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 발전지표 탐색

        박춘성(Park, Choon Sung),홍성두(Hong, Sung doo),여승수(Yeo, Seungsoo)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1 창의력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의 “발전 지표” 탐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지표가 가지는 본래적 의미를 탐색하고,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의 발전 지표를 추출 하였다. 이렇게 추출한 발전 지표를 바탕으로 지표의 본래적 의미에 맞게 대학의 체제 모형에 입각한 발전지표들을 추출 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발전지표의 일관성을 고려한 투입, 과정, 산출의 체계적 지표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렇게 완성한 지표는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교육 강화의 기제로 작용 할 수 있으며,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의 현황을 나타내는 기초 자료조사에 활용될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ndicators on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at universit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dicators, first, we focused on inherent meaning for the indicators, and then reviewed related articles. Using the indicators, we set up a systematic model that include three process: input, process, and output. We expected that these indicators from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improving quality of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at universitites. In addition, the indicators could be used for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on science-gifted education.

      • KCI등재

        학교와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과학영재들의 대인관계역량 분석

        노현아 ( Hyeonah Noh ),최재혁 ( Jaehyeok Choi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2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들의 대인관계역량이 서로 다른 집단에서 어떻게 나타나며 어떠한 특징이 나타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들의 대표 또래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학교와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대인관계역량과 그 특징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6학년 12명, 중학교 1학년 34명, 중학교 2학년 26명으로 총 72명이었다. 이들에게 대인관계역량 검사도구의 동일한 문항에 대해 각각 학교와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자신의 상황을 구분하여 리커트 척도에 따라 응답하게 하였고, 하위역량별로 설문문항과 관련된 학교나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경험을 서술하게 하였다. 이후 과학영재들의 서술내용을 바탕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을 구성하여 연구 대상 중 3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영재들은 대인관계역량의 세 가지 역량인 관계형성, 리더십, 협동과 그 하위역량에서 학교에서의 평균이 과학영재교육원 평균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두 집단 모두에서 높은 대인관계역량 점수를 보였으며 학교와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대인관계에 대해 다소 다른 행동과 태도를 보이며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과학영재교육원은 과학영재들이 과학지식과 같은 학문을 배울 수 있는 공간일 뿐 만 아니라 관계형성이나 리더십·협동과 같은 사회적 영역까지도 경험하고 배울 수 있는 공간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영재들의 대인관계역량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science-gifted students in groups of people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We examined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school and in science-gifted education institut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2 students in a university-based science-gifted education institute. We used a mixed method of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quantitative research and the narrative content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for qualitative research. We compared their competence in school with those of gifted education institute students through questionnaire, narrative contents, and interviews.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6 questions and their own descriptions about interpersonal experiences in school and in science-gifted education institute. In an interview, they explained their answers on the questionnaires with more details. As a result, generally, the science-gifted students evaluated their interpersonal competence higher in school than those in gifted education institute. They showed different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in schools and in science-gifted education institutes. This implies implications for the social meaning of the science-gifted education institutes.

      • 교육개혁에 부응하는 과학영재 교육센타 육성 방안 연구

        허형,이군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7 정책연구 Vol.- No.-

        Paul Kennedy(1989)는 ‘강대국의 흥망(Rise and fall of great powers) ’ 에서 국가가 흥하고 망하는 기준을 영토, 인구, 생산력, 그리고 군사력이라고 보았다. 그래서 이 기준을 가지고 15세기부터 20세기에 이르기까지 강대국들의 흥망을 자세하게 분석하고 미국의 국가정책 수립에 중요한 제언을 하였다. 그러나 하버드 대학의 정치학 교수 Joseph Nye (1991) 는 ‘Bound to lead : The changing nature of American power` 에 서 21세 기의 국가 흥망의 기준은 Kennedy가 제시했던 것과 같은 hardware적인 힘이 아니라 정치제도의 형태, 첨단과학기술 수준, 그리고 교육의 질과 같은 software적인 힘이라고 하였다. 그는 이러한 software적인 힘의 수준에 따라서 강대국의 흥망성쇠가 결정되는 것이라고 하며, Paul Kennedy의 입장을 비판하였다.이러한 Joseph Nye 교수의 이론은 많은 발전론자들의 공감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우리 나라는 약 5천년의 역사에서 이제 문민정부의 탄생과 함께 자유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정치제도를 실현해 나가기 시작했고, 1993년 6월에 실시된 금융실명제를 통하여 투명한 자유시장 경제체재를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우리가 앞으로 더욱 발전시켜야 할 부분은 첨단 과학기술과 교육의 질을 향상하는 일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더군다나 21세기의 사회의 발전이 과학기술에 의해 주도된다는 점을 인식한다면 우리나라가 과학기술의 발전을 이룩하지 않고는 선진국 대열에 들어설 수 없음은 너무나도 자명한 사실이다.그러나 21세기를 눈앞에 둔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과학교육, 특히 과학영재교육은 선진 외국에 비하여 상당히 낙후되어 있으며, 이로인해 뛰어난 과학영재의 발굴과 양성에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고 하겠다.특히 한 나라의 과학기술의 수준이 뛰어난 과학영재들의 존재 여부에 달려 있으며, 이들을 제대로 발굴하여 양성해 내는 것이 국가와 인류를 위한 중요한 책무임을 인식한다면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과학영재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이러한 체계적인 과학영재 교육시스댐의 구축에 대한 요구는 다음의 4가지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첫째, 교육의 본질적인 측면에서의 요구이다.교육의 본질적 측면에서 참다운 교육이란 교육활동의 최종 수혜자인 학생 각자의 재능을 발굴하여 그것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특정분야에서 능력이 뒤처지는 학생은 보다 쉬운 수준의 교재와 자료를 투입하여 학생의 이해를 돕게 하고, 보다 능력이 뛰어난 학생은 고도의 수준 높은 창의적 사고활동을 할 수 있는 여러가지 자료와 활동을 제공하여 그 분야에서의 재능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교육활동이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다.그러나 현재의 교육제도는 학생 개개인의 다양성과 능력을 조장하는데 다소의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뛰어난 창의성과 탐구능력을 지닌 과학영재를 발굴 육성해 내는 데에는 어느 정도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그렇다고 해서 이 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전체적인 교육체계를 전면 수정하는 것은 막대한 비용과 사회적 혼란을 고려해 볼 때 불가능하리라 여겨진다.따라서 교육체계의 전면적인 수정과 혁신보다는 현재의 교육체계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렇게 구축된 시스템을 교육체계 개혁의 발판으로 삼는것이 보다 타당하리라 여겨진다. 이러한 변에서 볼 때 과학영재를 육성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교육의 본질적 측면을 조장하고 교육의 효파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 여져질 것이다.둘째, 국가발전의 필요의 측면에서의 요구이다.다가올 21세기의 미래사회가 정치적·경제적으로 급속히 개방화·세계화 되는 동시에 급격한 컴퓨터 기술의 발달은 사회의 정보화를 가속화 시킬 것이며 이는 국가간, 지역간, 그리고 기업간의 경쟁체제를 급진전시킬 것이다. 이처럼 격화되고 있는 국제경쟁사회에서 변화의 물결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세계변혁의 시대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한 국제사회에서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확보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특히 국제경쟁사회에서의 주도권 확보는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선진화를 요구하지만, 과학기술이 사회문화의 밑바탕이 된다는 점을 인식해보면 과학기술분야에서의-발전이 국가의 경제·사회 발전의 초석이 된다는 것은 너무도 명확하다.셋째, 과학기술 교육의 선진화에 대한 요구이다.현재 한국에서의 과학영재교육은 일반학교에서 과학 우수아들을 위한 특별프로그램과 과학고등학교에서의 과학영재교육, 그리고 과학교육원에서의 영재교육으로 크게 대별될 수 있다.특히 이 중에서도 과학고등학교는 우리나라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들어갈 수 있는 선진국 수준의 과학기술 발전을 위하여 13년 전에 설립한 과학영재를 위한 특별 교육기관으로서 과학영재교육의 대표주자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순수한 과학교육을 위하여 설립한 과학고등학교 마저도 오늘날 과학교육의 본질적 활동인 탐구활동보다는 명문대학 입학을 위한 입시준비에 급급한 상태에 있으며, 일반 초·중·고등학교에서의 특별 과학영재 교육프로그램도 거의 유명 무실화 되고있다.이와같은 과학영재의 발굴과 교육에 대한 국가적 현실을 감안할 때, 한국의 과학교육은 제자리를 잡을 수 없고 따라서 선진국 수준의 첨단과학기술의 발전은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다.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학부설 영재교육센타의 설립을 통해 대학과 과학고등학교, 일반 초·중·고등학교, 그리고 과학교육원의 유기적 연결고리를 형성하여 체계적인 과학영재교육 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넷째, 현실적인 연구의 필요측면에서의 요구이다.지난 1995년 5월 31 일에 발표된 교육개혁 조치에 의하여 권역별 과학영재교육센타의 설립 및 육성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새로운 과학영재 교육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는 계기가 형성되었다. 이로인해 권역별 특수과학고등학교의 발전과 함께 전국 각 권역에 과학영재교육센타를 설립함으로써 각 권역의 과학영재들에게 체계적이고도 진정한 의미의 과학영재교육을 실시할 수 있게 된 것이다.이상에서 살펴본 체계적인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요구는 과학교육의 수월성을 추구하는 통합적인 과학영재교육체제의 개발을 유도하고 있다고 하겠다.이 연구의 주목적은 전국 각 지역에 설립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대학부설 권역별 과학영재교육센터의 모형을 마련하는데 었다. 이 모형은 앞으로 우리나라 각 권역에서 과학영재교육센터를 설립하고 운영하며 감독하는 모든 지침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동시에 과학고등학교 및 과학교육원의 운영 개선 방안도 제시될 것이며, 앞으로 설립된 대학부설 권역별 과학영재교육센타와 과학고등학교 및 과학교육원의 유기적인 관계를 정립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 교사들이 제안하는 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김효남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80 No.-

        영재로 판별되는 기준은 대체로 평균이상의 지능, 과제 집착력, 창의력이다. 또한 영재들은 특정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여준다. 개인적인 차원에서도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영재들의 영재성은 발달되어야 한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잠재적인 영재들을 포함하여 영재들을 선발하고 교육시키고 평가한다. 영재교육은 일선 학교의 영재학급, 몇 개 학교가 연합하여 진행하는 영재교육, 지방교육청 그리고 시도교육청에서 운영하는 영재교육원, 대학에서 운영하는 영재교육센터가 있고, 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가 있다. 영재교육 분야도 과학, 수학, 정보, 예술, 체육, 인문과학, 사회과학 등 다양하다. 과학, 수학, 정보, 발명 영재교육이 현재로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영재교육의 내용도 특정 분야의 인지적 능력뿐 아니라, 인성이나 정서, 심리적인 면까지 포함하고 있는데, 이것은 바람직한 현상으로 생각된다. 또한 개인적인 능력의 신장뿐 아니라, 협동활동을 통하여 협력하는 능력도 기르고, 학생들끼리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생들은 심리적인 안정과 함께 사회적 능력의 신장도 고려하고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맥락 속에서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과학교육 관련 전공을 공부하는 일선학교 교사들이 제안하는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 총 13명이 제안한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성격, 목표, 내용, 평가방법의 특징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아의 인지, 정서, 사회적 발달을 고려한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둘째, 문화와 사회라는 맥락을 이해하고, 그 안에 존재하는 문제를 인식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과학영재아들의 의욕을 중시한다. 셋째, 심화활동과 속진활동이 균형을 이루며, 개인별 개별활동과 조별 협동학습이 배합되고, 거꾸로하는 문제중심학습, 만들기 학습, 읽고 토론하기와 같은 다양한 학습법이 활용되어야 한다. 넷째, 과학영재아의 적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과학에도 다양한 분야가 존재하므로 영재아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에 따라 학습활동의 주제와 방법이 달라질 것이다. 다섯째, 과학영재교육내용과 과정은 학생들의 관심을 고려하면서 기초, 훈련, 문제해결과정으로 진행된다. 여섯째, 주말과 방학을 활용하여 과학영재교육을 한다. 일곱째, 과학영재교육 평가는 자기평가, 동료평가를 포함하여 포트폴리오평가, 발표평가, 제작물 평가법을 활용한다. 평가내용은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인 면을 포함한다. 교사들은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은 다양하고 적절한 내용과 방법으로 과학영재아들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발달시키는 방향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을 교사들은 제안하였다. 교사들이 제안하는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은 한국교육개발원 GED에서 제시하는 국가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과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

      • KCI등재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 영재학생이 인식하는 영재교육원과 학교에서의 교우기대감

        성승민 ( Seungmin Sung ),여상인 ( Sang-ihn Yeo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科學敎育硏究誌 Vol.4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과 일반학교 수업에서 영재학생이 인식하는 교우기 대감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A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의 영재 121명에게 친밀성, 능력 · 유사성, 도덕성을 하위 영역으로 하는 교우기대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과 일반학교에서 영재학생이 인식하는 교우기대감은 친밀성, 도덕성의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능력 · 유사성의 하위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반학급에서는 친밀성에 대한 교우기대감이 높았고, 영재학급에서는 도덕성에 대한 교우기대감이 높았다. 또한, 교우기대감의 각 하위 영역의 일부 세부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교우기대감도 있었다. 그리고 대학부설과학영재교원의 영재학생은 지역교육청부설영재교육원과 단위학교 영재학급의 영재학생이 보이는 교우기대감과 다른 특징도 보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재학생의 교우기대 감이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friendship expectation that gifted students perceived in the gifted class and the regular class. To this study, friendship expectation survey, which sub-domains were intimacy, ability·similarity, and morality, was conducted to 121 gifted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friendship expectations of gifted students in the gifted class and the regular clas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domains of intimacy and morali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domain of ability · similarity.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ome detail items of all sub-domain(intimacy, ability·similarity, and morality). Based the results of this, the implications to understand the friendship of the gifted students were suggested.

      • KCI등재

        시교육청 영재교육원과 과학고 영재교육원 수학, 과학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황정훈 韓國英才學會 2010 영재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에서는 수학, 과학교사들이 영재교육을 어떻게 이해하고 인식하는지를 탐색하고, 시교육청 영재교육원과 과학고 영재교육원의 교사 집단별, 과목별로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내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시교육청 영재교육원과 과학고 영재교육원 수학, 과학교사들이었으며, 총 62명의 수학, 과학교사의 설문 응답지를 분석하였다. 시교육청 영재교육원 교사집단은 ‘영재교육이 매우 필요하다’에 대하여 41.0%의 응답률을 보인 반면에, 과학고 영재교육원 교사집단은 8.7%의 응답률을 보였다. 전체 교사의 54.8%가 자신이 가르치는 영재학생이 영재성을 보인다고 하였으며, 수학영재 선발의 타당한 도구는 창의력 문제해결력 검사, 과학영재 선발의 타당한 도구는 과학 교사의 지속적 관찰 결과물에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수학영재 선발 시는 수학과목이, 과학영재 선발 시는 과학과 수학과목이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목이라고 하였다. 강의식 수업이 51.6%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영재 수업의 교수-학습 형태라고 응답하였으며, 영재교육의 적임자로 정규 과학영재학교 재직교사를, 적합한 영재교육기관으로 정규 과학영재학교에 각각 38.7%, 53.2%의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과학고의 영재교육원 운영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46.7%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영재교육원의 수학, 과학 분리 운영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46.7%가 운영의 분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Korean mathematics &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o investigate if there are differences on their perception about it among the mathematics & science teachers when their affiliation institutes for the gifted are different. Their affiliation institutes for the gifted education a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the city office of education, and science high school.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their perception according to their affiliation institutes for the gifted education a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the city office of education, science high school? Secondly,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their perception according to their affiliation institutes for the gifted education a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the mathematics teachers, science teachers? For the study, 26 mathematics teachers & 36 science teachers were sampled from the Institutes for the Gifted Education in Busan Metro-city & the Busan Science High School. and then 34-item-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author was administered to the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question as to participation in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in mathematics & science, the positive answer has been dominant. Teachers who were going to participate in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in mathematics & science have answered affirmatively. Secondly, perception of the organization of a class of the gifted in mathematics & science is very different between the group of institutes for the gifted education in the city office and the group of institutes for the gifted education in the science high school. Thirdly, perception of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in mathematics & science is very different between group of the mathematics teachers and group of the science teachers. Fourthly, 46.7% of the total agree with management of the gifted education in the science high school, 46.7% of the total agree with separation of management about mathematics & science.

      • KCI등재

        정규 과학영재학교, 교육청 영재교육원, 일반 중.고등학교 과학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황정훈,김영민 韓國英才學會 2009 영재교육연구 Vol.19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in Korea, and to investigate if there are differences on their perception among the science teachers whose institutes are different. Their institute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hich are the formal schools for the gifted in science such as Science High-School, gifted education centers attached to district education authority, and general secondary schools. For the study, 266 science teachers were sampled from the schools in Busan Metro-city, Ulsan Metro-city, and Kyoungnam Province, and then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authors were administered to the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eachers who were going to participate in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in science answered affirmatively, and they thought it seemed worthwhile. On the other hand teachers who were not going to participate in it, answered negatively, mentioning shortage in specialty or extra work overload. Secondly, onl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too much preferred by science teachers for teacher training institute for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Therefore, it is needed to extend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s for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throughout the country. Thirdly, the perception of science teachers on the constitution of a class for the gifted in science is very different among the teachers of formal schools for the gifted in science and the teachers who teach science part time when it is needed in the district institutes for the gifted education. Finally, the perception on the aims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in science is very different between the teachers who teach the gifted in science and the teachers who do not teach them.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으로 과학교사들이 과학영재교육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탐색하고, 정규 과학영재학교 소속 과학교사, 교육청 영재교육원 소속 과학교사, 및 일반 중 고등학교에 있으면서 과학영재교육을 담당하지 않는 과학교사들 간에 과학영재교육에 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과학영재학교, 과학고등학교, 중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이었으며, 층 266명 과학교사의 설문 응답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일반학교 교사의 13%가 과학영재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과학영재교육 관련 연수기관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연구원을 선호하는 비율이 60%를 넘고 대학 부설 연수 기관, 부산광역시 영재교육연수원, 교육청 연수원 등에 대한 선호도는 모두 20%를 넘지 못하고 있다. 과학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에 대해서도 정규 과학영재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과학교사, 교육청 영재교육원 출장 교사는 각각 자신들이 속한 기관의 교사들이 담당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과학 계열 교수 및 연구원이 담당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0% 정도에 그치고 있다. 과학영재교육은 과학영재교육 전문기관에서 담당하는 것이 좋다고 대부분 과학교사들이 인식하고 있으며, 과학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 비율에 대해서도 70% 이상의 과학교사들이 3% 이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그 비율도 집단 간에 차이가 있어서 일반학교 과학교사들은 반 수 정도가 1% 이내라고 생각하고 있다.

      • KCI등재

        과학영재교육정책의 진화, 1968–2012: 과학기술인력정책과 영재교육정책의 상호작용

        우새미 韓國英才學會 2015 영재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영재교육정책 목표가 교육에 의한 영재성 발휘보다 국가 사회 발전을 위한 인재양성으로 편향된 것이 과학기술행정부처의 과학영재교육정책에 기인하고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과학영재교육정책은 과학기술행정부처 중심 정책과 교육행정부처 중심 정책으로 나뉜다. 교육행정부처는 교육적 형평성을 실현을 목표로 영재교육정책을 세웠다. 이와 달리 과학기술행정부처는 경제 발전을 위해 산업에 투입할 고급 과학기술인력양성이라는 관점에서 과학영재에 주목했다. 이들은 상호작용하여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체제를 형성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행정부처가 과학영재교육의 국가 사회적 목표를 강조함으로써 과학기술행정부처의 과학영재교육정책 수립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는 과정을 보이고, 연구생산성이 높을 시기에 과학영재들이 실질적으로 연구개발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과학기술행정부처가 정책적 토대를 만들었다는 것을 보인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interaction of the policy of human resource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policy of education for the gifted. In Korea, the goals of gifted education seem to have gravitated more toward serving the national perspective of creating a pool of high-quality scientists for economic development, rather than toward helping individuals achieve their educational aspirations and promote their talents. The science education policy for the gifted can be categorized into two: one primarily by the Ministry of Science (MOST) and another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MOE). So far, the policy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has been written by MOE. Such an imbalance has been created because the two ministries differed in their values and priorities. MOST has designed the science education policy in order to foster the gifted as high-quality human resour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that can help contribute to economic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MOE has designed the policy for the gifted with educational equity in mind. Although the policy by MOST had have more influence in implementing overall policies of educating the gifted, the two ministries have interacted and formulated the educational system of gifted in Korea.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rocess that MOST has legitimized their science education policy for the gifted by designing it in line with the national and social goals, and has formulated a basis on which the gifted can contribute to R&D for economic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원격수업을 경험한 과학영재들의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기대와 반응 분석

        노현아(Noh, Hyeonah),최재혁(Choi, Jaehyeok)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0 과학영재교육 Vol.12 No.3

        본 연구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중등심화과정 과학반에 재학한 중학교 1학년 56명을 대상으로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기대와 원격수업으로 운영된 모든 프로그램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이 종료한 시점에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의 내용은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기대, 과학영재교육원의 수업 진행 방식에 대한 의견, 2020년 진행한 17개 수업 주제별 수업난이도 및 만족도(만족스러운 점/아쉬웠던 점)로 구성되었으며 수업주제별 난이도에 대한 문항을 제외하고는 개방형 설문 문항으로 제작되었다. 설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과학영재들은 원격으로 진행된 블렌디드 수업(콘텐츠 활용 중심수업, 과제수행 중심수업,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에서, 직접 탐구를 통해 해결하는 과제수행 중심수업을 하기 위해 학생들은 콘텐츠 활용 수업으로 제시된 사전 동영상을 반복하여 학습하였고 추가적인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통하여 과학 개념 및 원리를 이해하려 노력하였다. 이와 같이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해 해결한 과제는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을 통해 확인하고 전문가 및 친구와 소통하는 과정을 통해 그들이 하고자 하는 수업에 맞춰갔다. 둘째,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기대는 크게 학교나 학원에서와는 다른 심화된 수업, 전문가(교수)가 직접하는 수업(39.7%), 실험기기가 제대로 갖춰진 환경에서 다양하고 심화된 실험 활동(42.9%), 친구나 선생님과 대화를 하며 생각을 공유하는 토론/토의(11.1%)이었다. 셋째, 원격수업 환경에서 과학영재들은 어려운 수업내용(23.7%), 과제수행 중 탐구 활동에 대한 어려움(15.7%),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실험하지 못함(12.3%), 교수님과 친구들과의 상호작용 부족(6.6%)을 아쉬워했다. 하지만, 집에서라도 탐구 활동을 할 수 있고(43.2%), 수업을 통해 지식을 얻고(45.8%), 실시간 수업을 통해 발표·토의활동을 할 수 있는 것에 만족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수업, 실험, 상호작용 요인에 대해 과학영재들의 기대와 반응에 대한 의미를 생각해보고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ctations for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affiliated with university and the responses to all programs operated by online clas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6 7th grade students in the science class in the secondary course of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affiliated with university. For this,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after all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were conducted.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expectations for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opinions on the teaching method of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and the level of difficulty and satisfaction (satisfactory/dissatisfactory) for each of the 17 lessons. Excluding the questions on the difficulty level of each subject, it was produced as an open-ended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questionnaire are as follows. First, for science-gifted to conduct a task-oriented lessons that is solved through inquiry in online class, students repeatedly learned the lecture video presented as a content-based class, and they tried to understand science concepts and principles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They confirmed the tasks solved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real-time interactive online classes, and communicated with professors and friends. Second, the expectation for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affiliated with university was to have in-depth classes different from those in schools or academies (39.7%), lessons taught by university professors, various and sophisticated experiments in an environment well equipped with experimental equipment (42.9%), and conversation with friends and professors (11.1%). Third, while taking online classes,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dissatisfied with difficult content (23.7%), difficulty with inquiry activities during assignment (15.7%), unable to experiment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12.3%), and lack of interaction with professors and friends (6.6%).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aning of the expectations and responses of science gifted students to the factors of instruction, experimentation, and interaction at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was considered.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management process of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교사변인별 과학영재교육 교수방법 전문지식에 대한 인식 차이

        서권수(Gwon-su Seo),서혜애(Hae-Ae Seo) 한국영재학회 2018 영재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초등과학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과학영재교육 교수방법 전문지식에 대한 인식수준을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교육청 영재교육기관에서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 가운데 의도적 표집방법으로 93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과학영재교육 교수방법 전문지식 측정도구(서혜애, 박경희, 2005)’의 설문조사지를 우편 및 e-mail로 실시하였으며, 2015년 7월부터 12월까지 기간에 걸쳐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교사변인별 기술통계와 일원변량분석(ANOVA)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과학영재교육 교수방법 전문지식 수준은 영재교육기관, 영재교육경력, 영재교육비율, 최종학력, 연수이수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성별, 교육경력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변인에 따른 과학영재교육 교수방법 전문지식의 구성요소별 유의미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영재교육원 교사가 영재학급에 비해 과학교육학지식(PCK) 및 교육맥락지식(ECK)이 높았으며, 남자교사가 여자교사에 비해 과학지식(SMK)이 높게 나타났다. 영재교육경력 5년차에 5개 구성요소들이 균형 있게 확보되었으나 3, 4년 차에는 인식수준이 낮아졌다. 석사 및 박사학위 교사들은 학사에 비해 과학교육학지식(PCK)과 영재교육학지식(GPK)이 높았으며 연수이시수간이 61-180시간일 때 과학지식(SMK)이 181시간 이상일 때 과학교육학지식(PCK), 과학영재교육과정지식(SCK), 영재교육학지식(GPK), 교육맥락지식(ECK)이 높았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level of professionalism about teaching method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suggest directions for establishing their professionalism effectively. The research subject includes 93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science gifted education under a given Education Office. As for methodology, the ‘Scale of Professionalism about Teaching Method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Seo & Park, 2005)’ was employed and administered via mail and e-mail between July and December, 201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OVA.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5) in their perception levels of professionalism about teaching method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gifted education institution, career of gifted education, ratio of gifted education vs general education career, highest degree earned, and hours of in-service training for gifted educ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gender and career in general education. For significant differences in elements of their perception level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PCK) and educational context knowledge (ECK) were higher in gifted education center than gifted class; subject matter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SMK) were higher in male teachers than female teachers; all elements of SMK, PCK, science curriculum knowledge in gifted education (SCK), general pedagogical knowledge in gifted education (GPK), and ECK were highest at the fifth year of gifted education career; PCK and GPK were higher for master and doctoral degree than bachelor degree earned teachers; SMK was higher at 61-180 hours and PCK, SCK, GPK, and ECK were higher at over 181 hours of teacher training program than the other hou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