with low education, and migrant women who particpated in lifelong education at 17 public libraries and 2 lifelong learning centers in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The study did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found as follows: first, the motive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less educated adults was mainly to get certificates of education and for the migrant women to gain job certificat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sadvantaged groups in preferences for institutions, instructors, and courses. In particular, the preferences of the adults with low education were lowest, which might need to redesign lifelong education for the less aducated adults. Third, the achievement of disadvantaged groups at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s was higher than the previous study which investigated the whole adults. The achievement of the elderly and migrant women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The less-educated adults gained the lowest achievement. Fourth, the preferences for institutions and courses had impacts on the achievement of disadvantaged groups in terms of the quality of life and the preferences for institution and instructors on the achievement of disadvantaged groups in terms of social activities.

      • KCI등재후보

        소외계층 영재교육

        박숙희(Park, Sook H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3

        다문화가정이나 저소득층, 또는 지리적으로 소외되어 영재교육에의 접근이 어려운 계층의 가정에도 충분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나 영재교육의 수혜를 받지 못하는 영재아들이 있다.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긴 하나 그들에게 적절한 교육적 서비스가 제공된다면 충분히 성과를 거둘 수 있는 능력과 탄력성을 가진 아이들일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체계 하에서는 판별 절차 및 판별 도구의 제한성과 한계성, 문화적 편파 등의 요인으로 인해 최종 선발되지 못하고 영재교육 대상자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현행의 영재교육 프로그램 수혜자들은 부모의 교육적 관심이나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집단에게 집중되어있는 경향이 있고,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지리적으로 소외되어있는 계층에게는 상대적으로 불리한 입장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영재교육진흥법에 근거하여 본격적인 영재교육 정책을 실현하는 과정에서도 소외계층의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은 한동안 소홀하게 다루어져온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소외계층 영재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다양한 국내외 문헌을 토대로 하여 소외계층 영재의 정의와 판별에서의 문제점 및 고려사항, 그리고 소외계층 영재에 관한 연구와 지원노력에 관해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r the gifted education on disadvantaged groups; economical, cultur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Programs developed for the gifted education must take into account the diversity represented within gifted population. And the gifted education programs should consider the opportunities for geographically, culturally, and economically disadvantaged groups. The major factor for disadvantaged groups appeared to be their social support networks. Different programs have different goals for the gifted education on disadvantaged groups.

      • KCI등재

        소외계층 영재교육 연구를 위한 소고

        김혜숙(Hyesook Kim)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09 창의력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소외계층 영재의 특성을 이해하고 소외계층 영재들을 위한 영재교육프로그램의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정한 집단의 일원이기 때문에 영재학생으로서 판별되거나 영재교육 현장에 배치되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할 기회가 제한되는 소외영재들의 특징과 국내ㆍ외 소외계층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을 살펴보고, 소외계층영재들의 특성에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으로서 갖추어야할 주요 특징이 무엇인지를 확인하였다. 소외집단별 영재들의 특성을 분류하였고 이들의 특성에 적합한 효과적인 영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용하는 데 적합한 지침을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have been a topic of considerable interest in gifted education domain. The gifted edcation and gifted educatinon programs have to reflect the rich diversity of countri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by virtue of being members of certain groups in our society, are markedly less likely to be identified as gifted and placed in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The education system aims to nurture every student and help all students discover their talents, realize their full potential, and develop a passion for their life. Therefore,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must be stretched to realize their potential, and equally importantly, to be nurtured so that they will take their place in society later on as morally upright and responsible individuals. This process helps to develop the programmes in gifted children overall.

      • KCI등재

        교육 소외계층 청소년을 위한 과학 진로체험 활동이 학생의 과학선호도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임성민,김용성 한국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9 No.3

        This study reviewed the Ladder Project as a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the educational underprivileged youths, and analyzed how the science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of Ladder Project effect on students’ preference for science and career maturity so as to infer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 of practices in science education for the educational underprivileged students. For this we investigated students’ preference for science and career maturity before and after the science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n 2017 Ladder Project, and then analyzed students’ responses. As a result, students’ preference for science was changed positively in all areas after participation of the science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and this change was more apparent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an high school students. Also, students’ career maturity was changed positively after participation of the science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aspects of planning, knowledge for job, inquiry and preparation for future career. However this change was more apparent for high school student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ed the evidential effectiveness of nationwide science education project for the educational underprivileged students. It also implies that science career experience activity should be adaptive according to the aims and target students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educational underprivileged students. 이 연구에서는 교육 소외계층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교육 프로 그램으로서 사다리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이 사업에서 수행된 과학 진로체험 활동이 교육 소외계층 학생들의 과학선호도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교육 소외계층을 위한 과학교육 실천 활동의 의의와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7년도 사다리 프로젝트에 참여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과학 진로체험 활동에 참여하기 전과 후의 과학선호도와 진로성숙도를 조사하고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소외계층 학생을 위한 과학 진로 체험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과학선호도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활동 이후 긍정적으로 변하였고, 이는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에게 더욱 잘드러났다. 또한, 과학 진로체험 활동에 참여한 학생의 진로성숙도는 계획성, 희망 직업에 대한 지식, 진로 탐색 및 준비 행동 등에서 활동 이후 긍정적으로 변하였고, 이는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에게 더 잘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교육 소외계층 학생을 위한 국가 수준의 과학교육 사업에 대해 증거를 바탕으로 그 효과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교육 소외계층을 위한 과학교육의 목적 및 대상에 따라 과학 진로체험 활동의 내용과 성격이 달라져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소외계층 다문화 아동 조기미술교육 시사점 연구

        백중열 한국도자학회 2014 한국도자학연구 Vol.11 No.1

        Providing opportunities to learn Korean language to im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so that they could adjust to Korean society is desirable for the better lives of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rural areas or economically disadvantaged class are in worse condition because they can not access various benefits available. Therefore, diverse programs aiming to cultivate their abilities to communicate and socialize with others are needed. And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children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argues that early art education is needed as a way to resolve these children's stress and cultivate their potentials. Early art education enables children to communicate with others using a method other than language, thus its use is more valuable. Suggestions for early art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multicultural famil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ildren can express their thoughts that are difficult to communicate to their family or people in society using pictures. Second, art can be used to diagnose the reasons for their difficulty in adjusting to school and present alternative solutions. Third, through early art education, their potentials can be discovered and cultivated. Fourth, early art education enables these children to empathize with other children by cultivating their abilities to adjust to their environment. Fifth, early art education can help them respect culture and establish right identity. Sixth, exhibition of their artworks could affect community people and village environment. Early art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multicultural families can supplement their mothers' insufficient language skills and it can also help resolve these children's stress and cultivate their creativity. 다문화가정 이주여성과 자녀들에게 우리나라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 언어를 배울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은 다문화가정의 보다 낳은 삶을 위해서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나 시골이나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소외계층 다문화 아동들은 다양한 혜택에서 벗어나 더욱 어려운 환경에 놓여있는 실정이므로 언어교육뿐만 아니라 친구들과 소통하고, 사회성을 길러주는 다양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소외계층 다문화아동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열악한 환경에 놓여있는 다문화아동들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잠재성을 길러주기 위한 방법으로 조기미술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특히 조기미술교육은 다문화아동들에게 언어 이외에 소통 할 수 있는 방법으로 그 활용가치가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그 내용을 토대로 소외계층 다문화아동에 대한 조기미술교육의 시사점을 정리하면, 첫째, 가정과 사회에서 소통하기 어려운 생각을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다. 둘째, 소외계층 다문화 아동들이 학교에서 잘 적응하지 못하는 다양한 원인을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셋째, 조기미술교육으로 다양한 잠재성을 발견하고 육성할 수 있다. 넷째, 조기미술교육은 소외계층 다문화아동에게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길러주어 친구들과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다. 다섯째, 소외계층 다문화아동들이 문화를 존중하고 올바른 정체성 확립에 도움이 된다. 여섯째, 소외계층 다문화아동의 결과물을 전시를 통해 지역주민과 마을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소외계층 다문화아동에게 조기미술교육은 이주여성의 부족한 언어능력을 보완해 줄 수 있으며, 아동의 잠재적인 스트레스를 해결하고, 창의성 육성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외국의 소외계층 학생을 위한 영재교육 프로그램 비교 : 미국, 영국, 독일, 호주, 이스라엘 사례 중심으로

        이신동,이경숙 韓國英才學會 2015 영재교육연구 Vol.25 No.3

        This study compared 14 programs for the economically disadvantaged or minority students with potentials in 5 countries - US, UK, Germany, Australia, and Israel, attempting contents and characters of Korean Head Start to be developed, that is the program for economically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gifted at risk of under-representation and under-achievement. School wide enrichment programs, which served all students with gifted programs, using RTI model in the pursuit of equity and excellence, turned out to be effective as early interventions and identification implemented for economically disadvantaged or minority students with potentials. Gifted programs for low Social Economic Status (SES) or minority students played a role as a bridge for disadvantaged students to get into a regular gifted program or even higher gifted schools and to have a competency to compete with affluent gifted students. The principles of the programs were acceleration and differentiation. Most programs also ran a parents' education and a mentor program to motivate and support disadvantaged students socially and emotionally. Collaboration among governmental offices and usage of external resources were more effective to support these students and the programs. 본 연구는 소외계층 및 다문화 가정의 영재 대상 한국형 헤드 스타트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외국의 소외계층 영재교육 프로그램 비교분석을 통해 개발될 프로그램의 성격과 내용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국, 영국, 독일 호주, 이스라엘의 소외계층 영재를 위한 14개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목적, 선발 대상 및 방법, 내용, 효과에 따라 분석한 결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외계층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교육 격차를 좁히기 위해 조기 선발을 하며 중재반응(RTI)모형의 다층식(Tiered) 프로그램을 중재 프로그램으로 사용한다. 둘째 소외계층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정규 교육과정안에서 확대된 학교 심화형태로 제공하여 영재교육의 형평성과 수월성을 추구한다. 셋째 소외계층 영재는 다면적, 역동적 평가를 통한 강점중심의 선발 방식을 사용한다. 넷째 일반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소외계층 영재가 들어갈 수 있도록 준비시켜주며, 가교 역할을 하는 과도기적 성격을 가진다. 다섯째 인지능력 발달 외에 사회 · 정서적 발달 프로그램과 진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부모교육, 멘토링 등을 포함한다. 여섯째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외부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며 정부 부처 간의 협력을 구축한다.

      • 이주민 여성의 정보소외

        안미리(Mi-Lee Ah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0 학습과학연구 Vol.4 No.2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정보화 수준과 디지털기회지수에서 세계 1 위를 하는 정보화 선진국이다. 정보화에 따른 혜택과 기회가 증가하고, 정보화 기술도 Web2.0 과 쇼셜 네트워크 등 스마트 기술들이 생활 속에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이제 정보로부터의 소외는 경제적 소외, 그리고 다시 사회적 소외로 연결되는 정보사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다문화 가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정보사회 시민으로서 정보의 혜택이나 디지털기회로부터 소외 받는 이주민여성의 정보소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주민여성들은 언어와 문화적 차이로 인해 국내 4 대 정보취약계층보다 더 복합적인 장애 요소를 가지고 있어, 신 정보소외계층으로 분리된다. 이주민 여성을 위한 정보소외 해소 방안은 이주민의 특성을 분석하고 특성에 적합한 정보화 교육의 목표와 특성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주민 여성들의 학력, 출신국가, 체류 기간, 그리고 가정적인 배경을 고려한 정보화 교육이 필요하다. 이주민 여성들은 가정 경제를 분담하기 때문에 취업과 자녀교육을 위한 정보화 교육이 매우 효과적일 것이며, 출신국가에 따라서는 사전 현지교육이 필요하고, 학력에 따라서는 고급수준과 온라인 정보화 교육 등이 이주민여성들의 정보소외를 해소할 수 있는 정보화 교육이 될 것이다. Korea used to be one of the top information societies in the world, but, for the last three years, Korea is the first in OECD member countries in both ICT and digital opportunity indicators. As a result, the benefit of informatization and digital opportunities increased, and the new technologies such as Web 2.0, social networking technologies, and smart technologies have emerged in various aspects of our daily lives. In Information Society, alienation from information results digital divide and the digital divide continues to economical and societal divide. Having access to information and being able to use various information technology tools are vital life resources for all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the type of information alienations and digital divide experiences of women immigrants by crossborder marriages in Korea. There are four groups of people identified as vulnerable and experience deficiencies to digital divide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four groups include those with disabilities, those living in rural area, elders, and low income family. Now, we need to add women by cross-border marriages as the 5th group of vulnerable people to information technology and digital divide. They have language difficulties, and experience cultural differences on top of economical, geographical deficiencies’. They need different information education and need to approach with their language, educational background, length of residence, and age. Therefore,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approached based on their special traits with different levels of programs, classroom and online learning, contents relating to their future jobs, and to assist their children’s education.

      • KCI등재

        사회적 소외계층의 미디어교육 운영 실태 연구: 기관 운영진 FGI를 중심으로

        김영순 ( Young Soon Kim ),강진숙 ( Jin Sook Kang ),배현주 ( Hyeon Ju Ba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9 중등교육연구 Vol.57 No.2

        본 연구는 미디어교육 기관의 운영진을 대상으로 사회적 소외계층의 미디어교육 운영 실태를 진단하고 개선점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특히 우리 사회의 소외계층이라고 할 수 있는 장애인·노인·저소득층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교육 기관의 운영진들에 대한 FGI 조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소외계층을 위한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방향을 모색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관 운영진들에게 사회적 소외계층을 위한 미디어교육의 목표, 미디어교육의 커리큘럼 구성, 미디어교육의 수업 방법, 기타 제안사항에 대해 질문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로서 미디어교육 목표의 경우, 미디어별 콘텐츠에 대한 지식과 이해 및 제작능력 함양을 통해 비판적 수용태도와 이를 기반으로 주관을 가진 창의적 생산자로서 사회와 소통하는 능력을 강조하였다. 커리큘럼 구성의 경우, 기초 단계에서는 미디어에 관한 지식 및 이해 미디어 조작과 기초적인 제작, 심화 단계에서는 미디어에 대한 비평과 가치, 미디어 이용태도 등을 중점적으로 다뤄야 한다. 수업 방법으로는 체험 및 참여활동을 강화하고 토론학습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 the present managing condition of the media education institutes for the social alienation class, and suggest a series of improvements to the management of the institute. In this study it is an important role for the proposals to the management of media education programme. Because of it, this paper make an investigation into managers, programmers, and teachers in the media education institutes for the social alienation class the investigation. Especially, these institutes have to do with the disabled, the old, and children of the low-income bracket. The investigation was accomplished by the FGI(Focus Group Interview) as a sort of the qualified research methods. Results of this paper are follows; It is emphasized in this study that the ability to understand contents of median, to utilize the median, and to read critically median will be set as the goal of the media education. On the basis of this goal, it is necessary for the social alienation class to learn the ability to interact with the others. 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for the media education curriculum, the basic level was designed by the knowledge about median, the understanding median, and basic producing median. The upper level was constructed by the critical ability to medi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