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속-금속 관절면 고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한석구 ( Suk Ku Han ) 대한고관절학회 2013 Hip and Pelvis Vol.25 No.4

        금속-금속 관절면 인공관절물은 마모가 적고 골두 크기가 크기때문에 관절의 안정성이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마모기전, 마찰학, 윤활기전 및 발생하는 마모입자 등에 금속-폴리에틸렌 관절면 인공고관절 치환물과 차이가 있다. 2세대 금속-금속 관절면 인공고관절 전치환술의 중, 장기적 임상결과는 우수 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마모된 금속입자와 금속이온이 국소적 및 전신적으로 미치는 여러 부정적 영향에 대한 가능성은 아직 해결되지 않은 숙제로 남아 있다. 최근 금속 마모입자와 금속이온에 의한 연부 조직 반응이 큰 문제가 되었고, 일부 표면 관절치환 인공관절물의 높은 재치환율이 보고되면서 퇴출되는 사태까지 초래되었다. 이에 저자는 금속-금속 관절면 인공관절의 역사, 마찰학(tribology), 금속 마모입자 및 금속이온의 생물학적 영향 및 금속-금속 관절면 고관절 전치환술의 임상적 결과 및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금속-금속 관절면표면 관절치환술의 현황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Metal-on-metal (MoM) total hip replacement (THR) and hip resurfacing have an advantage of low wear rate and greater stability by larger head size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wear mechanism, tribology, lubrication or generating wear debris compared to conventional metal-on-polyethylene THR. Although the mid- or long term clinical reports of second generation MoM THR were excellent, concerns about local and systemic effect by metal particles or metal ions were remained. Recently, reports have emerged of abnormal soft-tissue reactions to metal particles or metal ions and some hip resurfacing implants were expelled from the market due to high revision rate. This article includes the history of MoM THR, tribology, the biologic effect of metal particles and ions, the clinical results of MoM THR and the issues regarding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hip resurfacing.

      • KCI등재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및 대치형 슬관절 전치환술 후 관상면상 관절선 위치의 변화

        최충혁 ( Choong Hyeok Choi ),성일훈 ( Il Hoon Sung ),최진우 ( Jin Woo Choe ) 대한슬관절학회 2006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8 No.2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에 관절선의 변화는 골 절제 뿐만 아니라, 연부 조직의 변화에 의해서도 초래된다. 슬관절 전치환 시술 시 후방십자인대의 보존 여부에 따라 저자들이 고안한 방법으로 관상면상 수술 후 관절선의 변화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양측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 중 일 측은 후방십자인대 보존형을, 반대측은 후방십자인대 대치형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22명 환자에서 수술 전, 후의 관절선 위치를 기립 전후면 방사선 사진상에서 동일 저자가 2회, 또 다른 저자가 1회 계측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후방십자인대 보존형과 대치형 슬관절 전치환술 군 모두에서 관절선의 위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의 근위부 이동을 하며, 근위부로의 이동 정도는 후방십자인대 보존형의 경우는 평균 2.4±4.1 mm, 후방십자인대 대치형의 경우는 평균 5.4±5.8 mm로 계측되어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보다는 대치형 슬관절 전치환술 후 관절선 위치의 근위 이동이 더 많은 것으로 측정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Measured resection technique과 gap technique를 절충한 슬관절 전치환술식 후에 관절선은 근위부로 위치 변화가 생기며,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보다는 대치형에서 더 많은 근위부 이동이 초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관절선 변화 정도의 표준 편차가 4~6 mm 정도로 개체간에 차이가 많아 일반적인 예측은 어려운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change of the joint line is associated not only with bone cutting levels but also balance of soft tissu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analyze to compare the changes of the coronal joint line levels between PCL retaining total knee arthroplasty and PCL-substituting total knee arthroplasty, using the new method designed by authors. Material and Methods: A total 44 knees of 22 patients who received both TKA, of whom the one side was CR TKA and the other side was PS TKA, were analysed on pre- and post-operative weight-bearing anteroposterior radiopraphy of the knee. The joint line levels were measured two times by one author and one time by different author. Results: The proximal shift of the joint line showed differently in both groups. The average of shifting values were 2.4±4.1 mm in CR TKAs, and 5.4±5.8 mm in PS TKAs. PS TKAs had significantly larger shifting value than CR TKAs for all times(p<0.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joint line level proximally shifted after TKA, using measured resection technique and gap technique. The shifting level in PS TKA was larger than CR TKA. But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change of joint line level after TKA, because of deviation between case by cas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sured value was 4~6 mm.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후 조기 강제 관절 굴곡술의 효과

        최충혁 ( Choong Hyeok Choi ),성일훈 ( Il Hoon Sung ) 대한슬관절학회 2006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8 No.2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2주에 관절굴곡의 정도에 관계없이 강제 관절 굴곡술을 시행한 경우에 관절 굴곡 운동범위의 향상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양측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술받은 환자 중 일측은 수술 후 2주에 강제 관절 굴곡술을 시행하고, 반대측은 시행하지 않은 환자 중 수술 후 1년 시점에서 양측 슬관절 운동범위를 측정할 수 있었던 59명 환자의 슬관절 최대 굴곡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1년에 강제 관절 굴곡술을 시행한 쪽의 관절 최대 굴곡각은 평균 124.6도(85~145)였으며, 강제 관절 굴곡술을 시행하지 않은 쪽의 관절 최대 굴곡각은 평균 125.3도(90~145)로 차이가 없었다(p=0.384). 59명의 환자 중 수술 후 1년에 강제 관절 굴곡술을 시행한 쪽과 시행하지 않은 쪽의 최대 굴곡각이 동일한 경우가 32명이었고, 강제 관절 굴곡술을 시행한 쪽의 최대 굴곡각이 더 큰 경우는 12명이었으며, 반대로 강제 관절 굴곡술을 시행한 쪽의 최대 굴곡각이 적은 경우도 15명 있었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후 관절 굴곡의 정도와 관계없이 비선택적으로 조기에 시행하는 강제 관절 굴곡술은 슬관절 최대 굴곡각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ole of routine manipulation on increasing angle of great flexion (AGF)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in early postoperative period.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sed the AGF of the both knees 1 year after total knee arthroplasties in 59 patients who had a bilateral procedures and in whom only one knee was manipulated routinely at 2 weeks after TKA. Results: The average AGF was 124.6 degree (85~145) on routine manipulated knee and 125.3 degree (90~145) on non-manipulated side 1 year after TKAs. Therefore,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GFs between both sides (p=0.384). Among 59 patients, the AGF was same on both knees in 32 patients, greater AGF on manipulated knee in 12 patients and greater AGF on non-manipulated TKA side Conclusion: The routine manipulation has no positive role on increasing AGF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in early postoperative period.

      • KCI등재

        무릎관절치환술 환자의 중증도 보정 재원일수 모형 개발

        홍성옥,김영택,최연희,박종호,강성홍,Hong, Sung-Ok,Kim, Young-Teak,Choi, Youn-Hee,Park, Jong-Ho,Kang, Sung-Hong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5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3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everity-adjusted LOS(Length of Stay) model for knee replacement patients and identify factors that can influence the LOS by using the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data. The comorbidity scoring systems and data-mining methods were used to design a severity-adjusted LOS model which covered 4,102 knee replacement patients. In this study, a decision tree model using CCS comorbidity scoring index was chosen for the final model that produced superior results. Factors such as presence of arthritis, patient sex and admission route etc. influenced patient length of stay.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al LOS and adjusted LOS resulted from health-insurance type, bed size, and hospital location. Therefore the policy alternative on excessive medical utilization is needed to reduce variation in length of hospital stay in patients who undergo knee replacement. 본 연구는 무릎관절치환술의 효율적 재원일수 관리를 위해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무릎관절치환술에 대한 중증도 보정 재원일수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무릎관절치환술의 재원일수 변이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 중 무릎관절치환술 환자 4,102명을 대상으로 동반상병 보정 방법 및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무릎관절치환술 환자에 대한 중증도 보정 재원일수 모형을 개발한 결과 CCS 동반상병 보정 방법을 이용한 의사결정나무 모형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무릎관절치환술 환자의 재원일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관절염 동반유무, 성, 입원경로 등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중증도 보정 모형을 기반으로 무릎관절치환술 환자의 적정 재원일수와 실제 재원일수의 차이를 파악한 결과 진료비지불방법, 병상규모, 의료기관 소재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무릎관절치환술 환자의 재원일수 변이를 줄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과잉 진료에 대한 모니터링 등에 정책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치료들 중 관절 치환술의 역할

        오주한(Joo Han Oh),최준하(Jun Ha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1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여러 치료 방법 중 관절 치환술에 대한 최신 지견을 알아보고자 하며, 각종 관절 치환술 술식의 장단점과 치료 방침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PubMed 논문 검색창을 통해 massive rotator cuff tears와 arthroplasty라는 어구를 사용하여 최근 나온 문헌들을 고찰하였으며,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수술 방법 중 하나인 관절 치환술의 역사와 적응증, 임상 결과 및 치료 지침에 대해 알아보았다. 관절 치환술은 관절염이 진행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환자에서 일차적 치료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반관절 치환술은 가성 마비가 없는 회전근 개 파열 관절병증을 가진 환자에서 오구 견봉궁이 건재할 경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은 가성 마비를 동반한 고령의 회전근 개 파열 관절병증을 가진 환자에서 통증 완화와 능동적 거상을 회복할 수 있는 적합한 수술 방법이다.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적절한 수술 방법의 선택은 치료 성공의 중요한 과정이며, 관절 치환술 역시 적절한 적응증과 발전된 술기 등으로 인하여 좋은 결과가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plore current concepts of arthroplasty as a treatment for massive rotator cuff tears. Pubmed was searched using the words ‘massive rotator cuff tears’ and ‘arthroplasty’ for suitable articles, which were then reviewed and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history, indications, clinical outcomes, and treatment algorithms of arthroplasty in patients of massive rotator cuff tear. Arthroplasty can be considered a primary surgical treatment for patients with irreparable massive rotator cuff tears and hemiarthroplasty may be the treatment of choice in younger patients with an intact coracoacromial arch and no pseudoparalysis.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is the best surgical treatment for pain relief and the restoration of active forward flexion in elderly patients with cuff tear arthropathy and pseudoparalysis. Proper selection of arthroplasty can provide pain relief and functional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massive rotator cuff tears. However, complication rates remain high,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patient selection and careful operative technique.

      • KCI등재

        감염된 인공 슬관절의 2단계 재치환술에서 관절형과 비 관절형 시멘트 삽입물의 비교 연구

        황준경 ( Jun Kyung Hwang ),오창욱 ( Chang Wug Oh ),이현주 ( Hyun Joo Lee ),경희수 ( Hee Soo Kyung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3

        목적: 감염된 인공 슬관절의 2단계 재치환술에 있어서 관절형과 비 관절형 시멘트 삽입물의 결과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7년까지 22명의 감염된 인공 슬관절 환자, 23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슬관절 재치환술 전에, 삽입물의 제거 및 관절형 또는 비 관절형 시멘트를 삽입하였다. 관절형이 10예, 비 관절형이 13예였으며, 관절형은 남자가 2예 여자가 8예였고, 비 관절형은 남자가 1예, 여자가 12예 였다. 평균 나이는 관절형이 65.1세(53∼71), 비 관절형이 68.1세(53∼79)이었다. 원인균으로는 황색 포도상 구균이 9예로 가장 많았으며, 원인균을 밝히지 못한 경우가 10예이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24개월(12∼71개월)이었다. 결과: 감염 치료율은 관절형에서 현재까지 모두 재감염없이 추시 중이고, 비 관절형에서는 1예가 재감염이 발생하였다. 평균 관절 운동 범위는 인공 삽입물 제거 전, 관절형이 60.3°(20∼115), 비 관절형이 61°(20∼90)였으며, 재 치환술후 최종 추시에서 관절형이 104.3°(90∼130), 비 관절형이 92.3°(60∼120)였다. 재치환술시 관절형은 3예에서 대퇴 직건 절제술을 사용하였으며, 비 관절형에서는 13예에서 대퇴 직건 절제술을 사용하였다. 기능 점수 상에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인공 슬관절 감염의 2단계 재치환술에 있어서 관절형 시멘트 삽입물은 1차 수술 후 재치환술까지 운동성을 유지하며, 최종 추시 시 감염 재발률의 증가없이 최종 관절운동의 향상을 얻을 수 있어 좋은 치료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compared the results between an articulating spacer and a non-articulating spacer for 2-stage reimplantation when performing infected total knee arthroplasty (TKA). Materials and Methods: From 1998 to 2007, for 22 patients with infected TKA,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23 knees that were treated with debridement, component removal and insertion of a non-articulating or articulating spacer, followed by second-stage TKA revision. Non-articulating spacers were used in 13 knees and articulating spacers were used in 10 knees. The most common infecting organism was Staphylococcus aureus in 9 cases, but the infecting organism could not be found in 10 cases. The average length of follow-up was 24 months. Results: The eradication rate was 100% (0 infections in 10 knee) in the articulating group compared with 92.3% (1 infection in 13 knee) in the non-articulating group. The average range of motion before removal of the implant was 60.3° for the articulating group and 61˚ for the non-articulating group. After revision arthroplasty, the average range of motion was 104.3˚ for the articulating group and 92.3° for the non-articulating group. The rectus snip was done for 3 cases in the articulating group and in 13 cases for the non-articulating group. Yet there were no fun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during the final follow-up period.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e articulating spacer can maintain knee mobility during between the interval stages and improve knee flexion without an increased risk of infection at the final follow-up period.

      • KCI등재

        관절전문병원 슬관절치환술 환자의 진료결과

        박춘선 ( Choon Seon Park ),김묘정 ( Myo Jeong Kim ),임지혜 ( Jee Hye Im ),김태현 ( Tae Hyun Kim ),신숙연 ( Suk Youn Shin ),이남석 ( Nam Suk Lee ),장진희 ( Jin Hee Chang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16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2 No.3

        슬관절치환술은 무릎 관절염 환자에게 있어 효과적인 수술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선진국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수술 중 하나이다. 한국에서는 2011년부터 특정 질환 및 진료 과목에 대해 난이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하는 병원을 대상으로 전문병원 지정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관절전문병원과 비교병원에서 슬관절치환술 환자의 진료결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분석자료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건강보험청구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하였으며, 2012년에 일차 슬관절치환술로 종합병원 및 병원에 입원한 36,934명의 환자가 포함되었다. 계획되지 않은 재입원과 위해사건 발생을 진료결과로 고려하였다. 연령, 성별, 의료보장유형, 찰슨동반질환지수를 이용하여 환자특성을 보정하였다. 통계방법은 GE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을 이용하였다. 퇴원 후 30일 이내 계획되지 않은 재입원율은 전문병원이 12.1%, 비교병원이 10.1%였고, 입원 후 90일 이내 위해사건 발생률은 전문병원이 1.3%, 비교병원이 1.9%였다. 그러나 환자특성을 보정하면 관절질환 전문병원과 비교병원의 진료결과 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추후 전문병원 지정제도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임상자료를 포함한 다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전문병원의 진료결과가 비전문병원의 진료결과보다 우수한지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otal knee arthroplasty (TKA) is a common and effective surgical procedure for severe knee arthritis and is one of the most increasingly popular procedures in developed countries. In 2011, the Korean Government designated hospitals that had been focusing on specific diseases or procedures as specialty hospita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outcomes of TKA specialty hospitals and non-specialty hospitals. Observational data collected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included 36,934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TKA at hospitals during 2012. Outcomes of TKA were unplanned readmission and adverse events. Age, sex, health insurance status, and comorbidity using Charlson`s Index were used to adjust for covariates. A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GEE) was used to compare outcomes of specialty hospitals and non-specialty hospitals. The unplanned readmission rates within 30 days of discharge of specialty and non-specialty hospitals were 12.1% and 10.1%, respectively. Patients who underwent TKA in specialty hospitals experienced fewer adverse events within 90 days of surgery compared to those who underwent the procedure in non-specialty hospitals (1.3% vs. 1.9%). However, the outcom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whether the outcomes of specialty hospitals become better than those of non-specialty hospital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designation polic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고도굴곡형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관절운동

        조세현(Se-Hyun Cho),하용찬(Yong-Chan Ha),송해룡(Hae-Ryong Song),정순택(Soon-Taek Jeong),박형빈(Hyung-Bin Park),황선철(Sun-Chul Hwang),김진수(Jin-Su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6

        목적: 인공 슬관절 치환술에 사용된 고도 굴곡형(LPS-Flex NEXGEN) 인공 관절 전치환술 후 관절 운동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및 단기 추시 결과에 대하여 전향적 연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2월부터 2002년 3월까지 고도굴곡형 인공 관절을 사용하여 인공 슬관절로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72명 106예 중 최소 2년 이상 추시된 67명(남자:7명, 여자: 60명) 101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시 평균 연령은 68.4세(범위,52-77세)이었다. 수술 후 3개월, 6개월, 1년 및 2년에 환자의 관절 운동 범위 회복을 포함한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최종 추시 시, 수술 후 운동범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로 수술 전의 굴곡구축과 운동범위, 그리고 키와 몸무게 비교수치(BMI: body mass Index) 등을 검사하였다. 수술 전후의 대퇴-경골 간 내반 변형 및 수술 후 최종 추시한 슬관절 점수와 기능점수, 슬개골 경사도 및 전위정도를 측정하여 수술 후 운동 범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환자의 최종 추시에서 후속 굴곡은 평균 130.8°(범위,90-150°)였으며, 30예(30%)에서 140°이상 굴곡되는 완전한 자신의 슬관절 굴곡을 보였다. 편안한 자세에서 양반다리가 가능한 경우는 53명(85예)이었고, 편한 자세로 꿇어앉을 수 있는 경우는 20명(30예)이었다. 수술 후 관절운동이 120° 미만인 경우는 11예였다. 대부분의 환자는 수술 후 6개월에서 1년까지 자신의 최대 관절 운동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수술 후 최종 추시상 슬관절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수술 전 운동 범위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슬관절 점수는 평균 90점(범위,80-100점), 슬관절 기능 점수는 91점(범위,45-100점)으로 평가하였다. 결론: 고도 굴곡형 인공 관절을 사용한 인공 슬관절 치환술에서 매우 우수한 평균 관절 운동 범위를 보였으며, 관절 운동 범위를 결정하는 것은 환자의 수술 전 관절 운동 범위라 생각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prospective study was to determine which factors are predictive of the post operative range of motion and to evaluate the short-term clinical results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using The Nexgen Legacy Knee LPS-Flex fixed bearing knee system replacement.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67 patients (101 kne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101 knees were operated on using the LPS-Flex fixed bearing knee system replacement. The same surgeon performed the surgery between December 2001 and March 2002. The patients' ages ranged from 52 to 77 years, with an average of 68.4 years. Preoperatively the factors considered were the age of the patient, gender, the body mass index, the flexion contracture and further flexion possible. The factors considered postoperatively were patellar tilting and displacement, the postoperative knee and functional score, and a varus deformity.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once every 3 month for up to 2 years. Results: At the latest follow-up, the average flexion in this series was 130.8° (range, 90°-150°). Thirty knees could attain more than 140° flexion. Twenty patients could comfortably kneel down. The 53 patients could sit cross-legged. The eleven knees could attain less than 1200 of flexion at the final follow-up.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flexion at each successive review 12 months after surgery.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d the range of motion after an arthroplasty was the preoperative range of flexion. The average Knee Society knee score was 90 points (range, 80-100), and the function score was 91 points (range, 45-100). Conclusion: A total knee arthroplasty with LPS-f1ex showed an excellent range of motion and satisfactory early clinical result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s the range of motion after an arthro-plasty is the preoperative range of flexion.

      • KCI등재

        관절외 각변형을 동반하거나 잔존하는 내고정물이 있는 환자에서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의 효과

        서영채(Young-Chae Seo),김창완(Chang-Wan Kim),서승석(Seung-Suk Seo)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1

        슬관절 전치환술은 말기 슬관절 골관절염에서 사용되는 수술적 치료법이다. 수술 후 하지 정렬이 슬관절 전치환술의 장기 예후를 결정하는 요소 중에 하나이다. 하지 정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내비게이션(navigation)을 이용한 수술이 유용하게 사용된다. 특히, 하지 장관골에 관절 외 각변형이 심한 경우나 제거될 수 없는 내고정물이 잔존하는 경우는 내비게이션 사용의 좋은 적응증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특수한 경우에 슬관절 전치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수술 전 계획을 수술의 각 단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종설에서는 관절 외 각변형이 있는, 혹은 제거될 수 없는 기구가 잔존하는 환자들에게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할 때, 수술 전 방사선학적 계측 및 그에 따른 계획을 살펴보고, 내비게이션을 사용하는 것의 이점, 수술 술기를 설명한다. 문헌 고찰로 평가해 볼 때, 관절 외 각변형을 가진 골관절염에서 내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를 결과는 양호하였다. 따라서 관절 외 각변형을 동반하거나 잔존하는 내고정물이 있는 환자에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할 때 내비게이션을 이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Total knee arthroplasty is a surgical treatment for end-stage osteoarthritis of the knee. Postoperative lower limb alignment is one of the factors determining the long-term prognosis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Navigation-assisted surgery can be used to achieve an accurate lower limb alignment. Particular situations, such as severe extra-articular deformity in the femur or tibia and retained hardware, are a good indication for navigation-assisted surgery. On the other hand, thorough preoperative planning and an understanding of each steps of surgery are necessary to perform total knee arthroplasty successfully in these special cases. In this review article, preoperative radiological measurements and surgical planning for extra-articular deformity correction will be elucidated. The surgical steps and necessary instruments for navigation-assisted total knee arthroplasty will be described in cases of extra-articular deformity or retained hardware. A literature review showed that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using navigation in osteoarthritis with extraarticular deformity were good.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use navigation when performing total knee arthroplasty in patients with extraarticular deformity or retained hardw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