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봉합술

        신상진(Sang-Jin Shin)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1

        목적: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은 파열단의 내측 퇴축, 근위축 및 지방 변성과 함께 주변 조직과의 유착 등으로 해부학적 봉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본 종설에서는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여러 가지 치료 방법 중 봉합술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임상 결과 향상과 재파열율을 감소시키고 치유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봉합술의 선택은 환자의 나이, 동반 질환, 통증, 운동 범위 감소, 근력 약화 등의 임상 증상 및 재활 의지 등 환자와 관련된 요인과, 회전근 개 파열 기간, 크기, 퇴축 및 지방 변성 정도 등은 회전근 개와 관련된 요인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결과: 조직의 가동성이 떨어져 해부학적 봉합이 어려운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은 주변 조직 유리 술과 간격 활주 방법으로 가동성을 증가시켜 봉합할 수 있다. 주변 조직 유리술을 시행하고 회전근 개의 가동성을 증가시켜도 해부학적 봉합이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은 부분 봉합, 변연 수렴 술식 및 상완 이두건 절제 및 고정술 등의 대체 술식을 고려할 수 있다. 광범위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서 견봉하 감압술 및 회전근 개 봉합술에 관한 여러 보고는 통증 감소, 견관절 기능 및 근력 회복 등 만족할만한 임상 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나 장기 추시 결과 높은 재파열율이 관찰되고 있다. 결론: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치료는 아직까지 높은 재파열 발생율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으나 광범위 파열의 병인, 진행 과정 및 임상 양상에 대한 이해와 재파열 예후 인자 분석 등을 통해 향상된 치료 성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Anatomical repair of massive rotator cuff tear has been technically challenging because of medial retraction, muscle atrophy and fatty degeneration. Among several treatment options for massive rotator cuff tear, we reviewed rotator cuff repairs and investigated modalities for improvement of clinical outcomes, decreasing the re-tear rate, and increasing healing.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related factors and rotator cuff-related factors were the two major groups of factors we considered when choosing a treatment plan. Results: Mobilization of a massive rotator cuff tear was increased by soft tissue release and by the interval slide technique. After meticulous soft tissue release, anatomical repair could be achieved. If the injury was not amenable to anatomical repair, alternative treatment options such as partial repair, the margin convergence technique and augmentation with a tenotomized biceps tendon were considered. Many reports of massive rotator cuff repair demonstrated satisfactory clinical outcomes, decreased pain, recovery of shoulder functions, and increases in muscle strength. However, the re-tear rate had been reported to be relatively high in long-term follow-up. Conclusion: Despite a high re-tear rate after massive rotator cuff repai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athogenesis, progression and clinical symptoms of massive rotator cuff tear and improved surgical materials and techniques will lead to satisfactory clinical outcomes.

      • KCI등재

        회전근 개의 광범위 파열

        김양수(Yang-Soo Kim),이효진(Hyo-Ji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1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은 봉합 불가능한 광범위 파열과 구분되며 파열의 크기가 5 cm 이상 또는 두 개 이상의 건의 파열로 정의한다. 실제 임상에서 경험하게 되는 광범위 파열 중 그 크기가 5 cm 이상 되는 파열은 동양인에게서는 보기 어려우므로 두 개 이상의 건파열로 정의하는 것이 합당하리라 생각한다. 대부분의 광범위 파열은 만성적인 작용에 의해 발생하며 점진적으로 악화되는 통증 혹은 근력 약화를 주소로 내원한다. 올바른 진단에 따른 적절한 치료 방법을 정하기 위해서는 과거력의 면밀한 파악과 정확한 신체검사를 요한다.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은 만성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을 하는 관계로 파열된 건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원 부착 부위로의 해부학적 복원이 용이치 않다. 파열의 봉합 이외에도 호소하는 증상에 따라 물리 치료, 이두근 장건 절단 혹은 고정술, 상견갑 신경 유리술, 조직 보강을 포함하는 회전근 개 복원술, 건이전술 및 인공관절 치환술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Massive rotator cuff tear is defined by either a tear size of more than 5 cm or involvement of more than two rotator cuffs. In reality, among Asians, it is almost impossible to find a tear size larger than 5 cm and the latter definition preferred. Most massive rotator cuff tears are chronic and patients usually complain of gradual aggravation of pain or muscle weakness. Exact evaluation of past history along with an appropriate physical examination is necessary for the exact diagnosis and further treatment. As most massive rotator cuff tears are based on chronic factors, not only the tear site, but whole tendon quality may be poor, making anatomical reconstruction difficult. In addition to primary repair of the torn tendon, many other treatment options are available, such as physical therapy, biceps tenotomy/tenodesis, release of suprascapular nerve, repair with tissue augmentation, tendon transfer, or arthroplasty. These options should be selected carefully according to the symptoms.

      • KCI등재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변연절제술 및 결절성형술

        조남수(Nam Su Cho),오현섭(Hyun Sup Oh),이용걸(Yong Girl Rhee)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3 No.1

        목적: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여러 가지 수술 방법 중 고령의 봉합이 불가능한 파열에 대해 시행하는 단순 변연절제술 및 결절성형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봉합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여러 수술 방법 및 치료 방법의 선택에 대하여 문헌을 검토하고 정리하였다. 특히 고령의 봉합이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시행할 수 있는 단순 변연절제술 및 결절성형술에 대해 연구 발표된 논문을 조사하여 요약하고 정리하였다. 또한 본 저자들의 교실에서 회전근 개의 심한 퇴축으로 도저히 봉합이 불가능하였던 32예를 대상으로 시행된 관절경적 결절성형술의 수술 방법을 소개하고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에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 29개월 (13~52개월) 추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통증의 감소와 능동적 거상 운동 범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능적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수술 전 견봉-상완 간격이 2 mm 미만으로 좁았던 경우에는 수술 후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광범위 파열의 관절경적 치료에 있어, 일단 회전근 개 유리술 후 봉합이 가능한 경우는 최대한 봉합술을 시도해 볼 수 있으며, 봉합이 불가능한 광범위 파열의 경우에는 무리하게 일차 복원술을 시도하기 보다는 수술 전 통증은 있으나 90도 이상 능동적 전방 거상이 가능하고 방사선 사진상 견봉과 상완골 두 사이 간격이 2 mm 미만으로 좁아지지 않은 경우에는 견봉성형술을 포함한 관절경적 결절성형술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review the effectiveness of arthroscopic debridement and tuberoplasty, and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of our series for irreparable massive rotator cuff tears in the elderly.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articles that focused on the treatment options and decision making for irreparable massive rotator cuff tears. In particular, we summarized the reported results of arthroscopic debridement and tuberoplasty for irreparable massive rotator cuff tears in the elderly. Among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arthroscopic tuberoplasty for irreparable massive rotator cuff tears in our series, thirty-two patients available for clinical and radiological evaluation at a mean follow-up of 29 months (range, 13-52 months) were enrolled and reviewed for the analysis. Results: At the last follow-up, the range of active forward flexion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excellent pain relief and improvement in the ability to perform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However, the group with less than 2 mm in preoperative acromiohumeral distance showed inferior postoperative results. Conclusion: Arthroscopic tuberoplasty may be an alternative option in irreparable massive rotator cuff tears for pain relief and improvement of range of motion. However, good results can not be expected if the acromiohumeral distance is less than 2 mm preoperatively and decreases postoperatively, or when the preoperative range of motion is less than 90 on flexion and abduction.

      • KCI등재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 성형술

        김명선(Myung-Sun Kim),문은선(Eun-Sun Moon)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3 No.1

        목적: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매우 어려우며, 다양한 수술 방법이 알려져 있다. 여러 수술 방법 중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적용될 수 있는 관절 성형술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수술 방법 중 하나인 관절 성형술에 관한 문헌들을 조사하여 요약하고 정리하였다. 결과: 봉합이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환자에서 관절 성형술은 일차적 치료법 또는 구제술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반관절 성형술은 오구 견봉 궁이 건재할 경우 Neer의 제한적 기준을 목표로 삼는다면 만족스런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역형 견관절 전 성형술은 가성 마비를 동반한 고령의 환자에서 동통 완화와 능동적 거상을 회복할 수 있는 구제술이다. 결론: 치료가 어려운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환자에서 적절한 관절 성형술의 선택은 견관절의 동통 완화와 기능적 관절 운동 범위 회복을 가능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Surgical treatment of massive rotator cuff tear is challenging and there are various surgical option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arthroplasty for the treatment of massive rotator cuff tear.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all publications that focused on and/or mentioned arthroplasty as a treatment option for massive rotator cuff tear. Results: Arthroplasty can be used as primary treatment and represents a salvage option for irreparable rotator cuff tear. Hemi-arthroplasty can provide satisfactory results by Neer’s limited goals criteria in patients with intact coracoacromial arch. In addition,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can be a salvage option for pain relief and restoration of active flexion in elderly patients with pseudoparalysis. Conclusion: In patients with massive rotator cuff tear, proper selection of arthroplasty can provide pain relief and restoration of functional range of motion in shoulder joints.

      • KCI등재

        개방적 완전 봉합술로 치료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환자에서 치료 전후의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소견의 변화

        문은선(Eun-Sun Moon),최민선(Min-Sun Choi),김명선(Myung-Sun Kim),공일규(Il-Kyu Kong),김병진(Byoung-Jin Ki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09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2 No.2

        목적: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해 개방적 완전 봉합이 가능하였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전, 후의 방사선학적 소견의 변화와 진행 정도를 회전근 개 재파열 정도 및 임상적 결과와 함께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해 개방적 완전 봉합술을 시행 받고 24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ASES)의 견관절 기능 평가법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과 관련한 관절염의 정도는 Hamada의 분류법을 기준으로 하였다. 결과: ASES 점수는 수술 전 평균 37.6점에서 85.6점으로 호전되었다. 수술 전 acromiohumeral interval (AHI)은 평균 6.5 mm였으며, 수술 직후 평균 9.3 mm로 증가하였으나, 최종 추시에서 평균 6.5 mm로 다시 감소되는 소견을 보였다. Hamada 분류법에 따른 관절염의 방사선학적 단계는 수술 전과 수술 후 모두 그 단계가 낮을수록 보다 좋은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결론: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수술적 치료로서 개방적 완전 봉합술은 비록 수술 후 재파열이 발생하더라도 임상적으로는 통증 경감과 견관절 기능 향상 면에서 상당히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adiologic findings of patients with complete repairs after massive rotator cuff tears along with the incidence of re-tear and the clinical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valuated 33 cases who had open complete repairs for massive rotator cuff tears and thes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24 months. The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houlder joint function test of th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and the degree of arthritis related to the massive rotator cuff tears was evaluated using the Hamada classification. Results: The ASES scores improved from 37.6 preoperatively to 85.6 postoperatively. The mean preoperative acromio-humeral interval (AHI) score was 6.5 mm, which increased to 9.3 mm immediately after surgery, and there was a decreased to 6.5 mm noted at the last follow up. The lower radiology stages of arthriti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howed better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esults. Conclusion: An open complete repair as the surgical treatment for a massive rotator cuff tear showed satisfactory results for pain relief and an improvement in the shoulder joint function though re-tear after surgery.

      • KCI등재

        Th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Features and Radiographic Grades in Massive Rotator Cuff Tear Patients

        Eun-Sun Moon(문은선),Myung-Sun Kim(김명선),Min-Sun Choi(최민선),Hyung-Won Kim(김형원),Keun-Young Lim(임근영)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방사선학적 소견과 임상 소견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로 진단된 45예 (35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Hamada의 분류법을 사용하여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환자의 방사선학적 소견을 분석하고, 임상적 평가는 UCLA 점수를 이용하였으며, 서로 간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염 등급과 임상 소견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았다(r<SUB>s</SUB>=0.220, p=0.151). 우세수 측 침범이 더 높은 수술적 치료의 비율과 더 낮은 UCLA 점수와 관련이 있었다. 결론: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환자에서 관절염의 방사선학적 소견이 일상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소견과 항상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환자의 치료 방법의 결정에 있어서는 신중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adiographic and clinical findings of massive rotator cuff tears. Materials and Methods: Forty-five diagnosed cases (35 patients) of massive rotator cuff tear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Grade of arthritis in the massive rotator cuff tears was classified based on plain radiographs using the method of Hamada et al.. And we clinically evaluated cases using the UCLA scoring system. Resul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r<SUB>s</SUB>=0.220, p=0.151) was found between arthritis grades in massive rotator cuff tears and clinical features. Dominant arm involvement appeared to be related to a higher rate of surgical treatment and a lower UCLA score. Conclusion: In massive rotator cuff tear patients, radiographic findings of arthritis may not always correspond to clinical features relevant in daily life. Therefore, we suggest that treatment strategie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when considering treatment modalities.

      • KCI등재

        광범위 회전근개 파열과 동반된 삼각근 파열

        오용승(Yong Seung Oh),조형래(Hyung Lae Cho),진홍기(Hong Ki Jin),김종민(Jong Mi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6

        비외상성 삼각근 파열은 드문 질환으로 견관절 수술 후나 반복적인 스테로이드 주사의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으나, 만성 광범위 회전근개 파열과 관련된 마멸성 파열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회전근개 광범위 파열의 경우 견관절의 거상 운동은 주로 건재한 삼각근 기능에 의존하므로 삼각근 파열은 돌발적인 가성마비와 같은 심각한 기능 장애를 유발한다. 저자들은 삼각근 파열을 동반한 특이한 회전근개 광범위 파열 환자 2예를 경험하고 삼각 대흉근 도달법 피부 절개 하에서 삼각근을 봉합하고 역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하여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traumatic deltoid muscle rupture is a rare condition after open shoulder surgery or as a complication of repeated steroid injections. On the other hand, an attritional rupture associated with chronic massive rotator cuff tear can also occur. In a massive rotator cuff tear, elevation of the shoulder depends mainly on the function of the intact deltoid muscle, so deltoid muscle rupture causes serious disability with sudden pseudoparalysis. The authors report two unique patients with massive rotator cuff tear accompanied by a deltoid muscle rupture. Favorable clinical results were obtained by direct repair of the deltoid muscle and reverse shoulder arthroplasty under the same deltopectoral skin incision.

      • KCI등재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치료들 중 관절 치환술의 역할

        오주한(Joo Han Oh),최준하(Jun Ha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1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여러 치료 방법 중 관절 치환술에 대한 최신 지견을 알아보고자 하며, 각종 관절 치환술 술식의 장단점과 치료 방침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PubMed 논문 검색창을 통해 massive rotator cuff tears와 arthroplasty라는 어구를 사용하여 최근 나온 문헌들을 고찰하였으며,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수술 방법 중 하나인 관절 치환술의 역사와 적응증, 임상 결과 및 치료 지침에 대해 알아보았다. 관절 치환술은 관절염이 진행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환자에서 일차적 치료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반관절 치환술은 가성 마비가 없는 회전근 개 파열 관절병증을 가진 환자에서 오구 견봉궁이 건재할 경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은 가성 마비를 동반한 고령의 회전근 개 파열 관절병증을 가진 환자에서 통증 완화와 능동적 거상을 회복할 수 있는 적합한 수술 방법이다.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적절한 수술 방법의 선택은 치료 성공의 중요한 과정이며, 관절 치환술 역시 적절한 적응증과 발전된 술기 등으로 인하여 좋은 결과가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plore current concepts of arthroplasty as a treatment for massive rotator cuff tears. Pubmed was searched using the words ‘massive rotator cuff tears’ and ‘arthroplasty’ for suitable articles, which were then reviewed and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history, indications, clinical outcomes, and treatment algorithms of arthroplasty in patients of massive rotator cuff tear. Arthroplasty can be considered a primary surgical treatment for patients with irreparable massive rotator cuff tears and hemiarthroplasty may be the treatment of choice in younger patients with an intact coracoacromial arch and no pseudoparalysis.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is the best surgical treatment for pain relief and the restoration of active forward flexion in elderly patients with cuff tear arthropathy and pseudoparalysis. Proper selection of arthroplasty can provide pain relief and functional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massive rotator cuff tears. However, complication rates remain high,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patient selection and careful operative technique.

      • KCI등재

        중범위 전층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광범위 근개 봉합법을 이용한 관절경 하 봉합술

        고상훈(Sang-Hun Ko),조성도(Sung-Do Cho),정광환(Kwang-Hwan Jung),차재룡(Jae-Ryong Cha),염윤석(Yoon-Seok Youm),정창윤(Chang-Yun Jung),서동교(Jae-Ryong Cha),전형민(Hyung-Min Jeon),이채칠(Chae-Chil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1

        목적: 중범위의 회전근 개 전층 파열에 대해서 관절경 하의 변형된 Mason-Allen 방법을 이용한 massive cuff stitch (MCS, 광범위 근개 봉합)의 유용성과 임상적 결과 및 단기 추시 후 봉합의 연속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2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중범위 회전근 개 전층 파열로 관절경하 봉합술을 시행한 23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술 전과 6개월, 1년, 마지막 추시 때에 통증에 대한 VAS, ADL (Activity of Daily Living), UCLA 기능평가 점수를 측정하였으며, paired t-test로 비교하였다. 평균 연령은 54 (43-69)세였고 평균 추적기간은 14 (12-17)개월이었다. 술 후 11예에서 MRI를 촬영하여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 동통에 대한 VAS점수는 술 전 평균 7.0에서 0.9로 감소하였고(p<0.05), ADL은 술 전 평균 11.1에서 25.9으로(p<0.05), UCLA 기능평가 점수는 평균 13.6에서 32.5로 증가하였으며(p<0.05), 최종 추시에서 우수, 우량이 91.3%였으며, 1예를 제외한 23예(95.7%) 환자에서 만족하였다. MRI를 이용한 봉합의 연속성 평가에서는 1예(9.1%)에서 재파열이 있었다. 결론: 중범위 회전근 개 전층 파열에서 관절경 하의 변형된 Mason-Allen 봉합법을 두 겹으로 이용한 massive cuff stitch (MCS, 광범위 근개 봉합)는 증상의 호전과 기능 향상을 가져온다고 생각된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arthroscopic repair using the modified Mason-Allen Massive Cuff Stitch for medium sized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We verified the clinical results and evaluated the repair integrity after short term follow up. Materials and Methods: Twenty-three cases of arthroscopically repaired full thickness tear of the rotator cuff of an estimated medium size were evaluated between December 2004 to May 2005. The average patient age was 54 years old (range: 43-69 years old), and the mean follow-up was 14 months (range: 12-17 months). We analyzed the results by paired t-test. The follow up MRIs were checked in 11 cases. Results: The VAS pain score was improved from a preoperative average of 7.0 to a postoperative average of 0.9, the ADL was improved from 11.1 to 26.0 and the UCLA score was improved from 13.6 to 32.5 (all p<0.05). 91.3% showed an excellent or good result at the final follow-up. The satisfied rate was 95.7% (22 cases). There was re-rupture of the repaired rotator cuff in one out of 11 cases (9.1%). Conclusion: Arthroscopic repairs using a modified Mason-Allen Massive Cuff Stitch for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of an estimated medium size showed good clinical outcomes.

      • KCI등재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 감시하의 봉합술

        고상훈(Sang-Hun Ko),전형민(Hyung-Min Jeon),신승명(Seoung-Myung Shin)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3 No.2

        목적: 광범위 이상의 회전근 개 전층 파열에 대해서 UU 봉합법을 이용한 관절경 하의 이중 봉합술의 임상 결과와 수술의 유효성을 알아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광범위 회전근 개 전층 파열로 대결절의 중간부위까지 봉합이 가능하여 관절경하 봉합술을 시행한 36예의 환자중에서 1년 이상의 추시가 가능하였던 31예에 대하여 UU 봉합법을 이용하여 이열 봉합술 (Double Row Repair)을 시행하였던 11예를 1군으로, 단순 봉합법으로 일열 봉합술을 시행하였던 20예를 2군으로 하여 비교하였으며, 술전과 6개월, 1년, 최종 추시 때의 VAS of pain, ADL (Activity of Daily Living), UCLA 점수를 측정하였다. 통계적인 검정은 student t-test와 paired t-test로 비교하였다. 평균 연령은 59 (48~70)세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28 (12~43)개월이었다. 결과: 동통에 대한 VAS 점수에서 1군의 경우 술 전 평균 7.5에서 술 후 최종 추시에서 1.5로 감소하였고 (p<0.05), 2군의 경우 술 전 평균 7.6에서 술 후 최종 추시에서 1.8로 감소하였다(p<0.05). 두 군 간의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p>0.05). 평균 ADL은 1군의 경우 술 전 평균 11.5에서 술 후 최종 추시에서 평균 25.1으로 증가하였고 (p<0.05), 2군의 경우 평균 11.3에서 27.5으로 증가하였으며 (p<0.05), 두 군 간에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p>0.05). UCLA 점수는 1군의 경우 술 전 평균 13.9에서 술 후 최종 추시에서는 31.6으로 증가하였으며 (p<0.05), 2군의 경우 술 전 평균 13.8에서 술 후 최종 추시에서는 30.1으로 증가하였으며 (p<0.05), 두 군 간에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p>0.05). 술 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촬영한 MRI를 이용한 재파열의 비교에서 1군에서 9예 중 3예가, 2군에서 15예 중 8예에서 재파열이 있어서 두 군간에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p>0.05). 결론: 광범위 회전근 개 전층 파열에서 UU 봉합법을 이용한 관절경하 이열 봉합술은 일열 봉합술과 비교하여 임상적으로 차이가 없으나 재파열에서 차이가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and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double row repair with UU stitches for massive,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7 and July 2009, we consulted on 36 massive tears in which it was possible to repair the middle area of the greater tuberosity by arthroscopy. One group consisted of 11 cases that had a double row repair with UU stitches. A second group consisted of 20 cases that had a single row repair with simple stitches. We compared the 2 groups for pa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UCLA score, and KSS score. We did this pre operatively, and at 6 months, 1 year and final follow-ups.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Students t test and a paired t est. Mean age was 59 (48~70); mean follow-up was 28 (12~43) months. Results: VAS scores decreased from 7.5 pre operatively to 1.5 post operatively at the last f/u in the 1<SUP>st</SUP> group (p<0.05). In the 2<SUP>nd</SUP> group, the score decreased from 7.6 in pre op to 1.8 post operatively at the last f/u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05). Mean ADL increased from 11.5 to 25.1 at the last f/u in the 1<SUP>st</SUP> group (p<0.05); in the 2<SUP>nd</SUP> group the ADL score increased from 11.3 to 27.5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05). The UCLA score increased from 13.9 to 31.6 in the 1<SUP>st</SUP> group (p<0.05), while in the 2<SUP>nd</SUP> group the score increased from 13.8 to 30.1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05). Comparing MRIs at 3 and 6 months post op, there were retears in 3 of 9 cases in the first group, and in 8 of 15 cases in the second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05). Conclusion: Arthroscopic double row repair with UU stitches for massive,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s showed no differences in clinical results. However, it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ret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