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관능법과 기기분석법을 접목한 악취원인물질 평가방법

        김만구,정영림,박정진,서영민,윤인구 한국냄새환경학회 2002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 No.1

        The objective method, combined sensory and instrumental analysis, was desired to evaluation of intensity as well as odor-active compounds because malodor is sensory pollution. In this study, the odor-activecompounds were analysed by Cryofocusing- GC/FID/Olfactometry and GC/MSD in the Sihwa-Banwoul industrial area. The major odor-active compounds related to solvent were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and n-butyl acetate. As well as a novel evaluation method of odor-active compounds were proposed. The evaluation method base on the quality of odor in a sampling site by human nose, a retention time and an quality of odor detected by GC/ FID/Olfactometry, and a retention time and a mass spectrum obtained by GC/MSD. This evaluation method is expected to identify not only odor-active compounds in the industrial area also flavors and stench of food, polymer, cosmetics and a related odor industry. 악취는 감각오염이므로 악취의 세기, 원인물질들의 평가에 기기분석법과 관능법을 병행한 객관적인 평가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기기분석법과 관능법을 접목시킨 Cryofocusing-GC/FID/Olfactometry와 GC/MSD를 이용하여 시화․반월공단지역의 악취물질을 분석하였다. 공단지역의 악취는 여러 가지 물질에서 기인한 복합취였지만, 시화․반월공단 내에서 용제에 기인한 주요 냄새원인물질은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n-butyl acetate 등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현장에서 맡은 냄새의 질과 GC/FID/Olfactometry에서 얻은 냄새의 질과 머무름 시간 그리고 GC/MSD에서 얻은 머무름 시간과 mass spectrum을 연관지어 냄새원인물질을 평가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평가법은 공단지역의 악취원인물질 뿐만 아니라 식품의 향과 이취, 고분자, 화장품 그리고 냄새와 관련된 산업 등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官能檢査法에 의한 아이스크림의 品質評價에 관한 硏究 : (弟1報)市販 아이스크림의 成分分析 및 官能的 品質評價 試驗

        채수규,이상건,심상국 서울保健大學 1982 論文集 Vol.2 No.1

        시판 Carton 및 Cone형 아이스크림에 대한 化學成分 分析 및 脂肪成分의 理化學的 性質을 조사하고, 또한 選拔 및 訓練된 파넬에 의해 官能的 品質 評價試驗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시판 아이스크림 중의 脂肪, 總固形分, 總蛋白質, 無脂乳固形分, 乳糖 및 粗灰分 함량은 製造會社 別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그들의 평균 함량은 각각 Carton형이 8.53%, 34.18%, 3.43%, 11.02%, 6.17% 및 0.84%이었고 Cone형이 6.54%, 34.02%, 3.29%, 10.40%, 5.84% 및 0.77% 이었다. 2) 抽出된 아이스크림 脂肪의 酸價, 감화가 , 요요드價 및 Reichert-Meissl價는 製造會社 別로 다소간의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그들의 평균값은 각각 Carton형이 0.58, 221.88, 19.63 및 29.04 이었고, Cone형이 0.65, 219.45, 18. 64 및 28.82 이었다. 3) 시판 4개회사 제품의 아이스크림을 시료로 하여 3點試驗法, 順位試驗法 및 採點試驗法에 의한 官能的 品質 評價試驗을 실시한 결과 거의 5% 수준 이상에서 製造會社別로 有意的인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Carton 및 Cone형 모두가 C 및 D 會社 製品의 아이스크림이 A 및 B 會社 製品의 것보다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Commercial ice creams were subjected to chemical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by trained panel members. Chemical composition of commercial ice creams was not much different among the makers. The average contents of fat, total solid, total protein, milk solids-not-fat, milk lactose and crude ash were 8.53%, 34.18%, 3.43%, 11.02%, 6.17% and 0.84% in Carton, and 6.54%, 34.02%, 3.29%, 10.40%, 5.84% and 0.77% in Cone, respectively. Chemical properties of fat extracted from commercial ice creams were much different among the makers. The average values of acid, saponification, iodine and Reichert-Meissl value were 0.58, 221.88, 19.63 and 29.04 in carton, and 0.65, 219.45, 18.64 and 28.82 in con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riangle, ranking and scoring tests for commercial ice creams produced by four makers,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sensory quality among four commercial ice cream samples was recognized at over 5 percent level. C and D samples had better sensory quality than A and B in both type of Carton and Cone.

      • KCI등재후보

        공기희석관능법과 기기분석법의 연계성 평가를 통한 악취성분들의 악취기여도 연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비교

        김기현,박신영,홍윤정 한국냄새환경학회 2007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배출원으로부터 채취한 악취시료를 사용하여, 기기분석 및 관능법에 기초한 분석을 실시하고, 양방식의 연계점을 다각도로 평가하였다. 특히,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각 배출원들에 대한 개별성분들의 악취기여도를 여러가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대상은 음식물 제조업,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 기타업종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2005년 12월 14일부터 2006년 11월 22일의 1년여 기간에 걸쳐, 이들 3 가지 유형을 대표하는 10개 업체로부터 총 70개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기기분석 자료를 희석배수와 연결하여 해석하기 위한 방편으로 기기분석결과를 악취농도(OC), 악취강도(OI), 악취지수(OQ)를 포함하는 3가지 방식으로 환산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들 환산자료와 공기희석관능법으로 측정한 희석배수를 연계하는 방식으로 12가지 개별악취성분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평가해 보았다. 악취강도(OI)에 대한 분석결과를 기준으로 보면, butyraldehyde, CH3SH, NH3, H2S 성분이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과정에서 핵심적으로 악취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물질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ir dilution sensory test and instrumental detection method for samples containing various odorous compounds. For the purpose of our comparative study, the analysis of malodor compounds was made using a total of 70 samples collected from three industrial sectors which include: Food & beverage, Waste treatment and cleaning, and Miscellaneous facilities. The results of instrumental analyses converted into three different odor indices (the odor concentration (OC), odor quotient (OQ), and odor intensity (OI)) were used to statistically sort out individual odorous components with the major impact.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air dilution ratio value and instrumental odor concentration (of individual 12 compounds) indicate that butyraldehyde, CH3SH, NH3, and H2S are the major odorous compounds that contribute most significantly to odor strength for the sample typ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 관능법에 의한 울산 지역의 악취도 분석

        이병규,김정기 한국냄새환경학회 2003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2 No.1

        This study analyzed odor intensity at green, residential and downtown, and industrial complex (IC) areas in Ulsan. The IC areas were classified into petrochemical, nonferrous-metallic, mechanic and shipbuilding zones, and their surroundings. Odor intensity as a function of time of day(dawn: AM 4:00~5:30, mid-day: PM 2:00~4:00, and night time: PM 8:00~10:00) was measured by a direct sensory measurement of the odor panel of 6 persons for two weeks in August, 2002. Air samples collected from industrial complex zones which showed severe odor intensity were diluted by clean air and then their odor intensity were analyzed by a direct sensory method.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odor intensity between the 1st week and the 2nd week measurements accomplished in the petrochemical IC zone. Most of the odor intensity identified in the petrochemical IC zone was exceeded the odor regulations in Korea and maximum odor intensity in certain areas reached up to the step 4.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an average odor intensity between the 1st week and 2nd week in the nonferrous-metallic IC zone. Odor intensity in the mechanic and shipbuilding IC zone was the relatively weak as compared to that in the petrochemical and nonferrous-metallic IC zones. Odor intensity in some measurement areas of the IC zones was severly changed with wind directions related to the center of the IC. Odor intensity in the surroundings of the IC zones was relatively week as compared to that in the center of the IC zones. Odor intensity in the surroundings of the petrochemical IC zone was relatively high than that of the nonferrous-metallic IC. This was due to the relative short distance of the surroundings to the petrochemical IC zone. 울산지역을 크게 녹지지역, 주거지 및 시내지역, 공단지역으로 크게 구분하고, 공단지역은 다시 석유화학 및 용연 공단, 비철금속 공단, 그리고 기계 및 조선공단으로 세분한 후, 그 분류된 공단의 주변지역을 각각 다시 세분하여 각 지역 및 지점에서의 악취도를 분석하였다. 2002년 8월의 2주 동안 각각 분류된 모든 지역에서 4~6개의 악취시료를 새벽(오전 4:00~5:30), 한 낮(오후 2:00~4:00), 그리고 저녁(오후 8:00~10:00)시간대로 구분하여, 악취측정 지역에 거주하지 않는 정상인 6명이 직접관능법으로 2주간 악취도를 분석하였다. 또 악취가 심한 곳은 악취시료용 공기백과 Air pump를 이용하여 악취시료를 포집한 후, 실험실로 가져와 무취공기로 희석하여 희석 배율조정에 의한 희석관능법으로 악취세기를 분석하였다. 녹지지역, 주거지역 및 시내지역에서의 악취도는 1도 이하로 대체로 양호한 상태였다. 석유화학 및 용연공단 지역에서는 첫 주와 둘째 주간의 시간별 악취세기에는 큰 차이를 보였고, 평균 악취도는 2도 이상이었고 저녁시간대는 3.3도가 되기도 하였다. 또 최대 악취도는 4도를 기록할 정도로 석유화학 및 용연공단의 악취도가 높았으며 측정지점과 공단과의 바람방향에 따라 악취세기가 크게 달라졌다. 비철금속 공단지역에서는 첫 주와 둘째 주간의 악취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2주간 평균 악취도는 2.2~2.3도 정도로 일일 중 시간대별 변화에 대하여 대체로 일정하였다. 그리고 비철금속공단의 최대 악취도는 3.5도를 기록하였고, 공단의 북쪽 끝부분과 남쪽 끝부분에서는 바람의 방향에 따른 다른 악취도를 나타내었다. 기계 및 조선공단지역의 악취도는 세 공단 중 가장 낮았고, 특히 낮 시간대에는 2주간 평균악취도 및 최대 악취도가 1이하로 양호하였는데 이는 해풍에 의한 희석 때문이었다. 또 기계 및 조선공단의 측정지점에 따라서는 이웃하는 석유화학공단에서 배출되는 악취의 영향을 다소 받는 지역도 있었다. 석유화학 및 용연공단의 주변지역의 악취도는 공단지역에 비하여 낮았고, 하루의 시간대 변화에 따른 악취도 변화는 거의 없었다. 비철금속 공단 주변지역의 악취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석유화학공단의 주변지역은 공단과의 거리가 비철금속공단주변지역에 비하여 가깝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오징어 가공공장에서 발생하는 냄새물질 분석

        김만구,박정진,최상웅,박상진,김경섭 한국냄새환경학회 2004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3 No.2

        한국에서는 다양한 악취 발생원 중 해안가에 위치한 오징어 가공공장이 많은 민원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오징어가공공장에 발생하는 공정별 주요 악취물질을 규명하고 이 업체에 가장 적절한 악취 저감 대책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악취물질 규명을 위해 아민,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황화합물에 대하여 시료채취를 실시한 후 기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오징어가공공장의 주요 공정인 해동공정, 조미공정, 폐수처리장에서 관능법과 예상악취농도를 이용하여 악취를 평가하였다. 직접관능법에 의한 폐수처리장의 악취강도는 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폐수처리장의 Methyl mercaptan, hydrogen sulfide, trimethyl amine의 예상악취농도는 각각 23,957, 12,207, 1,093으로 다른 물질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세가지 물질들이 오징어가공공장의 주요 악취원인 물질로 기여하는 바가 큼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징어 가공공장에서 악취강도, 희석배수, 예상악취농도합의 관계는 악취강도 2도 차이가 희석배수 10배, 예상악취농도합의 20배의 차이를 나타냈다. Although there are many industries that emit odor active compounds, cuttlefish factories located at the coast have become a big issue in South Korea. Identifying odorants and supposing plan to reduce odor emitted from Seasoning Cuttlefish Factory are purposes of this study. Odorants as like amines, ammonia, aldehydes, sulfides were measured by using the state of the art analytic instruments. Those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sites of main odorous processes, which were expected to emit the massive odorants such as thawing, seasoning an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Sensory method and predicted odor concentration, the ratio of concentration to odor threshold of each compound, were used to evaluate the odor in each process. The highest odor intensity at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showed the value of the step 5. Methyl mercaptan, hydrogen sulfide and trimethyl amine showed the high predicted odor concentration of 23,957, 12,207 and 1,093 respectively. Thus these three compounds were regard as the major odor active compounds in the seasoning cuttlefish factory. Comparing the relationship among odor intensity, dilution value, sum of predicted odor concentration, the dilution value increase by 10 times and sum of predicted odor concentration increase by 20 times of odor intensity difference 2.

      • KCI등재

        악취 없는 도시 만들기: 서울 올림픽과 도시 악취 규제의 전환

        원주영(Chuyoung WON) 한국과학기술학회 2020 과학기술학연구 Vol.20 No.1

        1963년 「공해방지법」의 제정 이래 악취는 정부가 규제하고 관리해야 할 문제로 인식되었다. 다만 규제 대상으로서의 악취는 공장의 생산과정에서 배출되는 악취로 한정되었고, 생활 쓰레기나 하천의 오염으로부터 발생하는 생활악취는 오랫동안 규제 영역바깥에 놓여 있었다. 본 논문은 환경 규제와 관련해 신체적 감각의 역할에 주목하는 과학기술학의 논의를 따라 생활악취가 규제대상으로 포함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올림픽을 앞두고 발생한 악취 문제에 주목함으로써 악취가 부끄럽고 수치스러운 대상으로 여겨지게 되었으며, 악취 문제의 대응 과정에서 생활악취가 법적 규제의 대상으로 포함되었음을 보일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ow South Korean government regulators and environmental scientists endeavored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Seoul in preparation for the Olympic Games in 1988. When Seoul was nominated as a host city of the Summer Games in 1981, it was suffering from severe environmental pollution. The municipal government of Seoul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itiated a series of pollution survey projects, which were followed by relevant regulatory procedures. One of the outcomes of these projects was the beginning of odor pollution regulation that used the Environmental Official Testing Method. Although the Pollution Prevention Act of 1963 made odor pollution such as unpleasant order, stench, and stink subject to environmental regulation, proper administrative procedures to reduce odor pollution were not in place until the 1980s. In order to reduce odor pollution in urban areas, governmental officers and environmental scientists tried to regulate odor-causing chemicals from factories. In June 1988, however, severe odor pollution was detected not from factories but from unregulated areas in Seoul, such as the waterside parks of the Han river, the downtown, and the marketplaces. The local regulators and scientists were concerned that the odor pollution could make a “wrong” impression on foreign athletes and visitors about the degree of “modernity” of Korea. This paper shows that the 1988 Summer Olympics was a transition point in the early history of odor regulation in South Korea, when the scope of odor regulation could be expanded.

      • KCI등재

        군집분석 비교 및 한우 관능평가데이터 군집화

        김재희,고윤실,Kim, Jae-Hee,Ko, Yoon-Sil 한국통계학회 2009 응용통계연구 Vol.22 No.4

        자발적인 군집을 유도하는 다변량 통계기법으로 널리 사용되는 군집분석은 데이터에 기반한 탐색적 방법으로 쓰이며 군집원칙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또한 군집화된 결과에 대하여 유효성을 측정하는 측도도 다양한방법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계층적 군집분석 방법으로 최장연결법과 Ward의 방법, 비계층적 군집분석 방법으로 K-평균법 그리고 확률분포정보를 활용한 모형기반 군집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모의실험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군집유효성 측도로는 연결성, Dunn 지수, 실루엣을 구하여 각 군집방법에 대해 유효성을 비교한다. 또한, 한우 관능평가 데이터에 군집분석을 적용하여 최적의 군집 상황을 구하고자 한다. Cluster analysis is the automated search for groups of related observations in a data set. To group the observations into clusters many techniques has been proposed, and a variety measures aimed at validating the results of a cluster analysis have been suggested. In this paper, we compare complete linkage, Ward's method, K-means and model-based clustering and compute validity measures such as connectivity, Dunn Index and silhouette with simulated data from multivariate distributions. We also select a clustering algorithm and determine the number of clusters of Korean consumers based on Korean consumers' palatability scores for Hanwoo bull in BBQ cooking method.

      • KCI등재

        합성 숙련도 시험시료를 이용한 공기희석 관능법에 의한 복합악취의 숙련도시험평가

        김선태,이석준,홍석영,김명옥,정인영,한진석,류희욱 한국냄새환경학회 2013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2 No.4

        2011년에 전국 79개 악취검사기관을 대상으로 공기희석관능법에 대한 숙련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악취방지법의 부지 경계선과 악취 배출원의 배출허용기준을 모사한 2개의 합성복합악취를 숙련도 시험물질(proficiency testing materials, PTM)로 사용 하였다. 부지 경계선 시료는 7ppm의 톨루엔과 7ppm m-자일렌의 복합악취로 구성하였으며, 배출구 시 료는 10ppm DMS (dimethyl sulfide)와 10ppm DMDS (dimethyl disulfide)의 복합악취로 구성하였다. 숙련도 시험 결과는 기준값으로 평균과 중간값을 사용하고, 목표표준편차로 일반 표준편차, 로버스트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를 사용하여 Z-점수를 평가하였다. 시험결 과의 변동계수는 PTMs의 냄새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복합악취에 대한 숙련 도 시험 결과는 악취희석배율보다 로그 스케일의 악취지수를 사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적 절했다. 두 PTMs에 대한 참여기관의 Z-점수를 변동계수, 표준편차, 그리고 로버스트 표 준편차를 사용하여 평가할 때, 참여기관의 95%가 숙련도 기준을 만족하였다. 목표 표준 편차를 변동계수의 20%로 설정하였을 때 참여기관의 만족도 비율은 부지경계와 출구 PTM 시료에 대해 각각 90%와 95%로 양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부지경계와 출 구의 복합악취를 모사한 두 합성 PTMs 모두 복합악취의 숙련도 시험물질로 적합하였다. The proficiency test programs for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were carried out against 79 certification odor inspection agencies in Korea in 2011. Two synthetic proficiency testing materials (PTMs) which were simulating the complex odors at the site boundary line and the outlet of odor emission sources in the offensive odor control law were used. The boundary PTM was composed of 7ppm toluene and 7ppm m-xylene, and the outlet PTM was composed of 10ppm dimethylsulfide and 10ppm dimethyl disulfide. The results of the proficiency tests were evaluated by the Z-scores using mean or median as the assigned value and normal standard deviation, robust standard deviation,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as the target standard deviation. Both the synthetic complex odors at the boundary and at the outlet were suitable as PTM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test results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odor intensity of PTMs. Proficiency testing results for the complex odor was appropriate to assess using the odor index of the log scale than the odor dilution ratio. When Z-score for two PTMs was evaluate us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 standard deviations, and Robust standard deviation, 95% of the participants recorded the satisfactory performance. When the target standard deviation set up at 20% of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test results, the rate of satisfactory performance for the boundary and outlet PTMs in the testing were 90% and 95%,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합성 숙련도 시험시료를 이용한 공기희석 관능법에 의한 복합악취의 숙련도시험평가

        김선태,류희욱,이석준,홍석영,김명옥,정인영,한진석 한국냄새환경학회 2013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2 No.4

        The proficiency test programs for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were carried out against 79 certification odor inspection agencies in Korea in 2011. Two synthetic proficiency testing materials (PTMs) which were simulating the complex odors at the site boundary line and the outlet of odor emission sources in the offensive odor control law were used. The boundary PTM was composed of 7ppm toluene and 7ppm m-xylene, and the outlet PTM was composed of 10ppm dimethylsulfide and 10ppm dimethyl disulfide. The results of the proficiency tests were evaluated by the Z-scores using mean or median as the assigned value and normal standard deviation, robust standard deviation,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as the target standard deviation. Both the synthetic complex odors at the boundary and at the outlet were suitable as PTM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test results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odor intensity of PTMs. Proficiency testing results for the complex odor was appropriate to assess using the odor index of the log scale than the odor dilution ratio. When Z-score for two PTMs was evaluate us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standard deviations, and Robust standard deviation, 95% of the participants recorded the satisfactory performance. When the target standard deviation set up at 20% of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test results, the rate of satisfactory performance for the boundary and outlet PTMs in the testing were 90% and 95%, respectively. 2011년에 전국 79개 악취검사기관을 대상으로 공기희석관능법에 대한 숙련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악취방지법의 부지 경계선과 악취 배출원의 배출허용기준을 모사한 2개의 합성복합악취를 숙련도 시험물질(proficiency testing materials, PTM)로 사용 하였다. 부지경계선 시료는 7ppm의 톨루엔과 7ppm m-자일렌의 복합악취로 구성하였으며, 배출구 시료는 10ppm DMS (dimethyl sulfide)와 10ppm DMDS (dimethyl disulfide)의 복합악취로 구성하였다. 숙련도 시험 결과는 ​기준값으로 ​평균과 중간값을 사용하고, 목표표준편차로 일반 표준편차, 로버스트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를 사용하여 Z-점수를 평가하였다. 시험결과의 변동계수는 PTMs의 냄새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복합악취에 대한 숙련도 시험 결과는 악취희석배율보다 로그 스케일의 악취지수를 사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적절했다. 두 PTMs에 대한 참여기관의 Z-점수를 변동계수, 표준편차, 그리고 로버스트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평가할 때, 참여기관의 95%가 숙련도 기준을 만족하였다. 목표 표준편차를 변동계수의 20%로 설정하였을 때 참여기관의 만족도 비율은 부지경계와 출구 PTM 시료에 대해 각각 90%와 95%로 양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부지경계와 출구의 복합악취를 모사한 두 합성 PTMs 모두 복합악취의 숙련도 시험물질로 적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