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고표현에 있어 가용성 휴리스틱과 맥락효과가 시보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박승배(Park, Seung Bae) 한국소비문화학회 2011 소비문화연구 Vol.14 No.1

        Although the spread of 'Time Check Advertising' in all kinds of Advertising, A study related to time check advertising not has been in spotlight as an important research domai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how the effect of time check advertising is, moderated by advertising length. Specifically, using 2(advertising type : general advertising vs. time check advertising) X 2(TV program : rational vs. emotional)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we test specific hypothes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not more effective time check advertising than general advertising. That is, the effect of advertising is greater in general advertising than in time check advertising. Also,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adversing type and TV program type. That is, time check advertising after emotional TV program is more effective than time check advertising after rational TV program. 실제로 다양한 형태의 시보광고(time check advertising)가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보광고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시보광고가 일반광고에 비해 광고효과가 낮다는 연구들에서는 인지적 자원부족과 가용성 휴리스틱에 의해 광고효과가 저하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보광고와 일반광고의 상대적인 광고 효과를 재검증하고, 맥락효과가 시보광고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광고유형과 광고효과의 관계에서 방송프로그램 유형의 조절적 역할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시보광고 : 일반광고) X 2(이성적 프로그램 : 감성적 프로그램) 집단간 실험설계를 적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기존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시보광고는 일반광고에 비해 광고회상에서 그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성적 프로그램 뒤에 방영된 시보광고나 감성적 프로그램 뒤에 방영된 시보광고 모두 일반광고에 비해서 광고회상효과가 낮다. 또한 시보광고와 방송프로그램 간에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즉, 시보광고의 경우 감성적 방송프로그램 이후에 광고를 방영하는 것이 이성적 방송프로그램 이후에 광고를 방영하는 것보다 광고회상, 광고태도, 상표호감도에서 더 높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용성 휴리스틱에 의한 현저성 효과가 상대적으로 강력하지만 이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맥락효과(context effect)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 KCI등재

        복수모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 메시지 조절초점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송준호,김효규 대한경영정보학회 2013 경영과 정보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메시지조절초점 유형이 복수모델의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동안 광고모델, 특히 유명인의 광고의 효과성에 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지만, 상대적으로 복수모델의 광고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고 더욱이 모델의 수에 따른 효과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서 메시지조절초점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복수모델광고가 제시되는 경우를 하나의 광고에 두 명의 광고모델이 동시에 제시되는 광고형태로 제한하여, 광고모델의 수에 메시지 조절초점의 정보처리 특이성을 적용하여 광고효과의 차이점을 검증 하였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광고모델의 기용 시 사회적 합의성 증가와 정보원의 원천확대 증가에 의해 광고모델과 소비자와의 관계성이 향상하는 효과가 나타나며 이러한 복수모델의 광고효과는 소비자가 메시지를 수용할 때 주로 관계적 정교화(relational elaboration) 정보처리를 하게 되는 향상초점메시지에서 보다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광고 모델 수(단수모델/복수모델)×메시지 유형(향상초점메시지/예방초점메시지)의 실험결과, 메시지 유형에 상관없이 복수모델의 경우가 단수모델의 경우보다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서 모두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복수모델의 경우에 향상초점메시지를 사용한광고가 예방초점 메시지를 사용한 광고보다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서 모두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나아가 광고 모델의 수와 메시지조절초점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계는 물론 광고실무자들에게도 시사하는 점이 클 것이며 향후 광고모델수의 광고효과 연구의 확장에도 많은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광고메시지 조절초점과 소비자 자기해석 유형에 따른 복수의 광고모델 효과에 관한 연구

        송준호 한국광고PR실학회 2016 광고PR실학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정보원의 원천확대와 사회적 합의성의 증가로 인해 복수모델이 단수모델보다광고효과가 높으며, 모델 간의 조화도가 높을수록 광고효과가 더 높을 것임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모델 수의 증가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델 수의 증가와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예측되는 메시지 조절초점 유형(향상초점 메시지와 예방초점 메시지)와 소비자의 자기해석 유형(의존적 자기해석과 독립적 자기해석)이라는 두 조절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으리라는 것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복수모델은 단수모델보다 광고효과가 높으며 복수모델에서는 복수조화모델이복수부조화모델보다 더 높은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복수모델에서는 향상초점 메시지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단수모델에서는 메시지 유형에 따른 효과 차이는없을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의존적 자기해석 유형의 소비자들에게는 복수모델이 효과적이며, 독립적 자기해석 유형의 소비자들에게는 단수모델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복수모델을 광고에 기용함에 있어 복수모델의 조화도에 따라 효과는 어떻게 달라질 수있으며, 메시지 조절초점 유형과 소비자의 자기해석 유형이 조절효과요인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총체적인 연구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연구를 위한 이론적시사점을 논의하는 한편, 복수모델 사용에 있어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도 제시하고 있다.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at multiple models, in terms of multiple source effect and social consensus, are more effective than single model and the higher the degree of harmony between the models the effect of advertising will prove to be higher. And also,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message regulatory focus (promotion-focused message vs. prevention-focused message) and self-construal (dependent vs. independent) on the advertising effect of multiple models. It was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effects of advertising by single model, multiple harmonic model and multiple dissonance model. On the condition of multiple model, the promotion-focused message is more effective and there is no difference of advertising effect between the promotion-focused message and prevention-focused message on the condition of single model. And then it was proved that for dependent consumer multiple model is effective and for independent consumer single model is effective. In the purpose of further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earch, this research therefore presents the overall perspectives of the advertising effect of multiple models including moderating roles of message regulatory focus and self-construal in terms of involvement, harmony and gender differences.

      • KCI등재

        A Study on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the Third-Person Effect in Alcohol Product Placements in Movies

        김준교,차영란 한국방송광고공사 2009 광고연구 Vol.0 No.83

        본 연구는 논란이 되는 영화 속 술 음료 간접광고를 다루면서 매스미디어의 제3자 효과이론을 확장한다. 술 광고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과 영화 속 간접광고의 윤리적, 심리학적 문제에 대한 사회적 염려를 고려하면서, 본 연구는 제3자 효과를 이론적 배경으로 청소년 영화 속 술 브랜드 간접광고를 살펴보았다. 제3자 효과이론은 매스미디어의 영향이 자기 자신보다 제3자인 남들에게 더 클 것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부정적인 결과를 야기하는 메시지가 자기 자신보다 남들에게 더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사회적 부작용을 초래하는 제품들의 광고를 금지하는 것은 청소년과 어린이 같은 광고에 취약한 수용자 집단을 보호해 줄 수 있다는 믿음에서 기인한다. 본 연구는 제3자 효과 연구의 틀을 적용해서 미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청소년 영화 속 술 브랜드 간접광고에 대한 인지적 차원의 효과를 살펴보고, 광고규제에 대한 지지도를 측정하여 행위적 차원의 효과를 아울러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비확률 표집으로 선택된 미국 대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서베이 조사를 실시했다. 분석 과정에서는 지각된 메시지의 바람직성, 이슈 관여도, 자존심, 그리고 사회적 거리와 같은 상황적 변인들을 제3자 효과의 방향과 크기 등과 연관해서 검토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의 세가지 중요이슈를 다루었다: (1) 청소년 영화 속 간접 술 광고의 지각된 제3자 효과, (2) 청소년 영화 속 간접 술 광고의 제3자 효과 예측 변인, 그리고 (3) 지각된 제3자 효과와 청소년 영화 속 간접 술 광고에 대한 규제 지지의 관계. 분석결과, 청소년 영화 속 술 브랜드 간접광고에 대해 자기 자신보다 타인들이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제3자 효과가 밝혀졌다. 또한,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클수록 청소년 영화 속 술 브랜드 간접광고의 규제를 지지할 것이라는 행위적 측면의 효과도 입증되었다. The third-person effect framework assumes that people attribute different effects of mediated messages on themselves vs others, and that they perceive persuasive media messages to have greater effects on other than on themselves. This study investigated perceptions of possible effects of alcohol product placement in youth films on different target groups, thereby extending current third-person effects research to a medium other than the traditional forms of advertising.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1) whether and to what degree the third-person effect functions in the special case of alcohol product placement in youth movies; (2) the influence of selected demographic, perceptual, and attitudinal variables on consumer perceptions of third person alcohol product placement effects, and (3)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hird-person effects and support for alcohol product placement regulation in youth movies. We found a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the perceived effect of alcohol product placement in youth movies. We found a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the perceived effect of alcohol product placement in youth movies on self and others, and further provided empirical support for the theoretical link between third-person perception and pro-censorship attitude.

      • KCI등재

        기만적 검색광고의 제3자 효과 및 광고효과 연구

        신동희(Dong Hee Shin),장우성(Woo Sung Cha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광고연구 Vol.0 No.87

        본 연구는 기만적 검색광고의 기만성 인지 정도와 다운로드 관여도에 따른 제 3자 효과 및 광고효과를 살펴보았다. 우선 제 3자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검색광고의 기만성을 높게 인지하는 집단은 제 3자 효과가 나타난 반면 낮게 인지하는 집단은 제 3자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인터넷 다운로드 관여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서는 관여도와 상관없이 두 집단 모두 제3자 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다음으로 기만성 인지 정도와 다운로드 관여도에 대한 광고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만성 인지 정도와 다운로드 관여도에 따른 광고태도 및 클릭의도의 주효과는 없었으나 상호작용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기만성 인지 정도와 다운로드 관여도가 동시에 고려되었을 때 기만적 검색광고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기만적 검색광고효과가 가장 높은 집단은 인터넷 다운로드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으며 기만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집단이었다. 따라서 순수한 의도에서 인터넷 검색엔진의 신뢰도를 바탕으로 검색을 실시하여 피해를 보는 소비자들이 더 생기기전에 검색광고의 검색결과 표현이나 메시지에 대한 기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has examined the degree of perception of deceptive search engine advertising and the third person effect as well as advertising effect depending on involvement in download. Firstly,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third person effect tells us that the group highly aware of deceptiveness of search engine advertising showed the third person effect. But another group with low awareness didn`t show any third person effect. Groups of high or low involvement in internet download all showed third person effect without regard to their levels of involvement. Secondly, the study has looked into advertising effect against the degree of perception of deceptiveness and level of involvement in download. The result is such that there was no main effect of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nd intent to click depending on the degree of perception of deceptiveness and the level of involvement in download. However, interactioneffects al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ly, we could come up with a finding that the degree of perception of deceptiveness and level of involvement in download when considered simultaneously bring different effects of deceptive search engine advertising.

      • KCI등재

        간판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이수연 한국옥외광고학회 2012 OOH광고학연구 Vol.9 No.1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emotion oriented products, visual was more effective than text in the advertising effect,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reason oriented products, text was more effective than visual. This study could confirm its result was similar with the result of existing researches through the facts that a text outdoor sign was more effective in the reason oriented product rather than in the emotion oriented product, on the other hand, a visual outdoor sign was more effective in the emotion oriented product rather than in the reason oriented product. Second, in the research of advertising effect for message appealing type and involvement, visual was more effective than text in all situations including advertisement attitude in high involvement and low participation, shop's attitude and visit intention, a visual outdoor sign had a higher advertising effect in high involvement than in low participation, in case of a text outdoor sign, there was no remarkable significance caused by the difference of participation. Third, in case of the advertising effect for message appealing type and need for cognition, a visual outdoor sign had a higher advertising effect than a text outdoor sign in both high need for cognition and low need for cognition. and a text outdoor sign showed a higher advertising effect in low need for cognition , on the other hand, a visual outdoor sign in high need for cognition. 본 연구는 간판의 광고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간판의 메시지 소구유형을 비주얼과 텍스트로 구분하고 제품유형, 사인에 노출되는 소비자의 개인적 성향과 관계된 관여도와 인지욕구가 간판의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보고 각 변인간의 관계에서 상호작용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에 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감성제품의 경우 텍스트보다 비주얼의 광고효과가 높게 나타났고 이성제품은 텍스트보다 비주얼의 광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텍스트 간판은 감성제품보다 이성제품에서 효과가 좋았으며 비주얼 간판의 경우 이성제품보다 감성제품의 광고효과가 높아서 기존 연구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메시지 소구유형과 관여도에 대한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는 고관여와 저관여에서 광고태도, 상점태도, 방문의도 모두 텍스트보다 비주얼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주얼 간판은 저관여보다 고관여에서 광고효과가 높게 나타났고 텍스트 간판의 경우는 관여도 차이가 거의 없었다. 셋째, 메시지 소구유형과 인지효과에 대한 광고효과는 고인지욕구와 저인지욕구 모두 텍스트보다 비주얼 간판에서 광고효과가 높게 나타났고 텍스트 간판은 저인지욕구에서, 비주얼 간판은 고인지욕구에서 광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정부 정책광고의 메시지 수용 과정과 정부광고의 효과 측정을 위한 지수 개발

        김병희,손영곤 한국광고학회 2024 광고학연구 Vol.35 No.2

        이 연구는 정부광고의 효과 지수를 제안함으로써, 정부 정책광고 활동의 현재 수준을 진단하고 해당 정책에 대한 수용도를 확인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부 정책의 성패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의 하나는 정책 소통이다. 정책 소통을 위해 집행하는 정부광고는 사전에 의도한 광고 목적을 달성했는지 그 효과를 면밀히 분석해야 하고, 광고효과를바탕으로 향후 정책광고의 메시지 전략과 매체 전략의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2022년에 집행된 정부 정책광고 중에서 일반공지, 정보제공, 인식변화, 행동유발이라는 4개 유형에 각각 해당하는 광고물을 노출한 다음, 정책 메시지에 대한 수용자의 반응을 위계적 광고효과모형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부광고의 효과는 위계적 효과 모형에서 제시된 ‘이해-태도-행동’을 측정해야 타당하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정부광고의 효과 지수를개발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정부광고의 목적에 따라 광고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정부광고의 효과 지수를 개발하고, 효과 지수의 영향력 관계를 보여주는 측정 모형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정부광고를 기획하고 집행할 때의 고려 사항에 대해 논의하고, 정부광고의 효과 제고에 필요한 실무적 시사점 3가지를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guideline for diagnosing the current level of government policy advertising activities and confirming the degree of acceptance of the policy by proposing an index of the effect of government advertising.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government policies is policy communication. The effect of government advertising executed for policy communication must be carefully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 intended advertising purpose has been achieved, and the direction of future policy advertising message strategies and media strategies must be established based on the advertising effect. In this study, among the government policy advertising executed in 2022, advertising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our types of general notice, information offering, perception change, and action induction were exposed, and then the audience's response to the policy message was analyzed as a hierarchy of effects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empirically established that the effect of government advertising is valid only when measuring ‘comprehension-attitude-behavior’ presented in the hierarchy of effects model, and an index of the effect of government advertising was develop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developed an effect index of government advertising that can measure advertising effec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government advertising, and presented a measurement model that shows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the effect index.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considerations when planning and executing government advertising in the future were discussed, and three practical implication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ect of government advertising were presented.

      • KCI등재

        스포츠와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의 현황과 과제

        남인용(In Yong Nam) 한국광고홍보학회 2005 한국광고홍보학보 Vol.7 No.5

        스포츠와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는 첫째, 스포츠 팀 운영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가 있다. 둘째, 스폰서십과 경기장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셋째, 유명 운동선수의 보증광고를 비롯한 매체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넷째, 스포츠 행사 개최지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에서 스폰서십과 경기장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유명 운동선수의 보증광고를 비롯한 매체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기존연구에 대한 검토 결과,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크게 두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앞으로 더욱 깊이 있게 수행되어야 할 심화연구 과제로 스포츠 이벤트와 기업이미지 내지는 상품특성의 조화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명 스포츠 인사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남녀 스포츠와 남녀 운동선수로 대별되는 스포츠의 광고효과에 미치는 성별의 영향에 관한 연구를 들었다. 기존의 연구가 부족한 신규연구 과제로 스포츠 광고에서 매체별 차이의 비교연구, 홍보효과를 갖는 기사와 광고효과의 상호작용, 즉,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각 스포츠 이벤트에 대한 스폰서십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를 앞으로의 연구과제로 제시하였다. Studies on sport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se : first, studies on management of sport team; second, studies on sponsorship and fence sign advertising; third, studies on sport celebrity endorser; fourth, studies on sport event place. This study mainly reviewed the studies on sponsorship and fence sign advertising and the studies on sport celebrity endorser. And then future research themes were proposed into two research streams. The influence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of match-up of sport event image and product image,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of sport celebrity endorser and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port advertising should be studied further. New recommended research themes were the interaction effect of multiple sport sponsorship,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difference of sport advertising among media and the study from IMC(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perspective.

      • KCI등재

        광고여백에서 나타나는 자이가르닉 효과(Zeigarnik Effect)

        무심아(Wu, Xinya),양재범(Yang, Jaebum)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0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9 No.4

        연구배경 정보시대에 문자와 그래픽으로 가득 찬 비주얼커뮤니케이션디자인은 정보의 가속화로 오히려 미관과 가독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오늘날 광고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여백의 활용은 광고메시지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디자이너가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속성으로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에 광고디자이너의 작업 영역 내에서 ‘여백’의 활용은 브랜드이미지 구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연구를 살펴보면 여백에 관한 연구는 형과 배경의 요소, 레이아웃 등의 평면의 구성요소로서 형상의 조형론에만 집중되어 왔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조형과 심리학 이론을 적용하여 광고에서 나타나는 자이가르닉 현상의 여백효과를 사례와 함께 커뮤니케이션의 의미전달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고찰하여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는 학위 논문과 학술 논문, 인터뷰 그리고 신문과 출판물을 참고하였다. 또한, 각종 광고 이미지, 포스터와 그래픽 심볼 등을 참고하여 다양한 광고 디자인 정보를 수집하였다. 사례연구의 경우 광고 여백에서 나타나는 완성하지 못한 일을 쉽게 마음속에서 지우지 못하는 현상의 자이가르닉 효과 사례를 선정하여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과거에 광고는 단순히 소비자들에게 상품이나 브랜드를 알리는 것이었지만, 현대광고들은 다양한 표현으로 소통하며 소비자들의 심리적 작용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백을 활용한 광고 사례에서 자이가르닉 효과(Zeigarnik effect)를 고찰하였다. 광고에서 나타나는 자이가르닉 효과의 기능과 특성의 의미에 대해 밝혀본 여백의 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자이가르닉 효과의 여백은 광고에서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다. 둘째, 자이가르닉 효과의 여백은 광고에서 적극적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자이가르닉 효과의 여백은 광고에서 비움으로써 채워지는 특별함이 있다. 결과적으로 자이가르닉 효과의 여백은 광고에서 여운을 남김으로써 기억이 지워지지 않게 한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광고 비주얼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서 여백은 단순히 빈 공간의 바탕이 아닌 조형요소의 본질적 주체이며 심리학적 측면인 자이가르닉 현상을 보여주는 관련적 매개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여백의 기능과 특성, 그리고 시각정보의 여백 관계화 과정을 의미한다. 이는 향후의 광고 디자인에서 여백의 사용에 새로운 이론적 기틀과 표현기회의 확대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문화적 및 심리학적 이론, 그리고 일부 광고 사례연구에 한정하였으나, 앞으로 보다 다양한 심리학 이론과 사례를 데이터화하여 적용하는 연구를 기대한다. Background In the context of today’s information explosion, in the context of advertising communication, the attribute that helps the effective propagation of AD information is something that designers must consider. Meanwhile, the use of “blank” will also affect the establishment of brand image.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existing research, the research on blank is mainly focused on plane elements such as shape and background elements, structure, etc. Therefore, this study applies modeling and psychological theories to illustrate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with examples and blank effect of the Zeigarnik effect in AD. Methods This study combines the literature studies and case studies. The literature research refer to dissertations, academic papers, interviews, and newspapers. In addition, a variety of AD images, posters, and image symbols, and collects a variety of AD information. Meanwhile, the case study selects some examples of the Zeigarnik effect in blank of AD, a phenomenon that cannot be easy to forget and unfinished. Result This study is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taking the use of visual information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as an example for analysis. The process of associating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blank in visual inform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visual communication design using blank is “this is enough design”. Second, the blank form of vision is “everything is connected”. Third, the blank background of visual communication is to “remove the power and let people lightly into it”. Fourthly, the implication of visual communication form is “the special place filled with emptiness”. Finally, the lingering imagery of visual communication is “if it can’t be done, memory can’t be erased.”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in the visual communication design of AD, the blank is not the basis of pure empty space, but the relevant media to express the essential subject of modeling elements and the Zeigarnik phenomenon at the psychological level. Moreover,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blank and the process of the blank relationship of visual information are also investigated. This provides a new theoretical framework and performance opportunity for the use of residue in the design of AD in the future.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study of some cultural and psychological theories and AD examples, hoping that a variety of psychological theories and examples can be applied to the study of data in the future.

      • KCI등재

        성적소구 광고에 대한 제3자 효과가 규제인식에 미치는 영향 : 성적소구 강도(强度), 사회적 거리를 중심으로

        김봉철,김유미,안주아 한국광고PR실학회 2016 광고PR실학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광고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성적소구 광고에서 제3자 효과가 나타나는지, 만일 나타난다면 성적소구의 강도에 따라 제3자 효과의 크기는 어떻게 달라지는지, 제3자효과가 성적소구 광고 규제에 대한 태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성적소구 광고에서 제3자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성적소구 광고가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보다 일반인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성적소구의 강도(약, 중, 강)에 따른 제3자 효과는 세 개의 강도 모두에서 제3자 효과가 나타났고, 성적소구 약보다 성적소구 중과 성적소구 강에서 제3자 효과가 더크게 나타났으나, 성적소구 중과 강의 차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성적소구 광고에 대한 제3자 효과는 사회적 거리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소구에 대한 제3자 효과는 나와 가까운 사람인 가족 및 친구보다 나와 상관없는 타인인일반인에게 더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성적소구 광고의 제3자 효과는 성적소구 광고를 규제해야 한다는 규제인식에 궁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람들은 비록자신은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다 하더라도 다른 사람들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인식하면, 그 문제를 제한 또는 제재하는 조치에 더욱 적극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The third-person effect is usually known as an important variable to affect media message. The current research is about that (1) the third-person effect in sex appeal advertisements, (2) the third-person effect according Intensity of sex appeal of advertisements and social distance, and (3) The impact of third-person effect on regulation of sex appeal advertisements. Experiment of 464 university students were conducted to do research. The research found that, first, the third-person effect hav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ex appeal advertisements. Second, the third-person effect according intensity of sex appeal hav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ex appeal advertisements. The last, the third-person effect about sex appeal advertisement have different according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third-person effect about sex appeal advertisement are more likely to support regulation of sex appeal advertisements. The research conclude that people who think I have not impact on sex appeal advertisements is more likely to support sex appeal advertisements restriction if sex appeal have negative effect on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