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漢文科 敎授ㆍ學習의 理論과 方法

        宋秉烈(Song Pyung Nyul)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9 동아한학연구 Vol.- No.5

        교수ㆍ학습의 방법은 수업을 통해 최상의 효과를 얻기 위한 것으로 수업에 관한 여러 접근 방법들의 강조점과 특성을 파악하고 학습자와 학습과제의 특성, 수업조건에 맞도록 활용해야 한다. 일반적인 교육학 이론은 교수자와 학습자 행동의 내용을 중심으로 개발된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을 제시한다.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은 여러 교과나 내용에 보편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대부분 수용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교과의 내용과 매체의 특성을 반영한 방법은 개발되었다. 따라서 한문과에서는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 내용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 매체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 등으로 크게 분류한다.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에는 교사 중심의 강의법, 학습자가 결론하도록 도와주기 위해 질문을 위주로 하는 질문법, 교사와 학습자간 의사소통을 통한 토론법,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인의 학습 환경을 구성해주는 개별학습법, 자유로운 연상과 탐색발견을 위주로 하는 브레인스토밍과 버즈 학습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중심의 문제중심 학습법, 소집단 구성원들이 협력하여 목표를 성취하는 협동학습법, 학습자 스스로 학습 요구를 진단, 계획, 실행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법, 상황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역할에 참여하게 하는 역할놀이 학습법, 낭독법 등이 있다. 내용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으로는 부수 중심 지도법, 구조분석법, 조어 분석법, 이야기를 통한 고사성어 학습법, 도제식 한시 교수ㆍ학습법, 자원 활용법, 비교학습법, 허자지도를 통한 독해 지도법, 어순 구조를 통한 독해 지도법 등이 있다. 매체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으로는 언어 활용법, 색출법, 이미지컷 활용 학습법, 한자카드 활용법, NIE 활용 학습법, 웹기반 교수ㆍ학습 방법, 옥편 활용 지도법 등이 있다. 전통적인 교수ㆍ학습 방법은 근대의 교수ㆍ학습 방법과는 다른 것이 주로 학습법에 치중되어 있다. 자기주도 학습법이라고 할 만한 것이 대부분이다. 낭송하며 학습하는 誦讀法, 학습내용을 반복해서 읽는 多讀學習法, 학습 내용의 이치를 궁리하여 깨우치는 格物致知 學習法(격물치지 학습법 ; 精讀 學習法), 철저한 자기관리를 통하여 학습하는 全心全力(전심전력) 학습법 등이 있다. 제시된 한문과의 교수ㆍ학습 방법은 다양하나, 체계화가 미흡하여 다양한 유형과 모형, 기법의 개발 여지가 많다. The method of teachingㆍlearning is for getting the best effect through the class, so we have to grasp emphasis and characteristic of various methods about class and utilize to proper character of learner and task and the condition. As the methods of teaching-learning, there are the general teaching-learning methods of pedagogic theory and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classified two branches, one is to apply some general theories to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and the other is developed to be right for contents or nature of the area of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In the general teaching-learning methods, there are 'Lecture method', teacher-centered method, 'Conversational method', question-centered to help learner draw the conclusion, 'Discussion method',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Personal learning', making one's personal studying environment out of regard for nature of learner, 'Brainstorming and Buzz learing', ceturing free associations and the exploration and discovery, 'Problem based learning', centuring process that is solving problems, 'Team teaching', where members achieve goals to work together, 'Self-lead learning', where the learner diagnose, plan and act learning needs himself, 'Role-play method', leading to play roles in the artifical situations and so on. In teaching-learning methods following Chinese character and content's area, there are the things that are presented for pedagogic general theory like 'Elocution, Lecture method, Discusson method, Team teaching, Role-play method and so on', or developed in the school field like 'Elocution adding Hangeul to Chinese character, Leading method using image cuts,Utilizing Chinese character card,Radical centered teaching, Analyzing constructure, Utilizing resouces, Teaching through the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Ok Pyeon), Analzing coinages, Utilizing languages, Searching out method, Comparing, Teaching reading through leading Huh ja(虛字), Teaching readig through constructure of the word order, Cognitive teaching apprentices and so on'. Some of them presented 'process', model of studying, but most of them are the teaching-learing methods presented in the level of technique without model.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methods mainly focus on something unlike modern teaching-learning methods. Most of them are the things to say self-lead learning, learning through recitation(誦讀法), reading contents repeatedly(多讀 學習法), realizing the logic of learning contents through devising(格物致知 學習法), learning through thorough self-discipline(全心全力學習法). There are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but they are open to developing various types,models and techniques because they are insufficient for systematization.

      • KCI등재

        영화를 통해 본,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교수학습법에 대한 제언 -<피나 바우쉬의 댄싱 드림즈>를 중심으로-

        남진숙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1 사고와표현 Vol.14 No.1

        This paper extracts nonverbal elements from the documentary film <Pina bausch’s Dancing Dreams> and suggests how they can be used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educational communication. Focusing on the nonverbal elements of this film, such as gestures, facial expressions, touch, and sound (sound), this study analyzed how the instructor approached the learner and achieved the learning goal(dance performance) through the process. In addition, the meanings of the non-verbal elements in the movie were extracted by linking them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rough this, it was emphasized that the linguistic element is also important in university education and communication education, but the teaching learning method using non-verbal elements is also important.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non-verbal elements, three suggestions were made: ‘teaching-learning method of meeting, teaching-learning method of empathy, and teaching-learning method of ratio of language/nonverbal elements’. Furthermore, in university education, if various factors such as subject and learning characteristics, type of instructor, type of learner, number of lectures, and intimacy are reflected and sporadic data are collec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ccording to non-verbal factors can be categorized, systemized, and theorized. will be.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the possibility of using non-verbal elements as a method or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rough films. 본 논문은 다큐멘터리 영화 <피나 바우쉬의 댄싱 드림즈> 에 나타난 비언어적 요소를 추출하여, 그 요소가 어떻게 교육적 소통에 있어 교수학습법에 활용될 수 있는지 제언한 논문이다. 이 영화의 비언어적 요소인 몸짓과 표정, 손길, 음향(소리)을 중심으로 교수자가 어떻게 학습자에게 다가가며, 그 과정을 거쳐 학습목표(무용극 공연)에 도달할 수 있었는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또 영화 속 비언어적 요소를 교수학습법과 연관하여 그 의미를 각각 추출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 교육 및 의사소통 교육에서 언어적 요소도 중요하지만, 비언어적 요소를 활용한 교수학습법도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비언어적 요소를 활용한 교수학습법으로 ‘만남의 교수학습법, 공감의 교수학습법, 언어/비언어적 요소의 비율 교수학습법’ 등 3가지를 제언하였다. 나아가 대학 교육에 있어서도 교과목과 학습의 특징, 교수자의 유형, 학습자의 유형, 강의 횟수, 친밀도 등 여러 요소를 반영하고 산발적인 데이터를 모으면, 비언어적 요소에 따른 교수학습법을 유형화하거나 체계화, 이론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영화를 통해 비언어적 요소를 교수학습법의 한 방법이나 모형으로서 가능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 KCI등재

        내용-언어 통합학습법과 이탈리아어 수업 적용의 실

        윤종태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019 이탈리아어문학 Vol.0 No.58

        In questo articolo ho cercato di presentare l'approccio CLIL(apprendimento integrato di lingua e contenuto) e la prassi didattica per permettere questo approcio. Per fare questo ho tracciato la situazione corrente della formazione degli insegnanti di lingua che stanno utilizzando questa metodologia ed ho provato di costituire acuni modelli di lezioni che sono stati stabiliti da me con la nuova metodologia. L’idea fondamentale della metodologia CLIL è quella di trasmettere il contenuto di una disciplina nella lingua di scopo, servendosi di vari strumenti, le risorse e i materiali disponibili. L'approccio CLIL costituisce non solo un nuovo ambiente di apprendimeto ma anche un nuovo ambiente di insegnamento. Pertanto, rappresenta un nuovo ‘spazio’ di ricerca che può essere studiato da una varietà di prospettive. Non si tratta quindi semplicemente di spiegare una materia in una lingua straniera (scienze, arte, musica, geografia, storia, ecc.), ma di un vero e proprio apprendimento integrato, dove la lingua viene utilizzata per insegnare dei contenuti disciplinari. Per fare questo è necessario organizzare il contenuto che si vuole trasmettere in modo che sia semplice da comprendere, reperire e ripetere, con un elenco di vocaboli limitato. Il presente articolo si è concentrato proprio su questo aspetto attraverso l'analisi dei dati raccolti per una lezione preparata con la metodologia CLIL. La maggiore parte di questo lavoro consiste nella presentazione di un modello della mia lezione che aveva una finalità di far apprendere un elemento grammaticale(il passato remoto) attravero le canzoni, le fiabe(favole) e le varie risorse che riguardano la storia dell’Italia. I risultati mostrano che è necessario prestare maggiore attenzione all’aggiornamento degli insegnanti stessi nell'organizzazione delle attività della lezione CLIL che sono più favorevoli alla più ricca attività di comprensione, di scrittura e di produzione orale da parte degli studenti.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은 언어를 매개로 다른 내용을 가르치는 학습 방법이다. 캐나다에서 유행했던 몰입교육이나 미국의 내용 중심 교수법 과 비슷한 성격을 갖고 있다. 이러한 방법론이 만들어진 시기, 어학 학습의 환경 변화, 해당 제2 언 어의 지위, 언어 학습자의 지리적 위치 등에 따라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시작되고 성장한 배경 그리고 강조하는 점은 조금씩 다르다.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의 기본적인 접근은 언어를 실제와 유사한 상황에서 배우게 하는 것이다.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은 몰입교육의 여러 문제점과 교육 효과에 대한 많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를 해결하거나 개선할 마땅한 해결책도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방법론으로 도 입될 수 있다. 외국어 전용 강의의 폐단을 극복하고 학습자의 언어 능력과 교수자의 준비도를 고려하여, 나름의 상황에 맞는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을 활용 하는 수업 방식은 현재의 교육 시스템과 사회 환경에서 최신의 멀티미 디어 외국어 학습 도구를 이용하는 가장 효율적이고 무난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에서는 교수자의 역할이 매 우 중요하다. 그리고 이 역할의 대부분은 학습자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수업 시간에 사용할 재료들을 찾아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소개한 수업의 예는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이 대학교의 제2 외국어로 이탈리아어를 가르치고 배우는 수업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하나의 제시에 불과하다. 외국어 학습에 도움이 되는 다 양한 매체들의 발전과 함께 더 나은 수업 환경이 계속 만들어질 것이고 이는 보다 완성된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을 활용한 수업의 완성도를 높 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줄 것이다. 외국어 교수와 학습에서 교수자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교수자들의 자기 발전이 필요성이 더욱 필요한 시 대가 도래했다 . 본 연구는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을 활용한 수업을 위해 가장 중요한 조건이라고 할 수 있는 교수자가 재교육까지는 아니더라도 새로운 교수 법을 연구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는 경험의 축적을 통하여 더 나은 외 국어 학습과 교수의 길을 모색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 여기에 소개된 것은 외국어 교육자인 한 개인의 경험의 일부이며, 앞 으로도 더 많은 발전을 이루기 위한 시작 단계의 예를 보여준 것으로 이해해주었으면 한다.

      • KCI등재

        UX 디자인 교수학습법에 따른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김영석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9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7 No.4

        In Design universities, field-based method, discussion method, multi-interdisciplinary study, phased method and others are applied as either a single method or multiple method.. In case of UX design learning, however, the multiple method is applied more than the single one, so a matter with regard to which method preferentially influences on the effect of learning would be brought up.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ach a class applying the four teaching methods—field-based method, discussion method, multi-interdisciplinary study and phased method—and consider relation of satisfaction in learning and learning achievement accordingly. For this, a class where the four methods were applied was taught to 160 students taking 'UX design', which was opened during the second semester as an intensive course of the design-related departments of K College in 2018. On the 15th week of the class,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empirically. The result showed that 'field-based method' and 'multi-interdisciplinary study' influenced on the improvement of satisfaction in learning more preferentially than the other methods. With regard to learning achievement, 'multi-interdisciplinary study' and 'field-based method' were more influential than the other methods.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in learning and learning achievement, higher learning achievement led to higher satisfaction in learning. It is expected that UX design educational method will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education of design schools as well as other colleges in future. 최근 디자인 계열 대학에서 UX디자인 교육 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교수학습법은 현장중심 학습법, 토의식 학습법, 다학제적 학습법, 단계적 학습법 등이 단일 학습법 또는 복수의 학습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UX디자인 학습의 경우 단일 학습법보다 복수의 학습법을 적용하다 보니 어떤 학습법이 학습효과에 우선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계열의 ‘UX디자인’ 교과목에서 4가지 교수학습법인 현장중심 학습법, 토의식 학습법, 다학제적 학습법, 단계적 학습법을 적용하여 수업한 후, 이에 따른 학습만족도와 학습성취도와의 관련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K 전문대학교 2018학년도 디자인 계열의 심화과정 2학기에 개설된 ‘UX디자인’ 교과목 수강자 160명에게 4가지 학습법을 동시에 적용하여 수업한 후 15주째 설문지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장중심 학습법’과 ‘다학제적 학습법’이 타 학습법보다 학습만족도 향상에 우선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성취도의 경우에는 ‘다학제적 학습법’과 ‘현장중심 학습법’이 타 학습보다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학습만족도와 학습성취도의 관계에서는 학습만족도가 클수록 학습성취도는 높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에는 UX 디자인 교수학습법을 도입하려는 다른 대학의 교육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교회학교 교사교육을 위한 문제중심 학습법의 사용-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문제중심 학습법의 효과에 대한 한국 교회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이수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37 No.-

        There is a hunger for effective teacher equipping programs for adultvolunteer teachers in the educational ministry of today’s churches. Inaddition, these programs for volunteer teachers need to be well-suitedfor adult learners and relevant to their real-life situations. The purposeof this qualitative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Problem-BasedLearning (PBL) in volunteer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a church inSouth Korea. A grounded theory study was utilized in order to comparechurch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act of traditionalLecture-Based Learning (LBL) and PBL upon their learning process. InSpring 2011,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participated in a volunteerteacher training program (total 8 weeks) primarily designed using LBL( week 1 t hrough 4 ) and PBL approaches ( week 5 through 8 ). T his studyutilized observations by the researcher, open-ended surveys, andinterviews to collect data from the church school teachers in a KoreanPresbyterian church in Anyang,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through the procedures of a grounded theory study. Based on the datacollect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could makehypotheses that described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PBL and theirPBL experiences. First, PBL can shift the center of learning from the teachers to thelearners in a Korean church 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 Second,the participants of PBL will yearn to apply the PBL approaches in theirown teaching contexts. Third, the unfamiliarity of PBL can be adifficulty to implement for a Korean church 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in Korea. Also, PBL seems to require more time to complete thetraining session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lecture-based pedagogies. 한국 교회의 수적, 질적 감소와 주일학교 교육의 침체에 대한 원인을 여러 가지에서 찾을 수 있으나 많은 전문가들은 교회 주일학교 교사들이 충분하고 효과적인 훈련을 받지못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교회의 교육사역을 위해 효과적으로 교사들을 교육하는 것에 대한 갈망은 어느 교회나 가지고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성인교사교육 프로그램들은 성인 학습자로서의 그들의 특성과 그들의 상황과 잘 어울리는 것이어야 한다. 이질적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한 지역교회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문제 중심 학습법(Problem-based Learning)의 효과가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문제중심 학습법만의 효과가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살펴보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강의중심 교수법과 문제중심 학습법에 참여한 교사들이 각 교수법의 효과를 어떻게 다르게 인식했는지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총 8주짜리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들은 처음 4주(1주-4주) 동안은 강의중심 교수법을 통해 교육을 받았고, 그 다음 4주(5주-8주)의 기간에는 문제중심 학습법을 통해 교육을 받았다. 교육을 하는 동안 연구자는 참여자들의 반응을 관찰했고, 연구가 마친 후 간단한 설문조사를 했다. 또한 20명의 교사들을 심도 있게 인터뷰 했고, 나중에 분석한 데이터를 가지고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한국 주일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의하면, 문제중심 학습법은 학습자들의 배움의 과정에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옴을 발견하게 되었다. 전통적인 교수방법과는 대조적으로, 문제중심 학습법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학습에 가장 주요한 행위자가 되도록 하였다. 그들은 주어진 문제중심 학습법의 프로젝트를 그들 스스로 계획하고, 관리하고 시행해나갔고, 그 결과 다양한 소스로부터 배울 수 있었다. 이러한 모든 학습과정은 귀납적으로 이루어졌고, 학습자들 자신이 그들의 배움의 출발점이었다. 또한 이러한 학습 과정에 있어서의 극적인 변화는 참여자들의 배움에 큰 영향을 미쳤고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들을 산출하였다. 학습에 대한 그들의 태도도 보다 긍정적으로 바뀌었고, 자신들이 배운 것을 각자의 가르침의 사역의 현장에 접목하고 적용하려 하였다. 이와 같이 분석된 데이터에 근거해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문제중심 학습법은 학습의 중심을 교사에서 학생으로 전환시켰다. 둘째, 문제중심 학습법에 참여한 교사들은 자신들의 교육 사역에 이 교수법을 적용하고 싶어 했다. 셋째, 그러나 문제중심 학습법에 대한 참여자들의 낯설음은 향후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될 수도 있고 또한 문제중심 학습법은 훈련과정을 마치는데 더 많은 시간을 요구했다.

      • KCI등재

        특수학교 학생들의 컴퓨터교육을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법 적용과 평가

        홍성미(Hong-Sung Mi),김귀정(Gui-Jung Kim),김봉한(Bong-Ha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9

        일반학교와 특수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컴퓨터 교육 과정 내용과 수업 방식을 조사?분석하고, 일반학교 비장애 학생들의 교수-학습법을 참고하여 특수학교 지체장애 학생들에게 새로운 교수-학습법을 제시하고 수행하였다. 제안된 교수-학습법에 대한 지체학생들의 수업 방식, 학생들의 태도를 평가하고 기존교수-학습법과 제안된 교수-학습법의 차이점과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제안된 특수학교 컴퓨터 교육에 대한 교수-학습법의 효율성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new teaching-learning method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suggested and verified its efficiency. For this purpose, the current teaching-learning method will be examined and compared by attending Hangeul class of the computer training courses in the special schools and regular schools. In addition, for evalua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existing teaching-learning method will be conducted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the special schools and after applying new teaching-learning method, the questionnaire survey will be conducted again. Through the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the impact of the new teaching-learning method on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all be analyzed.

      • KCI등재

        미술대학에서의 미술을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교수학습과 평가 방법

        전수연,김형숙,이재예 한국미술교육학회 2023 美術敎育論叢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research on specific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art. UNESCO has proposed various crea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that can be used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specific practic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art at a higher level, especially by looking at 'P.E.A.C.E. teaching-learning', 'Art-based inquiry teaching-learning', and ‘Project-based teaching-learning'. Furthermore,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evaluation criteria through art' was developed, focusing on eight competencies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through art. Finally, self-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form are developed in order to find a way for learners to become the subject of evaluation. 세계시민교육을 실제 대학교육과정에서 체계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의 세계시민교육의 구체적인 교수학습법과 평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학과별 세계시민교육 교수학습법과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하지만, 본 연구는 전체 단과대학 차원에서의 거시적인 접근이 아닌, 미술을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교수법과 평가에 관한 연구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유네스코는 세계시민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창의적 교수법을 제시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여러 교수학습법 중에서 특히 ‘P.E.A.C.E. 교수학습법’, ‘예술 기반 탐구 교수학습법’과 ‘프로젝트 기반 교수학습법’을 살펴보면서 미술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교수학습법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고등교육 차원에서 모색해보고자 한다. 나아가 미술을 통한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8가지 역량을 중심으로 ‘미술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평가기준표’를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평가지와 동료평가지를 개발하여 학습자들도 평가의 주체가 될 방안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문법 교육을 위한 내용교수법적 접근

        송현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9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1 No.-

        ‘Contents teaching methods(Naeyong Kyosoobyeop)’ is a term translated from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and it means that it is teachers's knowledge related to methods how to teach students in order to expedite their understanding. The aim of this study is reconstructing viewpoint about teaching learning method which is not developed a lot in Korean education, and is finding out solution to be adapted directly into Korean education. To do this, this research shows some models constructed by a series of hypothetical domains and describe ‘contents teaching methods’ for Korean education. In addition to, this searches for practical meaning in the Korean grammar class. Therefore, this study includes theoretical backgrounds about ‘contents teaching methods’, ‘contents frame’, and ‘illustration’ to apply into the class. ‘Contents teaching methods’ is a field which teachers can work professionally and independently. In this viewpoint, ‘contents teaching methods’ should be developed in the class. Teachers are able to search for proper methods through the class and to organize the best contents methods. Furthermore, these processes should be companied with classroom evaluation. This study expects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s will become improved more through like this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교육 내 다른 연구 분야에 비하여 구체적이고 다양한 연구의 성과가 아직은 미진한 분야인 교수·학습 방법 중, ‘내용교수법’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서 적용할 방안을 찾고자 하는 데 있다. ‘내용교수법’은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를 번역한 용어로서, 일반적으로는 특정 학생들의 이해를 촉진할 수 있도록 특정 내용을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교사의 지식이라고 정의된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의 지식을 구성하는 일련의 가설적 영역들로 구성된 모델을 제안하면서 이론적으로 발전해 온 ‘내용교수법’에 대하여, 국어교육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문법 지도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내용교수법의 개발 방향과 수업 장면에서의 실제적 의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내용교수법의 이론적 배경, 그리고 실제 문법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틀을 구안하고 그에 대한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문법 교육을 위한 내용교수법적 접근 방식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교사가 가진 고유한 전문 영역으로 규정될 수 있는 내용교수법은, 현장 교사들이 실제 수업을 통하여 다양한 지도 자료를 발굴하거나 또는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교사의 전문 영역이 재정립되고 실질적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국어 교수법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영어 교수·학습법 및 수업 모형 사용 실태 : 초·중등 영어 교육을 중심으로

        김재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0 교육논총 Vol.30 No.2

        이 논문은 초·중등 영어 교사들이 영어 교수·학습법 및 수업 모형을 어떻게 인식하고 교실 수업에 적용하는가를 조사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 목적을 위해서 주요 교 수·학습법들을 선정해서 이들을 전통적 방법, 대안적 방법, 최근 방법, 기타 방법 등으로 유형별로 분류하고 주요 수업 모형을 PPP 및 대안 PPP로 나누어서 설문지를 구안하였 다. 교수·학습법 실태 조사에서는 주요 교수·학습법에 대한 영어 교사들의 인지도, 활용 도, 효과, 연수희망 교수법 등을 분석하였고, 수업 모형 실태 조사에서는 주요 수업 모형 에 대한 교사들의 인지도, 활용도 및 효과 등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에는 260명의 초등 및 중등 영어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대체로 교사들의 교수·학습법에 대한 이해가 피상적이고 실제 교실 수업에 적용하고 있는 교수법들도 몇 개로 한정되어 있음 을 보여주었다. 특히 수업 모형은 PPP 외에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거의 시도하지 않은 것 으로 나타났다. 중등 영어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교수법에 대해 초등 교사보다 더 높은 이 해를 보였지만, 실제 교실 수업에 적용하는 교수법과 수업 모형은 초등 교사보다 더 다양 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문융합 교육의 실제

        김문주(Kim, Moonju),신현주(Shin, Hyunjo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8

        이 논문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학교육으로서의 인문융합 교과의 수업설계, 그리고 교수학습법과 그에 따른 수업 만족도 조사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서 인문융합 교육과 학제간 연구에 관한 하나의 제안을 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의 대상은 본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국내의 C대학교의 인문융합 교과목이었다. 본 수업의 기본 설계는 인문학 교수자와 경찰행정학 교수자가 팀티칭으로 진행하는 것이었다. 이에 따른 교수 학습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을 결합하는 블랜디드 러닝과 강의토론식 학습법을 사용하였다. 블랜디드 러닝과 강의토론식 학습법의 수업 구성단계는 동일하였으며, 교수학습법에 따른 수업 만족도의 결과 역시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교수학습법에 따른 수업 만족도는 학습 대상자가 바뀜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점은 수업이 시작되기 전 수업에 관한 설계 단계에서부터 면밀한 과정을 거치게 되면 학습자들이 수업에 대한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practical example of humanities convergence curriculum design as a type of college education in the perio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 survey of class satisfaction. The target of the study is a humanities convergence clas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t C University in Korea. The basic design of this class is conducted as a team with professors who studied humanities and police administration. We used blended learning, which combines on- and off-line learning, and lecture discussions as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steps in the class were the same in the blended learning and lecture discussion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he results of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similar.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lass satisfaction can change when learners chang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think about is that if you undertake a careful process starting with the design stage of the class before the class starts, learners can derive satisfaction with the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