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교원의 교양교육과정 인식 및 요구 분석 -A대학교를 중심으로

        신철균,변혜영,어성민,김성목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earn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held by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as these views pertain to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nd its needs. In addition, by presenting the direction of the demand for liberal arts education, we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and guidance of this curriculum for univers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of University A, and was implemented through online surveys over the course of a 4 week period, from December 2 to 27 of 2019.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did not register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ir liberal arts curriculum at University A. In particular, students declared a low level of satisfaction when it came to the question: 'flexible education reflects the needs of students'. Second, in terms of what the proper goal should be for liberal arts education,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between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of this goal was confirmed. In the case of students, a basic knowledge of the material covered in their majors, coupled with acquiring a skill-set necessary for their future employment, were put forth as the proper goals of any liberal arts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aculty members, universal values, normative explor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were held to be more valuable goals for a liberal arts education. Third, with regards to the core curriculum, most of the students thought that a core curriculum reflecting the university's founding philosophy was not necessary, whereas many faculty members held opinions to the contrary. In addition, concerning the actual content of the core curriculum, both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a: 'practical-oriented curriculum to learn creative and collaborative methods'. Fourth,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showed the highest agreement when it came to designating the proportion of credits to be alloted from the liberal arts as opposed to majors. Both parties answered that the ideal ratio should be 40% from the liberal arts and 60% from the major. Finally, students report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m to consider when selecting liberal arts subjects is 'the result of teaching evaluation' (558 cases). Therefore, the liberal arts curriculum of University A needs to try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actual and the specific needs of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Also,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liberal arts education goals of University A based on the these need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student-centered curriculum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such a way that it values the growth and success of students, as well as emphasizes the various choices and needs among them. Lastly, we should move away from the ‘partitioned’ approach to education, and instead encourage cross-disciplinary exchanges between departments. We should try to reorganize the liberal arts curriculum so that it is centered on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an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for in so doing we may help cultivate convergence and insight through the interaction among different majors. 본 연구는 학생과 교원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요구 조사를 기반으로 학생과 교원의 인식차이는 어떠하고, 요구 방향은 무엇인지를 제시하여 교양교육 개선을 시도하고 있는 국내 대학의 교육과 정 개선 및 방향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A대학의 학생 및 교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9학년도 12월 2일부터 12월 27일까지 약 4주에 걸쳐 온라인 설문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정리 할 수 있다. 첫째, A대학의 교양교육과정은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지 못하다. 특히, 학생들은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는 유연한 교육 운영’에 낮은 만족을 보였다. 둘째, 교양교육 목표설정 측면에서는 학생과 교원의 교양교육 목표에 대한 인식 차가 확인되었다. 학생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공기초 지식, 취업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등을 교양교육의 목표로 인식하고 있었던 반면, 교원의 경우 보편적 가치와 규범 탐구, 핵심역량의 개발 등을 교양교육의 목표로 더 가치 있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셋째, 중핵교과와 관련해서는 학생의 경우 대학의 건학이념을 반영한중핵 교과가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사례가 가장 많았던 반면, 교원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례가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교양 교과목 선택 시 학생들이 가장 고려하는 사항은 ‘교수의 수업평가결과’(558건)였다. 따라서 A대학의 교양교육과정은 교원과 학생 간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요구와의 격차를 줄여나가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구성원의 요구를 바탕으로 A대학교의 교양교육 목표가 재정립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들의 성장과 성공을 최우선시 하는 교양교육, 학생들의 선택과 요구를 중시하는 교양교육이 되도록 학생중심의 교육과정 개편이 필요하다. 끝으로 학과별 칸막이 교육에서 탈피하여 학제 간 넘나들기를 권장하고 각기 다른 전공 간 서로 교류하여 융⋅복합적 통찰력 함양이 도움이 될 수 있는 ‘학제 간 융⋅복합교육’ 중심의 교양교육과정 개편이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의미있는 교양교육 학습성과 성취를 위한 대학 교양교육과정 체제 연구

        신행자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5

        A de-standardization of the education system is being accelerated in domestic colleges and universities such as the three-year bachelor's degree, five years of Bachelor-Master as linked courses. Also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is improved because undergraduate colleges, liberal arts have been introduced and need to strengthen of liberal education at the University. However, many universities try to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attempt to improve and to develop quickly, so they trend to emphasize operational aspects and to neglect the essence of liberal education itself. In this study, I explored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with knowledge-based society, analyzed the liberal education goals and objectives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the status of those liberal education courses. I reflected the explored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to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suggested the step to build rational and systematic curriculum. In other words, first, it should state goals and objectives of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explicitly. Second, it should organize to achieve those objectives related to course. and non-course program. Third, it should configure contents should be learn that focused on learner-centered activities. During curriculum to build, it should explicitly state objectives for course and non-course program based on Bloom’s objectives, those objectives should match competences across such as higher order cognitive thinking skills, learner-centered learning experiences that represent the affective attitudes and values, and psychomotor skills. In addition, I proposed to run a variety of performance assessment such that discussion, observation, demonstration etc. that is reasonable assessment because of connection with its objective. It is considered that such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can attain significant learning outcomes are faithful to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빠르게 생성되는 지식들을 끊임없이 학습해야하는 평생교육의 시대가 도래하였고, 국내 대학에서는 전문대학의 3년제 학사과정, 4년제 대학의 5년 학·석사 연계과정 등 교육체제의 탈규격화가 가속되고 있다. 또한 학부대학, 교양학부 등이 도입되고, 대학의 교양교육 강화와 융·복합 교육 도입 필요성으로 교양교육과정이 개선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의 많은 대학들은 교양교육과정을 조속히 개선·발전시키려고 하려다 보니 운영적인 측면만 강조되어 교양교육 자체의 본질을 등한시한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기반사회의 교양교육의 본질을 고찰하고, 국내 대학의 교양교육 목표와 교양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하였다. 고찰한 대학 교양교육 본질을 반영하여 선행 연구이론을 토대로 체계적인 교양교육과정을 구축하고 그 단계를 제시하였다. 즉, 교양교육과정 목적과 목표를 명시적으로 진술하고, 그 연관성을 기술한다. 목표 달성 수단이 되는 교과목과 비교과 활동 프로그램을 조직하여, 학습자 중심의 활동에 초점을 두어 학습할 내용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교양교육과정 구축시 교과목과 비교과활동 프로그램들의 학습목표는 고차의 인지적 사고력,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활동 경험을 통해 성취되는 정의적 태도와 가치, 그리고 심동적 기술들을 아우르는 본질적인 교양교육의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Bloom의 교육목표 진술법을 토대로 구체적으로 진술하도록 제언하였다. 또 그 목표와 연계된 타당한 평가를 위해 토론, 관찰, 실험·실습, 시연 등 다양한 수행평가를 실행하도록 제언하였다. 이와 같은 체제는 교양교육 본질에 충실한 의미있는 교양교육 학습성과를 성취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기독교 대학의 교육목표-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 기독교 관련 교양교과목을 중심으로 -

        박혜림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4

        본 연구는 기독교 대학의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와 교육과정간의 연계성 분석을 통해, 기독교 대학이 건학 이념인 ‘기독교 정신’을 대학 교육을 통해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연구 결과는 기독교 대학이 각 대학의 특성에 따라, 기독교 정신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는 교육과정 구안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기관평가인증을 받은 기독교 대학을 중심으로 기독교 관련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 교양교육과정 편성 및 이수기준, 채플 편성 및 이수기준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독교 대학의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와 교육과정간의 연계성에 대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대학들은 ‘기독교 정신’을 교육목적에 반영하고 있으며, 교육목적을 토대로 교육목표를 수립하고 있다. 교육목적에 반영된 ‘기독교 정신’은 ‘기독교적 인성’, ‘신앙, 경건, 영성’, ‘사랑과 섬김의 실천, 봉사’ 등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형태로 교육목표에 다양하게 반영되어 있다. 둘째, 기독교 대학들은 ‘기독교 정신’이 반영된 교육목적과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독교 관련 교양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대학이 지정된 필수과목을 모든 학생들이 공통으로 이수하도록 하고 있다. 필수과목으로 가장 많이 개설된 과목은 ‘성경의 이해’, ‘성서의 이해’ 등 성경 관련 과목으로, 기독교 교리라고 할 수 있는 성경에 대한 이해를 통해 기독교 정신을 구현하고자 하는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기독교 관련 교양선택과목을 다양한 교양선택영역에 개설하고 있으며, 선택과목으로 가장 많이 개설된 과목은 기독교와 다양한 학문과의 통합 과목이다. 즉, 다양한 학문에 대한 기독교적 접근을 통해 기독교 정신을 토대로 학문을 탐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셋째, 기독교 대학들은 ‘기독교 정신’이 반영된 교육목적과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채플 및 다양한 신앙 교육 활동을 편성․운영하고 있으며, 재학생의 규모, 학교의 유형 등에 따라 편성 및 이수 기준을 달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대학은 채플과 신앙수련회, 사경회 등 신앙교육 활동에 학점을 부여하지 않고 교과외 교육과정으로 편성․운영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기독교 대학들은 건학 이념인 ‘기독교 정신’을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에 반영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교과 교육과정으로서 기독교 관련 교양과목과 교과외 교육과정으로서 채플, 신앙수련회 등을 편성․운영하고 있는 것이다. 즉, 기독교 대학은 교육목적, 교육목표, 교양교육과정, 채플 등을 통해 건학 이념인 기독교 정신을 구현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o embody Christian ideology in Christian colleges, the founding philosoph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ir educational goals, objectives, and curriculum.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sources for designing curriculum which can embody Christian ideology according to a college’s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cused on Christian colleges which have received accreditation for higher education, and examined and analyzed their educational goals, objectives, criteria for organizing and completing liberal arts curriculum and chapel, and so forth.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hristian colleges have embodied Christian ideology in their educational goals and established their educational objectives to achieve the goals as a concrete and practical way. Second, the colleges have offered courses for liberal arts education which are related to Christianity, and most colleges have required some mandatory courses of liberal arts education for all students. Most required courses were related to bible, and most selected courses were the ones of integrating diverse disciplines into Christianity. Third, the colleges have developed and managed chapel and diverse activities related to faith in education, and the criteria for designing and completing the courses varied according to size of student population and types of schools. In conclusion, the Christian colleges embodied Christian ideology, the founding philosophy, in their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They have organized and managed liberal arts curriculum related to Christianity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ch as chapel and retreat. In other words, they have embodied christian ideology through their educational goals, objectives, and liberal arts curriculum, chapel, and so forth.

      • KCI등재

        수업목표 분석기반 대학 교양 교육과정 운영 개선 방안 탐색

        홍효정(Hyo Jeong Ho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5

        역량 기반 교육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강조하는 교육이다. 그래서 학습자가 알고 있는 것을 삶의 맥락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그러므로 교과 내용에 이해와 그것을 활용하여 특정 상황에서 발현되는 역량들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수업 목표 제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교양 교과목의 수업계획서의 수업 목표 실태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교양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체계적인 개선방안 및 실천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 대학의 교양 교육과정 의 138개 교과목의 수업계획서를 수집하여 의미연결망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교양 교육과정 목표의 키워드로 ‘이해’, ‘습득’, ‘배양’이 대표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특징인 실천적이 고 구체적인 수업 목표 제시에는 부족함이 나타났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역량 기반 교양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수업목표 체계 검토, 교수자 역량강화, 목표기반 교육과정 체계 수립 등을 제안하였다. Competency-based education focuses on the question, “What can be do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learners so that they can perform what they know in the context of lif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sent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subject and use their knowledge to acquire the competencies expressed in specific situ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ctual condition of the learning objective of the lesson plans for general education subjects was identified. Also, I tried to propose systematic improvement measures and action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o this e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by collecting the lesson plans of 138 subjects i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f University A. As a result, ‘understanding’, ‘acquisition’, and ‘cultivation’ appeared as the keywords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learning objectives. However, I found that it was insufficient to present practical and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that are characteristic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Based on these results, I propose that we review the learning objectives system, strengthen the instructor's competency, and establish a goal-based curriculum system to operate the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

        교양교육 운영체계의 실태와 개선방안- S대 교양교육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정옥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5

        In college education, General education is now entering a stabilization phase. Therefore, discussion on General education should also be a transition to research for qualitative improvem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perating system of General education and the level of General educ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In Chapter 2, according to the criteria presented by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this study classified the process of change of the dedicated department for General Education in S university, and diachronicall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perating system of General education at each stage and th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In Chapter 3, it has examined the status of th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by comparing the curriculums of S University and other Universities and then suggested improvements. The fundamental problems in th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are caused from the fact that th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and the basic curriculum are not clearly separa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curriculums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s of General education. 대학교육 내에서 교양교육은 이제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이에 따라 교양교육에 대한 논의 역시 질적 개선을 위한 연구로 전환해야 할 때이다. 이러 맥락에서 본 논문은 S대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 운영체계와 교양교육의 질적 수준의 상관성을 고찰했다. 2장에서는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이 제시한 기준에 따라 S대 교양교육 전담기구의 변화과정을 3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 따른 교양교육의 운영체계와 교양교육과정의 상관성을 통시적으로 고찰했다. 3장에서는 S대의 교양교육과정과 타 대학의 교양교육 과정의 비교를 통해 교양교육과정의 운영체계의 실태를 분석하고 개선안을 살펴봤다. 교양교육과정에서 빚어지는 근원적인 문제는 교양교육과 전공기초교육이 명확하게 분리되지 않아서 비롯된 것이니, 하위 영역에 해당하는 방만한 교과목을 교양교육의 목표에 상응하도록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교양교육과정 개편의 조건과 방향에 대한 탐색 -I 대학교 개편사례를 중심으로

        정연재,주소영,정기섭,이영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ditions and direction that should be closely reviewed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for general educ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concentrated on the establishment of a detailed execution plan and the macroscopic direction of general education. It did so by exploring the practical logic and theoretical perspective for reorganizing the curriculum for general education when the accountability of general education is to be emphasized. For this, this study explo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focusing on the foundation,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for general education. It also diagnosed some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for general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for general education of I university in regards to its foundation, structure, and contents. It then secured the argument for the validity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for general education of I university focusing on the results drawn through both the theoretical and case research. This study established the goal and objectives found in the general education of I university regarding the foundation of its curriculum for general education, and attempted the reorganization of basic and core general education when it came to its structure and its cont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the professors’ responsible educational activities, the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curriculum for general education. Having done so, we have pointed out the measures we need to take in order to offer a more stable and settl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교육과정 개편과정에서 중요하게 검토해야 할 조건과 방향을 탐색하는 데있다. 특히 본 연구는 교양교육의 책무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교양교육과정을 개편하는 이론적 관점과실천적 논리를 탐색함으로써, 교양교육이 지향해야 하는 거시적 방향과 세부 추진계획을 수립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교양교육과정의 토대, 구조,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이론적배경을 탐색하고, 토대, 구조, 내용의 측면에서 국내외 교양교육과정 개편 사례와 I 대학의 교양교육과정을 진단하였으며, 이론 및 사례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I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개편의타당성 논거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교양교육과정 토대의 측면에서 I 대학의 교양교육 목적과 목표를수립하였고, 구조와 내용의 측면에서 기초교양 및 핵심교양의 재구조화를 시도하였다. 결론적으로교양교육과정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방안으로 교수자의 책임 있는 교육활동, 교양교육의 질적 제고를위한 행정적 지원,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평가시스템 확립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이공계 연구중심대학의 통합형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김민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3

        This study proposes the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o check up the current status of general education and enhance its quality level in the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comprises <Introspection of Human and Society> and <Convergence of Science and Arts>. The objectives of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it helps students blend knowledges crossing over the boundary of learning and raise their capability to solve the complicated problems. Second, it helps students have broad visions and balanced discernments toward human and society through more systematic curriculum. And the professors who teach these subjects should clearly present ‘educational obj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At this moment, the teaching-learning method can realize an educational objective, and the evaluation method can evaluate the performance of educational objective.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Introspection of Human and Society> is to cultivate ‘critical thinking’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Convergence of Science and Arts> is to cultivat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llaboration ability’. What should be institutionally supplemented to run these subjects are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e-learning system’ and the opening a center to instruct a communicative competence. 본 논문에서는 이공계 연구중심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의 열악한 상황을 점검하고, 교양교육의 질적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계열간 통합교과체계인 ‘통합형 교양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통합형 교양교육과정’은 인문학과 사회과학 계열을 통합한 <인간과 사회의 성찰>, 그리고 과학과 예술 계열을 통합한 <과학과 예술의 융합>으로 구성된다. ‘통합형 교양교육과정’의 목적은, 첫째, 학생들로 하여금 학문 간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지식을 융합하여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도록 하는 것이고, 둘째, 보다 체계적인 교양교육을 제공하여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폭넓은 시야와 균형 잡힌 안목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통합형 교육과정을 내실 있게 운영하기 위해서 해당 과목들의 담당교수는 ‘교육목표’,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을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이때 ‘교수학습방법’은 ‘교육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고, ‘평가방법’은 ‘교육목표’의 성취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간과 사회의 성찰>의 교육목표는 ‘비판적 사고력’과 ‘의사소통능력’의 함양이고, 교수학습방법은 문답법과, 고전읽기·비평문쓰기·토론활동의 유기적 운영이다. 그리고 <과학과 예술의 융합>의 교육목표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협업능력’의 함양이고, 교수학습방법은 ‘문제기반학습(PBL)’과 ‘팀별 프로젝트 수행’이다. 이 교육과정을 통해 소기의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러닝(e-learning) 시스템의 효율적 활용과 의사소통능력 지도를 위한 전담기구 설립 등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역량기반 교양교과목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S대 교과기반 평가(CEA) 사례를 중심으로

        강상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5

        Competency-based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turn of the 21st century’s knowledge-based society, in which both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innovation have accelerated. Changes in the era and social needs have led to inevitable shifts in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education.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a signal that shows that the function and role of education also need to be changed. Despite the criticism that it is being developed as a sort of trendy, educational discourse without sufficient reflection,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large part due to its substantive character. As a result, the methodology of how to implement the form and the content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becomes important.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the attempt to set the learner's competency development as the core value of education, design and operate the curriculum, evaluate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based on the set competency, and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education. To be sure, there is no curriculum that does not require some improvement or modification. Improvement is based on evaluation. This is why we need to evaluate the operation of any given curriculum. Competency-based assessments in course units serve as a mechanism for continually improving the curriculum. This is why we have course embedded assessments of competencies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This paper presents a practice for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course embedded assessment. This paper is a kind of case study, which will take into account lecture design, the evaluation method, and the improvement plan (CQI) for the evaluation of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ourses.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e introduce conceptual models for the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a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along with the competency-based courses improvement process based on the ADDIE model. Next, evaluation and improvement cases of competency-based courses are introduced. The case study consists of analyzing and designing the operation of the course,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nd deriving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lecture.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s. 21세기 지식기반사회로 진입하면서 등장한 역량기반 교육은 교육의 기능과 역할이 지식이나 정보의전수에서 기존 지식이나 정보를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으로 변화될 필요가있음을 보여주는 시그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양교육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위한 조건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측면에서 교과기반 평가, 즉 CEA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역량 형성을 교육의 핵심가치로 설정하여 교육과정을 설계, 운영하고, 설정된 역량에 근거하여 학생들의 성취정도를 평가하여, 결과를 교육과정 개선에 반영하여 교육의질을 높이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핵심은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교과목 단위에서 관련 핵심 역량을 학생들이 어느 정도 성취하고 있는지 평가하여 그 결과를 교육과정의운영과 개선에 반영하는데 있다. 역량 기반 교육에 대한 비판도 무시할 수는 없으나 역량기반 교육은실체적 성격을 띠며 중요해지고 있다. 그렇다면 역량 기반 교육의 형식과 내용을 어떻게 채워나갈것인가 하는 방법론이 중요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기반 평가를 역량기반 교양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보고,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CEA 모델을 참고하여 CEA에 기초한 역량기반 교양 교과목 수업운영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핵심역량에 기초한 교과목 학습목표 중심의 평가, 즉 CEA에 기초한역량기반 교양교육 운영 사례(practice)를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과목운영에 기초한 개선의 사례로서 미국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교과목 기반 역량평가 소개, 서울소재S대학에서 2017년 2학기부터 시도한 역량기반 교양 교과목 운영 및 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역량 기반교양 교과목 수업설계, 평가방법, 개선안 도출방안에 대한 소개, CEA 적용 교과목 담당 교수의 인식조사결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대학마다 상황이 다르므로 대학에 맞는 역량 기반 교양 교과목설계 및 운영 모델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CEA에 기초한 역량기반 교양 교육의실행에서 중요한 요소들을 제언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 KCI등재

        남서울대학교 교양교육과정 개편 현황과 전망

        장영희(Jang, Young-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이 논문은 남서울대학교 교양교육과정 개편 현황을 점검하고 많은 대학들과 그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미래지향적인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남서울대학교는 2018년 시대적 변화를 선도할 수 있도록 교양교육과정을 전면적으로 개편하였다. 이번 남서울대학교의 교양교육과정 개편은 우리 대학 교육의 질을 제고함은 물론 대학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학부교육의 핵심은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교육이다. 교양교육은 대학 교육의 핵심이며 대학의 전반적인 교육철학을 반영하는 중요성을 지닌다. 4차 산업혁명이라 불리는 지식 기반 정보사회는 대학 전체 차원에서 대학 교육목표 및 인재상과 학령기 고등교육의 일반성을 고려하여 핵심역량을 고도화하고 역량기반 및 성과 중심 교육과정을 통하여 인재 육성시스템을 고도화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우리 대학은 2018년에 2월 교양과정부에서 교양대학으로 직제를 개편함으로써 교양대학이라는 교양교육 전담기관을 통해 교양 교육과정의 주기적 개선, 그리고 교양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 교육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학교 내부와 외부 전문기관의 컨설팅을 통해 현황과 문제점을 객관적 시각에서 철저히 분석하여 시대 및 사회의 요구와 변화를 반영한 개편안을 마련하여 진행되었다. 우리 대학의 인재상과 교육목표에 맞는 핵심역량을 재설계하여 핵심역량 변경에 따른 교양 교과목 역량 비율을 적용한 교육과정을 운영하도록 전면적으로 개편하고 우리 대학 특성에 맞는 주요 교양교과목을 개발, 4차 산업혁명 등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교과목도 신설하였다. 끝으로 교양교육 성과관리/질 관리 시스템 진단 및 환류 체계를 구축, 이를 교양교육과정과 수업에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학습성과를 개선해 나가도록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future-oriented perspective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t Namseoul University and share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with other universities. In 2018, Namseoul University completely reorganized the liberal arts curriculum in order to keep up with the changing realities of the times. The reorganiza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t Namseoul University is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as well as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university. The core of undergraduate education is liberal arts education for all students. And it is important to reflect the overall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university. In today’s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cal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ducational institutions need to upgrade core competencies and human capital development through a competency-based and performance-based curriculum,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uman capital and higher education practices’. Namseoul University reorganized from the Liberal arts department to the liberal arts college in February 2018, which laid the foundation for improving educational methods for the incremental improvement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This reorganization also improves the quality manage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by creating a liberal arts education institute called a liberal arts college. By consulting internal and external professional organizations, the university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from an objective point of view and prepared the revised proposals to meet the needs of changing society. A new course reflecting the latest trends has been newly established. Finally, Namseoul University established the diagnostic and backlog system of the performance /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general education, and reflected it in the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lesson plans, so as to continuously improve the learning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