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교리교육지침』과 한국 천주교 청소년 교리교육의 방향

        곽진상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2 신학과 철학 Vol.- No.42

        본 논문은 2020년 발행된 교리교육지침의 새로움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새로움이 한국교회의 교리교육, 특히 청소년 교리교육에 어떤 의미를 주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이를 위해 과거의 교리교육지침들(1971년의『교리교육일반지침서』, 1997년의『교리교육총지침』)과 비교하고, 그로부터 새롭게 부각되고 발전된 사항들을 세 가지로 지적한다.(역사적, 간텍스트적 접근, 기초-실천신학적 접근) 그것은 첫째, 선교적 관점에서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으로 전환이다. 포스트 모더니즘의 청소년 교리교육은 신앙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신앙을 불러일으키는 ‘첫 복음선포’의 역할까지 자신의 사명으로 인식한다. 둘째, 삶과 유리된 추상적 교리와 의무적인 계명과 윤리를 가르치는 교리교육에서 그리스도의 ‘아름다움’을 증언하고 권유하는 교리교육으로 전환이다. 신앙 내용의 매료적 차원이 중요한 원리로 작용한다. 셋째, 신앙 ‘주체’를 형성하는 교리교육으로 전환이다. 청소년들은 단순한 교리교육의 대상자가 아니라 복음선포의 능동적 주체이며 주역으로 이해되고, 그들을 동반하는 교리교육 교리교육이어야 한다. 교수법적으로 ‘동반의 교육학’이 요청되는 것이다.

      • KCI등재

        교리문답의 교수학적 가능성 연구

        고원석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5 기독교교육논총 Vol.43 No.-

        본 논문은 기독교교육의 위기시대에 기독교 공동체의 정체성 회복을 위한 교리문답교육의 가능성을 고찰한 것이다. 특별히 종교개혁자들(예: 루터와 칼뱅)의 교리문답서를 중심으로 교리문답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실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본 연구는 교리 및 교리문답 용어가 갖고 있는 교육적 의미를 고찰한다. 현대 교육학적 측면에서 볼 때, 교리 및 교의는 상당히 전근대적, 권위적인 의미로 비춰진다. 그러나 본래 교리/교의란 성서가 증언하고 있는 신앙에 대한 책임 있는 사유행위에 해당한다. 그리고 교리문답 역시 규범적 교육의 의미에 제한되기 보다는 하나님의 말씀(복음)을 인간 세계에 메아리(共鳴)치게 한다는 해석학적 의미를 갖고 있다. 이어서 종교개혁자 루터와 칼뱅의 교리문답서에 나타나는 교수학적 의미를 고찰한다. 루터와 칼뱅의 교리문답은 개신교 신학의 핵심, 특히 중세의 공로주의에 반대하여 칭의론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그들은 교리문답을 집필하는 과정에서 목회적-교육적 관심을 깊이 기울였다. 신앙교리를 성인에게 뿐만 아니라 어린이와 젊은이들에게 확대하여 교육시키려는 차원에서 시도한 교수학적 노력의 일환이었다. 이러한 연구에 기초하여 오늘의 신앙교육 차원에서 교리문답 교육의 실천 가능성을 제안하고자한다. 교리문답의 교수학적 가능성을 기초화(요체화)와 상징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종교개혁 사상의 기초 상징으로서 칭의(justification) 교리를 오늘날 신앙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교수학적 과정을 간략하게 제안한다. This study is a contemplation of the protestant catecheism that could restore the identity of Christian community facing the crisis of Christian education today. In particular, it aims to suggest the didactical need and possibility of focusing on Luther and Calvin's catechism. Firstly, this study researches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terms dogma/dogmatics and catechism. From the modern educational viewpoint, dogma/dogmatics has an extremely premodern or authoritative aspect. In actuality, it signifies a responsible thought of faith to which the Bible testifies. Catechism has also taken a hermeneutical role, which is told and echoed by the Word of God towards all the world as a whole rather than being limited by a normative educational meaning. This study then moves to research the didactical meaning of the catechism of Luther and Calvin, the representative religious reformers. Their catechism pointed out the justification, the core of our protestant theology, against the achievement theory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Moreover, they focused on the educational field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whereas the medieval catechism had given attention only to adults. On the grounds of this research, I suggest several practical ideas and directions by which to apply catechetic education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today. I propose to look at catechism as elementarization and symbols of our faith from the didactical aspect. In Addition to that, I describe several didactical processes of catechetic education and their relation to justification.

      • KCI등재

        통전적 신앙형성을 위한 교리교육의 재개념화

        장신근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1 기독교교육논총 Vol.- No.68

        This essay aims to seek an alternative model of catechesis, as this form of education faces various challenges from the Korean Church especially during COVID-19 pandemic. For a long time, catechesis in the Korean Church narrowly focused on the act of producing Christians who would be loyal to the local church, rather than focusing on producing members loyal to Christ, an issue that has been problematized in recent publications on catechesis. Thus, the loss of social trust in the Korean Church and the decline of its public image exemplify how this type of catechesis as disciple-making for local church’s benefit, mostly nurtures a vertical dimension of faith. The curr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mostly employs a unilateral transfer of doctrine from the teacher to the learner and emphasizes the memorization of doctrine. This type of instruction renders the catechesis as the most lackluster and outdated form of Christian education. This essay aims to reconceptualize the traditional model of catechesis. This essay first critically evaluates current situations of catechesis and presents several alternative meanings on the concept of doctrine. Then it explores the theories of catechesis through different models posed by Christian educators such as John Westerhoff III and Richard Osmer. The final section is devoted to presenting an alternative form of catechesis that focuses on seeking holistic faith.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을 포함하여, 오늘의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이 마주한 다양한 위기와 도전들에 직면하여 대안적 형태의 교리교육을 모색한다. 그동안 한국교회의 현장에서 이루어져 온 교리교육은, 최근 교리교육에 대한 관심에서도 드러나듯이, 수직적 차원의 신앙에 초점을 두고, 좁은 의미의 교회 중심적 그리스도인 만들기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한국교회의 대사회적 신뢰도와 공공성의 상실은 일차적으로 이러한 지역 교회에 헌신하는, 좁은 의미의 혹은 사사화된 제자훈련으로서의 교리교육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교리교육 방법에 있어서도 교사가 일방적으로 교리 내용을 학습자에게 전수하거나, 학습자들이 그 내용을 반복하고 암송하는 방법이 흔하게 사용되어 왔다. 그 결과 기독교교육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교리교육은 기독교교육학 가운데 가장 고루하고 뒤떨어진 영역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를 염두에 두고 본 연구에서는 오늘의 교리교육의 현황에 대한 비판적 평가와, 교리에 대한 새로운 관점들, 교리교육에 대한 기독교 교육학자들의 이론에 기초하여 통전적 신앙의 형성을 지향하는 교리교육을 목적, 교리개념, 체제, 내용, 방법론과 방법 등으로 나누어서 제안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기존 교리교육의 재개념화를 시도한다.

      • KCI등재

        존재론적 교리교육

        정신철(Shin-Chul Jung)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6 가톨릭신학 Vol.8 No.-

        복음 선포적 교리교육이 등장한 이후, 여러 국제회의가 1960년대에 각 지역에서 열렸다. 이 회의의 개최 순서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시아의 방콕(1962)에서 열렸고, 이어 아프리카의 카티곤도(1964), 아시아의 마닐라(1967), 마지막으로 남미의 메델린(1968)에서 교리교육에 관한 국제회의가 개최되었다. 이렇게 여러 차례의 교리교육에 관한 국제회의가 열린 목적은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의 기본 원리를 알려주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문답식 교리교육에서 벗어난 새로운 형태의 교리교육을 시키고자 하는 원의가 있었다. 또 다른 더욱 본질적인 목적은 복음 선포적 교리교육을 각 대륙에 적용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런 목적은 교리교육에 관한 국제회의가 처음으로 열렸던 방콕 회의에서부터 수정되기 시작한다. 왜냐하면 참석자들은 회의가 진행되면서 복음 선포적 교리교육이 유일하고도 보편적인 방법이 아니라는 통찰을 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이었다. 사실 아시아는 사회 주변적 환경이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이 탄생한 유럽과는 완전히 다르다. 아시아 대륙은 전통 종교가 살아 쉼 쉬는 곳이고, 전통 종교에 따른 문화적, 도덕적 규범이 있는 곳이며. 정치 경제적으로도 개발도상국이면서도 동시에, 민주화에 대한 갈망이 강하게 표출되는 지역이다. 이런 배경은 이미 그리스도교 문화 안에 살고 있는 유럽인들이 복음의 메시지를 듣는 것과 아시아인들이 복음의 메시지를 듣는 것에 있어 그 이해에서부터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이는 곧 교리교육의 방법에 있어, 내용 중심적 교리교육을 하기 이전에, 먼저 교리를 받는 이들의 이해가 선행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다. 즉 교리를 받는 이들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을 때, 이에 맞는 효과적인 교리 내용이 전달 될 수 있고, 교리교육의 본질적인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교리를 받는 이들에 대한 이해를 선호하는 교리교육을 인간학적 교리교육이라 칭한다. 인간학적 교리교육은 교리를 받는 이들에 대한 깊은 배려에서부터 교리교육이 시작된다. 그런데 교리를 받는 이들을 배려함에 있어 ‘그들이 누구인가’ 즉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그 교육 방법이 아주 다양하게 등장한다. 따라서 다양한 상황 속에 있는 인간을 바라봄에 있어, 어디에 교육 초점을 맞추느냐에 따라 교육의 방법도 다양하게 드러난다. 왜냐하면 아무리 훌륭한 교리교육 방법이라 하더라도, 모든 인간의 삶의 총체적 조건을 다 충족시키는 단일한 형태의 교육방법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소고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존재론적 교리교육은 인간학적 교리교육 방법의 한 형태이다. 이 방법이 인간학적 방법의 한 형태인 이유는 이 교리교육 방법이 강조하고자 하는 것이 인간 존재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즉 복음의 메시지를 전달함에 있어 인간 존재는 그 심층에서 이 메시지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에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존재론적 교리교육이 인간의 여러 삶의 조건과 환경 중에서 인간의 존재론적 문제에 해답을 주는 것으로서의 메시지를 알려주고 전달해 주고자 함을 그 목표로 두고 있음을 말한다. 이러한 교리교육 방법은 제 2차 바티칸 공의회의 계시 헌장에서 그 신학적 근거를 찾을 수 있다. 하느님의 자기 계시는 인간을 향해 다가오는 것이고, 이는 인간의 역사 안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표징을 통한 하느님의 자기 계시는 인간이 이 표징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통해 그 뜻이 드러난다. 이는 인간이 하느님의 자기 계시를 인간의 삶의 한 중심에서 특별히 자신의 깊은 체험의 성찰을 통해 찾을 수 있는 것이며, 이를 통해 인간은 자기 존재의 심층을 울리고, 삶의 의미를 충만하게 하며, 그 근거를 제공하시는 하느님을 만나게 된다. 이러한 신학적 근거를 지니는 존재론적 교리교육은 교리교육의 실천적 현장에 적용될 때 3단계의 구조를 지니게 된다. 첫 번째 단계는 인간의 경험을 상기시키고, 그의 종국적 의미를 찾는다. 이어 그 의미와 하느님 말씀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하느님의 말씀 안에서 해석한다. 마지막으로 하느님 말씀을 통한 깊은 자기 경험의 의미를 발견하고, 그리스도인의 삶에로 나아간다. 이러한 구조를 지닌 이 교리교육 방법은 한국 천주교회에 많은 영향을 끼치지는 못하였다. 왜냐하면 한국의 시대 상황은 인간 존재의 의미를 묻기 보다는 정의와 평화를 워한 노력에 더 관심을 많이 가졌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개의 교리서는 이러한 노선을 추구하였는데, 그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였고, 아직 연구도 불충분하여 대중화되지 못한 방법으로 머물고 있다. 하지만 한국 사회가 점차 물질화를 통해 정신적 공허함을 느끼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기 때문에, 한국 천주교회의 미래를 위해, 이 교리교육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 Apr?s l'apparition de la cat?ch?se k?rygmatique au d?but des ann?es 60 dans le si?cle dernier, les semaines internationales de cat?ch?se ont ?t? ouvertes par les demandes des sp?cialistes de cat?ch?se, parce que ces derniers voulaient appliquer la m?thode de la cat?ch?se k?rygmatique dans les autres continents : la semaine internationale de cat?ch?se ? Bangkok en 1962, ? Katigondo en 1964, ? Manille en 1967 et ? Medellin en 1968. Tout au long de ces semaines, les sp?cialistes de cat?ch?se europeen voulaient pr?senter la nouvelle m?thode, la cat?ch?s k?rygmatique pour l'appliquer dans les situations asiatique, afrique et latine am?rique. En effet, la session de Bangkok accepte en gros les principes fondementaux du renouveau k?rygmatique, formul?s ? Eichst? tt en 1960. Mais la m?thode de la cat?ch?se k?rygmatique qui accentue l'aspect th?ologique, centr? sur la Parole de Dieu, avait un peu oulbi? que la Parole de Dieu est aussi parole de Dieu ? l'homme, que la r?v?lation de Dieu est aussi r?v?lation de l'honune. En disant cela, on a commenc? ? se faire sentir, surtout dans les pays de mission, ? l'?gard de la cat?ch?se k?ry gmati que, parce que, malgr? toute insistance que l'on mettait sur le k?rygme en Europe, les missionnaires devaient tout d'abord prendre en conscience sur les traditions religieuses et sur les mentalites asiatiques. Conune on a d?clar? dans la semaine interna?tionale de cat?ch?se ? Bangkok que "la cat?hc?se doit pr?parer le terrain en ?purant les jugements, les sentiments et m?me les impressions subconscientes, afin de les rendre conformes ? la doctrine du Christ", on devait s?pcialement l'accent sur l'approche humaine, sur les probl?mes que pose la cat?ch?se surtout dans sa premi?re ?tape d'?vang?lisation et de conversion. Ainsi, on a commenc? ? parler pour la premi?re fois de prendre en conscience de l'homme, lui-m?me, en disant symboliquement 'le terrain'. C'est pourquoi on dit que la semaine internationale de cat?ch?se ? Bangkok s'ouvre un vent nouveau souffle, d'orientation nettement anthropologique. Bien qu'on commence ? donner une attention sp?ciale ? la culture, la mentalit? et la r?ligiosit? dans la cat?ch?se, la cat?ch?se antropologique s'av?re difficile dans la pratique, parce que, ?tudier l'homme, prendre en compte de l'homme, c'est d?j? compliquer : quel point de vue sur l'homme? quels aspect de l'homme : religieux, mentale, culturelle, politique ou pscycologique? Cela veut dire que la cat?ch?se anthropologique ne peut pas ?tre facillement appliqu?e dans la pratique, mais qu'elle a diverses m?thodes d'appliquer, selon le point de vue sur l'homme, dans la pratique. La cat?ch?se existentielle que je veux pr?senter dans ce travail, est une sorte de la cat?ch?se anthropologique : cette premi?re prend en compt du sens de la vie des hommes, parce que le message chr?tien peut donner toutes r?ponses aux questions des hommes et qu'il donne aux hommes la raison de vivre et ses fondements. En effet, cette cat?ch?se a un fondement th?ologique qui vient de la constitution, Dei Verbum, du concile Vatican Ⅱ. La R?v?lation est une relation inter-personnelle entre Dieu et l'homme ; le Dieu invisible d&ea

      • KCI등재

        교회를 세우는 교리교육

        윤영민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6 복음과 실천신학 Vol.40 No.-

        목사가 교리를 가르치는 것은 교회를 목회하는 목사의 필수적인 사역이요, 의무이다. 왜냐하면 순수한 교리를 가르치는 일은 교회의 참된 표지인 동시에 교회를 세우는 터로서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를 세우는 근간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많은 목사들이“자기 소견”대로 목회하고 있다. 목사들은 성경적인 교 리위에서목회를하지않고,“ 교회성장”이라는목적을위해세속적이고인위 적인 방법으로 교회를 성장시키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교리를 가르치는 일이 교회를 교회되게 하고, 교회를 세우는 근간임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교리 교육을 기피하는 세 가지의 주요한 편견 을 살핀다: 첫째, 교리 교육은 어렵고 재미없다; 둘째, 교리 교육은 그리스도인 의 삶에 무관하다; 셋째, 교리 교육은 교회 성장에 방해가 된다는 편견이 있다. 그러나 교육의 방법을 바꾸면 흥미롭고 유익한 교리 교육을 할 수 있고, 교리 는 그리스도인의 건강한 삶의 기초가 되며, 지역 교회를 더욱 건강하게 성장시 킬 수 있다. 나아가 교리 교육은 세 가지의 중요한 유익함이 있다. 첫째, 새신자가 교회 에 등록하고 정착하는데 좋은 방법이다; 둘째, 성도를 온전한 하나님의 사람으 로 만드는 좋은 방법이다; 셋째, 이단들의 공격에 신앙과 교회를 지키는 좋은 방법이다. 그러므로 지역교회가 교리 교육을 실시하는 좋은 방법으로는, 주일 설교에 교리적 가르침을 전하는데 힘써야 한다. 특별히 수요예배는 예배 순서가 단순 하기 때문에 교리 교육을 실시하시에 좋은 시간이 된다. 무엇보다, 교회는 평 일에 교리반을 만들어 성경과 교리 교육을 집중적으로 실시할 것을 권면한다. Teaching the doctrine is an essential ministry and obligation of pastor. The reason is that teaching the pure doctrine as the true sign of the church is a foundation to build up the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However, many pastors work the church “as they saw fit.” Pastors are making an attempt to grow the church in secular and artificial means for the purpose of church growth. They do not build up the church founded on Biblical doctrine. Thus, this dissertation argues that teaching the doctrine not only makes the church to be the church, but also is the foundation of the church. For this assertion, I suggest three major prejudices to avoid the doctrine education: first, doctrine education is difficult and uninteresting; Second, doctrine education is not related to the Christian life; Third, doctrine education hinders church growth. However, I reveal that doctrine education can be an interesting and useful by changing its teaching methods; it is the foundation of a healthy Christian life; and it can grow more healthy local churches. Furthermore, catechesis has three important benefits. First, catechesis is a good method that new believers register and settle in the church; Second, it is a great way to make the saints God’s healthy people; Third, it is a good way to keep the faith and the church against heresies’attack. Therefore, I suggest that the local churches should strive to teach doctrine. The Sunday worship preaching is a good way to conduct catechesis. Wednesday service is particularly good time to carry out teaching the doctrine because Wednesday worship is simple and plentiful in time. Above all, the local church should set the doctrine class in a weekday and they should focus on teaching Bible study and catechesis.

      • KCI등재

        교리교육에 관한 공식적 “교회 정신” :

        토마스 H. 그롬(Thomas H. Groome) 신학과사상학회 2015 가톨릭 신학과 사상 Vol.- No.76

        본고는 포스트 모던 사회와 문화 속에서 「교리교육 총지침」(1998)이 제시하는 전망을 살펴봄으로써 교리교육(종교교육 및 교리)에 대한 ‘교회의 정신’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실 초대 교회 때부터 1500년대까지는 사회문화적 여건이 종교적 가치를 포용하였기에 교리교육도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때문에 신자들 역시 공식적인 교리문답 없이도 전례와 공동체 생활을 통해 신앙을 길러 나갈수 있었다. 하지만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를 거치면서 단순 암기식의 주입식 교리가 등장하게 되었고, 이로써 교회 안에는 이러한 방법론을 떠나 실제 생활과 체험에 입각한 참여적 교육을 장려하는 대항운동이 등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뮌헨방법론’과 제2차 바티칸공의회에서 제시된 전망은 모두 이러한 현대적 동향의 일환이라 할 수 있겠다. 즉, 신자들에게 보다 능동적이고 역동적인 형태의 교육을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였던 것이다. 세상이 ‘배타적 인본주의’에 더욱 깊게 뿌리내리게 되면서 공의회 이후, 이러한 패러다임의 필요성은 더욱 절박해졌다. 배타적 인본주의는 종교적 가치관을 배척하여 교리교육을 어렵게 하는 사회문화적 분위기 형성하기 때문이다. 「교리교육 총지침」은 이러한 포스트 모던 시대에 교회가 교리교육 직무와 복음화에 대해 어떠한 ‘정신’을 제시하는지를 보여 주고 있다. 이를 위해 문헌은 몇 가지 근본 지침을 통해 교회가 이해하는 교리교육의 본질과 목적을 밝히고, 교리내용과 교육방법론이 어떠해야 하고 교육의 대상은 누구여야 하는지를 설명한다. 이 모든 것을 볼 때 우리는 오늘날 교회가 신자들로 하여금 그들의 긴 삶의 여정에서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교리 지식을 배우고(inform), 그렇게 양성되고(form), 결국 변화하도록(transform)하는 전인적 교육을 지향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리교육은 지성과 정서와 행동의 차원을 모두 포괄함으로써 사람들의 생활과 그리스도교 신앙을 하나의 살아 있는 신앙 안에 통합시켜야 한다. 간단히 말해 교회는 전인적 신앙으로 나아가기 위한 통합 교육을 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원리를 실천으로 옮길 수 있는 열 가지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이로써 ‘교회의 정신’이 오늘날의 어두움을 밝히는 빛이 될 수 있기를 소망해본다. This essay aims to present the “mind of the Church” concerning catechetical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AND catechesis), looking at the horizons offered by the General Directory for Catechesis (1998) as a response to the post-modern society and culture. From the days of the early Church up until the 1500s, catechetical education was facilitated by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that embraced religious values. People were able to grow in faith through liturgy and community life, without the need for a formal catechism. But a question-and-answer form of catechesis began to emerge with the Council of Trent (1545-1563), which incited a counter-movement that sought to depart from such method and promote a more participative pedagogy grounded in real-life experience. The “Munich Method” and the vision of Vatican II are examples of this contemporary shift, which look to engage the faithful in a more active and dynamic form of education. The need for such paradigm has increased since the Council, as we are living in a world deeply rooted in “exclusive humanism”; this discourages religious values and forms socio-cultural conditions that pose immense challenges for catechesis. The General Directory for Catechesis is a witness to the Church’s “mind” regarding catechetical ministry and evangelization in this post-modern society. The guiding principles laid out in the document reveal the Church’s position on the nature and purpose of catechesis, as well as the content, pedagogy, and participants of catechetical education. These testify that the Church envisions a holistic education that informs, forms, and transforms the faithful on their life-long journey as disciples of Jesus Christ. This means that catechesis must encompass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imensions to integrate the people’s lives and Christian faith into a living faith. In short, the Church is calling for an integral formation toward holistic faith. The paper will follow by proposing ten principles that may help put these principles into practice, so that the “mind of the Church” may come to see light to illumine the darkness of this day.

      • 교리교육과 교회

        François Moog 지음,곽진상(Kwak, Jinsang) 옮김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6 이성과 신앙 Vol.61 No.-

        개인주의와 전달의 위기는 신앙 선포와 신앙 전달에서 교회적 매개의 중요성을 망각하게 하면서 교리교육과 교회의 내적인 결합의 관계를 생각하는 데 방해를 주고 있다. 이 논문은 이 관계를 재발견할 것을 세 단계를 통해 제안한다. 첫 번째 단계는 신앙의 교회적 차원을 요셉 라칭거의 작업을 통해서 보여준다. 이로부터 교회는 신앙 전달을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임의적인 것이 아님을 발견한다. 교회 없이 선포되고 전달되며 받아들여진 신앙은 없다. 신앙의 구조 자체가 대화적이기 때문이다. 두 번째 단계는 교회를 계시 사건과 신앙 행위 내부로부터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20세기에 들어와 교회는 ‘공동체’라는 용어를 통해서 교리교육의 사명이 모든 하느님 백성의 책임임을 자각한다. 이로부터 공동체는 하느님 말씀과 성사 그리고 이웃 사랑의 공동체로서, 교리교육의 주체일 뿐만 아니라 교리교육의 내용에 속한다는 것이 드러난다. 세 번째 단계는 어떻게 교리교육이 교회를 형성하고 만드는 지를 보여주면서 교회와 교리교육의 관계가 상호적 관계임을 밝힌다. 이 상호 관계는 교리교육을 새로운 복음화의 중심으로, 곧 선교적 공동체를 만들고 쇄신하는 교회적 행위로 여기도록 이끈다. L’individualisme et la crise de la transmission empêchent souvent de penser le lien qui unit catéchèse et Eglise, au risque de faire oublier l’importance des médiations ecclésiales dans l’annonce et la transmission de la foi. L’article propose de redécouvrir ce lien en trois étapes. La première partie montre la dimension ecclésiale de la foi à partir des travaux de Joseph Ratzinger. On y découvre que l’Eglise n’est pas facultative dans le domaine de la transmission de la foi : il n’y a pas de foi annoncée, transmise et reçue sans Eglise car la structure même de la foi est dialogale. La deuxième propose de penser l’Eglise à l’intérieur de l’événement de révélation et à l’intérieur de l’acte de foi. Par la notion de communauté, l’Eglise au XXe s. a pu affirmer que la mission catéchétique est de la responsabilité de tous les membres du peuple de Dieu. Ce faisant, il apparaît que la communauté n’est pas seulement le sujet de la catéchèse mais appartient au contenu de la catéchèse en tant que communauté de la Parole, du Sacrement et de l’amour du prochain. La troisième partie propose de considérer comment la catéchèse construit et façonne l’Eglise, montrant ainsi que le lien entre Eglise et catéchèse est réciproque. Ce rapport réciproque permet de penser la catéchèse au cœur de la nouvelle évangélisation comme une action qui constitue et renouvelle le tissu ecclésial pour former des communautés missionnaires.

      • KCI등재

        제롬 브루너의 교육 사상적 관점에서 본 종교개혁자들의 교리문답교육 효율성 제고 방안

        김웅기 ( Kim Ungkee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8 성경과신학 Vol.85 No.-

        올해로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게 되었다. 종교개혁 시기에 종교개혁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였던 교육적 노력 가운데 가장 눈에 두드러지는 것 중에 하나가 교리교육에 대한 강조이다. 오늘날 교리교육은 한국교회에서 외면당하고 있는 형편이다. 입교자나 세례자를 대상으로 간단한 교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이것마저도 요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도외시되고 있는 교리문답 교육을 활성화시킬 방안을 찾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종교개혁자 마틴 루터(Martin Luther)와 존 칼빈(John Calvin)의 교리문답서의 기본 구조와 그 안에 도입되어 있는 교수법을 확인하였다. 그리고나서 제롬브루너(Jerome Brunner)의 교육 사상 속에 나타난 교육적 통찰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브루너의 전후기 이론을 기초로 하여 이야기와 함께 교리가 제시되는 것, 그리고 그 의미가 쌍방향적인 질문과 대답 속에서 구체화되고 구성되어 가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의 교리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일어난다면, 오늘날 교리교육이 안고 있는 난점들이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종교개혁자들에게 있어서 교리교육은 문답의 형태로 가정에서 실시되는 것이어야 했다. 오늘날도 가정에서 교리문답을 통해 전달되는 교리들은 쉽게 제시되어야 한다. 핵심적인 내용들을 간추려서 방대하지 않은 분량으로 기성세대로부터 자라나는 세대에게 전수되어야 한다. 교리교육의 내용은 변치 않지만, 그 교리와 함께 전달되는 삶의 이야기들은 가족 구성원들에 의해 계속해서 풍부하게 확장되어 자신의 정체성을 분명히 깨닫고 세상을 변화시키는 건강한 그리스도인들이 많이 양성되길 기대한다. This year marks the 500th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One of the most prominent things of the educational efforts that the Reformers considered important during the Reformation was the emphasis on educating catechism. Today, educating catechism is being ignored by Korean church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stimulate catechism education that is being neglected today. In order to realize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investigated the basic structure of the Catechism of Martin Luther and John Calvin, and the teaching methods introduced therein. It then presented educational insights that appeared in Jerome Brunner’s educational thoughts. This paper proposed that the doctrine is presented along with the story based on Bruner’s educational theory, and that the meaning of the doctrine is specified and constructed in interactive questions and answers. If this kind of catechetical education takes place in the education field, the effectiveness of c atechism l essons t oday c an b e f orcefully e nhanced. For the Reformers, catechism lessons should have to be conducted in the home. The catechism must be passed on to next generations from the older generation. The contents of catechism does not need to be changed, but the stories of life delivered with that doctrine must be continually expanded by family members.

      • 교리교육 지침서들에 나타난 교리교육의 특성

        정신철(Sinchul Jung)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2 누리와 말씀 Vol.51 No.1

        이 논문에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보편 교회에서 반포한 교리교육 지침서들의 신학적 배경과 교리교육의 방향들의 변화를 설명하였다. 1971년에 반포된 『교리교육에 관한 일반 지침서』는 첫 번째 지침서이었기에, 교리교육에 대한 전반적 내용을 포괄적으로 담았다. 특별히 1950-1960년대에 있었던 교리교육에 관한 국제회의의 결과를 이 지침서는 포함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래서 그리스도 중심주의 교리교육이라는 신학적 기초를 통한 교리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1997년에 반포된 『교리교육 총지침』은 1992년에 반포된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더욱 잘 사용하기 위한 교리교육적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반포되었다. 물론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교리교육에로의 적용에 대한 지침을 주기도 하였지만, 『총지침』은 복음화의 과정 안에서 교리교육을 바라보기 시작하였다. 그래서 이전까지 첫 번째 복음선포와 교리교육의 구분을 없애고, 초기 선교의 교리교육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복음화 전체과정 안에서의 교리교육의 역동성을 정의하기 시작하였다. 2020년에 반포된 『교리교육 지침』은 프란치스교 교황의 『복음의 기쁨』의 기본 사상인 ‘선교’를 기초로 한 교리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복음화의 과정 안에서 교리교육은 첫 번째 복음선포에서 시작되고, 복음선포를 더욱 심화하는 역할을 함을 강조한다. 그래서 이 지침에서도 그리스도 중심주의 교리교육을 언급하지만, 이전 문헌보다 더욱 심층적으로 그리스도와의 첫 만남과 그에 대한 회개를 이끄는 총괄적 의미의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에 대해 말하고 있다. 보편 교회에서의 지침서들의 반포는 지역 교회의 교리교육 지침서의 출판에 자극을 준다. 보편 교회가 제시하는 원칙과 기준들이 각 지역에 맞는 환경과 상황을 고려한 지침들로 구체화되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이미 『한국 천주교 교리교육 지침』이 만들어져 반포되었지만,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교리교육 지침』에 따른 다른 형태의 교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문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런 의미에서 『한국천주교 청소년 사목 지침서』의 더욱 깊은 연구를 통한 활용도 깊이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This thesis explained of the theological background of guidelines which were promulgated and of the changes of direction for catechesis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in the Universal Church. Because The General Catechetical Directory (Directorium Catechisticum Generale) was the first directory, promulgated in 1971, it contains the general contents on catechesis wholly. Especially, in this directory we can see the effort for including the results of International Catechetical Congress which were held in 1950’s and 1960’s. Therefore, it set a catechetical direction through the theological basis, Christ-centered catechesis. The purpose of The General Directory for Catechesis promulgated in 1997 was to propose the catechetical direction for the better using of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issued in 1992. Needless to say, The General Directory for Catechesis gave guidance on the catechetical application of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and also begun to see catechesis in the process of evangelization. Therefore, it remov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revious first proclamation of Gospel and catechesis, and begun to define the dynamic of catechesis in the process of evangelization by using the term of catechesis of early-stage mission. The Directory for Catechesis issued in 2020 propose the catechetical direction based on the ‘Mission’, the fundamental idea of The Joy of the Gospel by pope Francis. The Directory for Catechesis says that Catechesis in the process of evangelization started from the first proclamation of Gospel and underline that it plays a role to more enhance the proclamation of Gospel. Therefore, this Directory for Catechesis also mention the Christ-centered catechesis, but it is talking about the overall-meaningful Gospel-proclamatory Catechesis, which leads to the first encounter with Christ and the repentance about it in depth than the previous documents. The promulgations of the Directories in the Universal Church stimulate the publication of the ones of local churches. It is because the Universal Church wants local churches to make the directories in the circumstances and situation according to each district in the principles and criterion which the Universal Church proposes. In Korea, The Directory for Catechesis of Korea Catholic Church was made and promulgated but there is also need for the documents which propose the catechetical direction with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The Directory for Catechesis, which showed new direction. In this meaning, the application, through deep study on The Pastoral Directory for Youth of Korea Catholic Church, needs to consider seri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