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국가이미지, 관광지 인지적 및 정서적 이미지, 의료관광 이미지 간의 관계

        임정우 ( Jung Woo Lim ),이교은 ( Kyo Eun Lee ),하동현 ( Dong Hyun Ha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3 觀光硏究 Vol.28 No.3

        본 연구는 방한 외국인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한국에 대해 가지고 있는 국가이미지가 관광지 인지적 및 정서적 이미지와 의료관광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인지적 및 정서적 이미지가 의료관광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2차 확인요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국가이미지는 3개의 요인(안정성, 환경, 복지), 관광지 인지적 이미지는 3개의 요인(관광자원, 비용, 편의시설), 관광지 정서적 이미지는 2개의 요인(분위기, 매력성)이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국가이미지는 각각 관광지 인지적 이미지와 관광지 정서적 이미지에 영향을 미쳤으며, 국가이미지와 의료관광 이미지 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지 인지적 이미지는 의료관광 이미지에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관광지 정서적 이미지는 의료관광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의거하여, 한국의 의료관광 이미지는 근본적으로 혁신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비록 아사아권을 포함하는 일부 관광 출발국에서는 한국의 의료관광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나, 구미 등에서는 한국의 의료관광 이미지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의 의료관광은 고급의료기술에 의거한 의료관광을 실현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ffect of Korea`s national image on cognitive and emotional image as tourist destination and medical tourism image with perception of foreign tourists.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nd emotional image as tourist destination and medical tourism image. This study used the 2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Korea`s national image consists of three factors(safety, environment, welfare) and Korea`s cognitive image as tourist destination, consists of three factors(tourism resource, cost, amenities) and emotional image, two factors(atmosphere, attractivenes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Korea`s national image influenced its cognitive and emotional image, but it didn`t influence its medical tourism image. However, Korea`s national image influenced its medical image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1. Secondly, Korea`s cognitive image as tourist destination influenced its medical tourism image negatively. Thirdly, Korea`s emotional image didn`t influence its medical tourism image. Based on these findings, Korea`s medical tourism needs innovation. Countries of Asia regards Korea as having good medical tourism, but other countries of other continents see Korea as having poor medical tourism. From now on, Korea needs to setup medical tourism based on high medical skills.

      • KCI등재

        관광지의 랜드마크, 관광지의 이미지, 관광자 행동의 영향관계 -인천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명희 ( Myeong Hee Yoo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는 관광지의 랜드마크가 관광지의 이미지와 관광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 및 관계를 파악하여 관광자원 및 관광프로그램의 개발, 마케팅 방안 등을 활성화 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인천의 관광자 및 잠재관광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의 요인분석 및 회귀분석 결과, 관광지 랜드마크의 속성요인 중 특성을 제외한 외형, 상징, 친숙요인은 관광지의 인지적 이미지와 관광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관광지의 정서적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 관광지 랜드마크의 속성요인은 상징과 특성이 제외된 외형, 친숙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관광지의 인지적 이미지의 모든 요인들인 환경, 비용, 자원, 역사는 관광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관광지의 정서적 이미지의 요인들 중 분위기와 매력만 관광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조화와 이용부담은 관광자 행동과의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론연구를 통해 관광지의 랜드마크와 관광지의 이미지, 관광자 행동에 대해 살펴보았고 관광지의 이미지는 정서적 이미지와 인지적 이미지로 보았다. 또한 실증분석을 통해 관광지의 랜드마크, 관광지의 인지적 이미지 및 정서적 이미지, 관광자 행동과 영향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관광지의 랜드마크는 지역주민에게 자부심을 갖게 할뿐만 아니라 외지 및 외국관광객을 유도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확대하므로 지방자치단체들은 철저한 시장조사와 포지셔닝을 통한 랜드마크 및 이미지를 창출하고 홍보 및 광고해야하며 관광자원 및 시설의 개선에 대해 더욱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at Tourism Destination Landmark has affected the Tourism Destination Image(Cognitive Image, Emotional Image) and Tourist Behavior. As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ree factors(appearance, symbol, familiarity except for character) of Tourism Destination Landmark have affected Cognitive Image in Tourism Destination and Tourist Behavior. But it was found that two factors(appearance, familiarity) of Tourism Destination Landmark have affected Emotional Image in Tourism Destination. Also it was found that all four factors(environment, cost, resource, history) of Cognitive Image in Tourism Destination have affected Tourist Behavior. But two factors(atmosphere, appeal except for harmony and moderate) of Emotional Image in Tourism Destination have affected Tourist Behavior. So it is important to have interests in not only developing tourism resources, facilities and program but also positioning and promotion of landmark in marketing. The local governments serve landmark as one of the means of seeking profit and improving image to their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 KCI등재

        관광지 선택속성이 관광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향토음식이미지의 조절효과: 기장군을 중심으로

        김헌철 한국관광산업학회 2019 Tourism Research Vol.44 No.4

        기장군은 바다를 중심으로 한 우수한 자연경관과 식재료가 풍부하여 관광지에 대한 매력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기장군 관광지에 대한 연구는 더욱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장군 관광지 선택속성이 관광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기장군의 향토음식의 이미자가 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만족간에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가설에서 제시한 가설에 대한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장군 관광지 선택속성이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기장군 관광지 선택속성 중 휴양, 시설, 체험, 탐방, 쇼핑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은 기각되었다. 둘째, 학습은 관광만족에서 기각된 이유는 기장군이 타 지역에 비하여 생태지 체험, 문화유산, 역사적 가치, 농어촌 체험과 같은 학습적 가치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셋째, 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만족 간에 기장군 향토음식 이미지의 조절효과에서 체험×향토음식 이미지, 탐방×향토음식 이미지, 휴양×향토음식 이미지는 향토음식 이미지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보다 높은 관광만족을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향토음식 이미지, 쇼핑×향토음식 이미지, 시설×향토음식 이미지는 조절효과가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휴양과 관련된 요인들은 관광만족에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바다를 중심으로 향토음식과 휴양과 휴식을 즐길 수 있는 해안가 및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한 자연환경적 요인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리조트와 같은 수박시설보충, 해수욕장 주변시설보수, 레저시설보충은 관광객에게 새로운 관광자원이 될 것이다. Although the Gijanggun has abundant natural scenery and food materials centered on the sea, the study on the gijanggun tourist attraction is even mo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d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 of tourist destination on tourism satisfaction, and the image of Gijanggun local food h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ourist selection attributes and tourism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among the tourist selection attributes and tourism satisfaction in Gijanggun, recreational facilities, experiences, exploration and shopping were significant and the learning was rejected by tourism satisfaction. Second, the reason why the learning was rejected from the satisfaction of tourism is because the lack of learning value such as ecological experience, cultural heritage, historical value, farming and fishing village experience is lower than other regions. Third, i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ocal food image of Gijanggun between selection attribute of tourist destination and tourism satisfaction, the experience × local food image, recreation × local food image showed higher tourism satisfac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local food image.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the moderating effect on learning × local food image, shopping × local food image, and facility × local food imag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factors related to recreation have a high effect on tourism satisfaction, which is considered to be a natural environmental factor centering around the sea, coastal areas and beaches where local food, recreation and rest can be enjoyed. Therefore, accommodation facilities such as resorts, maintenance of facilities around beaches, and supplementation of leisure facilities will be new tourism resources for tourists.

      • KCI등재

        관광지 요인, 관광지 이미지, 고객만족, 고객충성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기호,정기한,신재익 대한관광경영학회 2010 觀光硏究 Vol.24 No.6

        최근 국민소득 증가 및 교통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관광산업이 종전에 비하여 더욱 활성화 되고 있다. 각 지자체는 해당지역 관광 상품을 촉진함으로써 보다 많은 고객을 유치하기 위하여 다각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지 요인, 관광지 이미지, 고객만족, 고객충성도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고 마케팅의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통영 관광을 경험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관광지 요인의 상품과 장소만이 관광지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가격, 장소, 인프라, 촉진 등이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지 이미지는 고객만족, 고객충성도(추천, 구전, 재방문)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고객만족은 고객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자체에서 관광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관광지 요인에 대한 개발 및 관리 강화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이는 관광지 요인, 관광지 이미지, 고객만족, 고객충성도 간의 관계는 선순환관계이기 때문이다. Recently, with the increasing of national income and developing of traffic and communication, the tourism industries are more active than ever before. As result of these conditions, each local government is trying to attract more customers by promoting their regional items on the tourism industri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aper empirically studied interrelationship of tourism destination factors, tourism destination image, customer satisfaction, recommendation, word of mouth, revisit by analysing the questionnaires, checked by tourists who have been visiting destination. These results conclude that brand, place affects tourism destination image and that price, place, infrastructure, promotion affects satisfaction positively. Also, Tourism Destination image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recommendation, word of mouth, revisit and that satisfaction affects recommendation, word of mouth, revisit positively. On the contrary, the infrastructure, price, promotion affects Tourism Destination image is not positively. Therefore, the local government and residents need to impose strategic efforts to elevate customer satisfaction by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contiguously.

      • KCI등재

        관광지 이미지에 따른 관광지 애착도에 있어 신관광경험추구 조절효과연구

        김은진,윤유식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5

        Understanding tourists’ thoughts and behaviour are crucial to develop more appropriate destination marketing strateg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s of novelty seeking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ourism destination image and tourism destination attachment.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e measurement of tourism destination image, tourism destination attachment, and novelty seeking are developed. Questionnaires are mainly constructed to respond based on the most memorable travel experience which they could recall in a year.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275 participant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different factors of tourist destination image; tourist infrastructure convenience, tourist attractions, and tourism familiarity. The moderating effects of novelty experience seeking, on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ourist destination image and destination attachment, are partially confirm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fer significant applications for tourism destination management and practice. 본 연구는 관광지 이미지에 따른 관광지 애착도의 영향연구를 분석함에 있어서 새로운 관광경험 추구(새로운 경험, 독특한 경험, 모험적인 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최근 1년 동안 여행한 목적지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관광지 이미지와 관광지 애착도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목적지로부터의 새로운 경험, 독특한 경험 그리고 모험적인 경험이 조절변수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관광지 이미지, 관광지 애착도 및 새로운 관광경험 추구에 대한 측정변수를 도출하였으며, 총 유효표본 수 275부를 분석에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새로운 관광 경험추구의 변수를 활용하여 관광이미지에 따른 관광지 애착도의 조절 효과를 살펴본 결과, 새로운 경험과 독특한 경험은 관광지 이미지와 관광지 애착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모험적인 경험에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관광지의 상품개발 및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서 새롭고 독특하며 차별화된 관광상품개발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으며 관광 기획 및 개발과 홍보에도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 KCI등재

        관광체험 회상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태희,이인옥,최정운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4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significance of the tourism experience recall as a leading destination image and to extend the related theory as well as analyzing the influence of tourism experience recall through souvenirs on destination image and behavior intention, and the identifying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stination image and behavior intention.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mpleted by 450 tourists and this study utilized the methodology of SEM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 and summary were as follows. First, tourism experience recall through souvenir had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and affective image on destination, and didn't have any effect on behavior intention. Second, cognitive image on destin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image. Third, cognitive image on destin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 intention, but there was no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image on destination and behavior intention. As a result, this study had the implications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relevant theory by identifying the role of tourism experience recall through souvenirs as the antecedent variable of destination image and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souvenirs as the tourism experience recall. 관광기념품을 통한 관광체험 회상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체험 회상 이론의 확장과 더불어 관광지 이미지 형성 및 행동의도의 선행변수로서 관광체험 회상의 유의미성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으로 수집한 총 450부의 표본을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구조방정식모형(SEM)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기념품을 통한 관광체험회상은 관광지의 인지적·정서적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행동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지의 인지적 이미지는 정서적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관광지의 인지적 이미지는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서적 이미지와 행동의도의 관계는 유의한 인과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관광기념품을 통한 관광체험회상은 관광지 이미지의 선행변수로서 유의미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 행동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관광지의 정서적 이미지에 비해 인지적 이미지와 행동의도의 관계는 명확한 인과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관광지 이미지의 선행변수로서 관광기념품을 통한 관광체험회상의 역할을 밝힘으로써 관련 이론의 확장에 기여하였으며, 관광체험회상의 매개체로서 관광기념품의 중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일본 대학생이 인식하는 한국의 국가이미지가 관광지 이미지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응진 동북아관광학회 2016 동북아관광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일본대학생 관광객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국가이미지와 관광지 이미지, 관광행동의도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하였다. 이를 통하여 도출된 일본대학생 관광객의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관광지 이미지, 관광행동의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대학생 관광객이 인식하고 있는 한국의 국가이미지 중 세계화에 대한 이미지는 한국에 대한 관광지 이미지 및 관광행동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일본대학생 관광객이 인식하는 국가이미지 중 사회선진화는 관광지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본 대학생 관광객이 인식하는 한국의 관광자원과 관광비용에 대한 이미지는 관광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의 시사점으로부터 향후 한국의 관광산업에서 큰 잠재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일본 도쿄에 소재하는 일본대학생 관광객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나 일본의 전국적 관점과 더불어 다양한 연령층과 직업소유자의 조사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s country image, the image of Korea's tourist destination and tourist behavioral intentions for Japanese students to visit Kore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Japanese Students showed that among Korea country images, the globalization image affect the tourism destination image and tourism behavioral intentions. Second, Korea's image of tourism resources and tourism cost has an influence on tourism behavior intentions. Third, the image of social stability factor in Korea's national image has no effect on Tourism Destination Image and Tourism Behavioral Intentions. This research and future issue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undergraduates in Tokyo as the research object, it's restrictive to reflect the nature of all of Japanese students.

      • KCI등재

        진지한 여가로서의 한류 콘텐츠 소비, 한국 관광지 이미지 및 관광 의도의 영향 관계 - 필리핀인 잠재 관광객 사례 -

        이현숙,이정규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9 觀光硏究論叢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among the Hallyu contents consumption and Korea tourism intention through the theories of destination image and serious leisur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ree hypotheses were derived regarding the relationships among serious leisure, destination image, and tourism intention. Data was collected from 290 Filipino consumers who experienced Hallyu contents through online survey. As a result of EFA, five factors of serious leisure, which are “career/effort,” “durable benefits,” “unique ethos,” “leisure identity,” and “perseverance” were presented. It also found four factors of destination image, which are “enjoyment,” “attractiveness,”, “infra-structure,” and “monetary value.”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Hallyu contents consumption as serious leisure affects destination image and tourism intention, and destination image affects tourism intention, yet partially. Mediation testing also found that while “durable benefits,” “unique ethos,” “leisure identity,” and “perseverance” affect tourism intention with full mediation of destination image, “career/effort” only showed direct effect on tourism intention. This study implies that Hallyu contents consumption-induced Korea tourism can be explained not only by destination image but also serious leisure theory. 이 연구의 목적은 한류 콘텐츠 소비와 한국 관광 의도의 관계를 관광지 이미지와 진지한 여가 이론을 통해 통합적으로 논의하는 데 있다. 기존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진지한 여가, 관광지 이미지, 및 관광 의도 관계에 대한 3개의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회수한 총 290부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검정하였다. 탐색요인분석 결과, 진지한 여가는 “전문성/노력”, “지속적 혜택”, “독특한 기풍”, “여가 정체성”, “인내”의 5가지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관광지 이미지는 “즐거움”, “매력물”, “인프라”, “금전적 가치”의 4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회귀분석 결과, 진지한 여가로의 한류 콘텐츠 소비가 관광지 이미지 및 관광 의도에, 그리고 관광지 이미지가 관광 의도에-부분적이지만-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검정하였다. 또한, 매개 효과 분석 결과, “지속적 혜택”, “독특한 기풍”, “여가 정체성”, “인내”는 관광지 이미지의 완전 매개 효과에 의해 관광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전문성/노력”은 직접 효과만 미침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한류 콘텐츠 소비로 인한 한국 관광이 관광지 이미지 이론뿐 아니라 진지한 여가 이론으로도 설명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Covid-19 위험지각, 관광지이미지와 재이용의도 -건강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주형 ( Lee Jooh-yeong ) 한국관광산업학회 2021 Tourism Research Vol.4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위험지각이 관광지 이미지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광지 이미지의 매개효과 그리고 건강의식의 조절효과와의 영향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는 제주도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273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하고 253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R기반의 분석으로 자모비(Jamovi Program)통계 프로그램으로 요인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매개분석과 조절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코로나19 위험지각이 재이용의도에 부(-)의 영향이 도출되어 가설1은 채택되었다. 가설 2의 분석 결과, 코로나19 위험지각이 관광지이미지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가설 2는 채택되었다. 가설 3의 분석결과, 관광지 이미지는 재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가설3은 채택되었다. 가설4는 관광지 이미지의 매개효과 분석으로, 코로나19 위험지각과 재이용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가설4는 채택되었다. 마지막 가설5는 건강의식이 코로나19 위험지각과 재이용의도와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가설5는 채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의 배경을 바탕으로 단일요인으로서의 역할이 관광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위험지각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기존 선행연구를 확장했다는데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게다가, 웰니스 및 웰빙의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는 요즘 건강의식 변수를 통해 조절관계를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tourism destination image, and re-patronage intentions. In addition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ourism destination im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re-patronage, and also, the moderating effects of health consciousness in the travel of COVID-19 risk perception on re-patronage intentions. The survey for analysis was distributed to tourists who had visited Jeju Island, and 253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unresponsive and insincere surveys. As an analysis method,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mediating analysis, and moderation analysis were analyzed with the R-based Jamovi program. The hypothesis results are as follows. Hypothesis 1; COVID-19 risk perception has a negative (-) effect on re-patronage intention as adopted. Hypothesis 2, COVID-19 risk perception has a negative (-) effect on tourism destination image as adopted. Hypothesis 3: tourism destination image has a positive (+) effect on re-patronage intention. Hypothesis 4: tourism destination image has partially mediating effectㄴ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re-patronage intentions and as adopted. Lastly, Hypothesis 5: health consciousness played a significant role as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re-patronage intention. In this study, from the background of COVID-19,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s a single factor was examined so that risk perception of previous study as several factors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expanding the studies, and additionally, it seems crucial in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health consciousnes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 in wellness and well-being lifestyle trend oriented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