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판 단축형 신체감각 해석 질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

        김수진,조용래,최영희 한국임상심리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8 No.2

        공황발작의 핵심기제로 간주되는 ‘신체감각에 대한 파국적 오해석’ 경향을 직접 측정하기 위해 Clark 등(1997)이 개발한 신체감각 해석 질문지(Body Sensation Interpretation Questionnaire)의 단축형 검사를 우리나라 말로 번안하여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한 세 가지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1에는 공황장애로 진단받은 환자 137명이 참가하였다. 그 결과, 한국판 단축형 신체감각 해석 질문지(Korean version of the Brief Body Sensation Interpretation Questionnaire, K-BBSIQ)의 공황관련 신체감각 척도들의 내적 일치도, 수렴 타당도, 변별타당도, 공존 타당도 및 증분 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 2는 연구 1의 대상 중 12주간 집단 인지행동치료에 끝까지 참여한 환자 85명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K-BBSIQ의 공황관련 신체감각 하위척도들은 집단 인지행동치료 후 치료적 변화를 매우 민감하게 탐지하는 척도로 밝혀졌다. 연구 3에는 공황장애 환자 집단 22명, 비임상적 공황 집단 9명 및 비공황 통제 집단 21명이 참가하였다. 이 참가자들을 공황발작 경험자와 공황발작 비경험자로 구분한 후 비교해 본 결과, 공황발작 경험자가 공황발작 비경험자에 비해 공황관련 신체감각에 대한 오해석 경향이 더 높고, 공황장애 환자 집단이 비임상적 공황 집단에 비해 공황관련 신체감각에 대한 오해석 경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BBSIQ의 공황관련 신체감각 하위척도들이 공황경험자와 비경험자들간의 신체감각에 대한 오해석 경향을 변별하는데 유용한 검사임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K-BBSIQ는 ‘신체감각에 대한 파국적 오해석’ 경향을 매우 신뢰롭고 타당하게 평가하는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 공황장애 환자의 삶의 질

        김세주,김영신,유상우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3

        연구목적 : 공황장애는 많은 환자들에게서 잘 회복되지 않는 만성적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공황장애가 환자들의 삶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매우 클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공황장애 환자에서 공황발작의 심각도와 빈도, 유병기간, 광장공포증의 정도, 동반된 우울증상의 정도 등, 여러요인들의 삶의 질과 어떤 관련이 있는 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건강 영역, 심리적 영역, 사회적관계 영역, 환경 영역 등을 평가하는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여, 공황장애 환자의 삶의질을 정상인의 삶의 질과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공황장애 환자의 여러 임상적 특성들과 삶의 질 사이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64명의 공황장애 환자들과 27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를 사용하여, 각 영역과 총점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공황장애 환자군에서 나이, 교육수준, 공황발작 시 증상의 개수, 공황발작의 빈도, 광장공포증의 정도, 우울증상의 정도와 삶의 질과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요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결 과 ; 본 연구에서 공황장애 환자군의 삶의 질은 정상군에 비해 환경 영역을 제외한 전반적인 삶의 질 및 일반적 건강 항목, 신체적 건강 영역, 심리적 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 모두에서 낮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광장공포증의 정도, 우울증상의 정도, 공황발작 시 나타나는 증상의 개수, 공황발작의 빈도 등이 전체적인 삶의 질을 비롯한 대부분의 하위 영역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 결과 우울증상의 정도, 공황발작 시 증상의 개수, 동반자가 있을 때 광장공포증의 정도 등의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추출되었다. 결 론 ; 공황장애 환자의 삶의 질은 정상인에 비해 저하되어 있으며, 이에는 우울증상, 공황발작 시 증상의 개수, 동반자가 있을 때 광장공포증의 정도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Panic Disorder is a chronic condition that may carr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in panic patients and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has not been investigated.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quality of life in panic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by using WHO Quality of Life(QOL) Scale that evaluates the domains of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health, social relationship and environment. Additionally,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factors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s and their quality of life were explored. Method : 64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and 27 healthy control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and WHO QOL Scales were completed. Total scores and scores of domains of WHO QOL Scale in two groups were compare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Results : Total scores and scores of all domains except environmental domain of WHO QOL scale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ose in healthy controls.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severity of agoraphobia and depression, number of symptoms during panic attacks and the frequency of panic attack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in general and most of subscales of QOL.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the severity of depression, the number of symptoms during panic attacks and the severity of agoraphobia in the presence of accompanied persons were factors directly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Conclusion :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as poorer than that of healthy controls. The severity of depression, the number of symptoms during panic attacks and the severity of agoraphobia in the presence of accompany were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in the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 KCI등재

        세계적 공황과 사회제도적 기반

        황호선 한국세계지역학회 2010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8 No.1

        재작년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문제로 촉발된 세계적 공황으로 자본주의 세계경제 전체의 위기가 진행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경제적 상황에서 마르크스 공황이론을 재검토하고, 전통적인 공황이론에서 부족한 제도적 분석을 보완하여 현재 진행 중인 세계적 공황의 전개와 의미에 대해 마르크스 공황이론의 관점에서 평가를 시도하려 한다. 특히 마르크스 공황이론의 기본적 특징, 즉 자본주의 경제 내의 이윤율 하락이, 그것이 초래하는 기대이윤 하락과 투자 부진을 통하여 자연적으로 경제적 공황으로 연결되어진다는 인과관계에 대한 기계적 추론을 비판하고, 자본주의 경제에서 경기를 추동하는 투자를 결정하는 데는 투자에 대한 안정적 장기기대수익의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제도적 기반이 중요하다는 것을 주목한다. 공황이론의 보다 더 정치한 발전을 위해서는 단기 순환적 공황과 장기 추세적 공황에 대한 구분이 필수적이다. 자본주의 경제에서 장기경기변동은 특정시기의 사회적 자본축적구조와 연관되어 있다. 장기경기상승은 투자에 우호적인 견고한 제도적 틀과 함께 안정적 장기기대수익의 예측으로 지속적으로 높은 자본축적으로 형성되어지며, 반면 장기경기하강은 사회의 제도적 기반의 와해로 인해 지속적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그러나 자본주의 경제의 단기경기순환은 실업률과 설비가동률 변동 등의 의한 이윤율의 변화에 기인하다. 단기순환적 공황에서는 공황을 거치는 과정에서 실업증가에 따른 실질임금의 하락, 한계기업 퇴출로 인한 설비가동률 상승 등으로 경제 내에 자생적으로 이윤율 회복의 기반이 형성되어진다. 그러나 장기추세적 경기상승 상태 내에서의 주기적 공황은 확립된 제도적 기반 하에서 투자에 대한 장기적으로 안정적 수익에 대한 전망을 바탕으로 단기경기가 저점을 통과하면서 신용공황이 해제됨에 따라 투자가 활발하게 재개되어져 자본주의 경제가 자생적으로 경기회복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사회의 제도적 기반이 와해된 상태 (즉 장기경기하강 단계) 에서의 주기적 공황에서는 장기수익에 대한 부정적 전망으로 설혹 단기경기가 저점을 지나 신용제약이 해제된다 하더라도 투자의 부진은 지속된다. 장기공황과 단기적 공황이 겹친 중층적 공황 상태에서 단기적 경기상승은 경제의 외생적 충격 즉 투자수익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나 외재적 환경변화에 의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 의해 일시적으로 단기적 경기상승이 발생할 수 있으나, 추세적 경기상승을 (즉 구조적 공황으로부터의 탈피를)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축적구조의 근원적인 변화를 토대로 투자에 대한 안정적 수익 전망의 기반이 형성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세계적 자본주의 경제의 공황은 장기공황과 단기적 공황이 겹친 중층적 공황 상태로 파악하고, 단기적 경기상승이 내생적으로 어려운 상태에서 가능한 모든 정책적 수단을 동원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행하여지고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추세적 경기상승을 결합한 주기적 경기상승을 위해서는 사회적 제도적 기반의 근원적인 변화를 토대로 투자에 대한 안정적 수익 전망의 기반이 형성되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e capitalist world economy has been in crisis since the global depression initiated by the sub-prime mortgage problem of the United States in 2008.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and the meaning of the current global depression based on the insights of Marxian crisis theory. The first section offers a critique of traditional Marxian crisis theory, especially its mechanical reasoning concerning the causal relationship of a decline in the rate of profit necessarily leading the capitalist economy to a depression because that declining profit rate pushes down expected profit and, as a result, slows down investment. This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ocial institutional structures that enable capitalists to anticipate stable long-term returns to their investments. In addition, this paper points out that it is essential to analyze short-run cyclical downturns and long-run secular depression in a different way. A long-run secular depression of the capitalist economy is related closely to its specific social structures of accumulation. A long-wave upturn is associated with a high rate of accumulation due to anticipation of stable long-term expected profit based on solid institutional structures, while a long-wave downturn is driven by slackening accumulation with pessimistic prospects of expected profit along with the malfunctioning of weakening social institutional structures. By contrast, cyclical fluctuations of the capitalist economy are not generated by a change in persistent accumulation on the basis of social institutional structures. Rather, they are affected mainly by a change in the rate of profit. In a cyclical economic downturn, the foundation for a restoration of the profit rate is created in the capitalist economy normally by such processes as a decline in real wages owing to an increase in the rate of unemployment, a rise in the capacity utilization rate enabled by the dropping out of unprofitable marginal firms, and so on, as the economy goes through a depression. When the economy is in a longer-run secular upturn, a short-run cyclical downturn goes into a cyclical recovery as investment bounces back vigorously when the economy comes out of the credit crunch as it goes through the lowest point of the trough of the cycle. On the contrary, when the economy is in a longer-run secular downturn with a malfunctioning of social structures of accumulation, a cyclical downturn is associated with a persistent slow-down of investment due to pessimistic anticipation of long-term profit even if the credit crunch eases as the economy goes through the lowest point of the cyclical fluctuation. Specifically, when the economy is in a cyclical downturn, combined with secular trends of a long-wave downturn, economic recovery is made possible only by external shocks such as government policies to elevate the rate of returns to investment or changes in external environments. Even if such an external shock may generate a temporary economic recovery, a long-term economic upturn is only made possible by the positive prospect of stable profitable returns on investment generated by a fundamental reestablishment of social structures of accumulation. Based on this theoretical framework, this paper argues that the capitalist economy has been in a depression in both short-run cyclical and longer-run secular senses. In the face of this combined depression, governments of all affected countries are making every effort to overcome this depression using all possible policy instruments when their economies cannot rebound on their own. This paper emphasizes that it is essential for us to build up the prospect for stable long-term profit based on a fundamental reform of the current social structures of accumulation and their solid reestablishment in order to get an economic recovery in both the short-run cyclical and long-run secular senses.

      • KCI등재

        공황 장애 환자의 공황 발작 증상의 특성

        임기영,김창기,노재성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4

        공황 장애가 새로운 질병으로 분류된지 16년이 경과하였으나 공황 발작과 공황장애의 본질과 특성에 관해서는 아직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현재의 DSM-IV 진단 기준 역시 공황 발작과 공황 장애의 정의 및 진단에 대해 상호 모순되는 기술을 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고 공황 발작의 각 증상에 대해서도 나열에 그치고 있을 뿐 어떤 것이 더 중요하고, 어떤 것이 최초 증상인지 등을 밝혀 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공황 장애 환자들의 공황 발작 증상의 특성을 보다 자세히 알아보기 위하여 아주대학교 병원 정신과 외래 및 응급실로 내원한 40명의 공황 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공황 발작 설문지, 불안 민감도 검사, 상태-특성 불안 검사, Beck의 불안 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공황 장애 환자들이 공황 발작시 최초로 경험하는 증상들은 대부분 신체 증상(90%)이었으며, 공황 발작의 인지 증상과 신체 증상은 높은 상관관계(0.741, P<0.01)가 있었다. 2) 인지 증상(0.695, P<0.01)과 신체증상(0.599, P<0.01) 모두는 임소공포증적 회피의 정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신체 증상을 통제 변인으로 하여 인지 증상과 임소공포증적 회피와의 부분상관을 구한 결과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나(0.467, P=0.003), 반대로 인지 증상을 통제변인으로 하여 신체 증상과 임소공포증적 회피의 부분 상관을 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0.173, P=0.291). 3) 인지 증상은 ASI상의 불안 민감도 (0.563, P<0.01), STAI상 상태(0.324, P<0.05) 및 특성 불안(0.484, P<0.01), BAI상의 불안(0.456, P<0.01)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신체 증상은 ASI 상의 불안 민감도(0.528, P<0.01), STAI 중 특성불안(0.411, P<0.01), 그리고 BAI 상의 불안(0.348, P<0.05)과는 정적상관을 나타내었으나, STAI 중 상태 불안(0.171)과는 의미 있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4) 인지 증상과 신체 증상과 신체 증상 각각에 대해 상대 증상을 통제 변인으로 하여 부분 상관을 구해 본 결과, 신체증상은 각종 불안 검사상의 불안 및 민감도와 통제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지만 인지 증상은 의미 있는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공황 발작이 본질적으로 신체증상이 선행되고, 인지 증상이 부수되는 복합현상이며, 인지증상의 정도에 따라 심리적 불안의 정도와 불안 민간도가 높아져서 공황 증세로 진행되고, 역시 인지 증상의 정도에 따라 임소공포증적 회피가 결정됨을 시사한다. 따라서 공황 발작의 13가지 진단 기준 항목은11가지 신체 증상만으로 줄이고, 2가지 인지 증상(죽을 것 같은 공포 및 미치거나 자제력을 잃게 될 것 같은 공포)은 공황 장애의 진단 기준에 포함시키며 이때 공황이 일어난 상황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생각을 공황 장애의 인지 증상에 추가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진단 기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It has been 16 years since panic disorder was first classified as a psychiatric disease entity. However,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panic attacks and panic disorder are not fully understood yet.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Fourth Edition(DSM-IV) carries conflicting statements regarding the definitions and diagnostic criteria of the panic attacks and panic disorder. Moreover, the DSM-IV only checks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symptom, while failing to clarify which of each panic symptom are the earlier or more important symptom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nic attack symptoms. Forty outpatients diagnosed with DSM-IV panic disorder criteria were the subjects. All the subjects completed Panic Attack Questionnaire, Anxiety Sensitivity Index,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nd Becks Anxiety Inventory. Results were as follows : 1) Majority(90%) of the subjects experienced somatic symptoms as the first symptom of their panic attack,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0.741, P<0.01) between the somatic symptoms and the cognitive symptoms of panic attack. 2) Both cognitive symptoms(0.695, P<0.01) and somatic symptoms(0.599, P<0.01)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oraphobic avoidance. However, in partial correlation using somatic and cognitive symptoms as control variables for each other, only cognitive symptom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oraphobic avoidance(0.467, P=0.003). 3) Cognitive symptom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nxiety sensitivity(0.563, P<0.001), state anxiety(0.324, P<0.05), trait anxiety(0.484, P<0.01), and Becks anxiety(0.456, P<0.01). Somatic symptoms also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nxiety sensitivity(0.528, P<0.01), trait anxiety(0.411, P<0.01), Becks anxiety(0.348, P<0.05), but not with the state anxiety(0.171). 4) In partial correlation using somatic and cognitive symptoms as control variables for each other, cognitive symptom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xiety sensitivity and anxiety levels, while the somatic symptoms did not show such correl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nic attack is a complex phenomenon in which the somatic symptoms are "triggers", and the cognitive symptoms are secondary reactions to the somatic symptoms. Psychological anxiety and anxiety sensitivity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cognitive symptoms of the panic attack, which are important in the clinical process of panic disorder. The severity of cognitive symptoms also determines the development of agoraphobic avoidance. The authors propose to revise the diagnostic criteria of panic attack by the somatic symptoms only, and include cognitive symptoms, such as the desire to escape from the scene of panic attack, as necessary diagnostic criteria for panic disorder.

      • KCI등재

        마르크스 현실공황분석의 이론적 함의

        정윤광(Yungwang Jung) 한국사회경제학회 2014 사회경제평론 Vol.- No.44

        이 논문의 목적은 1847~48년, 1857∼58년, 1866∼68년과 1873∼79년 마르크스 현실공황분석을 개괄하고, 마르크스의 현실공황분석에서 주요한 몇 가지 개념을 검토, 그것들이 공황이론에서 갖고 있는 이론적 함의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 즉 이 논문에서는, 공황은 세계시장공황으로 전개된다는 것, 공황주기가 10년이고 가변적이며 짧아지는 경향을 갖는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는 마르크스의 사유과정, 공황이 혁명을 동반한다는 인식에서 공황이 자본주의의 주기적 발전과 모순의 확대재생산 과정이라는 인식으로 정리되는 경과를 검토할 것이다, 아울러 현실공황분석에서 화폐, 신용적 측면과 그 이론적 발전의 계기들, 공황의 원인에서 과잉생산과 이윤율저하 문제에 대한 마르크스의 인식을 검토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and compare Marx's analysis of actual crises of the years, such as the crisis of 1847~48, 1857~58, 1866~68, and 187 3~79. This paper tries to seek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e Marx's analysis of the periodic crises. It reviews several points of the crises such as the world-market crisis, the cycle of the crisis, the developing forms of the crises, why and how did change Marx's thought that revolution accompany with crisis, the monetary and credit faces of the crises, and the problem between the overproduction and the fall of the prophet rate as the causes of the crisis.

      • KCI등재

        20세기 이후의 세계대공황에 관한 고찰

        유기준 ( Ki Joon Yoo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2

        이 글의 목적은 20세기 이후에 발생한 세계대공황의 배경과 원인, 그리고 이를 돌파하기 위한 조치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세계대공황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모두 특정 시기의 것을 검토하는 데 한정되어 있었다. 그리하여 세 차례의 세계대공황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논리를 발견하려는 데까지는 진전하지 못했다. 즉 1930년대의 대공황, 1970년대의 스태그플레이션, 2000년대 말의 대공황, 이들 모두에 공통적으로 작용한 원리를 찾고 이해하는 데에는 소홀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해 본 연구는 자본주의 경제에 관한 폴라니의 견해가 세계대공황 각각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해 보고자 했다. 공황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류경제학의 경기변동론과 마르크스의 공황론에 입각해 왔는데, 여기서는 이들 학설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폴라니의 자본주의 경제에 관한 견해가 1930년대의 대공황은 물론, 그 후 두 차례의 세계대공황을 이해하는 데에도 유효한지 판단해 보려고 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해 본 연구는 자본주의 경제에 관한 폴라니의 견해가 세계대공황 각각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해 보고자 했다. 공황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류경제학의 경기변동론과 마르크스의 공황론에 입각해 왔는데, 여기서는 이들 학설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폴라니의 자본주의 경제에 관한 견해가 1930년대의 대공황은 물론, 그 후 두 차례의 세계대공황을 이해하는 데에도 유효한지 판단해 보려고 하였다. 논의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황은 기본적으로 자본 과잉에 의한 것이라는 마르크스의 견해는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단순히 상품의 과잉 생산이나 과소 소비가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자본이 과잉된 결과 그 처리가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다. 노동집약 산업으로부터 자본집약 산업으로의 전환에 따른 고용 능력과 소비 지출의 상대적 정체, 신기술의 개발 및 확산이 뒤따르지 못해 나타나는 기업투자의 부족, 이에 따라 과잉된 유휴 화폐자본이 돌파구를 찾기 어려운 데서 공황이 발생한다. 둘째, 빈부 격차의 확대는 공황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불황의 골을 깊고 길게 하는 요인이 된다. 노동자 소득은 소비지출을 통해 직접 구매력으로 연결되지만, 기업의 이윤과 이자소득은 저축으로 흘러 자본형성의 경로를 통해야만 경제성장에 우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노동을 시장의 수급 상황에 맡겨 버리면 생산성이 상승하는 국면에서도 그 이득이 고소득층에게 집중되고 다수 노동자의 임금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무르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방치하면 공황이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침체 국면이 연장될 수 있다. 셋째, 공황은 단순한 경기 후퇴가 아니라 신용 경색과 같은 금융 혼란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1870 년대 ‘대불황’을 포함해 1930년대 및 2000년대 말의 세계대공황이 모두 공통적으로 금융 위기로부터 비롯했다는 점이 그러하고, 특히 1970년대 이후 자본의 국제적 이동에 대한 통제 약화를 넘어 자본거래의 자유화가 무절제하게 이루어지면서 이것이 2000년대 말 금융위기의 구조적 원인이 되었던 점도 이 사실을 증명해 주고 있다. 넷째, 1930년대 세계대공황은 농업의 취약성 내지 곡물 수요의 비탄력성도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했으며, 1970년대 세계대공황은 석유위기와 밀접히 관련된 것이었다. 농산물과 석유는 모두 자연으로부터 채취되는 토지 생산물이며, 특히 석유는 대체물이 없는 중요한 생산요소로서 공급이 한정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들 자원을 무분별하게 시장에 편입시키거나 국제정치적 파워에 입각해서 수급을 조정, 통제하려고 하는 것도 문제를 더욱 확대시킬 수 있다. 다섯째, 2000년대 말 세계대공황의 주된 원인은 IT관련 산업의 거품 붕괴 후 기업이 적절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가계의 소비지출도 경제성장의 주된 동력으로서의 위치를 잃은 가운데, 자본 이동의 자유화에 기초해서 기축통화국인 미국으로 화폐자본이 집중 유입되고 이 대규모의 유휴 화폐자본과 주택 투기의 비정상적인 결탁에 있었다. 이처럼 자본의 국제적 이동 자유화로 인해 각국이 재량권을 가지고 정책을 수행할 수 없게 되면, 한 나라의 경제위기는 지구적 차원의 공황으로 확대될 수 있다. 노동생산물과 달리 노동·토지·화폐는 판매를 위해 생산된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무분별하게 시장법칙에 편입시키려 하면 자본주의 경제가 혼란에 빠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폴라니의 지적은 여전히 유효하며, 공황이 이들 요소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임을 명시적으로 지적했다는 점에서 마르크스보다 더 종합적인 견해를 제시했다고 판단된다. 자본주의 경제가 시장 거래를 모토로 하지만, 공황에 빠지지 않고 사회가 파국에 이르지 않기 위해서는 이들 요소에 대해 적절한 보호 조치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을 통해 필자가 주장하고자 하는 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경제에 대한 국가의 정당한 개입은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노동자의 구매력이 일정 정도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농산 물과 석유와 같은 토지생산물은 노동생산물과는 성격이 크게 다르므로 시장메커니즘에 크게 의존케 해서는 안 된다. 넷째, 금융자본의 국제적 이동은 엄정한 관리 통제 하에 허용되어야 한다. 다섯째, 원활한 국제경제 질서의 유지에 앞서 각국의 독자적인 경제정책이 보장되어야 한다. I`d like to inquire into the causes of the global depressions and the responses to them since the 20th century. Not a few the past researches about economic crises were restricted to the specific times case by case. Therefore they were unable to suggest a proper logic to be commonly applied to several global panics; the 1930s, the 1979s and the late 2000s. Based on this critical mind, this paper investigated how K. Polanyi`s opinion about capitalism can be applied to every global panics. Many existing articles about economic crises were based on the Business Cycle Theory and the Marx`s Panic Theory. Accepting these two theories critically, I made an attempt how K. Polanyi`s view about capitalism is available and holds good for us to understand not only the 1930s`` depression but 1970s`` and the late 2000s`` economic crises. Contrary to a lot of goods produced by labors, these three commodities - labor, land and money - are not produced for the purpose of sales. Nevertheless, if these elements are incorporated into the market mechanism by force, the capitalist system cannot help falling into confusion. The conclusions from my investigation about three global economic crises are as follows. Firstly, I accept the Marx`` opinion that economic panics basically occur from the excessive capital of various forms. As labor intensive industries transfer capital intensive ones, employment and consumption stagnate relatively and are not able to accompany with the transformation. The excessive capital rises from the firms`` insufficient investment. Secondly, the widening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do bring economic crisis and deepen the trough of it. The wage of labors improves economic growth through consumption directly, but the profits and interest earnings of firms can contribute to it just indirectly through savings-capital formation path. Thirdly, a economic crisis is closely related with the financial confusion like monetary stringency rather than a recession of business cycle. All of three global depressions as above were based on financial crises in common. Especially the depression of the late 2000s originated in the global and liberal transfer of money capital since 1970s. Fourthly, an important cause of Great Depression of 1930s was the weakness of agriculture or the inelastic demand to grain, and the stagflation in 1970s was closely related to oil crisis. Agricultural products and oil are products from land in common. These two elements must not be transacted in market system indiscreetly. Otherwise economic depression could be broad and deep more and more. Fifthly, as we can find out from the depression in the late 2000s, household expenditure and firm investment lost their intrinsic powers of economic growth. Because of the liberalization of global transfer in money capital a tremendous scale of floating money moved into the USA, a key currency nation. The great excessive money conspired with housing speculation abnormally. If all nations are unable to secure individual discretions related to economic policy as in the case of international transactions in money capital, a financial or economic crisis could rise and broaden all over the world. The Polanyi`s view that the economic crises of capitalist system are closely connected to three elements - land, labor, and money - holds good as ever and is more comprehensive than the Business Cycle and the Marx`s Panic Theory. Capitalist economy is based on the rule of market. But several proper protective measures for three elements are absolutely necessary against economic panics and for evading social catastrophe.

      • KCI등재

        이윤율저하 법칙의 내부 모순과 공황

        조복현(Cho Bok hyun) 한국사회경제학회 2017 사회경제평론 Vol.30 No.1

        Kim Soohaeng had developed the theory of crisis in capitalist economy basing on the law of ‘the tendency of the rate of profit to fall’(TRPF) elaborated by Marx. Kim argued that the crisis occurs in the moments or situations that is formed from the development of contradiction inherent in the law of TRPF, not from the actual fall of the rate of profit. He also divided the crisis period of business cycle into crisis and crash, emphasizing whether the government can or can’t control the development of crash(the phase of the default of firms and the rising of unemployment) from crisis(the phase of the distortion of the financial markets). He also coined the term ‘the great crisis of world’ which describe the period which the change of the structure of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the relationship of classes, and the relationship of states are needed. 김수행 교수의 공황이론은 이윤율 저하 법칙의 내적 모순과 이 모순적 경향에서 나타나는 여러 계기나 상황들에 의해 공황이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공황은 국가의 경제개입에 따라 곧바로 회복으로 가는 위기국면에 그칠 수도 있고, 기업과 금융기관의 대규모 도산과 대량실업을 초래하는 공황국면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또한 세계화의 진전으로 국내 공황이 세계시장으로 확대되는 세계대공황을 낳을 수도 있다. 김수행 교수의 공황이론과 현실 공황의 분석은 위기와 공황의 구분, 이윤율 저하의 경향 법칙의 해석과 공황 발생 계기, 세계대공황과 구조위기 등과 관련된 논의들을 불러일으켰다. 일부에 대해서는 김수행 교수의 반론이 충분히 이루어지기도 했지만, 일부는 논의들이 더 구체화되어야 하고, 또 김수행 교수의 공황이론과 현실 공황 분석도 더 논리적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발전해야 할 과제를 가지고 있다.

      • KCI등재

        ‘세계대공황’과 마르크스주의 위기론

        김성구(Seong-Gu Kim)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11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8 No.3

        저자는 『세계대공황』에서 이번 금융위기를 ‘세계대공황’으로 규정하고, 신자유주의 금융위기의 전개와 구조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한 뛰어난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을 제공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 저자는 자본주의의 주기적 공황과 구조위기를 차별하지 못하고 자본주의 공황의 원리론과 현대자본주의론을 매개하지 못함으로써 2007-2009년 위기의 중층적 성격을 파악하는 데 한계를 드러낸다. 이른바 세계대공황이 주기적 공황인지 아니면 구조위기인지, 또 세계대공황의 원인이 무엇인지 이론적으로 일관되게 설명하지 못하는 것은 이런 한계 때문이다. Soo-Haeng Kim’s new book World’s Great Crash (2011) offers an outstanding Marxist explanation of the 2007/2009 financial crisis, especially of the devastating effect of financial innovation and derivatives in housing finance. However, it also shows some theoretical weakness in understanding the twofold character of this crisis as both cyclical and structural crisis, and basing the analysis of today’s crises on Marx’s crisis theory as well as the theory of contemporary capitalism. It is due to this weakness that the author cannot be theoretically consistent in explaining the so-called world’s great crashes and the causes of them.

      • 공황장애 환자의 정서상태와 성격특성

        이경규,최은영,Lee, Kyung-Kyu,Choi, Eun-You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4 정신신체의학 Vol.12 No.1

        연구목적: 공황장애 환자들은 공황발작 중에 나타나는 극단적 불안을 즉각 해소하기 위하여 공격적 행동의 문제, 공존하는 성격장애로 인한 대인관계에서의 문제, 우울증과 관련된 자살시도 및 물질남용과 관련된 물질추구행동으로 인한 문제 등 매우 많은 문제점이 나타난다. 이러한 공황장애 환자들이 보이는 행동이나 심리적 문제의 기저에 있는 성격특성을 이해하지 못하면 치료진과 환자간의 관계형성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여 많은 갈등을 야기할 수 있고 치료 중단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황장애 환자의 불안과 우울의 정도 및 성격특성을 잘 이해함으로써 좀더 나은 치료적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신체형장애 환자 및 정상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하여 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단국대학교 부속병원 정신과 외래를 방문한 공황장애 환자 20명과 신체형장애 환자 21명 그리고 정상대조군으로 단국대학교 부속병원에 근무하는 직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Beck의 우울검사(BDI), Spielberg의 상태-특성불안 검사(STAI) 및 Cattell의 16 성격요인검사(16PF)를 이용한 양군간의 불안, 우울 및 성격특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1) BDI 점수에서 공황장애 환자군이 신체형장애 환자군과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01). 2) 상태-특성불안 검사 모두에서 공황장애 환자군이 신체형장애 환자군과 정상대조군 유의하게 불안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3) 16PF 요인 중에서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은 점수를 보이는 요인은 없었다. 그러나 일차요인 중 O요인(p<0.01)과 Q4요인(p<0.001)에서 공황장애 환자군이 신체형장애 환자군과 정상대조군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16PF 이차요인 중 TOU요인(p<0.05) 낮게 나왔으며, ANX요인에서는 높게 나타났다(p<0.05). 4) 환자군내에서 성별에 따라 그리고 BDI 점수 18점, STAI-T 점수 54점을 기준으로 하여 나눈 두 군간에서의 16PF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환자군내에서 STAI-S 점수 52점을 기준으로 하여 나눈 양군간의 비교에서는 16PF의 일차요인에서는 G요인(p<0.001) 및 Q3요인(p<0.05) 그리고 이차요인 중 SUP요인(p<0.001)에서 52점 이상군이 52점 미만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차요인 중 L요인(p<0.05)에서는 52점 이상군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결 론: 공황장애 환자들은 신체형장애 환자들과 정상대조군에 비해 우울과 불안의 증상을 가지고 있으며, 성격 특성은 좀더 죄책감이 많고 불안해하며 정서적으로 유약한 성격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황장애 환자들 중에서는 상태불안이 높은 군이 더욱 도덕적이고 강한 통제력과 초자아를 지니면서 높은 신뢰감을 보이는 것 같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공황장애 환자의 이러한 심리적 그리고 성격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환자의 빠른 회복과 일상생활에서의 적절한 적응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state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patient with panic disorder. Methods: Twenty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21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and 20 normal healthy controls were studied.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tate and Trait Anxiety Inventory(STAI) and Korean standardized edition of Cattell's 16 Personality Factors Questionnaire(16-PF) were used for assessment. Statistically, One-way ANOVA with Scheffe test were used by SPSS/PC for windows. Results: 1) Total score of BDI was higher in the panic group than the somatoform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p<0.001). 2) Total score of state anxiety and trait anxiety in the panic group was higher than the somatoform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p<0.001). 3) In 16 PF, there were no definitely abnormal range of scores. But in first-stratum source traits of 16PF, the panic group was higher than the somatoform group and normal healthy group in O-factor (p<0.01) and Q4-factor(p<0.001). In second-stratum source traits of 16PF, the panic group was higher than the somatoform group in ANX-factor(p<0.05), but lower than normal control group in TOUfactor(p<0.05). 4)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anic subgroup according to sex and cutoff points of BDI score 16 and STAI-T score 54. 5) According to cutoff point of STAI-S score 52, the panic subgroup above 52 was higher than the panic subgroup under 52 in G-factor(p<0.001), Q3-factor(p<0.05) and SUP-factor(p<0.001), but lower in L-factor(p<0.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state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are depressive and anxious as compared with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and normal controls.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did not show any abnorm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ut were more guilt-prone, anxious, emotionally sensitive. We propose that the understanding of panic patients' emotional state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ill helpful to treat and manage in patient with panic disorder.

      • KCI등재

        공황 장애의 인지적 기제로서 임박형 이분법 사고의 작용

        황성훈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8 인지행동치료 Vol.18 No.3

        인지적 이론은 공황을 신체 감각에 대한 재앙적 오해석의 결과로 설명한다. 본 연구는 공황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이분법 사고가 재앙적 오해석에 해당하는 인지적 증폭 작용을 한다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했다. 대학생 표집을 대상으로 한 앞선 연구(황성훈, 이훈진, 2012)에서 이 가설은 입증되지 못한 바 있다. 그 원인이 공황 장애에 특유한 이분법 사고를 측정하지 않았 다는 분석에서, 본 연구는 일반형 이분법 사고 외에도 공황 발작의 응급성을 반영하는 임박 형 이분법 사고 척도를 적용하였다. 정신과 전문의나 임상심리전문가의 DSM-IV에 기초한 임 상 진단에 따라, 공황 장애 환자 21명, 신체형 장애(DSM-5 기준, 신체 증상 장애) 환자 18명, 건강한 통제 집단 20명이 선별되었고, 이들에게 신체 감각 증폭 척도, 이분법 사고 지표 개정 판, 임박형 이분법 사고 지표가 실시되었다. 신체 감각에 대한 예민성에서 예측대로 신체형 장애 집단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이 공황 장애 집단이었으며, 건강한 통제 집단이 가장 낮았 다. 이분법 사고는 일반형과 임박형에 따라서 달랐다. 일반형은 공황 장애 집단과 신체형 장 애 집단이 건강한 통제 집단보다 높되, 두 환자 집단간 차이는 없었다. 반면 임박형 이분법 사고에서는 가정대로 공황 장애 집단이 가장 높아서, 신체형 장애 집단과 변별되었으며, 건강 한 통제 집단이 가장 낮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임상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한계 와 이를 보완하기 위한 미래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cognitive theory explains that panic disorders result from catastrophic misinterpretations on bodily sensations. Following the preceding study (Hwang & Lee, 2012),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dichotomous thinking (DT) works as a cognitive amplifier corresponding to catastrophic misinterpretations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s. The reason why Hwang and Lee (2012) did not succeed in testing the same hypothesis in college students could be because they did not use measure of DT specific to panic disorder. Upon this analysis, measures for imperative DT reflecting the nature of urgency specific to panic attack was developed and used in addition to measures for general DT. Based upon the clinical diagnoses of psychiatrists or clinical psychologists according to DSM-IV,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PD) and with somatoform disorder (SD; each 21 and 18 subjects), and 20 healthy controls (HC) were screened out. To them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SSAS), Dichotomous Thinking Index, General and Imperative version(DTI-30R, I-DTI each) were administered. As predicted, in the sensitivity to bodily sens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D as the highest, PD as second-highest and HC as the lowest. Results concerning DT differed according to the subtype. In the general version of DT the both SD and PD were higher than HC while the two patient groups did not differ from each other. However the imperative DT, as assumed, reveal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scending sequence of PD, SD, and HC. In the end,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with the same emphasis on the limitations of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