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객의 서비스 품질 인식 및 공연작품 선정 특성이관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전국 문화예술회관을 중심으로

        이창민 한국예술경영학회 2017 예술경영연구 Vol.0 No.43

        본 연구는 관객의 서비스 품질 인식 및 공연작품 선정 특성이 관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 82개 문화예술회관으로부터 객석 수, 직원 수, 공연예술단체 수의 데이터를 얻었고, 이들 회관 중 37개 문화예술회관에서 총 799명의 관객들에게 설문조사를 하여 관객의 서비스 품질, 공연작품 선정 특성, 고객 만족도에 대한 데이터를 얻었다. 이들 데이터를 실증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객의 서비스 품질과 관련하여, ⅰ)직원의 신뢰성이 높을수록 관객 만족도가 높았다, ⅱ)공연시설이 우수할수록 관객 만족도가 높았다, ⅲ)접근이 용이할수록 관객 만족도가 높았다, ⅳ)시설이 쾌적할수록 관객 만족도가 높았다, ⅴ)공연상품의 우수성이 높을수록 관객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공연작품 선정과 관련하여, ⅵ)관객이 공연작품을 선정할 때 작품성을 선택 기준으로 했을 때 관객 만족도가 높았다, ⅶ)관객의 공연장 이용 횟수가 증가할수록 관객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종합적으로 관객의 서비스 품질, 공연작품 선정 특성 모두 관객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관객 만족도에 공연상품의 우수성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함께 제시하였다. 나아가 더 많은 관객들을 유치하기 위해서 완성도가 높고, 다른 공연장의 작품들과 차별되는 공연작품의 선정이 가장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udiences'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and selection of performance works characteristics on audience satisfaction. For this study, we collected data on the number of seats, the number of employees, the number of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from 82 cultural and arts centers across the country. We surveyed a total of 799 audiences at 37 culture and arts centers of these halls, audiences'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Selection of performance works Characteristics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results obtained by empirical analysis of these data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quality of service of the audience, ⅰ)The higher the credibility of employees, the higher the audience satisfaction, ⅱ)The higher the performance facilities, the higher the audience satisfaction, ⅲ)The easier the access, the higher the audience satisfaction, ⅳ)The more pleasant the facility, the higher the audience satisfaction, ⅴ)The higher the quality of the performances, the higher the audience satisfaction. Second, in relation to selection of performance works, ⅵ)Satisfaction with the audience was high when the audience selected the performance as the selection criteria, ⅶ)As the number of the audience use of the theater increased, the audience satisfaction was higher. Third, audiences'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and selection of performance works characteristics all affected audience satisfaction. Particularly, the superiority of performance work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audienc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gether with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In addition, In order to attract more audiences, it was suggested that the selection of performances that are high in maturity and differentiated from the works of other venues is the most important.

      • KCI등재

        ‘관객성’의 구성 맥락과 해석공동체의 아비투스 - <김영일의 사> 공연에 나타난 고학생 표상의 의미를 중심으로

        이광욱 한국극예술학회 2018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1

        The performance of the student traveling theater companies have a meaning in the point that actualizing the aspect of the Shingeuk which arise from the argument between Sinpageuk and Shingeuk. Especially, Kim Youngilui Sa (The Death of Kim Youngil), repertoire of the Dongwoohoe traveling theater company, is the Work provides An interesting example. Because, it succeed in guiding a enthusiastic response, despite the many flaws as modern drama text. To understand this, I think reconstruction of the spectatorship in early 1920`s is necessary, and try to focus on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attraction of the theater, and the cultural planning had supported that. The amateur theater company in early 1920's had many cases of staging about the life of the producer itself. The student theater company performed many of the plays focused on life of the Gohaksaeng. And The death of Kim Youngil which actively placed the motif of Gohaksaeng, is a representative work of that tendency.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form of confession was accepted as real story that the people of the colonized Chosun were actually going through, and This could have been a powerful reality. Moreover the spectator were not just looking into other people's lives, but accept the story of Gohaksaeng as a community issue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mselves. Gohaksaeng was portrayed as those who needed to take care of, such as their family members, and the support for them was quickly recognized as a duty of colonial Chosun. Therefore, the death of an innocent Gohaksaeng could give the spectator a strong sense of tragic feelings as it was identified as ‘the loss of Chosun's future’. The effect of such discourse is similar in the case of the popular supports for the Kyeongseongakdea, succeeded royal military band, being represented as a group that promotes the history of the fall of a nation. However, the process of forming a spectatorship in the early 1920s will need to be read in a more layered manner. The spectator is the one who completes the meaning of the performance, but at the same time it is also influenced by the field of a regular discourse. What can not be overlooked is that the spectator's reaction of the student traveling theater company, which is checkable today, is the result of journalism at that time, and the description process is likely to involve an image of a ‘implied spectator’ designed by the producer's cultural plan. On the other hand, the expected horizon of the theater that the spectator have in mind goes through a process of reorienting and strengthening through positive experiences in the actual performance. Therefore, while it is difficult to view the spectator as being completely autonomous, there is also the need to leave a certain area of autonomy behind. What is important is thick description for the actual process of adjusting the spectatorship, taking into account its temporal and spatial specificity. With this in mind, I try to the review the context surrounding Kim Youngilui Sa, and reconstruct the habitus of the community for interpretation. 1921년 여름을 기해 진행되었던 학생 순회극단들의 공연은 ‘신파극-신극 논쟁’을 통해 제기된 ‘새로운 연극’의 상을 구체화시켰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특히 동우회순회연극단의 레퍼토리였던 <김영일의 사>는 근대희곡으로서의 결함이 적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관객들의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사례를 제공한 작품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본고는 1920년대 초반에 나타난 관객성의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김영일의 사>가 관객들을 극장에 모을 수 있었던 원동력과 이를 추동한 당대의 문화적 기획에 착안하고자 했다. 1920년대 초의 소인극단들은 생산자 스스로의 삶 자체를 극의 소재로 삼아 무대화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학생극단들은 ‘고학생’을 소재로 하는 극을 다수 상연했는데, <김영일의 사>는 이른바 ‘고학생 모티프’를 적극적으로 배치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경향을 대표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주목해야 할 점은 이러한 자기 고백의 형태가 실화, 즉 식민지 조선인들이 실제로 겪고 있는 일로 받아들여졌고, 이것이 강력한 실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다는 것이다. 더욱이 당대의 관객들은 단순히 타인의 삶을 들여다보는 데 그치지 않고 무대화된 ‘고학생’의 이야기를 곧 자신과 직결된 공동체의 문제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식민지 조선의 미래세대로 담론화된 ‘고학생’은 가족과 같이 보살펴야 할 이들로 표상되었으며, 그들에 대한 후원은 곧 식민지 조선인의 의무로 인식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무고한 고학생의 죽음은 관객들에게 ‘조선의 미래를 빼앗기는 것’과 동일시되면서 강력한 비감을 줄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담론의 효과는 왕실 군악대의 후신인 ‘경성악대’가 망국의 역사를 환기시키는 집단으로 표상되면서 사회적 호응을 얻었던 사례에서도 유사하게 드러난다. 다만, 1920년대 초반 극장에서 드러난 관객성의 형성과정은 보다 다층적으로 독해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관객은 무대 상연의 의미를 완성하는 존재이지만, 동시에 선규정된 담론의 자장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존재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 때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오늘날 확인 가능한 학생극 순회극단 관객의 반응이 당대의 저널리즘을 통한 묘사의 결과물이며, 그 묘사 과정에 생산자의 문화적 기획에 의해 구상된 ‘내포관객’의 상이 개입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다른 한편으로 관객들이 품고 있던 극장의 기대지평은 실제 상연에서의 긍정적 경험을 통해 다시 조정되고 강화되는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관객을 완전히 자율적인 존재로 보기는 어렵겠지만, 일정부분 자율성의 영역을 남겨 두어야 할 필요 역시 생겨난다. 중요한 것은 실제로 관객성이 조정되어 나가는 과정을 시공간적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두텁게 묘사’하는 일일 것이다. 본고는 이를 염두에 두면서 <김영일의 사>를 둘러싼 맥락들을 검토하는 한편, 해석공동체의 아비투스를 재구성하고자 했다.

      • KCI등재

        신경회로망 기반의 관객 반응 추출 시스템

        백영태(Yeong-Tae Baek),유은순(Eun-Soon You),박승보(Seung-Bo Par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0 No.2

        관객의 감정 반응은 개별 관객들의 반응을 관측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시각적 데이터를 분석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이용할 경우, 관객의 반응을 적은 비용으로 데이터를 추출하여 판단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영상 카메라를 이용할 경우 다수의 관객으로부터 발생하는 대규모의 영상 신호로부터 관객의 특징값들을 분석하여 반응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관객의 영상 데이터를 신경회로망 기법을 이용하여 관객의 반응을 관측하여 판단하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안하고, 기존의 관객석을 고정적인 영역으로 분할하여 데이터를 취합하여 분석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얼굴 검출을 통해 자동적으로 관객 영역을 분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실험을 통해 기존의 고정적으로 관객 영역을 지정하는 방법에 비해 10.5 %(7.75의 Hit Ratio)의 성능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제안하는 방법이 실제 관객 반응을 판단하는데 더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Emotional reaction of audience can be decided by observing reaction of audience for content. We can use a method to analyze visual data from video camera to detect reaction of audience fast and economically. This paper proposes the method and system to observe audience reaction from visual data of audience and define via neural network. Also we propose a new method to detect automatically an area for audience reaction with face detection to improve a fixed area assignment method which has a limitation not to adapt depending on audiences. Additionally, the evaluation is implemented to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nd system is effective. The proposed method showed the performance elevation of 10.5 % (7.75 hit ration) compared to a fixed area assignment method.

      • KCI등재

        관객관여에 의한 공연예술콘텐츠 제작의 영향 연구 - 연극 <파란나라>의 시민배우 참여 사례를 중심으로 -

        장웅조,홍기원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9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6

        Establishing and managing long-term relationships with audiences is crucial for the health and sustainability of any arts organiz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audience development that has been developed in the field of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with a focus on audience types and audience engagement in the arts. Using our case study of the play “Paranara,” which means “Blue Country,” produced by the Shinsegye (New World) theater company, we explore how a performing arts organization elicits active audience engagement in its performing arts productions and cultivates a participatory culture among diverse audiences. Our findings confirm that a dynamic audience development program and the production of participatory theatrical works (audience as artists) play a critical role in developing both community engagement in the arts and sustainable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예술단체가 관객과 장기적인 관계를 맺고 관객을 관리하는 것은 공연예술가가지속적으로 건강한 작품 활동을 하고 이를 관객이 향유하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그간 문화예술경영계에서 논의되어 온 관객개발 개념을 관객관여연구의 이론틀로 살펴보고 관객의 예술참여를 통한 공연예술작품의 제작 방식을 소개한다. 극단 신세계의 연극공연 <파란나라>는 관객을 참여시켜전문적인 문화예술콘텐츠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성과는 공연예술단체의 관객과의관계맺음을 통해 단체의 미래와 자생력 제고에 부여하는 중요성을 보여준다. <파란나라>의 사례는 공연예술단체의 적극적인 관객개발활동 특히 다양한 형태의 예술참여를 도입하는 것이 관객관여와 공동체관여에 어떤 효과를 발생시키는가를보여준다. 결론적으로 공연예술단체의 관객개발 프로그램에 있어 시민이 예술가로서 참여하는 방식은 관객의 예술적 경험의 증진과 공연예술단체의 재정 확보에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발레관객의 특성 이해를 통한 잠재관객 확대방안

        박재홍(Jae Hong Park) 한국무용과학회 200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4 No.-

        본 연구의 목적은 관객 이해를 통한 재정의 다변화가 중요해져 가는 순수 공연예술의 환경변화 속에서 발레공연 관객의 특성에 대해 두 공연장을 중심으로 설문조사하고 일반 공연예술관객의 특성과 비교분석하여 발레 관객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의 발레공연 관객은 전체적으로 여성, 높은 교육수준, 사무직이라는 국내외 공연예술관객의 일반적 특성을 공유하고 있었으나, 여성 비율이 더 높았으며 학생, 사무직, 주부가 고른 분포를 보였다. 남성의 연령이 여성보다 높았고 수동적 관람 가능성을 보인 반면, 여성은 최초 관람 이후에 예술취미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고전적 발레 관객의 연령이 대중음악을 사용한 창작발레 관객보다 높았다. 한편, 본 연구에서 인지도 있는 공연장 관객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소규모 위성도시 관객은 아는 사람에게서 공연정보를 구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입소문과 평판의 영향이 크게 작용할 수 있었다. 지난 12개월 발레관람은 70% 이상이 1~2회 이하로 낮았으며, 인지도 있는 공연장에서는 중앙값에 가까운 표 가격대를, 학생들이 많았던 위성도시 공연장에서는 가장 낮은 가격대를 선호했다. 이상을 선행연구와 비교분석한 결과로서, 학교와 지역사회의 무용이나 발레교육 기회 확대와 참여 유도, 관객의 특성과 성향을 고려해 세분화한 목적을 지닌 공연의 제작, 가치와 기호를 공유하고 관람관련 행태를 촉진하기 위한 동호회 형성 지원을 잠재적 관객 확대를 위한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ideas for expanding ballet audience through understanding and comparative analyzing of ballet audience characteristics by questionnaire at two theaters in the situation that seeking diverse fundraising channel has been getting essential. As results, general characteristics ballet audience in this research was similar to those of general performing -arts audience in respects of mostly female, higher education, white collar. However, percentages of female, higher education, housewives, and students of ballet audience were higher than those of general performing-arts audience. The age of male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and male prefer to be accompanied, while female have a tendency to be more interest in ballet performance after first attendance. The age of classical ballet performance audience was higher than that of audience of ballet accompanied popular music. Audience of theater at satellite city get performance information by people around while audience in the best recognized theater seek information from various media. They attend ballet performance less than 1~2 times during last 12 months, and prefer to purchase tickets around median price except students who prefer lowest one. By above results, extension of dance or ballet program to attract more participation in school as well as local community, production of ballet performance with segmented purpose based on audience characteristics, facilitating club or community for sharing taste and value were suggested to expand potential ballet audience.

      • KCI등재후보

        유료관객 수에 따른 클래식 음악 공연의 특성 분석 - 예술의 전당 음악당 콘서트홀 공연을 중심으로

        최연식 한국예술경영학회 2013 예술경영연구 Vol.0 No.28

        While most of precedent studies on classical music concert audiences focus on motives and consumption patterns of the audience, they rarely show characteristics of the concerts.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the concerts that have charged audience, this study is to give a hint for developing classical music concert audience. To achieve this goal, data from a total of 1,156 concerts in 3 years from 2010 to 2012 of the Concert Hall of Seoul Arts Center i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classical music conerts. Those concerts are classified by 5 types; host, musicians, programming, genre and sales, and each types are categorized by small items. With this analysis, the concerts divided by two groups; the more charged audience and the less charged one.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certs hosted by cultural foundation or public sector has more charged audiences, foreign orchestra, soloist or ensemble has more the audiences than local musician’s. Daytime concerts of omnibus style and education program for the students have lots of charged audience, on the other hands, chamber music of strings or wind, and vocal and choral are the genres that has a difficulty to gather the audienc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concerts, with the reference points of number of audience, average ticket price and the total sales, the analysis has been executed for classification on the concerts of the more charged audience group by nine characteristics such as daytime concerts, local or foreign, symphony orchestra, recitals or chamber music, and crossover. As for the research result, the 4 characteristics of the more audience group shows the concerts like daytime or education program, Seoul Philharmonic Orchestra’s, visiting concerts hosted by local presenter in private sector, and local chamber music.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rts from the number of charged audiences which can be used for classifies and ultimately develop audien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deriv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rts from the number of charged audiences which can be used for classifying and ultimately developing audiences. However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rts, more substantial approach on the charged audiences will be required 클래식 음악 관객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대부분 관람동기 및 소비형태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공연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는 관객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실제 유료관객이 존재하는 클래식 음악 공연들의 특성을 분석하여 공연에 따라 다른 클래식 음악 관객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클래식 음악 전용공간인 예술의 전당 음악당 콘서트홀의 2010∼2012년 까지 3년간 총 1,156회의 공연사례를 분석하여 클래식 음악공연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주최형태, 연주형태, 기획형태, 장르형태, 판매형태의 총 5개 항목으로 해당 공연을 비교 분류 하였고, 각 형태별 소 항목으로 구분하여 개별 공연의 특성을 파악해 보았다. 이를 유료관객이 많은 공연과 그렇지 않은 공연 두 그룹으로 나누어 유료관객에 따른 공연 구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단법인·공공에서 주최하는 공연이 많은 유료관객을 확보하고 있으며, 국내 단체보다는 해외단체 및 해외 독주·실내악 연주가 상대적으로 높은 유료관객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옴니버스식으로 해설이 가미된 낮 공연 및 교육프로그램은 높은 유료관객율을 보였지만 기악·관악·실내악은 합창·성악과 더불어 유료관객을 모으기 어려운 장르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유료관객이 많은 그룹의 공연을 유료관객과 티켓단가, 매출액을 기준으로, 낮 공연·교육프로그램, 국내외 교향악단 공연, 독주·실내악, 크로스오버 등 총 9개의 특징적인 공연 항목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료관객이 많은 공연의 특성은 낮 공연 및 교육프로그램, 서울시립교향악단 공연, 민간 기획사 주최의 해외 초청공연, 국내 실내악 연주자의 공연으로, 4가지의 공연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제 유료관객 실적을 중심으로 공연별 특성을 설명하고, 관객개발을 위한 관객세분화의 기초 작업으로서 공연특성을 도출했다는 의의가 있다. 하지만 향후에는 각 공연별 특성을 바탕으로 공연에 따른 관객의 특징을 마케팅과 같은 공연외적인 요소와 작품적 특성과의 연계 연구를 통하여 실제 클래식 음악 유료관객에 대한 실질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관객 참여형 공연장에 대한 연구 -장소 특정적 공연을 중심으로-

        박미령,조택연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1

        The modern performance are various due to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On the other hand, theaters stay in proscenium theater, which is hard for a variety of performance forms to be applied. Thus, this study tries to suggest the audience participation type theater that gives a favorable impression to audience, by increasing audience participation in performance through composition of theaters. Based on the theory of rite origin, this study theoretically investigated performances at the age of the four ancient civilizations, the Greek era and modern. To suggest theaters, relations of 4 elements in the modern performance were figured out. Besides, this study concen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tors and audience, which has been undervalued, and through the case analysis psychologically examined distance between the stage and auditorium. Lastly, by composing contents investigated above as the design elements, an idea for design of the audience participation theater was suggested. As a result, it could be found that the structure of human mind, originated from the relation between a priest and a group in the past rite, was changed into the political tool in the Greek era. By focusing on audience as the main agent of performance, the necessity of planning theaters could be found. Besides, that performances focusing on audience give them good feelings more strongly when they participated in the story was found, rather than the pleasure of immersion in the story. Thus, this study tries to dramatically induce audience participation through the site-specific theaters. This researcher expects theaters can be formed through positive participation of audience and expansion of seats like the site-specific performance among modern performances. For this expect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idea for design of theaters that reflect positive inducement of audience participation, according to congruence between the actor’s line and audiences’ and between the auditorium and stage, and expects theater and performance planning in the future can give more interests to audiences. 현대의 공연은 문화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공연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공연장은 전통적인 프로시니엄 극장 형태로 머무르고 있다. 프로시니엄 극장형태는 배우와 관객의 공간을 분리한 형태로 다양한 공연형태에 적용되기 어렵다. 공연장은 배우와 관객 간의 예술적 교감과 연대감을 형성하는 장소이다. 그리하여 공연장의 구성을 통한 공연의 관객 참여도를 높여 관객에게 호감을 주는 관객 참여형 공연장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의기원설을 바탕으로 4대 문명시대 공연, 공연장의 시초인 그리스 시대 그리고 현대의 공연과 공연장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인류의 감성적 측면에서 바라본 관객의 의미와 관객 참여의 감성에 대하여 원시부족의 특성을 통하여 공연에 대한 감성을 알아보았다. 관객참여를 위한 공연장을 제안하기 위해 현대공연의 4요소를 관계를 파악하였다. 그동안 저평가 되었던 배우와 관객의 관계에 집중하였으며, 서로의 공간인 무대와 객석의 거리를 심리적으로 사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앞서 파악한 내용들을 디자인 요소로 구성하여, 관객 참여형 공연장 디자인 안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과거의 제의에서 제사장과 집단의 관계에서 비롯한 인간의 마음의 구조가 그리스 시대에 정치적인 도구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공연에 대한 호감 구조에 대해 문화를 넘어 인류의 본능적 습성과 욕망의 발현으로 나타났다는 관점으로, 공연 주체를 관객으로 집중하여 공연장을 계획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관객에 치중하는 공연형태는 스토리의 몰입에 대한 즐거움 보다 관객이 스토리에 참여 했을 때 강력한 호감을 느끼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장소 특정적 공연장의 관객참여를 통해 관객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자 한다. 따라서 현대의 공연 중 장소 특정적 공연처럼 관객의 적극적인 참여와 객석의 확장을 통하여 공연장이 형성되기를 바란다. 이를 위해 배우의 연기 동선과 관객의 관람 동선 일치, 객석과 무대일치에 따른 적극적 관객 참여유도를 디자인으로 반영한 공연장 디자인 안을 제시하며, 향후 공연장 및 공연기획이 관객들에게 더 많은 흥미를 유발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VR영화 관객의 움직임에 대한 고찰 - VR영화 〈동두천〉을 중심으로

        문재철(Jaecheol Moon),손지현(Jihyun Son)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2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6 No.-

        VR영화는 관객 개인이 HMD(Head Mounted Display)를 착용하고 상하좌우 360도로 열린 화면을 통해 관람하는 방식이다. 이는 관객 육체의 움직임과 연관된다. 일반영화는 관객의 고정된 자세를 필요로 하고 관객의 움직임과 시선의 이동이 영화 관람에 방해가 된다. 그렇지만 VR영화는 360도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물리적인 공간과 장치를 필요로 하며 부동의 자세가 오히려 영화 관람에 방해가 된다. 일반 영화 관객에게는 요구되지 않았던 관객의 운동성은 VR영화 특성에서 주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객의 움직임’이라는 VR영화의 특성에 주목해 기존의 영화와 차별화되는 스크린의 특징, 계열체와 통합체의 관계, 관객의 게스투스를 차례로 살펴보며 VR영화 관객의 움직임을 통해 도출되는 새로운 영화적 사유 이미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VR영화가 관객의 운동성을 전제로, 관객의 게스투스와 공존하며 발전해 나가고 있음을 밝히는 과정이다. VR영화는 관객이 영화를 어떻게 보는가에 대한 영화의 근본적 지각의 문제를 ‘공존’의 감각으로 풀어내며 영화가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관객 감각의 기초 즉 ‘관객 신체의 있음’과 ‘관객의 운동성’을 자각하게 되는 전환적 사고의 기점을 가져 온다. 이로 인해 비로소 영화와 관객은 함께 있는 상태, 상호적 공존의 의미를 획득하게 된다. VR Cinema audiences wear HMD(Head Mounted Display) and watch through a screen that is open 360 degrees. This is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audience’s body. General movies require a fixed posture of the audience, and the movement of the audience interferes with watching the movie. However, VR movies require physical space and devices that allow the audience to move freely at 360 degrees, and their unchanging posture rather hinders watching the movie. The movement of the audience, which was not required by the general movie audience, occupies a major position in the characteristics of VR mov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w cinematic image of thought derived through the movement of VR movie audiences. This is a process of revealing that VR Cinema is developing with the movement of the audience. VR Cinema brings about a turning point in thinking that becomes aware of the basis of the audience’s senses, that is, the presence of the audience’s body. As a result, cinema and audience finally acquire the meaning of being together and mutual coexistence.

      • KCI등재

        연출가로서 예르지 그로토프스키 연구 - 그로토프스키 작업에 나타난 관객성(spectatorship)을 중심으로 -

        박성연 한국연기예술학회 2019 연기예술연구 Vol.16 No.3

        이 연구는 연출가로서의 예르지 그로토프스키에 대하여 그의 작업에 나타난 관객성을 중심으로 고찰 한 연구이다. ‘가난한 연극’을 주창했던 그로토프스키는 동시대의 풍족한 공연예술세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연출가 한 명이다. 그가 이렇게 포스트드라마적 연극에 있어서 중요한 이유는 그의 작업에서 뺴놓 을 수 없는 화두인 ‘관객성’ 때문일 것이다. 관객성은 공연예술에서의 관객의 역할 변화와 그에 따른 성 격을 말하는 것으로 그로토프스키가 지향했던 성스러운 배우만큼 고민했던 지점이다. 또한 그로토프스 키 다양한 작업에서의 관객에 대한 의의는 그의 작업이 결과 중심이 아닌 과정 중심으로서의 연극이라는 점을 설명할 수 있기에 중요하고 현대적이다. 본고는 그로토프스키의 다양한 작업을 설명하고 그의 작업 에 나타나는 관객성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그의 작업에서 어떠한 면이 동시대적 연극의 특성을 보이는 지 살펴볼 것이다. 이 연구가 관객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만큼 그로토프스키와 동일한 시대의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의 이론인 페다고지(pedagogy)와 싸이카고지(phychagogy)에 적용하여 이론적 근거를 마 련하였다. “해석의 주체학”에서 주장한 푸코의 페다고지는 어떤 작품들을 보며 관객 각자가 부여 받게 되는 경향, 능력 그리고 지식을 말한다. 또한 싸이카고지는 단순히 부여 받는 경향이나 지식 등의 기술을 넘어선 수용자의 마음까지도 움직일 수 있는 영향력이나 충격을 말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개념 을 토대로 그로토프스키의 작업을 살펴보았다. 푸코의 이론을 수용하여 관객의 상징과 역할 등을 파악하 고 그 결과로 보여지는 관객의 반응과 변화를 고찰하는 작업은 현대공연예술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지침 이 될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Jerzy Grotowski in terms of theatre director focused on spectatorship in his work. He is one of the remarkable theatre directors who advocated ‘poor theatre’. His concept of poor theatre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rich performing arts in contemporary world. The reason why he is so important in the post-dramatic theatre is because of the compelling topic of his work, ‘spectatorship’. Spectatorship is a reference to the changing role of the spectator in performing arts and the corresponding characteristics, which Grotowski had to think about as much as the ‘sacred actor’ he was aiming for. In addition, Grotowski’s significance to the spectator in his various works is very important and contemporaneous, as it can explain that his work is a theatre centered on the process, not on the outcome. This study thus expounded the basis for which aspects of Grotowski exhibite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theatre and influences the tendency of post-dramatic theatre by explaining the various works of Grotowski and examining the spectator that appeared in them. As this study focused on spectatorship, it has been applied to the theories of Grotowski and French philosophers Michel Foucault who spent same era of Grotowski. Foucault’s ‘pedagogy’, which claimed in 『Hermeneutics of the Subject』, refers to the aptitudes, capabilities, and knowledges that each spectator is given by looking at certain works. Another term, ‘phychagogy’ refers to the influence or impact that can move the mind of an acceptor beyond the given tendency or skill of knowledge. The work of accepting Foucault’s theories to identify the spectator’s symbols and roles and to consider the resulting spectator’s reactions and changes will be an important guide to understanding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 KCI등재

        들뢰즈의 관객-이미지(들)과 그 현대적 확장

        이지영 한국영상문화학회 2022 영상문화 Vol.- No.41

        본 연구는 기계와 인간과 네트워크가 결합된 포스트-휴먼적인 현대의 미디어 환경 속에서 새롭게 변화하는 영화 관객의 개념화를 시도한다. 현대 관객론을 제안하기 위해 먼저 영미권 주류 영화이론에서 제안되고 오랫동안 지배적인 관객론으로 자리잡아온 스크린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 한다. 특히 이 논의들의 전제에 해당하는 관객의 수동성과 능동성이라는 이분법적 구분 자체의 부적절함을 랑시에르의 ‘해방된 관객’ 논의를 통해 비판하였다. 수동성과 능동성의 이분법적 구분이 적용되지 않는 현대의 관객들은 들뢰즈의 관객론을 바탕으로 이론적으로 구체화된다. 들뢰즈는 명시적으로 관객론을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그의 영화철학 체계 내에서 관객론을 재구성할 수 있다. 들뢰즈에게 관객은 다른 영화 이미지들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이미지이며, 영화를 이루는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영화에 앞서 존재할 수 없다. 다시 말해, 그의 관객에 대한 입장은 기본적으로 수동적이다. 이미지의 구성요소로서 수동성을 가진 관객이라는 내용을 함축하고 있는 개념으로 본 연구에서는 ‘관객-이미지’를 제안하는데, 이 개 념은 정신적 자동기계 개념과 이미지의 계열화 속에서 보다 구체화된다. 들뢰즈에 의하면 영화의 정신적 자동기계는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의 영화에서 각각 다르게 작동하며, 다른 사유를 생산해낸다. 본 연구는 시간-이미지의 영화에서의 사유로부터 이미지들의 계열적 사유를 도출하여, 이 계열 속에서 생성되는 것이 아직 오지 않은 민중으로서 복수형으로만 존재하는 ‘관객-이미지들’임을 제안한다. 이러한 이론적 토대 위에서 영화를 둘러싼 포스트 휴먼적 상황 속에서 영화의 관객들은 영화관을 넘어 어떻게 확장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