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매개효과

        문정희,송승민,한정이 한국아동권리학회 2022 아동과 권리 Vol.26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을 통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 0∼5세 영유아를 담임하고 있는 보육교사 2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을 통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보육교사가 전문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수준이 높았고,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이 높아졌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이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어떻게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을 매개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기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사의 전문성인식 수준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대한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문정희(Moon, Jung-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32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영유아권리존중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 0∼5세 영유아를 담임하고 있는 보육교사 299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그리고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 교사효능감과 영유아권리존중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문성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영유아권리존중 수준도 높았고,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영유아권리존중도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영유아권리존중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영유아권리존중에 긍정적으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이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바람직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돕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더불어 영유아 보육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respect for infant rights and teacher efficacy, and to reveal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on the respect for infant right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self-report survey of 299 childcare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aged 0 to 5 at day 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Baron and Kenny(1986) using SPSS 23.0.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teacher efficacy, and respect for infant right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perception, the higher the level of respect for infant right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had a significant impa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expertise and respect for infant rights.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directly affects the respect of infant rights and positively indirectly affects the respect of infant rights through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will be used to help childcare teachers to improve their expertise and perform appropriate roles and will als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for infants.

      • KCI등재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

        김연수,이시자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happi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00 teachers of children aged three to five years old from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Kyeonggi-do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in all cases among the teacher’s happiness,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in sub-factors of each variabl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um path was verified through the Sobel test.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technology, self-awareness, and ecological understanding, which are sub-factors of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happiness of the teache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establish a favorable environment and support system to enhance the happiness of teachers, and to strenghten the teacher education to upgrade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인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행복감 설문지(최영옥, 2011), 교사-유아 상호작용 설문지(김시연, 2014), 전문성 발달 자기평가 설문지(백은주⋅조부경, 2004)를 배부하고 그 가운데 300명의 자료가 SPSS 23.0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그리고 전문성인식의 세 변인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변인의 하위 영역 간에도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인식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의미 있는 정도의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더 나아가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의 부분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전문성인식의 세 하위 영역 가운데 지식과 기술발달, 생태학적 발달 그리고 자기이해 발달의 순서로 부분 매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전문성 인식에 의해 매개되어서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전문성인식 가운데 교육과정을 계획, 수행, 평가하며 유아 및 학부모와 상호작용 하는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발달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준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 인식을 증진하려는 방안 마련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갑순,주현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2019년 11월 20일부터 12월 20일까지 전라남도 지역에 위치한 3,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유아교육 및 보육과 2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ronbach 계수, Pearson 적률상관분석, 매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전문성인식 및 교사역량과 하위요인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지만, 놀이신념과 교사역량의 하위요인 중 보육계획수립 및 보육과정실행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놀이신념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문성인식의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교사역량의 하위요인 별로 살펴보았을 때 교사역량의 하위요인인 학습지원, 개인적 자질, 유아보호에서는 전문성인식의 완전 매개효과가, 보육과정이해, 학급운영에서는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보육계획 수립 및 보육과정 실행은 매개분석을 위한 기본 가정이 충족되지 못하였다. 이는, 변화하고 있는 유아교육현장에 맞춤형 교사양성과정의 지원 및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n teaching competency: what would be the results on mediating effect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For the study, preliminary research and actual survey were progressed. In the preliminary research, the reliability research tools and adequacy review, time use of inspection tools, and difficulty in terms were processed. The survey target was two hundred forty-five student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Education were attending three and four year college located in Jeollanam-do from November 20th, 2019 to December 20th, 2019.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of all is that there was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mong preparing young children teachers' play belief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subdomain of teaching competency. But, there was no meaningful correlation in between play beliefs and establishing day care plans and enforcing day care curriculum which are the subdomains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Second, the complete mediate effect is showed in the impact on teaching competency through play beliefs. The complete mediate effect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is showed in the subfactors of teaching competency: studying support, personal qualities, and protecting children. Partial mediate effect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is appeared in understanding of day care curriculum and class management. Establishing day care plans and enforcing day care curriculum didn't satisfy basic assumption for the mediate analysi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원장의 감성리더십의 매개효과

        김정주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s, also it examined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on practice of respec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s rights on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The subjects were 233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 city and J province. The quantitativ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SPSS 21.0 program. It was implemente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Baron & Kenny’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is analysis, first,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practice of respec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s rights an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were positively related. Secon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had an indirect effect on practice of respec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s rights by way of mediating early childhood the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Therefore, the findings w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which can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and practice of respec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s rights. In addition, we discussed way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upport ways to maintain a smooth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preschool teachers.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영유아권리존중 실행 및 원장의 감성리더십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원장의 감성리더십의 매개효과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종 선정된 연구대상은 G시와 J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233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Baron &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 원장의 감성리더십 및 영유아권리존중 실행간에 정적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이 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영유아권리존중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원장의 감성리더십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유아교사와 원만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근무환경 개선 및 지원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전문성인식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

        김갑순(Kim, Kab Soon),김응자(Kim, Eung 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4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전문성인식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구분하여 진행하였고, 예비조사에서는 연구도구의 신뢰도와 적절성 검토, 검사도구의 소용시간, 용어의 어려움 등을 진행하였다. 본 조사는 2019년 10월 15일부터 11월 15일까지 전라남도 지역에 위치한 3,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유아교육 및 보육과 2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첫째, 설문 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전문성인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전문성인식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전문성인식 및 교사역량 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놀이교수효능감, 전문성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역량의 유의미한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교사 역량의 하위영역에 제반변인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하위 영역 별로 제반변인 각각이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f there is an impact on students who are preparing to become young children teachers, and their playing beliefs, play teaching efficacy,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would affect teaching competency. For the study, preliminary research and actual survey were progressed. In the preliminary research, the reliability research tools and adequacy review, time use of inspection tools, and difficulty in terms were processed. The survey target was two hundred fifty-eight student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Education were attending three and four year college located in Jeollanam-do from October 15th, 2019 to November 15th, 2019. First, Cronbach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test reliability of the survey questionnaires for collected materials. Pearson s Ratio Correlation Analysis second, was applied to perceive relationship of prepa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lay beliefs, play teaching efficacy,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observe if there were any impacts on teaching competency of prepa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lay beliefs, play teaching efficacy,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of all is that there was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in between play beliefs, play teaching efficacy,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teaching competency. Second, the play teaching efficacy and the professional recognition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s statistical predictors. At this time, each of the sub-domains of teaching efficacy has a different variable.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민감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최윤경(Yoon-Kyeong Choi),채진영(Jin-Young Chae)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4 교육혁신연구 Vol.34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민감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고 나아가 그 관계에서 전문성인식과 놀이교수효능감이 순차적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현직 영유아교사 23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version을 활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후 순차적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The PROCESS macro v.4.0의 Model 6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중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유의확률 95% 수준에서 표본수 5,000개를 고정시킨 후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교사의 민감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전문성인식 및 놀이교수효능감은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으며, 영유아교사의 민감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과 놀이교수효능감이 직렬이중매개하는 것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영유아에 대한 민감성을 가진 교사는 자신의 직업을 전문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놀이에 대한 교수효능감이 높으며,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질 높게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논의 및 결론: 질 높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해 민감성, 전문성인식, 놀이교수효능감을 새로운 연구모형으로 적용해 본 의의가 있다. 각각의 변인들에 대한 영향력을 넘어서 다차원적인 연구를 살펴보면서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개정 누리과정 이후 놀이 중심 교육을 위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교사의 핵심 실천역량으로 이를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변인들에 조명하였다는 점에 학문적 의의를 두고자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at the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o further examine whether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have a serial dou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Metho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31 incumbent infant teach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orrelation using SPSS 21.0 version. After that, in order to find out the serial double mediation effect, it was analyzed using Model 6 of The PROCESS macro v.4.0. In order to find ou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double mediation effect, bootstrapping was performed after fixing 5,000 samples at the 95% level. Results: The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child interaction,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were found to be high. In addition, all cor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were positive, and it was significant that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were mediated in ser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Conclusion: In order to support high-quality teacher-child interaction, it is meaningful to apply sensitivity,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as a new research model. For play-based education after the revised Nuri course, teacher-child interaction is the core practical competency of teachers, and it is intended to have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has shed light on new variables to support it.

      • KCI등재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만족, 전문성인식, 동료교사협력과 어린이집 조직효과성 간의 구조관계

        성진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8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hs and effects of causal and mediating relations among perceived job satisfaction,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collaboration, and nursery school effectiveness of nursery school teachers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For this purpose, data from 832 nurse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J area in Gyeong-nam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PSS 21.0 and Amos 21.0). Major finding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ajor finding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nd collaboration did direct influence on nursery school effectiveness. Second, job satisfaction ha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nursery school effectiveness through collaboration and partially mediated. but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ppeared mediator effect to meaningless by collaboration. Third, Structural equations model showed th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between job satisfaction,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collaboration, and daycare organization effectiveness was appropriate. In conclusion, collaboration at the organizational level has a greater impact on the nursery school effectiveness than the personal factor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만족, 전문성인식이 동료교사협력을 매개로 어린이집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어린이집 조직효과성의 질적 향상에 대한 이론적인 기초자료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J지역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83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만족, 전문성인식 및 동료교사협력은 조직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은 동료교사협력을 매개로 조직효과성에 부분매개하고 있으나, 전문성인식은 동료교사협력을 매개로 조직효과성에 의미 있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직무만족, 전문성인식, 동료교사협력, 어린이집 조직효과성 간의 구조관계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린이집의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직무만족, 전문성인식과 같은 개인수준 차원의 특성요인들보다 조직수준 차원의 동료교사협력이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에 관한 연구

        이석순(Lee, Seok Soon),박은미(Park, Eun Mi)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들을 대상으로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발달수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영아보육교사들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발달 수준을 일반적 경향과 개인변인, 근무환경 변인에 따라 살펴보고,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아 바람직한 전문영아보육교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개인변인에서는 연령과 근무경력, 결혼여부, 교사선택계기, 교사직 만족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근무환경 변인에서는 근무기관 유형과 보수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은 개인변인에서 학력과 교사연수와 재교육, 교사선택계기, 교사직 만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문성 발달수준은 근무환경 변인으로 근무기관과 보수, 학급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만 근무시간과 학급연령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간의 전체 상관관계는 매우 긍정적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전문성의 발달수준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how the infant edu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according to variables perceived. The data collected from 349 infant educare teachers in Gyunggi-Do. first of all, we check individual variables and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affecting their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then we calibrate correlation of 2 factors. Doing so, we willing support basic data to enhance infant edu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As tool of check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we used modified scale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made by Kim YuJin(2003), Shin JangMi(2007), Wi SookHee(2008),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we used modified scal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made by Yi KyungDon(2010) that developed by Back EunJu, Jo BuGyeong(2004). We fou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caused by individual variables as age, experiences, marital status, selected motivation of teacher, job satisfaction on infant edu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as working facilities, salary crate some meaningful differ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is significant difference caused by individual variables(academic background, teacher training, selected motivation of teacher, job satisfaction, marital status, experiences), and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working facilities, salary, number of classes). 2 factors are in very close correlation and higher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stimulates bette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 :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갑순(Kim, Kab Soon),김정화(Kim, Jeong W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자아존중감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라남도 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육학과 재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설문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Pearson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자아존중감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자아존중감, 전문성인식, 교사역량간의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하위영역간에도 모두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이 교사역량 및 교사역량의 하위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전체 교사역량과 교사역량의 하위요인 중 교육과정이해, 유아보호, 교육계획수립의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자아존중감이 전체 교사역량 및 교육과정이해, 유아보호, 교육계획수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전문성인식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하위요인 중 개인적 자질과 교육과정 실행의 영역에서는 자아존중감이 전문성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을 통해서 이들 변인에 영향을 주는 것과 동시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줄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f there is an impact on teaching competency of the prospective young children teachers self esteem, focusing on the mediated effect of their expertise awareness. Methods For the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10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located in Jeollanam-do. The collected data was computed by a Cronbach s Alpha to test reliability of the survey questionnaires and Pearson s Ratio Correlation Analysis was applied. Then, Baron and Kenny s mediation analysis (1986) was applied to analyze the mediated effect of expertise awareness from the impact on teaching competency of the prospective young children teachers self-esteem. Results First, there w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self-esteem, expertise awareness, and teaching competency; there w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sub-areas as well. Second, according to examining mediated effects of the expertise awareness in the teaching competency and its sub-areas which are affected by the self-esteem, the complete mediated effects of the entire teaching competency and the teaching competency s sub-areas: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curriculum, child protection, and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lanning. Conclusions It suggests that self-esteem can influence on dependent variables by impacting on their expertise awareness even though it can t impact on entire teaching competency,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curriculum, child protection, and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lanning. In the realm of personal qualities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it is possible impacting on their variables through self-esteem affects expertise awareness or direc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