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총독부 발행 조선교육요람 영문번역판에 나타난 일제의 식민교육방침: 1913년판과 1920년판 비교

        진실로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22 통번역교육연구 Vol.20 No.3

        Japan published various English texts to promote the successful rule of its colonies and to maintain approval from Western powers of its legitimacy in occupying them. For example, in order to claim that the Korean education system improved and developed under its rul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published Manual of Education of Koreans (1913) and Manual of Education in Chosen (1920). The latter is superior in quantity and quality compared to the former, giving the impression that the Korean education system was improving and was well managed during Japanese rule. However, analyzing the two manuals shows that the Japanese education policy for colonial Korea focused on (i) expanding ‘common’ low-level basic education, (ii) ‘controlling’ private school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iii) ‘controlling’ Koreans both in Korea and Japan.

      • KCI등재

        제3~6차 교육과정기 『국사 』 교과서의 실학 서술과 특징

        조건 역사와교육학회 2022 역사와 교육 Vol.35 No.-

        In the early 1970s, Korean history textbooks were nationalized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to strengthen national history education. Uniform history education was implemented during the period of publication of state-authored textbooks from the 3rd to the 6th curriculum, but if you look closely,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periods. In this article, the actu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ilhak’ descriptions in the 3rd to 6th curriculum Korean History textbooks were examined. It is notable that the practical description of the state-authored textbook was systematically and specifically written with considerable weight compared to other topics from the 3rd to the 4th. On the other hand, from the fifth round, the amount of description tends to decrease and the importance in terms of content tends to decrease. The evaluation of ‘Silhak’ itself also stated that ‘Silhak’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modern ideas in the 3rd and 4th curriculum Korean History or that its achievements are still being inherited and developed today, but the 5th and 6th Korean History mentioned that despite various reform aspects of ‘Silhak’, it was eventually shunned from real politics. This change is judged to be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academic research results on the 'Silhak' description. Since the 1980s, academia has begun to actively point out its limitations with a skeptical view of the modern nature of ‘Silhak’, and these research results have been reflected in the 5th and 6th curriculum Korean history textbooks published since the 1990s. 1970년대 초 국사교육 강화방침에 따라 『국사 』교과서는 국정화되었다. 제 3차부터 제6차 교육과정기에 이르는 국정 교과서 발행기에는 획일적인 역사 교육이 시행되었으나 자세히 살펴보면 시기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이글 에서는 제3차부터 제6차 교육과정기 『국사 』교과서의 실학 관련 서술 실태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국정 교과서기 실학 서술은 제3차부터 제4차까지는 다른 주제와 비교할 때 상당한 비중을 두고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집필된 것이 눈에 띈다. 반면 제5 차부터는 서술 분량이 줄고 내용면에서도 다소 중요도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 다. 실학 자체에 대한 평가 역시 제3차와 제4차 교육과정기 『국사 』에서는 실 학이 “근대 사상의 형성에 기여”했다든가 그 성과가 오늘날에도 계승⋅발전 되고 있다고 기술했으나, 제5차와 제6차 『국사 』에는 실학의 여러 개혁적인 면에도 불구하고 결국 현실 정치에서 외면당했다는 점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러한 변화는 실학에 대한 학계의 연구 성과가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1980년대 이후 학계에서는 실학의 근대적 성격에 대한 회의적 시각으로 그 한계점을 적극적으로 지적하기 시작했는데 이러한 연구 성과가 1990년대 이 후 발행된 제5차와 제6차 교육과정기 『국사 』 교과서에 반영되었던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학교 내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 현황 및 정보공개 확대방안 : 세종시 공립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권혁춘(Kwon, hyurk-choon)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1 한국교육논총 Vol.42 No.2

        본 연구는 학교 CCTV 방침 내 업무의 불명확성을 해소하기 위해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구체적 업무와 담당자를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CCTV 방침 내에 담당자와 업무에 관한 공개범위를 확대하는 데 목적이 있다. 법령에 따라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개한 세종시 51개 공립 초등학교의 CCTV방침수집과 운영현황을 분석하였다. 첫째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교육부의 CCTV 가이드라인이 혼재된 방침 사용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교별 CCTV방침에서 업무담당자 직위의 일관성이 없거나 업무가 불명확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도출한 20개 업무는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일부 신설 학교의 경우 본 연구 방침작성예시를 적용하여 담당자와 업무가 구체적이고 공개범위가 확대된 것을 발견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밝혀진 교육부 CCTV 가이드라인의 미비점 보완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CCTV와 관련된 상세한 업무를 참고하여 신설 학교에서 개교 초기 업무 배분 시 활용할 수 있다. 학교 CCTV 운영에 관한 정보공개범위가 확대될 때, 투명한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과 알 권리를 보장하여 국민권익 증진에 기여할 것이다. The guidelines for usage and monitoring of closed circuit televisions (CCTV) in schools are not clearly specifie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tailed task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video surveillance systems in schools and to verify their applicability in the fiel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wenty newly detailed tasks are applicable in the field. The detailed work status of CCTV operations for 51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jong city was confirmed through the CCTV policy posted on the school s Internet homepage. Additionally, some newly opened schools listed the policy for the office of education, and this specifically included the role and responsibilities of the faculty, and the scope of disclosure was expanded. It is imperative to supplement the contents in the guidelines for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CCTVs in schools, by specifying the positions and duties of the persons in charge. The detailed tasks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t the early stage of allocating a new school work task. It is expected that public interest will be promoted by ensuring the operation of transparent video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public s right to know will be add resse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information disclosure on the operation of CCTV in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