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규 과학영재학교, 교육청 영재교육원, 일반 중.고등학교 과학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황정훈,김영민 韓國英才學會 2009 영재교육연구 Vol.19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in Korea, and to investigate if there are differences on their perception among the science teachers whose institutes are different. Their institute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hich are the formal schools for the gifted in science such as Science High-School, gifted education centers attached to district education authority, and general secondary schools. For the study, 266 science teachers were sampled from the schools in Busan Metro-city, Ulsan Metro-city, and Kyoungnam Province, and then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authors were administered to the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eachers who were going to participate in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in science answered affirmatively, and they thought it seemed worthwhile. On the other hand teachers who were not going to participate in it, answered negatively, mentioning shortage in specialty or extra work overload. Secondly, onl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too much preferred by science teachers for teacher training institute for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Therefore, it is needed to extend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s for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throughout the country. Thirdly, the perception of science teachers on the constitution of a class for the gifted in science is very different among the teachers of formal schools for the gifted in science and the teachers who teach science part time when it is needed in the district institutes for the gifted education. Finally, the perception on the aims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in science is very different between the teachers who teach the gifted in science and the teachers who do not teach them.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으로 과학교사들이 과학영재교육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탐색하고, 정규 과학영재학교 소속 과학교사, 교육청 영재교육원 소속 과학교사, 및 일반 중 고등학교에 있으면서 과학영재교육을 담당하지 않는 과학교사들 간에 과학영재교육에 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과학영재학교, 과학고등학교, 중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이었으며, 층 266명 과학교사의 설문 응답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일반학교 교사의 13%가 과학영재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과학영재교육 관련 연수기관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연구원을 선호하는 비율이 60%를 넘고 대학 부설 연수 기관, 부산광역시 영재교육연수원, 교육청 연수원 등에 대한 선호도는 모두 20%를 넘지 못하고 있다. 과학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에 대해서도 정규 과학영재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과학교사, 교육청 영재교육원 출장 교사는 각각 자신들이 속한 기관의 교사들이 담당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과학 계열 교수 및 연구원이 담당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0% 정도에 그치고 있다. 과학영재교육은 과학영재교육 전문기관에서 담당하는 것이 좋다고 대부분 과학교사들이 인식하고 있으며, 과학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 비율에 대해서도 70% 이상의 과학교사들이 3% 이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그 비율도 집단 간에 차이가 있어서 일반학교 과학교사들은 반 수 정도가 1% 이내라고 생각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과학영재학교, 과학고등학교 과학영재들의 음악에 대한 인식

        양리라(Yang, Reera),서혜애(Seo, Hae-Ae)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0 과학영재교육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교 및 과학고등학교에 재학한 과학영재들이 음악을 어떻게 인식하는 지를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 과학영재 200명은 음악수업의 과제로 음악에 대한 에세이를 작성하여 제출하였으며, 이를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과학영재학교 145개 및 과학고등학교 129개의 총274개의 핵심내용을 추출하였으며, 이들 핵심내용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범주를 분류하고 범주별 하위범주들의 특징적 내용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과학영재들은 음악을 유용성, 예술성, 감수성, 또는 표현성으로 인식하였다. 두 학교 과학영재들의 56.6%가 음악을 유용성으로 인식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과학영재들은 음악을 들으면서 마음을 위안받고 힐링하려는 목적을 두드러지게 나타냈다. 과학영재의 25.2%는 음악을 예술성으로 인식하였다. 예술성은 음악에 대한 심미적 안목과 학문적 접근에 기반한 특징을 보였다. 과학영재학교 대 과학고등학교의 비교에서 예술성이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과학영재학교 과학영재들의 37.2%는 음악을 예술성으로 인식하였으며, 이는 과학고등학교 11.6%의 3.2배로 높은 비율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고등학교의 조기졸업제 및 과학영재학교 음악교육의 pass/fail 평가방식에 부분적으로 기인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창의성을 발휘했던 과학자들은 음악을 연주하고 작곡하는 표현창작의 예술활동에 적극 참여한 한 사례들을 고려해 볼 때, 과학영재학교 및 과학고등학교의 음악수업은 과학영재들의 예술적 사고방식, 직관력, 통찰력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키는 표현창작위주 활동을 강화시킨 음악교육으로 개선되어야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music is perceived by science gifted students enrolled in a science gifted academy and a science high school. The 200 science gifted students of the study wrote and submitted an essay on music as a music class assignment. These essays were analyzed by employing a content analysis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a total of 274 key contents were extracted including 145 from a science gifted academy and 129 from a science high school and categorized based on their similarit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classified, the followings were concluded. Science gifted students recognized music as usefulness, artistry, sensitivity, or expressiveness. The 56.6% of science gifted students recognized the usefulness as the highest percentage. This result implied that science gifted students pursued to comfort and heal their minds while listening to music. The 25.2% of science-gifted students recognized music as artistry, which is the second highest percentage. Artistry showed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based on aesthetic perspectives and academic approaches to music. The big difference in artistry was shown in the comparison of a science gifted school with a science high school. The 37.2% of students in a science gifted academy perceived music as artistry, which was 3.2 times of 11.6% of students in a science high school. It was interpreted that these results were occurred due to the early graduation system of a science high school and the pass/fail evaluation method of music education in a science gifted academy. Considering cases in which successful scientists with excellent creativity tend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music activities by performing music instruments, composing music, inventing music instruments and so on, the music education at a science gifted school and a science high school should be reformed to effectively enhance the artistic mindset, intuition, and insight of science gifted students.

      • KCI등재

        대학과정선이수제(AP) 수업 및 제도에 대한 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 비교

        이영주,이규성,김영민 韓國英才學會 2018 영재교육연구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Advanced Placement Classes between gifted and science high schools. Participations of this study were 145 AP teachers and 2015 students, who are taking AP courses from 8 gifted high schools and 19 science high schools.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226 AP courses were provided in Gifted and Science schools in 2017 and 10,840 students took AP courses. Second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AP class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Gifted and Science high schools students. AP classes were more challenging, difficult, and high quality than Non AP classes. Finally, teachers and students of gifted high schools were found to have higher necessity of AP program compared to those of science high schools. However, participants perceived that AP program did not affect high school and university early graduation. Also,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에서는 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AP수업 개설현황을 분석하고, AP수업을 담당하는 교사 147명과 AP수업을 이수한 학생 2,015명을 대상으로 AP수업 및 AP제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17년 한해동안 영재학교와 과학고에서는 226개의 AP교과목이 개설되었으며, AP 수강인원은 10,84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교 학생들은 평균 4.76개, 과학고 학생들은 3.02개의 AP과목을 이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현장에서는 AP수업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교사의 성별, 최종학력, 영재교육경력, 담당과목, 교직경력에 따라서는 AP수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구분(영재학교와 과학고)과 자격구분(교사와 학생)에 대해서는 AP수업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P수업과 비AP수업과 비교해 볼 때 전체적으로 교사들이 학생들보다, 영재학교가 과학고등학교보다 수업의 차이를 더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P제도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영재학교에서 과학고등학교보다는 AP제도의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영재학교의 경우 학생보다는 교사가, 과학고등학교에서는 교사보다는 학생이 AP제도의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AP제도가 과학영재들에게 심화교육을 제공하며 특성화대학과의 교육연계에 상당히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AP수업 및 AP제도가 학교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요구되는 학교별 교육적 요구도와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교육개혁에 부응하는 과학영재 교육센타 육성 방안 연구

        허형,이군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7 정책연구 Vol.- No.-

        Paul Kennedy(1989)는 ‘강대국의 흥망(Rise and fall of great powers) ’ 에서 국가가 흥하고 망하는 기준을 영토, 인구, 생산력, 그리고 군사력이라고 보았다. 그래서 이 기준을 가지고 15세기부터 20세기에 이르기까지 강대국들의 흥망을 자세하게 분석하고 미국의 국가정책 수립에 중요한 제언을 하였다. 그러나 하버드 대학의 정치학 교수 Joseph Nye (1991) 는 ‘Bound to lead : The changing nature of American power` 에 서 21세 기의 국가 흥망의 기준은 Kennedy가 제시했던 것과 같은 hardware적인 힘이 아니라 정치제도의 형태, 첨단과학기술 수준, 그리고 교육의 질과 같은 software적인 힘이라고 하였다. 그는 이러한 software적인 힘의 수준에 따라서 강대국의 흥망성쇠가 결정되는 것이라고 하며, Paul Kennedy의 입장을 비판하였다.이러한 Joseph Nye 교수의 이론은 많은 발전론자들의 공감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우리 나라는 약 5천년의 역사에서 이제 문민정부의 탄생과 함께 자유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정치제도를 실현해 나가기 시작했고, 1993년 6월에 실시된 금융실명제를 통하여 투명한 자유시장 경제체재를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우리가 앞으로 더욱 발전시켜야 할 부분은 첨단 과학기술과 교육의 질을 향상하는 일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더군다나 21세기의 사회의 발전이 과학기술에 의해 주도된다는 점을 인식한다면 우리나라가 과학기술의 발전을 이룩하지 않고는 선진국 대열에 들어설 수 없음은 너무나도 자명한 사실이다.그러나 21세기를 눈앞에 둔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과학교육, 특히 과학영재교육은 선진 외국에 비하여 상당히 낙후되어 있으며, 이로인해 뛰어난 과학영재의 발굴과 양성에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고 하겠다.특히 한 나라의 과학기술의 수준이 뛰어난 과학영재들의 존재 여부에 달려 있으며, 이들을 제대로 발굴하여 양성해 내는 것이 국가와 인류를 위한 중요한 책무임을 인식한다면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과학영재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이러한 체계적인 과학영재 교육시스댐의 구축에 대한 요구는 다음의 4가지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첫째, 교육의 본질적인 측면에서의 요구이다.교육의 본질적 측면에서 참다운 교육이란 교육활동의 최종 수혜자인 학생 각자의 재능을 발굴하여 그것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특정분야에서 능력이 뒤처지는 학생은 보다 쉬운 수준의 교재와 자료를 투입하여 학생의 이해를 돕게 하고, 보다 능력이 뛰어난 학생은 고도의 수준 높은 창의적 사고활동을 할 수 있는 여러가지 자료와 활동을 제공하여 그 분야에서의 재능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교육활동이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다.그러나 현재의 교육제도는 학생 개개인의 다양성과 능력을 조장하는데 다소의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뛰어난 창의성과 탐구능력을 지닌 과학영재를 발굴 육성해 내는 데에는 어느 정도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그렇다고 해서 이 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전체적인 교육체계를 전면 수정하는 것은 막대한 비용과 사회적 혼란을 고려해 볼 때 불가능하리라 여겨진다.따라서 교육체계의 전면적인 수정과 혁신보다는 현재의 교육체계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렇게 구축된 시스템을 교육체계 개혁의 발판으로 삼는것이 보다 타당하리라 여겨진다. 이러한 변에서 볼 때 과학영재를 육성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교육의 본질적 측면을 조장하고 교육의 효파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 여져질 것이다.둘째, 국가발전의 필요의 측면에서의 요구이다.다가올 21세기의 미래사회가 정치적·경제적으로 급속히 개방화·세계화 되는 동시에 급격한 컴퓨터 기술의 발달은 사회의 정보화를 가속화 시킬 것이며 이는 국가간, 지역간, 그리고 기업간의 경쟁체제를 급진전시킬 것이다. 이처럼 격화되고 있는 국제경쟁사회에서 변화의 물결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세계변혁의 시대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한 국제사회에서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확보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특히 국제경쟁사회에서의 주도권 확보는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선진화를 요구하지만, 과학기술이 사회문화의 밑바탕이 된다는 점을 인식해보면 과학기술분야에서의-발전이 국가의 경제·사회 발전의 초석이 된다는 것은 너무도 명확하다.셋째, 과학기술 교육의 선진화에 대한 요구이다.현재 한국에서의 과학영재교육은 일반학교에서 과학 우수아들을 위한 특별프로그램과 과학고등학교에서의 과학영재교육, 그리고 과학교육원에서의 영재교육으로 크게 대별될 수 있다.특히 이 중에서도 과학고등학교는 우리나라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들어갈 수 있는 선진국 수준의 과학기술 발전을 위하여 13년 전에 설립한 과학영재를 위한 특별 교육기관으로서 과학영재교육의 대표주자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순수한 과학교육을 위하여 설립한 과학고등학교 마저도 오늘날 과학교육의 본질적 활동인 탐구활동보다는 명문대학 입학을 위한 입시준비에 급급한 상태에 있으며, 일반 초·중·고등학교에서의 특별 과학영재 교육프로그램도 거의 유명 무실화 되고있다.이와같은 과학영재의 발굴과 교육에 대한 국가적 현실을 감안할 때, 한국의 과학교육은 제자리를 잡을 수 없고 따라서 선진국 수준의 첨단과학기술의 발전은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다.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학부설 영재교육센타의 설립을 통해 대학과 과학고등학교, 일반 초·중·고등학교, 그리고 과학교육원의 유기적 연결고리를 형성하여 체계적인 과학영재교육 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넷째, 현실적인 연구의 필요측면에서의 요구이다.지난 1995년 5월 31 일에 발표된 교육개혁 조치에 의하여 권역별 과학영재교육센타의 설립 및 육성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새로운 과학영재 교육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는 계기가 형성되었다. 이로인해 권역별 특수과학고등학교의 발전과 함께 전국 각 권역에 과학영재교육센타를 설립함으로써 각 권역의 과학영재들에게 체계적이고도 진정한 의미의 과학영재교육을 실시할 수 있게 된 것이다.이상에서 살펴본 체계적인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요구는 과학교육의 수월성을 추구하는 통합적인 과학영재교육체제의 개발을 유도하고 있다고 하겠다.이 연구의 주목적은 전국 각 지역에 설립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대학부설 권역별 과학영재교육센터의 모형을 마련하는데 었다. 이 모형은 앞으로 우리나라 각 권역에서 과학영재교육센터를 설립하고 운영하며 감독하는 모든 지침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동시에 과학고등학교 및 과학교육원의 운영 개선 방안도 제시될 것이며, 앞으로 설립된 대학부설 권역별 과학영재교육센타와 과학고등학교 및 과학교육원의 유기적인 관계를 정립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의 공학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김영민,이영주 韓國英才學會 2017 영재교육연구 Vol.27 No.2

        이 연구는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이 갖고 있는 공학에 대한 인식과 교육요구도를 분석한 것으로 과학영재학생들을 위한 공학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과학고 및 영재학교의 교사 및 학교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06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의 공학교육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지만 공학 관련 지식부족을 공학교육의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교과 외 수업으로 공학교육 희망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의 공학교육 연수 및 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구체적인 연수 방안으로는 30시간의 공학 교수방법 및 교육사례 주제를 중심으로 공학 관련 연구소와 소속 연구원을 활용한 공학교육 연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은 공학 교수 역량에서 공학 분야 진로 지식과 공학 전공 분야에서 컴퓨터 공학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과학고 및 영재학교 재학생과 공학계열에 재학 중인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생들을 위한 공학교육 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과학고 및 영재학교의 공학교육 현황 및 실태 관련 조사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을 위한 공학교육 지원 방안 및 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과학영재학생들에게 중요한 공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공학 분야 진로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더불어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을 위한 공학교육 지원 및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engineering education in science and gifted high schools. For this, we surveyed 106 science and gifted high school teachers and administr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perceive that engineering education in science and gifted high school is necessary and important, but they do not have the resources, knowledge or time to implement engineering education. However, they want to teach engineering as an extra curriculum, especially research activity time. Second, most teachers believe that teacher training program focusing on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benefits of engineering education is necessary. Engineering teacher training program needs to become more context-based, to demonstrate engineering’s relevancy in the real world, such as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s or engineering company. Also, teachers prefer 30 hours of teacher training program. Third, the highest necessity in engineering teaching competency is the knowledge of engineering fields. And, the highest necessity in engineering major and field is computer engineering. Finally government support is vital to provide opportunities and support for in-service-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science and gifted high school teachers and administrators. Future research and recommendations of engineering education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s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과정선이수제(AP)에 대한 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 학생의 인식비교

        이영주,이규성,김영민 韓國英才學會 2017 영재교육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 학생 중 AP과목을 이수한 학생 980명을 대상으로 공동AP제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공동AP과목 이수현황, AP제도의 영향 및 활용방안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영재학교 학생들보다 공동AP제도에 대해 더 잘 알고 있었지만 AP제도의 필요성은 영재학교 학생들이 훨씬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과학고 학생들은 영재학교 학생들에 비해 AP제도가 대학입시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다는 인식이 높았다. 영재학교 학생들은 평균 4.17과목을 AP과목으로 이수하고 있었으며,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2.89과목을 이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AP과목 1과목 당 주당 3시간~6시간미만으로 공부를 하고 있었으며, AP과목의 이수에 큰 어려움은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P교과와 비 AP교과에 대한 인식에서는 영재학교 학생들은 과학고 학생들에 비해 공부시간이 많고, 과제의 수준, 시험의 수준, 퀴즈의 수준이 높으며, 분반을 크게 인식한 반면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영재학교 학생들에 비해 수업의 양이 많고, 교재의 수준이 높으며, 퀴즈의 빈도가 높고, 교사의 열정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AP제도가 과학기술특성화대학으로의 진학 및 전공 선택에서는 도움을 주었다고 인식하였으나, 고등학교 정규(3년)졸업에는 AP제도가 과학고 학생들에게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AP과목을 이수하고 대학에서 학점면제를 받게 되면 학생들은 모든 과목 혹은 일부 과목에서 면제를 받겠다는 응답이 86.0%로 높게 나타났으며, AP과목 이수를 통해 학점면제를 받게 되면 대학의 전공과목을 조기에 진입하거나 부전공 혹은 복수전공의 기회로 활용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 학생들 간의 AP제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AP제도가 학교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요구되는 학교별 교육적 요구도와 개선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 of Advanced Placement Program between gifted and science high schools. Participations of this study were 980 students who are taking AP courses from 6 gifted high schools and 15 science high schools.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AP program and the necessity of AP program between gifted and science high school student. Secondly, gifted and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re taking 4 AP subjects and 3 AP subjects respectively. Both group students perceived that AP subjects are more challenging, difficult, and of high quality than Non AP subjects. Also, they spend 3~6 hours per week for studying one AP subject. Third, Students perceived AP program effects on student choice of university(science and technology institute) and major decision. However, AP program does not affect high school early graduation for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Finally, students perceived the benefit of AP courses in earing college credit. Therefore, 44% of responses wished to receive an exemption for all AP courses. Also, they wished to take more advanced courses or have dual-major as a benefit of AP program.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과학고 R&E(Research & Education)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과 의미

        최호성(Ho Seong Choe),태진미(Jin Mi Ta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3

        과학 영재교육에서 학생들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탐구 활동은 매우 중요하다. 2003년 한국과학영재학교(KSA)의 독특한 사사교육 모형으로 도입된 R&E(Research & Education) 프로그램은 과학영재학교는 물론이고 전국의 과학고등학교에서도 핵심적인 영재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연구는 고교 시절의 자율탐구활동인 R&E 참여 경험이 대학 이상의 탐구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과학고에서 R&E를 경험하고 현재 대학생이 된 졸업생 39명을 대상으로 개인별 심층면담을 통해 참여 경험과 의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졸업생들은 과학고에서의 R&E 참여 경험이 실제로 과학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지적ㆍ정의적ㆍ기능적으로 상당한 도움을 주었다고 인식하였다. 다만 운영과정에서의 비효율성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나 영재학교와 비교하였을 때 사전 이해를 증진하는 안내 활동이나 예산 및 설비 등이 부족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전국 과학고들 간에 R&E 운영의 체계성이나 전문성, 지역대학과의 인적ㆍ물적 교류와 협력 등에서 상당한 편차가 있음이 드러났다. 이에 향후 지역의 우수 과학 인재를 발굴ㆍ육성하는 요람으로서의 과학고에서 R&E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지역간ㆍ학교간 특성을 반영한 중장기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It is very important that gifted students in science hav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self-directed and creative research activities in high school. R&E(Research and Education) program as a unique mentorship model of KSA(Korea Science Academy) from 2003 has been developed as one of the most powerful programs in science-gifted high school and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 as well. This study focused on how the R&E program as a self-directed research activity has impacted on the research process of the college students having the experiences with the R&E program during their high school life. For this study, th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39 college students and identified their experiences, benefits, and meanings in the higher level of research activities after high school. Participants recognize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experiences with R&E programs in their high schools in many ways such as cognitive, affective, and technical aspects of their own research at the college. However, some of the interviewee from the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 responded that R&E program had a little bit ineffective due to insufficient orientation of it and less budget-supports. This research, in addition, identified some deficiencies in operation systems and the professional managements of R&E program in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s, especially. Based on results of in-depth interview, this study recommends the mid and long term support plan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igh school and the local conditions are needed to develop R&E programs and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s on doing research in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s.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xpedite self-directed and creative research activities should be recognized as one of the core foundations of science and for nurturing future scientist.

      • KCI등재

        과학영재학교에서의 AP(Advanced Placement)의 경험과 의미 : 대학생이 된 영재학교 졸업생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기순,최호성 韓國英才學會 2014 영재교육연구 Vol.24 No.6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교에서 AP(Advanced Placement)를 경험하고 현재 대학생이 된 39명의 영재고 졸업생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영재학교에서 운영 중인 AP의 운영실제 및 그 의미를 탐색 하고 2015년부터 과학고로의 전면적 확대를 앞두고 있는 AP의 향후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현재 영재학교 학생들은 기초필수와 선택과목 등으로 평균 8과목 이상의 AP 과목을 수강하고 있었다. AP 교과목의 경우, 대개는 영재학교 2학년부터 수강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PT(placement test)를 통해 1학년 때부터 AP과목을 수강하는 경우도 있었다. AP로 제공되는 선택과목들은 전공별로 차이가 있어 수학 교과에서는 비교적 많은 전공 선택 과목이 제공되고 있으나 생물이나 전산 교과 등을 이수하려는 학생들에게는 상대적으로 선택의 폭이 적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에 의하면 영재학교에서의 AP는 오히려 대학에서의 수업보다 내용상 더 어려웠으며 소수인원으로 진행되는 만큼 활발한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함께 충실하게 운영되었다. 하지만 AP 과목의 이수 인정 학점인 C+의 타당성과 관련해서는 상이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AP로 단축된 시간을 다양 한 측면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AP가 0.5년에서 1.5년의 조기졸업을 위한 통로로도 활용되어지지만, 학생들은 AP로 단축된 시간을 복수전공, 부전공, 해외 교환학생 등과 같이 다양한 기회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남학생들의 경우 AP로 인해 단축된 시간이 있어 군복무 기간에 대해 다소 부담감을 덜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AP가 학생 개개인 관심사나 연구를 위한 시간적 여유를 제공해주기도 하였으며, 무엇보다 AP를 통해 고등학교에서 보다 진지하게 진로를 탐색하고 경험할 수 있는 유용한 시간이었다고 학생들은 지적한다.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에서 AP 과정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더욱 확대.발전하기 위해서 학교-대학 간의 보다 원활한 행정시스템 개선, AP 과목 인정 대학의 확대 등을 포함한 몇 가지 현실적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meaning of the AP (Advanced Placement) at the specialized school for the highly gif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39 college students who had graduated from the specialized schools with the AP experiences. It is expected that the AP will be expanded to the students at the Science High Schools from the year of 2015,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to examine the realities of the AP in-depth especially through the voices of the AP participants. Students have taken 8 required and/or selective courses as AP in average. Students usually start to take AP from the second year of the specialized school for the highly gifted, but some start from the first year through the placement test. Numbers of available AP courses vary by subjects, but relatively more courses open in the areas of math and physics. Students' opinions regarding the AP were quite positive. Specifically, the high quality of the AP class and energetic interaction between student and teacher compared to the college classes were preferred by the students. However, it was controversial whether C+ is enough for the pass condition of the AP. Students were using the shortened time by AP in diverse ways, such as early graduation, double majors, exchange students, individual researches, and so on. Most of all, they tried to search for their career interests through the AP experiences. In closing, the present study provides some advices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 better AP management, including the improvement of administrative system between schools for the gifted and the universities, and the expansion of the number of university which approves the AP system.

      • KCI등재후보

        영재학교 및 과학고와 대학과의 연계 현황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분석

        이신동(Shin-dong Lee),이정규(Jeong-kyu Lee),최병연(Byung-yeon Choi) 한국영재교육학회 2011 영재와 영재교육 Vol.10 No.1

        고등학교급 영재교육기관인 4개의 영재학교와 20개의 과학고등학교의 졸업생이 대학에 진학하게 되면 이공계 영재학생들을 일반학생과 동일 집단으로 구성하고 동일한 교육과정으로 가르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교육과정 운영은 학생 본인은 물론 국가적으로도 막대한 손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영재학교 및 과학고 출신 학생으로 종합대학교, KAIST, 포항공대에 재학 중인 대학생 353명을 대상으로 영재학교 및 과학고와 대학과의 연계 현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 내용은 연계 프로그램의 참여 여부, 고등학교 재학 중에 이수한 전문교과의 도움 여부, 조기졸업에 따른 고교 교육과정의 파행 운영, AP, UP, URP, R&E, HP 등과 같은 연계 프로그램의 유용성 등 이었다. 대학생들의 인식 분석을 바탕으로 정부차원의 정책적, 행·재정적 지원체계 강화, 영재학교 및 과학고와 대학간의 인적·물적 교류 강화, 영재교육 연계 프로그램의 충실한 상호운영과 인증제도 도입 등을 중심으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nnection between gifted science academy/science high school and university. We surveyed 353 subjects university students who graduated from gifted science academy/science high school. They answered the questions about the various educational connection programs such as AP, UP, URP, R&E, HP.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following main methods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connection between gifted science academy/science high school and university. First, political and economical supporting systems need to be established at governmental level. For example, government guarantees the credits between gifted science academy/science high school and university, such as AP, HP, and R&E. Second, government encourage gifted science academy/science high school and university to exchange the curriculum, teaching methods, and various resources. Third, university entrance system should revise for the students of gifted science academy/science high school. As students prefer the early graduation from high school, there are lots of problems in managing the curriculum

      • KCI등재

        융합형 영재교육기관 설립에 관한 연구

        이재호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5 No.3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시대는 지식기반사회를 지나 창조사회로 진입하고 있으며, 창조사회에서 중요시 되는 키워드들은 지식, 창의성, 융합 등일 것이다. 21세기 창조사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창의적인 융합형 인재를 양성해야 하는 당위성을 찾을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시대적 배경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는 2010년 6월 과학과 예술의 통합 교육 실시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초․중등 예술교육활성화 기본방안 을 발표하였으며, 2011년 1월에는 초․중등 STEAM 교육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 제2차 과학기술인력육성지원 기본계획(안) 을 발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창의적인 융합형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영재교육기관 설립 시에 적용 가능한 전략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융합형 영재교육의 필요성과 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적용하여 융합형 영재교육기관 설립을 위한 전략을 개발하였다. In these days it can be said that knowledge based society has been passed through and creative society is approaching, and the important keywords to the coming creative society should be the knowledge, the creativity, and the convergence. In order to make preemptive responses to this 21 century’s new creative society, cultivation of gifted students with integrated prototype is also an imperative reason to prepare. With this historical background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nounced “a general plan on invigor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 art education for cultivation of creativeness and humanity” containing the acting curriculums of science and art integrated on June 2010, and also announced “the second general plan for support on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professionals” including STEAM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 at January 2011.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strategy appliable to establish an education institution for gifted students specialized on promoting the students to the convergence type gifted students. For the purpose, we derived the necessity for converg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he implication points through analysis on the examples, and developed a strategy to establish an education institution for gifted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