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혁신성 소구방법을 활용한 광고캠페인의 수용자 경험 사례 연구 - 3D프린팅 기술을 통한 광고캠페인 사례를 중심으로 -

        김수정,성열홍,이길형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7 No.-

        This study, which examined the examples of advertising campaigns with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using overseas 3D printing technology, sought to raise awareness on the need of innovative advertising communication in our advanced society and suggest the integrative direction in the fields of innovative technology like 3D printing and advertising marketing. Overseas global enterprise brands accommodate innovative technology and conduct advertising campaigns in linkage with the field of advertising marketing in an attempt to implement a new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While, our country has very rare relevant research and almost no examples of actual advertising campaigns. Under the circumstances, this study, based on the precedent research, defined the attributes of innovativeness with five factors of ‘assertiveness’, ‘sensibility’, ‘sharing with others’, and ‘trialability’, ‘observability’ of Rogers(2003). And it drew ‘usability’, ‘accessibility’, ‘complexity’, ‘creativity’ as attributes of user experience, and using analysis model designed based on precedent research and innovation theory of Rogers, analyzed overseas examples of advertising campaigns with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compared with normal appealing methods,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allowing the consumers to have freshness, delight and fun in the environment equipped with experience value of assertiveness, emotional value and relationship building and trialability through advertising campaign might work as a factor to satisfy the advanced consumers. It also found that the higher the attributes of innovativeness, the higher the attributes of user experience in general. This was because advertising campaigns with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might usually allow the users to experience in overall production process of innovative technology. And the study believes should process of communication be built allowing overall experience of users by means of five attributes of innovativeness and four factors of user experience, communication with users could be improved through advertising campaigns with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intangible factors affecting user experience such as the attribute of innovativeness as seen by the examples of advertising campaigns with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and is expected to raise awareness on the need of innovative marketing communication. And this exploratory study, which sought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in advertising campaigns and user experience as a basic research, is also expected to provide leads in establishing new advertising strategy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혁신성 소구방법의 광고캠페인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고도화된 사회에서 혁 신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향후 3D프린팅과 같은 혁신기술과 광고마케팅 분야의 통섭적 사고에 대 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해외의 글로벌 기업 브랜드는 혁신기술을 받아들이고, 이를 통해 광고마케팅 분야와 결부 시켜 광고캠페인을 진행하며 소비자와 새로운 방식의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관련 연구가 이루 어지거나 실질적으로 광고캠페인이 진행된 사례는 극히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혁신성 의 속성을 ‘자기표현(assertiveness)’, ‘감성(sensibility)’, ‘타인과의 공유(sharing with others)’와 로저스(Rogers,2003)의 ‘시 용가능성(trialability)’, ‘가시성(observability)’의 5가지로 정의하고, 수용자 경험 속성으로 ‘이용성(usability)’, ‘접근성 (accessibility)’, ‘복합성(complexity)’, ‘창조성(creativity)’을 도출하여 선행연구 및 로저스의 혁신성 이론을 토대로 설계한 분석모델을 통하여 해외 혁신성 소구방법의 광고캠페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적인 소구방법보다는 광고캠페 인을 통한 자기표현의 경험 가치와 정서적 가치, 관계 형성과 시용가능성이 갖춰진 환경에서 새로움과 즐거움, 재미의 소구 가 가능한 혁신성 소구방법이 진화한 소비자를 충족시킬 만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혁신성의 속성이 높을 때 전반 적으로 사용자 경험 속성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혁신성 소구방법의 광고캠페인은 대체적으로 혁신기술을 활용한 제작 과정 전반에 수용자의 체험이 가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혁신성의 다섯 가지 속성과 수용자 경험의 네 가지 요소를 포괄적으로 활용하여 수용자들의 총체적 경험이 가능한 광고캠페인 프로세스를 구축한다면 혁신성 소구방법 의 광고캠페인을 통한 수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혁신성 소구방법의 광 고캠페인 사례의 혁신성 속성 등 수용자의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무형의 요인을 연구함으로써 혁신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광고캠페인의 혁신성 소구방법과 수용자 경험의 관계를 이해하여 이와 관련된 연구의 기초가 되는 탐험적 연구로써 향후 새로운 광고 전략 수립의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한·중 국가간 공익광고 비교 연구

        신인식 ( In-sik Shin ),허진영 ( Jin-young Hur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4

        연구배경 한국과 중국의 공익광고 전략의 차이점, 양국간 공익광고의 특성 등의 분석을 통하여 공익광고 속에 내재되어 있는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전략과 메시지 소구방법을 탐색해 본다. 한국과 중국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틀을 상호 비교하여 국가간 차이점을 파악해 보고 향후 중국 시장을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 상품의 마케팅 전략과 광고실행에 효율적인 접근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연구방법 분석대상 총 12편의 ‘환경보호’TV공익광고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인 텍스트 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항목은 크게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로 분류하고 감성적 소구는 다시 부정적 감성 소구와 긍정적 감성 소구로 세분화하여 분류하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여 한국과 중국의 메시지 소구방법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한국과 중국의 메시지 소구방법을 알아본 결과 한국은 6편의 분석대상 중‘부정적 감성’이 4편이며 ‘이성적 소구’, ‘긍정적 감성’가 각 1편씩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은 총 6편의 분석대상 중 ‘부정적 감성’이 5편이고 ‘긍정적 감성’이 1편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과 중국의 공익광고 비교분석에서 광고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저관여 수용자에게 소구하는 공익광고는 감성적 소구방식이 효과적이라는 기존 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하고, 양국의 문화적, 정치적 특성의 차이도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광고의 효율적인 집행을 위해 광고 전략과 메시지 소구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This study will analyze how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strategies are different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in the two countries in order to explore creative strategies and message appealing methods internalized in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This researcher will also compare the frames of communication strategies between Korea and China and find out differences between the countries in order to suggest efficient approaches to the implementation of marketing strategies and advertisements for the products of Korea targeting the market in China. Methods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total 12 TV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dealing with ‘environmental protection’. Here, one of the qualitative study methods, text analysis, was employed. The items of analysi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rational appealing’ and ‘emotional appealing’, and emotional appealing is again subdivided into negative emotional appealing and positive emotional appealing before going through text analysis. This study has examined how message appealing methods are different between Korea and China. Resul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message appealing methods in Korea and China, among six Korean advertisements analyzed, four deal with ‘negative emotion’, and one is found to deal with ‘rational appealing’ and ‘positive emotion’ each. Among total six Chinese advertisements analyzed, five deal with ‘negative emotion’, and one is found to deal with ‘positive emotion’. Conclusion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n Korea and China’s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it has been found that emotional appealing is effective in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intended to appeal to low-involved receive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m, which corresponds to the result of advanced research. The two countries’ cultural and political differences also have influenc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 order to execute advertisements efficiently, it is needed to carry out research constantly on advertisement strategies and message appealing methods.

      • KCI등재

        웹툰 마케팅에서 웹툰 광고의 특성에 따른 소구 방법에 관한 차이 연구

        최승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4 No.-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광고 마케팅 환경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웹툰 콘텐츠는 국내를 넘어 세계 시장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급속도로 확장되고 있는 웹툰 마케팅에서의 웹툰 광고 특성을 알아보고 디지털 매체에 익숙해진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소구할 수 있는 웹툰 광고 소구 방식을 유형화하였다. 연구결과, 웹툰 광고는 일상이 반영된 리얼리티 소재를 표현함으로써, 일반적인 픽션이 갖는 비현실적인 환상에서 벗어나 스토리로 많은 소비자들로부터 공감을 자아내고 있었다. 또한 웹툰 광고는 웹툰 콘텐츠의 형식을 그대로 적용하기 때문에 웹툰에 익숙한 소비자들에게 자연스럽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웹툰 광고의 유형은 일반적으로 웹툰 간접광고(PPL), 브 랜드 웹툰, 웹툰 직접광고(배너광고)로 나누어졌다. 본 연구의 중심이 되는 웹툰 광고 소구 방법은 공익 소구, 유머 소구, 패러디, B급 정서 소구, 생활의 단면 소구의 5가지로 분류하고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웹툰 광고에서 대표적 으로 드러나는 소구 방식을 5가지로 구분하였지만 광고 크리에이티브는 한 가지 소구 방법만 절대적으로 추구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소구 방법들이 혼합되는 경우가 많다. 웹툰 광고는 잠깐 나타나고 사라지는 트랜디한 것이 아니라 디지털 시대 의 변화에 맞게 바뀌어야 할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패러다임을 개척하는 또 다른 광고 유형인 것이다. 즉 디지털 뉴 미디어 시대에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라 광고 크리에이티브를 이끌어갈 새로운 광고 미디어로서 그 역할이 기대된다.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the advertising marketing environment is also changing rapidly, and webtoon content is rapidly spreading beyond Korea to the global market. Accordingly,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webtoon advertisements in webtoon marketing, which have recently been rapidly expanding, and categorized a webtoon advertisement appeal method that can effectively appeal messages to consumers who have become familiar with digital media. As a result of the study, webtoon advertisements expressed reality materials reflecting daily life, drawing sympathy from many consumers with stories, away from the unrealistic fantasies of general fiction. In addition, webtoon advertisements apply the format of webtoon content as it is, so they can be approached naturally and friendly to consumers familiar with webtoons. The types of webtoon advertisements were generally divided into webtoon indirect advertisements (PPL), brand webtoons, and webtoon direct advertisements (banner advertisements). The webtoon advertising appeal method, which is the center of this study, was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public interest appeal, humor appeal, parody, B-class emotional appeal, and cross-sectional appeal of life, and the difference was examined. In this study, it was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based on the typical appeal method, but advertising creative does not absolutely pursue only one appeal method, and various appeal methods are often mixed. Webtoon advertising is not a trendy thing that appears and disappears for a while, but is another type of advertising that pioneers the paradigm of advertising creativity that must be changed in line with the change of the digital age. In other words, in the era of digital new media, it is expected to play a role as a new advertising media that will lead advertising creativity according to changes in consumers' lifestyles.

      • KCI등재

        사회과학연구 : 인쇄 광고물에 대한 웰빙 담론 및 광고 표현 전략 분석 연구

        김창중 ( Chang Joong Kim ),김창원 ( Chang Won Kim ),진창현 ( Chang Hyun Jin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6 No.1

        본 연구는 최근 인쇄 광고물에 나타난 웰빙 주제로 한 사회적 담론, 크리에이티브 및 표현 전략, 광고 소구방법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서는 2010년 이후에 인쇄된 잡지 광고물에 대해서 내용 분석을 통해 담론, 크리에이티브, 표현, 광고 소구 방법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인쇄 광고물 총 390개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결과로는 제품군 분석에서는 건강에 관련된 제품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웰빙 광고 담론 분석에서는 몸놀이에 관련된 제품이 제일 많았고, 이미지 놀이에 관련된 제품, 무의식 놀이에 관련된 제품 순으로 나타났다. 웰빙 인쇄 광고물 광고 배경화면 및 그림에 나타난 웰빙 광고 소구 기법 유형은 충족지향형 소구, 정신적 풍요 추구 소구 방법, 친환경 추구 소구 방법, 고급소비자지향형 소구 방법, 건강지향형 소구 방법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웰빙 관련 인쇄 광고물에 나타난 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 유형 분석에서는 브랜드 이미지를 강조하는 전략, 동조전략, 감성전략, USP전략 등이 주로 조사되었다. 최근에 신문 및 잡지에 광고된 웰빙 관련된 광고물의 내용분석을 통해 제품군 분류와, 웰빙 광고 담론, 광고소구기법, 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 유형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국내 웰빙 관련 광고 전략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This study employed content analysis to examine strategies that drive advertisements oriented towards well-being-related products and services. These include the discourse strategy, the creative strategy, the message strategy, and the advertising strategy. This study classified print ads from the past ten years into these strategy categories. In total, 390 print ads were analyzed in the study. The study finds that the body (psyche) game describes print ad strategy more effectively than the image game or the unconsciousness game. Print ads generally attempt appealing to consumers through safety-oriented messages, messages oriented to the pursuit of spiritual enrichment, messages oriented to sustainability and environmental concerns, messages oriented to quality excellence, and health-oriented messages. The findings will provide guidelines to advertisers and marketers and valuable information to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consumer response animation as well as the effective production of print ads for consumers interested in well-being.

      • KCI등재후보

        광고정보원 유형과 모델 인지도 및 소구 방법에 따른 의료광고 효과

        유승엽,김은희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6 No.3

        본 연구는 최근 국내 언론보도를 통해 의료광고가 허용된다는 시점에서 의료광고에 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먼저, 광고의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소비자를 설득하는 정보원의 유형에 따라 의료광고효과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정보원의 인지도 즉 유명도에 따라 의료광고효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성과 감성적 메시지의 소구 방법에 따라 의료광고효과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2×2 요인설계를 통해 8가지 의료광고 인쇄광고물을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의사 정보원과 연예인 정보원의 의료광고효과(인지, 태도, 행동)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명인 광고모델이 비유명인 광고모델보다 의료광고의 인지반응효과가 높게 나타난 반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정보원의 전달 메시지 소구 방법에 따라 이성적 메시지와 감성적 메시지의 의료광고의 효과를 알아본 결과 이성적 메시지 소구가 감성적 메시지 소구 방법보다 의료광고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의료광고를 기획하고자 하는 기획자나 제작자에게 효과적인 의료광고 제작 전략을 제안하였다. Recently the medical advertising was permitted through mass media.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medical advertis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ssage sources, model recognition and appeal type on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in medical advertisement. That is, the effects on the difference in medical advertisement according to a message source type and the recognition of the advertisement model and message appeal type has an influence on the medical advertisement. For this study, eight medical advertisements were manufactured.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were 400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ght treatment conditions associated with equivalent sex group.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measured attention, recognition, attitude and behavior of subjects. The results show that the significantly difference did not exist the advertisement effects according to a message sources. Second, The significantly difference appeared in the recognition reaction according to an advertisement model types and attitude of advertising and purchasing intention did not exist. Third, Rational appeal is more efficient than a emotional appeal in medical advertisement. We try to propose efficient medical advertisement manufacture strategy and the direction with efficient medical advertisement planning programming.

      • KCI등재

        광고 표현수단의 변천에 관한 통시적 연구

        박재진(Jae Jin Park) 한국광고홍보학회 200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0 No.3

        본 연구는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잡지광고를 대상으로 광고제품, 문장표현방법, 소구방법 등에 있어 각 시대별 특징 및 시대적 변천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문장표현방법은 헤드라인을 중심으로 문장의 종결 형태, 문장종류, 수사적 표현 방법, 표현 방식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소구방법은 세 가지 소구방법(이성적, 감성적, 도덕적)에 따른 각각의 하위유목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패션/의류 및 화장품/뷰티케어 제품의 광고가 많았다. 헤드라인 분석에서는 비종결형의 문장이 근소한 차이로 많이 나타났으나, 시간의 흐름과 더불어 청자 높임과 격식의 표현을 전달하여 소비자에 대한 예의를 갖추기에 보다 적합한 종결형의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었다. 문장종류로는 서술문이, 표현방식에서는 호기심 자극형이, 수사적 표현에 있어서는 직설법을 제외할 경우 과장법 및 비유법이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전체의 소구방법에서는 전 시대에 걸쳐 감성적소구가 이성적 소구에 비해 거의 두 배 가까이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적 소구의 하위유형으로는 상품의 기능에 관한 정보제공이 가장 많았으며, 감성적 소구에서는 `관심`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성취지향`, `즐거움` 등의 표현이 많이 사용되었다. 광고표현의 시대별 특징 및 변천과정을 본 연구의 분석 유목별로 나누어 우리사회 구조의 변화 등과 연관하여 논의해 보았다. Using a content analysis of magazines, a longitudinal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dvertisers` application of advertising expressions over time, especially focused on advertising products, text styles, and appeal types. Text style analyses were focused on headline texts and covered closing types of sentences, types of sentences, and rhetorical figures. Appeal types covers rational, emotional, and ethical appea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gazine advertisements from 1960 to 2000 were dominated by products related to fashion, cosmetics, and beauty care. Sentences using Narrative styles, hyperbole, and metaphor, and stimulating interests were dominantly used in headline texts. In terms of appeal types, emotional appeals were used as many again as rational appeals. Information about product functions was used the most among 6 subcategories of rational appeal, and appeal types of `interested`, `achievement`, and `happy/pleasant/delicious` were mostly adopted among 7 subcategories of emotional appeal. Advertising features of each period and changes on advertising expressions over the past 50 yea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국 공익광고에 나타난 공포소구의 시각적 표현 -중국 황하상(黄河奖) 공익포스터를 중심으로-

        타오진,양종훈,이상은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2

        Public service advertising is a form of communication activity performed to increase public interest.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public service advertising,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advertising strategies that can actually induce positive action changes. China has various social problems because of dramatic social changes, which call for implementing public service advertising.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persuasive effects of Chinese public service advertising by addressing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In particular, we selected 33 works that use fear appeals from 2016 HuangHe Award-winning posters and analyzed their visual representation of fear appeals. The results suggest that fear appeals are frequently used in safe driving and anti-smoking campaigns. In addition, main colors of these posters were black and white. The main fearful images were often represented in a form of ‘fact’ and ‘factual conception’and in the type of ‘picture.’ They also have features of implicit association’ and ‘exaggeration’.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erms of provid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information to future research on improvement of public service advertising in China. 공익광고는 공중의 이익 증대를 목적으로 집행되는 설득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한 형태이다. 공익광고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공중의 긍정적인 태도나 적극적인 행동 변화를 실질적으로 유발할 수 있는 광고 전략이 구체화 되어야 한다. 중국은 급격한 사회 변화로 인해 발생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공익광고를 적극적으로 집행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창작에 대한 정부의 통제가 효과 제고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공익광고에 나타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써의 소구방식을 살펴보고 설득 효과를 높이는 방안을 고찰해보고자 했다. 2016년 황하상 수상작 공익광고 포스터 중 공포소구를 활용한 33편을 대상으로 공포소구의 시각적 표현방법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표현 전략을 구체화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안전운전과 금연캠페인에서 공포소구가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검정과 흰색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메인비주얼 표현방법은 ‘사실적’ 형식, ‘사실적 구상’ 형태, ‘사진’ 유형, ‘암시연상’ 및 ‘과장된 표현’이 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 공익광고의 제고를 위한 이론적, 실증적 정보를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문화의 차이는 TV광고의 내용에 영향을 주는가?

        이성준(Lee Sung Jun),허경진(Huh Gyeong Jin),이재진(Lee Jae Jin) 한국상품학회 2017 商品學硏究 Vol.35 No.1

        지금까지 비교문화 관점에서 광고 내용 및 각종 소구 방법을 다룬 광고 연구는 일부 있었으나 남미문화권 국가의 광고와 동북아시아문화권 국가의 광고를 체계적으로 비교한 연구는 드물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동북아시아문화권에 속하는 한국과 남미문화권에 속하는 브라질 맥주광고의 내용분석을 통해 양국 간 국가문화의 차이로 말미암아 나타나는 광고 내용의 차이를 실증적 차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양국의 사회문화적 배경 그리고 이로 말미암아 형성되는 일반 소비자의 공통된 의식구조를 비교적 구체적으로 엿볼 수 있는 TV 맥주 광고를 연구대상으로 채택하였다. 연구방법론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Strickland et al. (1982)와 Finn and Strickland (1982)의 내용분석 방법론을 채택했다. 연구결과, 자국산 맥주 광고에 적용되는 광고 주제, 광고 모델, 광고 표현법에서 한국과 브라질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학계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진 남미문화권에 속하는 브라질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함으로써 비교문화 연구의 폭을 넓혔으며, 이를 통해 특히 남미지역에서 비즈니스를 영위하는 우리나라 다국적 기업이 효과적인 광고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re have been so far a large number of advertising studies looking into a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content and consumers perception. However, advertising researchers have relatively paid a less attention to the effects of national culture on advertising content and it is particularly so when it comes to Latin American culture.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content analysis of beer TV commercials aired in Korea and Brazil find out how national culture actually affect advertising content. The content analysis method used in Strickland et al. (1982) and Finn and Strickland et al. (1982) is applied. The study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Korean and Brazilian TV commercials, which clearly seem to originate fromcultural differences.

      • KCI등재

        Are Food Ads Healthy? Examination of Television Food Advertising on Health Claims and Persuasion Strategies

        윤혜진(Hye Jin Yoon),백혜진(Hye Jin Paek),안호영(Ho Young Ahn),최호준(Ho Joon Choi)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 No.1

        최근 음식 광고는 건강에 대한 관심사가 높아지는 시류에 편승하여 건강에 소구하는 광고 기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반해 이러한 광고를 실질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텔레비전 황금시간대의 음식 광고를 내용 분석한 결과, 상대적으로 영양가가 낮은 음식에 대한 광고가 영양가 높은 음식에 대한 광고보다 빈도수가 다섯 배나 높았다. 그리고, 영양가가 낮은 음식 광고는 영양가 높은 음식 광고보다 영양이나 건강에 관련된 클레임을 더 높은 빈도수로 사용하였다. 또한 전자는 후자보다 유머소구, 인간의 가치에 관한 소구를 더 높은 빈도수로 사용하였다. 이 결과는 음식 광고가 미국인들의 불균형적인 식단과 비만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음식 광고주들이 사회적 책임감을 가지고 광고 메세지 전략을 수립할 것을 권장한다. Food advertising have jumped on the health trend bandwagon to reflect recent sentiment and concerns about public health, but there has not been many empirical research on the state of these food advertisements. Examination of food ads on U. S. contemporary primetime television revealed ads for non-healthy food to be five times more prevalent than those for healthy food. Also, non-healthy food ads make nutrition- and health-content claims, employ humor appeals, and provide value attribute information more so than healthy food.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food advertising's influence on Americans' unbalanced diet. We recommend that food advertisers follow a more careful message strategy and heed social responsibility.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