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질토양의 콩 재배 생육 초기 지중관수량 설계

        김진현 ( Jin-hyun Kim ),김태욱 ( Tae-wook Kim ),김설하 ( Seol-ha Kim ),이황규 ( Hwang Gyu Lee ),엄덕호 ( Duk-ho Eum ),이상훈 ( Sang-Hun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지중관수는 작물의 생육과 수자원의 절감 및 노동력 부족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노지에서 지중관수량을 얼마로 설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은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다. 노지에서 지중관수를 통한 수분을 공급할 경우는 강우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지중관수 공급량을 정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오히려 충분한 연구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수자원을 낭비하거나 명확한 결론을 얻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지중관수량의 설계는 강우의 영향을 배재한 상태에서 충분한 연구를 통하여 기본적인 수분확산의 영역과 작물 뿌리의 성장을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종전에 지중관수 장치가 개발되기 이전에는 지중에 가는 세관을 꽂아 일정량의 관수량을 공급하고 수분이 수평 또는 수직으로 확산되는 형태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는 수분의 확산 중심점이 Matric potential에 따라 이동하므로 실제 수평으로 지중관수 장치가 매설되는 경우와는 다르게 나타난다. 최근에 유량 균등성이 확보된 지중관수용 Dripper가 개발되어 실제 지중관수장치의 매설과 동일한 실험이 가능하였다. 실제 지중관수 장치에 수분을 공급할 경우에는 습윤 특성이 달라지므로 작물의 뿌리 성장을 고려한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중관수 장치가 개발되기 이전의 공급량을 2 L/h로 하였을 때, 지중 습윤 중심이 토양 표면 쪽으로 약 30 mm 상승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량을 균등하게 공급하고 뿌리가 침투되지 않는 Dripper가 국내에서는 최초로 개발됨에 따라 지중관수 실험 방법이 노지 현장에서 적용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매설할 수 있어 수분의 확산 형태도 달라짐을 알게 되었다. 즉, 지중관수로 인한 토양 내부의 수분확산은 관수라인 자체가 수분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실제 토양 내부의 수분 확산으로 종전의 연구와는 다른 형태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지중관수 라인을 매설할 때, 유출구를 상방향으로 유지시키도록 노력하지만 실제 연구의 결과에서는 무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지중관수 장치를 사질토에 적용하여 수분이 확산되는 형태를 분석하고 콩의 생육 초기 공급량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 사질토에서 지중관수 방법에 따른 습윤특성에 관한 연구

        김진현 ( Jin-hyun Kim ),김태욱 ( Tae-wook Kim ),김설하 ( Seol-ha Kim ),이황규 ( Hwang Gyu Lee ),엄덕호 ( Duk-ho Eum ),이상훈 ( Sang-Hun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물 부족현상이 심각하므로 농업용수를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노지에서 밭작물을 재배할 경우 대부분 지표관수 방법을 사용하지만 지표관수는 증발로 인한 용수 손실이 30-40% 정도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물 부족과 노동력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지중관수 방법이 농가에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지중관수는 지표면 관수와 달리 수분의 공급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지중관수는 토양 표면의 300-400 mm 하단에 관을 매설해야 하므로 용수의 공급에 대한 수분확산 확인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지중관수량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작물의 생육시기에 따른 뿌리의 생장과 토양 내부의 수분확산 영역 및 함수비 등이 구명되어야만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로 지중관수용 2.0 L/h 드리퍼를 개발하여 해외 제품(1.6 L/h용)과 비교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토양은 사질토를 대상으로 하였고 지중관수 장치를 200 mm 깊이에 매설하고 용수를 공급하였다. 이때 공급량은 3000 mL로 하고 단위시간당 2 L(N-type)와 1.6 L(T-type)를 사용하여 공급하였다. 공급 간격은 농가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300 mm로 정했다. 그리고 토양의 200 mm 깊이를 수평으로 절개하고 수평 확산 거리를 측정하였다. 종전에 지중관수 장치가 개발되기 이전에는 지중에 가는 세관을 꽂아 일정량의 관수량을 공급하고 수분이 수평 또는 수직으로 확산되는 형태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유량 균등성이 확보된 지중관수용 Dripper가 개발되어 실제 지중관수장치의 매설과 동일하게 실험이 가능하였다. 실제 지중관수 장치에 수분을 공급할 경우에는 습윤특성이 달라지므로 이를 통한 설계를 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6세기 신라 干群 경위의 구성과 성립과정

        홍승우(Hong, Sueng Woo)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31

        6세기대 신라 금석문에 나오는 간군 경위 관등을 분석하여, 당시 관등의 구성과 그 성격을 규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신라 경위의 성립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율령 반포를 전후해 건립된 중성리비․냉수리비․봉평리비의 비문과 창녕비 등 진흥왕대 비문의 내용을 비교․분석하고, 주변국의 사례를 포함한 여러 문헌자료를 종합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중성리비․냉수리비․봉평리비에서 왕과 함께 국정을 이끌어나갔던 6부의 핵심지배층들에게서 두 종류의 관등이 확인되었다. 하나는 喙․沙喙部인들만이 가지고 있었던 경위 관등으로, 阿干支와 그 하위 某干支관등들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여타 4부의 수장 및 유력자들이 소지한 것으로, 干支와 壹伐등으로 구성되었다. 율령 반포 당시의 간군 경위 관등은 太阿干支이하의 5개 등급이 중심이었으며, 이는 신라 마립간 아래의 喙․沙喙部유력자들을 서열화 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진 것이었다. 그에 비해 상위 4개 간군 경위는 太阿干支이하 간군 관등과 동일한 성격의 것이 아니라, 6부를 구성하던 여러 독자세력의 수장적 지위에서 유래한 위호인 干支들 사이의 위계가 반영된 전통적 위호였다. 형식적으로는 이들 위호가 喙․沙喙部에 적용되었던 경위 관등 보다 상위의 지위였지만, 이들이 당시 하나의 관등제로 동일하게 기능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에 비해 진흥왕대인 6세기 중반의 금석문들에서는, 상위 간군 경위가 阿干支등과 같은 성격의 관등으로서 기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전과 달리 干支와 壹伐로 구성된 부별 독자 위계제는 사라지고, 6부인 전체가 경위 관등을 소지하는 변화와 함께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 6부 干支들과 壹伐등의 유력자층을 경위 관등에 모두 포괄하기 위해, 최상위 간군관등을 증설하면서 경위가 완성된 것이다. 다만 최상위 4개 간군 경위 관등은, 이전에 존재하던 독자세력의 수장적 지위인 간지들을 서열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옛 위호를 그대로 계승한 것은 아니며, 경위의 고위 관등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것이다. 이로써 신라 경위 17관등이 완비되었다. This paper analyzed Inscriptions of Silla stele in the 6th Century, such as Pohang Jungseongri Stele, Pohang Naengsuri Stele, Uljin Bongpyeongri Stele and other historical records, to reveal the constitution and the nature of the top 9 Official rank of the Silla Dynasty’s Governmental Ranking system called Gyeong-wi. And based on it, reconstruct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Gyeong-wi.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ere were two kinds of Governmental Ranking system for the ruling classes of Silla 6bu around 520’s, when King BeobHeung declared the law codes called Yul-Ryeong. One was a system that is limited to WheBu and SawheBu. It was composed of only 5 lower top rank, named DaeArGanji, ArGanji, IlgilGanji, SaGanji, GeobeolGanji, out of 9 top rank. The other one was for the ruling classes of 4bu except Whe and Sawhe among the Silla 6bu. It was composed of Ganji and Ilbeol which means Chief of bu and top position under the chief. At that time, the Gyeong-wi was not completed, and it was not applied to every ruling classes in the Silla 6bu.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At the reign of King Jinheung, new 4 high-top Official rank had been added on top of existing ranks. Finally, Gyeong-wi had been completed with 9 upper grades and 8 lower grades. And also it had been applied to every ruling classes of Silla Dynasty.

      • KCI등재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광역시도별 효율성 분석

        마진희,안영효 한국문화산업학회 2018 문화산업연구 Vol.18 No.4

        Although the tourism industry is evaluated as a high-value-added industry with a large impact on income and employment creation along with the national economic growth, Korea’s tourist industry has been relatively stagnant because of political concerns such as the aftereffect on THAAD. Thus, the central government and municipalities are investing in tourism infrastructure and resource development to strategically nurture the tourism industry in order to create additional value-added activities considering particular market types and environmental value of Korea.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valuate how well the management of tourism is managed by provincial and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to find strategic methodologies.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managerial efficiency of tourism industry by 17 locals in Korea by measuring the ratio of output factors to input factors through DEA and MPI. As a result of comparing each managerial efficiency of tourism industry, only Jeju and Gang-won do are comparatively efficient to perform as a typical tourist province in Korea. According to productivity trends through MPI analysis, the external factors such as global economic crisis affect productivity trends of tourism rather than internal factors. Total 5 solutions to activate local tourist industry are fined out by considering common characteristics between efficient provinces in terms of managerial performance in tourism. First, local governments need to suggest thing to do and see. Second, needs to strengthen relational capability of tourism through DMO(Destination Management Organization). Third, to develop an integrated marketing strategy that can gather several provinces together one united tourist spot. Forth, to utilize particular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such as national environment. Last is to adapt Bleisure strategy which can convert visitors to tourists. It aims to suggest ways to activate each province’ tourist industry in Korea by evaluating managerial efficiency of tourism industry. Ultimatel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in Korea by analyzing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tourism industry by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관광산업은 국민경제 성장과 더불어 소득 및 고용창출에 파급효과가 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관광산업 규모는 매년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데 반해 사드 여파로 인한 중국인 관광객의 감소 등으로 외래 관광객 수는 정체하고 있어 만성적인 관광수지 적자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시장 환경을 고려한 부가가치 창출방안을 육성 및 관광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범정부적 수준에서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전략적 대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관광 수요 및 공급의 관리를 실제적으로 담당하는 지자체 차원의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지자체의 실제 관광산업 변수를 고려하여 지자체의 관광산업 관리방안을 냉정하게 살펴보고 각 지자체의 관광사업 효율성을 비교 분석하여 이에 따른 한국형 관광산업 활성화 방안을 전략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17개 지방자치단체가 관광산업 성과를 상대적인 효율성으로 비교 분석하기 위해 자료포락분석(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모델과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Malmquist Productivity Index)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제주도와 강원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관광산업의 성과가 나타났으며 생산성 추이 분석에서는 내부요소보다 외부환경 요소가 생산성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적인 지자체의 관광산업의 특징과 생산성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반영하여 관광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각 지자체를 방문한 내·외래 관광객에게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시하여야 한다. 둘째, 지역 간 관광연계형 DMO(Destination Management Organization; 관광관리기구)를 통한 협력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여러 지역을 하나의 관광지로 통합하는 관광 마케팅 전략을 추진한다. 넷째, 관광자원과 같은 지리적 특성을 최대한 이용한다. 마지막으로 비즈니스 및 회의 참석 방문객을 관광객으로 변환시키는 블레저(Business + Leisure의 조합어) 전략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향후 지자체들의 관광산업 전략 방향 및 관리 효율성 향상 방안을 제고하고 궁극적으로는 국내 광역시·도별 관광산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官」字銘 銘文瓦의 使用處 檢討

        車順喆 경주대학교 경주문화연구소 2002 慶州文化硏究 Vol.5 No.-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기와를 사용했으며, 이를 증명하듯 전국 각지의 여러 유적에서는 많은 기와가 출토되고 있다. 이러한 기와들 가운데에는 기와등에 「官」자가 찍혀있거나, 쓰여진 문자기와가 알려져 있다. 이 문자기와는 국가나 관청을 나타낸 것으로 추정되어져 왔으며, 그 사용처를 표시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기와에 「官」자가 표시된 평기와가 출토된 유적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한 당시 기와사용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이 된 유적은 산성, 건물지, 사찰 등이며 연대적으로는 통일신라∼고려시대 초기에 해당된다. 총 28개 유적에서 출토된 「官」자가 적혀있는 문자기와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官廳 建物에 사용될 기와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官」字를 표시하였다. 2. 官營倉庫에 사용된 것을 표시하였다. 3. 官을 나타냄과 동시에 火災 등을 피하기 위한 벽사의 의미로 상징성을 지닌 「井」字를 함께 사용하였다. 4. 「大官」銘 문자기와는 倉庫를 나타내는 「량」字가 찍힌 문자기와와 함께 사용된 점으로 볼 때, 당시 창고를 관리하는 官職과 관련될 가능성이 있다. 5. 「大官寺」 또는 「官寺」와 같이 사찰의 이름을 표기한 것도 있다. 6. 해당 지역의 지방 이름과 「官」字가 결합된 문자기와를 살펴볼 때, 당시에는 「官 ·城 ·郡」이 같은 뜻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고려시대 초기까지 이 문자기와가 나타는 점은 당시 지방호족들이 자신들의 正體性을 반영한 것이다. 7. 「官 ·官草 ·宦」등과 같은 명문와가 출토되는 대형 건물지는 당시 地方豪族의 居館으로 추정된다. In Korea, tiles were used from as early as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verified by the fact that a large amount of tides have been unearthed from sites located all over the country. Tiles which were stamped or incised with the character 'Gwan(官)' are well known. Gwan(官) seems to indicate an administrative or a public office, suggesting that the tiles may have been used on such kinds of buildings.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use of these tiles by examining the sites where they were excavated. The 28 sites encompass fortress sites, ancient building sites and temple sites, all of which date from the Unified Silla to the early Goryeo peri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character 'gwan(官)' indicated a public office and was used on storage buildings connected to a public office. It was used with the character 'jeong(井)' meaning 'well' for the purpose of warding off evil spirits such as fire. Tiles with the character 'daegwan(大官)' were used with the character 'gyeong(?)' to indicate a storage building. In the same way, tiles with the character 'gwan(官)' may have been used at offices managing a storage. There are tiles bearing the name of a temple, such as 'daegwansa(大官寺)' or 'gwansa(官寺)'. Tiles with the character 'gwan(官)' used with the name of a place indicate that a place was called as various names gwan(官), seong(城) and gun(郡). Characters on tiles suggest that powerful local clans reflected their identity in the tiles. The large ancient building site where tiles with the character 'gwan(官)', 'gwancho(官草)' and 'hwan(宦) were excavated seems to have been the house of a powerful local clan.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문학관수루(觀水樓) 제영시문(題詠詩文)을 통해 본 유가(儒家)의 자연관(自然觀) 고찰(考察)

        이정화 ( Jeong Hwa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1 No.-

        이 글에서는 관수루(觀水樓)를 배경으로 지어진 시문(詩文)에 투영된 자연관(自然觀)을 살펴보았다. 시문을 지은 작가(作家)들은 자연을 닮으려는 인생관(人生觀)을 시화하고 있는가 하면, 우환의식(憂患意識)으로 겸허하게 학문을 닦는다는 굳은 의지를 표출하기도 하였다. 특히 `관수(觀水)`를 통한 수양방법이 유자(儒者)에게 적합한 것임을 작가의 체험 및 전고를 끌어 와 보여주고 있는데, 논의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수`의 수양법을 견지한 유자(儒者)들의 작품에는 사리사욕(私利私慾)이 사라진 천진무구(天眞無垢)의 경지를 구현하고 있다. 허정(虛靜)한 마음 상태에서 백구(白鷗)와 물아일체(物我一體)를 이루기도 하는 등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모습을 시화한 작품이 그러한 예에 해당하고 있다. 둘째, 작품 제작의 동기가 공무(公務)를 수행하는 도중에 낙동강을 지나게 된 데서 비롯된 예를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작품들은 작가가 조망한 `관수루` 주변의 자연경관을 묘사할 뿐만 아니라, 거기에 대장부의 웅대한 기상이 가세하게 될 경우가 더러 있다. 한편 공무를 수행하는 유자의 모습에는 충군(忠君)을 근간으로 한 윤리 의식이 표출되어 있다. 셋째, 유자(儒者)들 가운데 `관수루`에 편액으로 걸려 있는 스승 퇴계(退溪)의 시를 우러르며 시정신을 반추하다가 그 감회를 시화하는 경우가 있다. 지난 날 스승의 몸소 행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자 역시 성현(聖賢)의 마음을 전고로 하여 `관수`의 의미를 확인하게 된다. 스승을 잃은 슬픔에 감정이 격해질 수밖에 없음을 고백한 제자의 작품도 이러한 예에 해당된다. 넷째, 끊임없이 흘러가는 물을 관조하는 유자(儒者)의 마음을 시화한 작품에서는 대체로 물이 흘러가는 이치를 궁구하는 것에 주력하고 있다. 그러한 예로 범중엄의 작품을 전고로 하여 맑고 깨끗한 유가의 미의식을 작품 저변에 드리우는가 하면, 두보 시에 나타난 애민의 마음과 우환의식을 흠모하고 이를 계승하려는 의지를 보이기도 한다. 다섯째, 청대 권상일은 기문을 지어, 물(水)을 본받아 스스로의 완성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이었다. 즉 이는 유자가 자신의 학덕을 넓고 깊게 쌓기 위해서는 풍부하게 흐르는 강물의 이치와도 같은 진리를 깨달아야 함을 나타낸 것이라 하겠다. 또한, 안축의 제영시에서는 관수루 앞을 흘러가는 낙동강을 바라보며 유학의 정맥(正脈)을 체계화한 주자의 얼을 칭송하고 있으니, 이를 통해 안축의 상고적 학문정신을 헤아릴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the Arbor Poetry considering the Guansuru(觀水樓). Generally Confucianists were a accomplished scholar as study of human nature. The Confucian scholar`s consciousness is not a far cry from lifetime. They are recognized a human being as the laws of nature. Their poetry is framed to the two types; the nature and the life, the learning and the anxiety. They are thought to be the important character: as a poet, as a official, as a scholar. Toegye transmitted the spirit of the literature to a direct disciple, Heojeon (許傳) and Rhujumok(柳疇睦). The Chinese Poems written by them were tried to realized in the Confucian ideology. They are revealed the constant human nature in the mountain or river scenery.

      • KCI등재

        관광산업에서의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 지출이 기업의 원가하방경직성(cost stickiness)에 미치는 영향

        신희정,권혁기 동북아관광학회 2021 동북아관광연구 Vol.17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investment in human resources in the tourism industry on the cost behavior of companies. While improving human resources is deemed to be imperative as a factor to improve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tourism industry, it is an empirical question of how the investment on human resources will affect operational efficiency. Using firms listed on the Kospi and KOSDAQ markets from 2001 to 2017, we analyze the effect of labor costs (salary and wages, benefits, education and training costs) on the downward rigidity of companies. By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of 16,302 final firm-year samples, we find that companies in the tourism industry have lower cost rigidity compared to manufacturing and wholesale industries. This indicates that tourism is a more flexible management strategy for demand uncertainty, and is relatively more efficient in operating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However, labor expenditure in the tourism industry has generally had a negative effect on corporate operational efficiency. Specifically, salaries and wage expense and welfare costs among labor costs were found to increase the downward rigidity of the tourism industry. Education and training costs generally reduced downward rigidity, which has not show incremental effects in the tourism industry thoug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the tourism industry, investments in human resources as expenditures on salaries and benefits are likely to affect operational efficiency negatively in the following years, but education and training costs can, in contrast, improve cost efficiency. This suggests that in the tourism industry,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demand uncertainty as a passive strategy of less spending on salaries and benefits, while actively investing in human resources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본 연구는 관광산업의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가 기업의 원가행태로 나타나는 운영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관광산업의 기업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요소로서 인적자원의 고도화가 중요시되는 반면, 이를 위한 인적자원에 대한 지출이 기업 내부의 운영효율성에 어떠한 결과를 나타내는지는 실증적인 문제이다.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7년까지 Kospi 및 KOSDAQ 시장에 상장된 관광산업 기업을 대상으로 관광산업의 원가행태를 살펴보고 인건비(임금 및 급여, 복리후생비) 및 교육훈련비가 관광산업 내 기업의 원가하방경직성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관광산업은 제조업 및 도매업과 비교하여 원가하방경직성이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광산업이 수요불확실성에 대한 경영전략으로서 기정자원을 보다 융통성 있게 조정하여 기업의 운영효율성을 높이는 산업의 구조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관광산업에서의 인적자원 투자를 위한 지출은 그 지출의 형태별로 기업의 운영효율성에 차별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인건비 중 급여와 복리후생비는 관광산업의 원가하방경직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훈련비는 일반적으로 원가하방경직성을 감소시키는 반면 관광산업 내에서 증분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관광산업의 경우 급여 및 복리후생비의 지출로서 이루어지는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는 다음기의 수요변동에 대한 대응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교육훈련비는 반대로 운영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관광산업의 경우 급여 및 복리후생비의 지출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전략으로써 수요불확실성에 대비하는 반면, 교육훈련비 지출을 통한 적극적인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를 통해 기업가치를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백제 ‘은화관식’의 형상과 정치적 성격 검증

        오은석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5

        ‘銀花冠飾’은 흔히 백제에서 率系 관료의 관모에 착장하는 장신구이자 일종의 정치적 표지인 銀花로 일컬어지 고 있다. 그런데 ‘은화관식’으로 지칭되는 대상물이 백제 당시의 銀花인지는 확언할 수는 없다. 이는 유물인 ‘은 화관식’을 기록의 銀花라고 구체적으로 명시한 증거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은화관식’이 기록의 銀 花에, 형상과 정치적 성격이 부합하는지 검증해보았다. 이 검증에는 3가지 의문점으로 이루어졌다. 첫째는 기록의 金花로 지칭하는 무령왕의 금제관식과 기록의 銀花 로 지칭하는 ‘은화관식’은 그 출현시기와 형식학적인 면에서 차이가 크다는 점이다. 둘째, 기록을 통해 보았을 때 비교적 많은 관료가 銀花를 착용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은화관식’은 1938년 첫 발견 이후 70여년 넘게 불 과 13점만 발견된 현상이다. 셋째는 ‘은화관식’이 관등을 드러내는 표지이며 정치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면 미륵사지 석탑 심초석 사리공에서 발견된 ‘은화관식’과 같이, 공양품으로 처분이 가능했을까하는 점이다. 이 3가지 의문을 중심으로 ‘은화관식’의 형상과 내재된 성격을 재검토해본 결과, ‘은화관식’은 꽃의 형상이 아 닌 나무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외형상 ‘은화관식’은 기록의 銀花로 볼 수 없었다. 그리고 ‘은화관식’은 정치적 성격이 내재되어 있기 보다는 무덤 부장품의 성격이 짙고 私的으로 제작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7세기 에 들어서는 私的인 기원의 상징물로도 부장되었다. 검증 결과 ‘은화관식’은 형상으로나 내재된 성격으로나 기록의 銀花로 볼 수 없었다. 銀花는 아직까지 발견되 지 않았으며 ‘은화관식’은 그 소재와 형태적 특징에 부합하는 명칭인 銀製 樹形 冠飾으로 부르고자 제안한다.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was an accessory that decorated the official hat of a bureaucrat in a Sol-group position in Baekje. It is also known as the Silver Flower, which is seen in political signs. However, these terms may not be interchangeable as no definite evidence could prove the relation between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and the Silver Flower. Therefore, this study will attempt to verify whether the shape and role in politics of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coincide with those of the Silver Flower by examining available historical records. Three doubtful points have been not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ilver Flower and 'the Silver Flower- Shaped Hat Ornament'. The first is related to the differences between King Muryeong's Gold Diadem Ornament and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These two items bear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iod of appearance and form. Second, according to the records, most bureaucrats wore the Silver Flower in the past, but only 13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pieces have been found since the first of its kind was discovered in 1938. Third, if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indicated an official rank and had a political character, it could be treated as one of the goods offered to Buddha, such as the one discovered in the sarira hole for enshrinement in the foundation stone at the stone pagoda of Mireuksa Temple. After considering the three issues stated above, I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has an appearance that is more similar to a tree than a flower, which indicates that its shape is contradictory to that of the Silver Flower described in historical records. Second,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was treated as a type of grave goods rather than an object with political purposes.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was made personally, and it was also treated as a type of grave goods to wish someone luck in the 7th century. in sum,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hardly refers to the Silver Flower because they are different in various ways. They were created ofr different purposes, and even their shapes are dissimilar. The study concludes that a Silver Flower specimen has never been found. Further, in consideration of its material and shape,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may be renamed as Silver Tree-Shaped Hat Ornament.

      • 관광산업의 국민경제 기여효과 분석

        오경숙(Oh, Kyung-Sook)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12 經營經濟 Vol.45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2008년 관광산업의 성장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각종 기여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산업연관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관광산업이 새로운 성장동력 및 고용창출산업으로서의 발전가능성과 정책적 의의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한국은행의 2008년 산업연관표 DB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2008년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관광산업이 타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관광산업의 생산유발효과는 낮지만, 노동집약적인 관광산업의 특성으로 고용효과와 부가가치효과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입유발효과는 전반적으로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관광산업의 수입의존도가 타 산업에 비해 낮기 때문이다. 셋째, 관광산업의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로서, 관광산업의 감응도계수는 몇몇 업종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이 1 이하의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최종수요형 산업으로 간주되는 관광산업이 다른 산업 생산의 중간재로 쓰여지는 정도가 낮으며 중간재보다는 오히려 최종재로 쓰여지기 때문이다. 한편 영향력계수를 보면, 음식점 1, 1108만이 1을 상회하고 있고 관광산업 전반 모든 산업에서 영향력계수가 제조업에 비해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이들 업종의 성격이 최종수요형 서비스산업으로 생산에 따른 파급효과가 제조업에 비해 낮음을 의미하고 있다. 시사점 ? 본 연구의 결과 관광산업이 고실업 시대에 고용창출산업으로 집중 육성하여 국내 실업문제 해결에 커다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관광산업 중에서도 생산유발효과와 부가가치유발효과가 큰 업종에의 투자를 통한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한편 내수형 최종수요의 성장을 위해 관광부문에의 투자와 생산성 향상의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Purpose ? This study analysed a variety of ripple effects of growing tourism industry in 2008 on economy of Korea through Input-Output Analysis to identify its developmental possibility. and political meaning as new energy and an industry to create more jobs. Design/Methodology ? This study analysed through 2008 Input-Output Tables Data Base of The Bank of Korea. Findings ?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 few political suggestions for our economy are presented as follows : First,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ripple effects of tourism industry on other industries through 2008 Input-Output Analysis. it was discovered that its effect on production was low. but its effect on employment and added value was high because of the labor intensiveness of tourism industry. Second. its effect on import was very low. which indicates that its import dependency is lower compared to those of other industries. Third.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of tourism industry was below 1 except several sub-areas because the degree it is considered as an intermediate goods is low and rather it is used as a final good. However 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of 1,1108 restaurants was above 1 and that of all the sub-industries was lower compared to manufacturing industry. which indicates that its ripple effect of production is lower because it is a final demand type service industry. Implications ? Based the results above. it is suggested that tourism industry can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development of the solution to national unemployment when it is cultivated as a job creation industry and investment to sub-areas of tourism industry with high effect on production and added value will be a new energy to our economy. Meanwhile, tourism sector should attract more investment and improve productivity to enhance final demand for national sales.

      • 롤러식 포트파종기의 관수장치 개발

        황석준 ( Seok Joon Hwang ),이주연 ( Ju Yeon Lee ),조현진 ( Hyeon Jin Jo ),남주석 ( Ju Seok Na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롤러식 포트파종기에 적용 가능한 관수장치를 개발하고 관수 시스템 최적화를 위한 요인시험을 수행하였다. 기존의 롤러식 포트파종기는 별도의 관수과정 없이 파종 후 인력으로 관수하기 때문에 균일한 관수가 어렵고 노동력의 소모가 심한 실정이다. 개발된 관수장치의 작동방식은 수조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수중펌프를 통해 관수관까지 이동하여 관수관에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한 관수구멍을 통해 포트트레이의 각 셀에 투입되며 관수 후 남은 물은 바이패스관을 통해 다시 수조로 되돌아온다. 이때 바이패스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핸드밸브를 통해 물의 압력을 조절한다. 요인시험은 관수관의 관수구멍에서 나오는 관수량을 확인하기 위해 핸드밸브 개폐 여부와 관수구멍의 직경(Φ1, Φ1.5)의 크기를 변화시키면서 관수량을 30초간 측정하였으며 동일한 조건에서 3반복 시험을 수행하였다. 요인시험 결과, 관수관을 두 개 사용하였을 때 관수구멍 위치 당 평균유량은 조건별로 관수구멍크기 Φ1, 밸브열림에서 3.78 ml/s, 관수구멍크기 Φ1 밸브닫힘에서 6.09 ml/s, 관수구멍크기 Φ1.5 밸브열림에서 5.20 ml/s, 관수구멍크기 Φ1.5 밸브닫힘에서 8.73 ml/s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수작업 후의 상토손실 및 종자위치 변형 여부를 확인한 결과, 각 조건 중 관수량이 두 번째로 많고 종자의 위치 변화와 상토의 손실이 거의 없는 관수구멍크기 Φ1 및 밸브닫힘 조건이 최적의 관수조건인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최적화 시스템이 적용된 관수장치 사용을 통해 노동력 소요를 줄이고 작업의 편의성 증대 및 적절한 관수를 통한 양파종자의 발아시간 단축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