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주십경(公州十景)의 시적(詩的) 형상(形象)

        손찬식 ( Son Chan-si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4

        이 논문은 공주십경시의 자료를 새로 발굴 확충하여 공주십경의 위치와 그 명칭을 검토하고, 이와 관련한 시작품을 분석하여 이들이 시적으로 어떻게 형상화되어 있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공주십경」시는 서거정의 「공주십경」과 신유의 「공산십경」두 계열로 대분된다. 서거정의 「공주십경」에서는 명소를 먼저 제시하고 그곳에서의 놀이나 흥취 및 감상 대상, 그리고 그곳에서의 행위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비하여 신유가 선정한 공주십경은 산(3), 사찰(3), 나루(2), 정자(2) 등으로, 그 십경으로 선정된 명소만 제시되어 있을 뿐이다. 그리고 서거정이 선정한 공주십경은 현재의 공주군과 연기군(세종시) 일부까지 포괄하는 광범한 지역인데 비하여 신유가 선정한 공주십경은 공주 治所에서 10리 이내에 있는 승경만을 대상으로 했다. 이들이 선정한 공통적인 공주십경으로는 “금강춘유-금강진, 웅진명월-웅진도, 서사심승-정지사” 등 세 곳 뿐임을 규명하였다. 「공주십경」시는 모두 공주십경의 승경과 명소 및 명물을 노래하고 있다. 시인은 수려한 풍광의 공주십경을 찾아 오유하면서 그 속에서 노니는 흥취를 노래하는가 하면, 공주가 백제의 고도라는 점을 환기하여 역사적 회고를 통한 무상감을 표출하기도 하였다. 또한 이들은 공주십경과 관련한 고사를 환기하여 선정이 행해지기를 희구하고 치자로서의 애민의식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시인들은 공주십경에 포함된 여러 사찰을 찾아 고승과 교유하면서 잠시나마 세속을 벗어나 청정한 마음을 가져보기도 하고 수려한 풍광을 대해서는 선경을 관념하고 은일적 삶을 동경하기도 하였다. In this paper, we look at the locations and names of Gongju-Ten-Views ,compare and analyze the poems related to the views and consider how they were embodied into poems. Gongju-Ten-Views are divided into two lines, such as Seo Geojeong's < Gongju-Ten-Views > and Shin Yoo’s < Gongju-Ten-Views >. Gongju-Ten-Views which Seo Geo-jeong and Shin Yoo chose not only have different forms of titles, but are also quite different regions. Seo Geo-jeong's ‘Gongju-Ten-Views’ presents the attractions first, and consists of play, enjoyment and the objects of appreciation and actions there, on the other hand, Gongju-Ten-Views by Shin Yoo are only mountain(3), temple (3), naru(2), and pavilion(2), etc. And Gongju-Ten-Views by Seo Geo-jeong spreads an extensive area that covers the current part of Gonjugun and Yeongi-gun (Sejong City), but Gongju-Ten-Views selected by Shin Yoo is targeted only at attractions within 10Ri from Gongju government office.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only three common Views selected by them: Geumgangchunyu-Geumgangjin, Wonjinmyeongwol-Wungjindo, Seosasimseung-Jeongjisa. All of the poems of 「Gongju-Ten-Views」 sang the scenic spots, the famous sights and specialties about ten superb view in Gongju. The poets visited ten beautiful places in Gongju and sang the pleasure seeing the superb view, and also reminded that Gongju was the ancient capital of Baekjae, expressing vanity of life through the historical retrospect. In addition, they recalled the idioms originated in ancient event related to the Gongjusibgyeong and wished good politics would be done expressing their love for the people as a governor. Moreover, the poets visited the temples in ten superb view of Gongju and conceptualized the fairyland and yearned for hermit interacting with high monks through the beautiful scenery.

      • KCI등재

        공주 홍장삼 문양에 관한 연구- 복온공주 홍장삼과 덕온공주 홍장삼 수본을 중심으로 -

        손진,이은주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23 한국 복식 Vol.- No.50

        본 연구는 자수로 장식된 전통 혼례복식인 홍장삼에 표현된 문양의 유래와 의미를 밝힌 것으로, 복온공주홍장삼과 덕온공주 홍장삼 수본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두 유물에 표현된 문양은 꽃나무 8종과 풀꽃 8종, 보문(寶紋) 14종, 복합보문 11종 및 접문(蝶紋)과 봉문(鳳紋)은 각 1종, 자연문은 괴석, 삼산, 물결 등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화초문은 자손번영, 신부의 용모와 자질, 장수, 관운의 형통 등을 상징한다. 화초문 중 여지, 추해당, 추모란, 패랭이 문양은 복온공주 홍장삼에만 표현되었으며 파련화, 목련문양은 덕온공주 홍장삼 수본에만 나타난다. 보문은 인생에서 바라는 염원이 표현된 길상문이다. 파련화 형태의 보개는 꼭지 부위에 보문이 결합되어복합보문으로 구분하였으며, 복온공주 홍장삼에만 11종이 보인다. 반면 덕온공주 홍장삼 수본에는 복온공주홍장삼과 달리 8종의 보문이 모두 한쌍으로 표현되었다. 봉황문과 자연문은 복온공주 홍장삼에는 보이지 않는 문양 구성으로 20세기 전기에 공주의 홍장삼이 보수되면서 폐기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봉황문은 부부 금슬과 자손 번영을 상징하며, 한 쌍이 표현되었는데 형태는 화려한 수컷인 봉으로 표현되었다. 자연문은 영원과 자연의 근원을 뜻하며 괴석, 삼산, 물결 등이 함께 표현된 것은 음양의 조화를 의미했다. 두 공주 유물의문양은 봉황문과 자연문을 제외하면 유사한 구성을 보이지만 복온공주 홍장삼은 문양이 복잡하고 조밀하게보인다. 반면 덕온공주 홍장삼 수본은 조형적으로 단순하게 표현되어 복온공주 홍장삼의 문양보다 고식(古 式)으로 판단된다. 문양은 인생에서 성취되기를 바라는 삶의 가치관이 투영된 창조적인 결과이면서 오랜 기간 전승되어 내려온 미의식의 소산이다. 공주 홍장삼에 표현된 문양은 “인륜의 근본이며 만세의 시작”인 혼례를 축복하고 자손번영, 영원한 부부의 사랑, 건강과 장수, 만사형통 등 현세의 기복적인 세계관이 내포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rigin and meaning of the patterns expressed in Hongjangsam(紅長衫), a traditional wedding dress decorated with embroidery, focusing on the embroidery of Princess Bokon and Princess Deokon. The patterns expressed on the two relics were classified into flowers, treasures, butterflies, animals, and nature patterns. The patterns expressed on the two relics included 8 types of flower trees and 8 types of grass flowers. Additionally, 14 types of treasure patterns, 11 types of complex treasure pattern, 1 type each of butterfly and phoenix patterns, and natural patterns(strange rocks, three mountains, waves) are confirmed. The flower pattern symbolizes the prosperity of descendants, the appearance and qualities of the bride, longevity, and good fortune. Among the flower patterns, the patterns of litchi, begonia, chumolan (秋牡丹), and dianthus are expressed only on the Princess Bokon’s Hongjangsam, and the Paryeonhwa (芭蓮花), magnolia pattern appears only on the Princess Deokon’s Hongjangsam embroidery pattern. The treasure patterns are an auspicious pattern that expresses one’s wishes in life. It was divided into complex treasure pattern and single treasure pattern, in which treasure pattern was combined at the top of the bogie expressed in Paryeonhwa (芭蓮花). There are 11 species of Princess Bokon’s Hongjangsam alone. On the other hand, in Princess Deokon’s Hongjangsam embroidery, unlike Princess Bokon’s Hongjangsam, all eight types of treasure patterns are expressed as a pair. The phoenix and natural patterns are patterns that are not visible on Princess Bokon’s Hongjangsam, and it is possible that they were discarded when the Princess Bokon’s Hongjangsam was repai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phoenix pattern usually appears as a pair, but it is usually depicted as a colorful male, so it is also referred to as a phoenix. It symbolizes the prosperity of the couple and their offspring. The natural gate signifies eternity and the source of nature, and the expression of waves, strange stones, and three mountains together signifies the harmony of Yinyang(陰陽). The patterns of the two princess relics have similar compositions except for the phoenix and natural patterns, but the patterns of Princess Bok-on’s red jangsam appear to be complex and dense. On the other hand, the pattern of Princess Deokon’s Hongjangsam is expressed in a simpler form and is believed to be older than the pattern of Princess Bokon’s Hongjangsam. Patterns are the creative result of reflecting the values of life that one wishes to achieve in life and are also the product of a sense of aesthetics that has been passed down for a long time.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pattern expressed on the Hongjangsam blesses the wedding, which is “the basis of humanity and the beginning of all ages,” and is decorated with a world view of the wishing good luck in this life, such as the prosperity of offspring, eternal love between couples, health, and longevity.

      • KCI등재

        일제강점기 공주 특산물 杞柳細工品의 생산과 전개양상

        고순영(Ko, Soon-young) 호서사학회 2021 역사와 담론 Vol.- No.99

        일제강점기 공주를 방문한 한 소설가는 당시 공주의 4가지 명물에 기류세공품(杞柳細工品)이 있다고 언급한 바가 있지만, 공주에서 기류세공품이 지역특산물이 된 배경과 실상은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류세공품이 일제강점기 공주지역 지역특산물로 언급된 사회적 인식을 확인하고, 공주에서 기류세공품이 어떤 과정으로 지역특산품화 되었는지 그 실체를 파악하려는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일본은 기류산업이 오랫동안 발전해 온 나라로, 일본인들은 이러한 기류산업을 식민지가 된 조선에서도 확장해 나갔다. 조선에 정착한 일본인들은 황무지를 개간하여 기류를 직접 재배하고 수확하여, 기류세공품까지 직접 생산해 조선과 일본으로 다시 수출하였다. 이것은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하는 농촌부업장려정책과 연결되어 점차 각광받는 사업으로 인정되었다. 일본인들의 기류사업이 점차 확대되면서 기류와 기류세공품은 지역의 특산물이 되기도 하였는데, 충남 공주가 대표적인 도시 중 하나이다. 공주는 금강 및 제민천과 같이 기류가 잘 자라기 쉬운 자연환경을 갖추었으며, 충남도청 소재지로서 일찍부터 여러 사회기반시설을 갖추고 재력있는 일본인들이 많이 상주하였다. 공주에 일찍부터 정착한 일본인들은 기류사업의 전도유망함을 빠르게 인식하여 기류를 재배하였고, 공주기류조합 및 공주물산조합을 결성해 조직화하였다. 마침내, 일본에 본점을 둔 조선흥산주식회사(朝鮮興産株式會社) 공주지점이 설립되면서 기류와 기류세공품은 일제강점기 공주지역을 대표하는 지역특산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또한 공주에서 이 기류사업에 관여하였던 일본인들은 그들의 관계망 속에서 지역기반을 이용하며 지역사회에 유력한 인물로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 A novelist who visited Gongju(公州) area in Japanese colonial period mentioned that there were Salix Koriyanagi Crafts(杞柳細工品) in four specialties in Gongju at the time, but the background and reality of these crafts becoming local specialties in Gongju were not well known until now. In response, this study began with interest in identifying the social perception of Salix Koriyanagi Crafts referred to as the local products in Gongju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n what process these crafts were turned into local products in Gongju. Japan is a country where the Salix Koriyanagi industry has been developed for a long time, and Japanese expanded this Salix Koriyanagi industry in the colonized Joseon Dynasty. The Japanese who settled in Joseon cultivated and harvested Salix Koriyanagi(杞柳) through the reclamation of the wasteland, produced and exported these crafts directly to Joseon and Japan. This was recognized as an increasingly popular project in connection with the Rural Development Promotion Policy implemen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s the Salix Koriyanagi industry of the Japanese gradually expanded, Salix Koriyanagi and Salix Koriyanagi Crafts became local specialties, and Gongju of Chungcheongnam-do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cities. Gongju had a natural environment that was easy for Salix Koriyanagi to grow, such as Geumgang(錦江) and Jemincheon Stream(濟民川) and many wealthy Japanese people lived early on as a Chungcheongnam-do Provincial Government City. The Japanese who settled in Gongju early on, they quickly recognized the promising prospects of the Salix Koriyanagi industry and started cultivating Salix Koriyanagi, and systematically deployed Salix Koriyanagi industry by forming the Gongju Salix Koriyanagi Association and Gongju C&T Association. Finally,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Japanese-based Gongju Branch of the Joseon Heungsan Corporation(朝鮮興産株式會社), the Salix Koriyanagi and Salix Koriyanagi Crafts became local specialties representing Gongju a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us, the Japanese who were involved in this Salix Koriyanagi industry in Gongju quickly grew into influential figures in the local community using their network.

      • KCI등재

        공주지역 교육도시 도약의 시대와 사회적 요인 분석 -미군정기 교원양성과 사범대학 설립 운동을 중심으로-

        전진희(Jeon, Jin-hee) 호서사학회 2021 역사와 담론 Vol.- No.100

        해방 후 미군정은 미국식 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였고 한 국의 문맹률과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여겼다. 따라서 미군정기 교원양성기관을 설립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었다. 이 시기 공주여자사범학교에서는 초등·중등교원 양성이 시행되었다. 그러나 공주여자사범학교의 교원양성으로 부족한 교원 수를 충족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기회로 바꾼 것이 공주지역민의 사범대학 설립 운동이다. 같은 시기에 서울과 대구가 사범학교를 폐지하고 서울사범대학, 대구사범대학을 설립한 것과 달리 공주지역은 공주여자사범학교를 그대로 유지하고 도립 공주사범대학을 설립하게 되었다. 두 학교는 공주교육대학교, 공주대학교의 전신이 되며 공주지역이 교육도시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토대가 되었다. 본 논문은 공주 지역 교육도시 도약의 시대와 사회적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미군정기 공주지역의 교원양성과 사범대학 설립운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사범대학 설립 운동의 주도 세력인 공주영명학교 인물들과 미군정 관리와의 인맥 관계는 긍정적인 작용을 하였으며 그에 못지않게 지역민의 열의, 기존의 사범학교에 속한 인적 자원, 학교 건물의 활용, 지역민의 학교설립을 위한 모금 운동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 방식은 일제강점기 공주지역민의 학교 설립 운동과 연속성을 띠고 있다. 미군정은 공주사범대학을 국립이 아닌 도립으로 인가를 해주며 학교 설립 재정을 충청남도가 감당하게 하였다. 미군정이 거의 끝나갈 무렵 1948년 7월 30일 도립공주사범대학 설립이 인가되었다. 미군정기 공주사범대학의 설립은 공주여자사범학교와 함께 초등교원, 중등교원을 모두 양성할 수 있는 교육도시로서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Gongju as a regular educational cit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fter liberation, the U.S. military government aimed to build an American-style democratic state and considered solving the problem of illiteracy and education in Korea as a top priority. Therefore, it was important to establish a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in the education polic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During this period, Gongju Girl"s Normal School provide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However, there was a limit to fostering teachers at Gongju Girl’s Normal School. It was the movement to establish a Gongju Normal College for the people of Gongju that changed these limitations to opportunities. At the same time, while Seoul and Daegu abolished the Normal school and established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ongju city maintained the Gongju Girl"s Normal School and established Gongju Normal College. The two schools became the predecessors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Gongju National University, and the Gongju city became the foundation for its identity as an educational city.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the era and social factors of the leap forward as an educational city in Gongju. In particular, it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movement to teacher training and establish a college of education in Gongju,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gures of Gongju Yeongmyeong School and the U.S. military government, which were the leading forces in the campaign to establish the univers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nthusiasm of the local people, human resources in the existing school, the utilization of school buildings, and the fundraising campaign. This method was continuous wit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Gongju residents" campaign to establish schools. The U.S. military government authorized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s a provincial government, made Chungcheongnam-do pa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ollege. At the en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ncial Gongju Normal College was accredited on July 30, 1948. The establishment of Gongju Normal College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provided an opportunity to leap forward as an educational city where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could be trained together with Gongju Girl"s Normal School.

      • KCI등재

        공주(公州) 서양화가들의 활동과 작품세계 - 1900~1945년 출생 작가를 중심으로

        김미정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2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4 No.-

        이 연구는 충청남도 공주 관련 문헌 자료와 작가들의 전시자료 등 아카이브를 토대로, 근·현대 공주 서양화단의 전개 과정과 주요 화가들의 작품세계를 살핀 것이다. 필자는 2021년 말에 출간된 『충남미술가편람 1』의 편찬을 위한 충남문화재단의 학술용역 사업인 ‘충남미술사 조사 연구 및 집필’에 참여했고, 이 책의 집필 과정에서 공주와 관련한 서양화 작가들에 관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그 자료를 기반으로 정리한 것이다. 연구대상 작가는 1900~1945년에 태어난 공주 연고의 작가들로 한정했다. 이 작가들의 활동과 작품세계를 살펴본 결과, 1930년대 충남에서 서양화를 수용하던 시기에 전시를 열었던 ‘공주회화회’의 활동 사항과 참여했던 작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밝혀냈다. 그리고 1954년 개원한 공주문화원을 구심점으로 다양한 미술 활동이 전개된 양상에도 주목해 보았다. 그 과정에서 학생들이 주도한 ‘일수회’와 교사들이 중심이 된 미술단체 ‘금강미회’의 활동에 대해서도 새롭게 규명했다. 공주와 관련한 작가에 관한 검토는 근대기에 출생한 서양화 작가 15명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살펴보았고, 이들 중에서 임동식을 제외하고 14명이 교직에 임했음을 확인했다. 1930년대 이전에 태어나 일제강점기에 일본에서 미술대학을 다녔던 송병돈, 구종서, 현광국은 충남의 초·중·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1930년 이후에 출생한 작가들은 대부분 서울 소재 대학인 서울대학교, 홍익대학교, 서라벌예술대학교 등에서 수학한 후 공주와 충남지역에서 교사로 재직했다. 이처럼 교직에 임했던 서양화 작가의 비중이 공주에서 확연하게 많이 드러나는 점은 교육도시 공주의 면모가 서양화단에도 반영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공주의 초기 서양화단에서는 교직과 작품 활동을 병행한 작가들을 중심으로 사실적인 구상회화부터 추상회화와 야외현장 미술까지 다양한 작품세계가 펼쳐졌다. It i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estern paintings from modern and contemporary Gongju and the world of works by major artists based on the archive of literature data related to Gongju-si, Chungcheongnam-do, and materials exhibited by artists from there. Until now, research on artists from Gongju has been dealt with only within the scope of art in Chungcheongnam-do, and few Western painters from Gongju have been studied alone. I participated in the Chungnam Art History Research and Writing, an academic service project of the Chungnam Cultural Foundation for the compilation of the Chungnam Artist Handbook 1, published at the end of 2021. By compiling the book, I was able to obtain data on Western artists from Gongju. This study is based on the dat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limited to artists born in Gongju between the 1900s and 1945.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se artists' activities and the world of work, it specifically revealed the activities of the Gongju Painting Group, which held an exhibition at the time when Western painting began to be accepted in Chungcheongnam-do in the 1930s, and the artists who participated in it. In addition, I paid attention to the phenomenon that various art activities began around the Gongju Cultural Center, which opened in 1954. In the process, it was also newly revealed that the activities of the "Ilsuhoe" led by students and the "Geumgang Mihoe," an art organization centered on teachers, were also revealed. While studying the artists related to Gongju, I studied the lives of 15 Western artists born in the modern era and the world of their works. Among the 15 artists, 14 other than Lim Dong-sik were found to have engaged in teaching. Song Byung-don, Koo Jong-seo, and Hyun Kwang-guk, who were born before the 1930s and attended art universities in Japan in Japanese colonial era, taught student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Chungcheongnam-do. Most of the artists born after 1930 studi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ngik University, 37 and Seorabeol University of Arts in Seoul, and then worked as teachers in Gongju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e fact that there were many Western painting artists who worked in the teaching profession in Gongju reflects the aspect that Gongju is a city of education. However, it was difficult to find any art style in common in their works. However, the modern and contemporary Gongju Western Painting Group covered a variety of works, ranging from artists who mainly dealt with realistic landscapes to abstract paintings and outdoor field art.

      • KCI등재

        <쌍천기봉>에 나타난 여성연대와 자기표현

        탁원정(Tak Won jo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6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3

        본고에서는 국문장편소설 <쌍천기본>에 나타난 공주혼의 특징과 의미를 밝히고, 이를 통해 <쌍천기봉> 혼인담론의 일단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쌍천기봉>의 공주혼은 이관성의 장자 이몽현이 장옥경과 정혼하여 혼례일을 얼마 남겨 두지 않은 상태에서 계양공주와 혼인하라는 늑혼에 의해 장옥경이 퇴혼당하고 계양공주와 이몽현의 혼인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후 계양공주의 지극한 노력으로 장옥경이 재실로의 복귀하게 되는데, 장옥경을 사모하던 설최의 계략으로 다시 장옥경이 출거당하고 이후 모함임이 밝혀져 이부에 재복귀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쌍천기봉>에 나타난 공주혼의 특징은 먼저, 외적인 정황상 가해자와 피해자, 또 한 남편을 함께 섬겨야 하는 적국 관계의 두 여성이 ‘지기(知己) 관계’로 설정되고, 평화로운 일상까지 함께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다음은, 왕실과 공주의 권위에 대해, 또한 재실이라는 위계에 의해 타자일 수밖에 없는 장옥경이 ‘타자 아닌 타자’로 부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쌍천기봉>에 나타난 공주혼의 의미는 먼저, 신분과 위계 차이로 불화하기 쉬운 두 여성의 연대를 통해 평등하고 조화로운 가족관계, 나아가 인간관계를 모색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공주혼의 여성 당사자들이 적극적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내게 함으로써, 재실로 들어가는 것이 당연한 수순이 아니라는 점을 환기하고 이를 통해 재실 문제의 타성(惰性)에 제동을 건다는 것이다. <쌍천기봉> 공주혼은 다른 작품의 공주혼과 유사한 지점을 공유하면서도, 두 여성의 관계와 재실로 들어오는 여성의 성격에서 중요한 차별 지점을 보여준다. 그런 점에서 국문장편소설 공주혼의 새로운 모습과 의미를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혼인에서 여성들이 새로운 가족관계의 긍정적인 동력이며 주체일 수 있다는 여성 관련 혼인담론을 생성하는 동시에, 타성(惰性)화된 혼인제도에 대한 제동을 통해 남성 중심 혼인담론의 균열을 보여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gure out features and meaning of Gongjuhone in “Ssangcheongibon” a Korean long novel. In doing so, it aims to examine marriage narrative of “Ssangcheongibon.” Gongjuhon in “Ssangcheongibon” is developed as the retirement of Jang Ok-gyeong by the forced marriage and return to the rosary, and the appearance of the Jang Ok-gyeong by the royal family .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ncess’s soul in “Ssangcheongibon” are as follows: Firstly, ‘Jeongsil and Jaesil of an appreciative friendship’, Secondly, ‘other person, not the other. The rise of Jaesil.’ The meanings of Gonghuhon in “Ssangcheongibon” are as follows: Firstly, ‘seeking harmonious family and human relationship through women s solidarity and secondly, reflection of mannerism through self-expression .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Gongjuhon shows the new appearance of Gongjuhon in that it creates the meaning of the other Gongjuhon and the discussion of the other points. In addition, Gonghuhon of “Ssangcheongibon” brings about the crack on the men centered marriage narrative through the creation of a woman-related marriage discourse that women can be a positive power and subject of a new family relationship in marriage while braking habitual marriage system. The meanings of Gonghuhon in “Ssangcheongibon” is realistic understanding about unfairness about female in the midst of marriage relationship . This can be connected to sympathy and indignation of enjoying group

      • KCI등재

        고려 원간섭기 慶華公主의 역할과 위상

        김현라 효원사학회 2018 역사와 세계 Vol.- No.53

        Koryo and Won 's marriage alliance was formed by the marriage of King Chung - ryeol and Princess Emperor. After Suejo Kubilai, Sungjong realized Pax Mongolian. He tried to complete the central power system by using the Gamma system, which ruled the Mukbuk area, by using Gamma. Therefore, it was awarded the date of the day only to the silkworm, and the line was highly valued. This policy also applies to consideration and marries the daughter of Gamma and the princess of Sungjong, the Princess of the Patriots of Korea, and King Chungseon. King Chungsug was married to two princesses of Mongolian family of KIMUMI and to 11 and 16 years respectively. The former is the fatherland princess and the latter is the princess. These are the daughters of Sisters of the Wang Wang Amok. The year when King Chungsu married the father of the king, Chungsu married the King of Chungsu and the marriage of Princess Kyunghee almost coincided with his returning period. King Chungsu also performed sisters' soul, which had been performed in Mongolia many times. The purpose of the sisters' soul was to inherit the inheritance of the queen's queen. Princess Hyeonggyeong Princess Princess Hyeongguk after the installation of a hardened portion of the Mongol Princess, such as having a certain status. The envoy of Daewon Empire who came to Goryeo to give Koryeong king (king, king) to Koryeo first recognized Koryeong Princess before King Chunghee. When King Chunghee was summoned to Wondue, You can guess such a situation by participating directly. Meanwhile, after the death of King Chungsug, Chunghee committed adultery with the princess Kyunghee when his return was not easily decided as usual.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such a situation in the situation where Sims is explicitly mobilizing and pursuing the Koryo Kingdom. However, considering the status of the princess, it can be seen that the adultery case of King Chunghee directly touches the political purpose of his return. In addition, the political situation that occurred after the reign of King Chunghee, that is, his brother, Gangreung Daejun, was married to his nephew of Kyungghwa, The political value of the hardcore princess was very important. 고려와 원의 혼인동맹은 충렬왕과 제국대장공주의 혼인으로 성립되었다. 세조 쿠빌라이의 뒤를 이은 성종은 팍스몽골리아를 실현한 인물로, 그는 막북지역을 통치하였던 짐김계통의 감말라를 중용하여 중앙집권체제를 완성하고자 하였다. 이에 짐김계통에게만 일자왕호를 수여하여 그 혈통을 중히 여겼다. 이러한 정책은 고려에도 적용하여 감말라의 딸이며 성종의 친조카인 계국대장공주와 충선왕을 혼인시켰다. 이후 짐김계통의 공주는 충숙왕의 두 번째 왕비인 조국장공주와 경화공주이다. 이 중 주목할 공주는 경화공주이다. 충숙왕은 재위 16년에 그의 세 번째 비로 경화공주를 맞아들이고 이어서 복위하였다. 경화공주와 충숙왕의 두 번째 비인 조국장공주는 자매간이므로 충숙왕은 자매혼을 한 셈이다. 자매혼의 목적은 왕의 전 왕후가 소유한 사속인 등을 그대로 승계하기 위한 것이었다. 경화공주와 조국장공주의 父는 짐김계통의 위왕 아목가이다. 경화공주는 충숙왕과 함께 고려에 환국할 때의 행차 규모와 경화부의 설치를 통해 볼 때 몽골공주로서 적지 않은 위상을 가졌다. 이점은 충숙왕이 사망하고 충혜왕의 복위에 즈음하여 원의 사신이 경화공주를 알현하고 또 경화공주가 정동행성 관리의 임명권을 가지고 있는 것 등에서도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충혜왕은 자신의 복위가 불투명한 시점에서 경화공주를 간음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여러 이견이 있지만, 당시 심왕이 노골적으로 조적을 동원하여 고려왕위를 노리고 있는 상황에서 충혜왕 나름의 위기 극복의 방편이라고 생각된다. 즉 충혜왕은 원과 고려내의 경화공주의 위상이 자신의 복위를 이룰 수 있는 중요한 배경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이것은 충혜왕이 복위 이후에도 자신의 위상을 지키는 방법이었다. 그의 동생인 강릉대군이 세자에 책봉되어 원에 숙위할 뿐만 아니라 경화공주의 조카와 혼인하였고, 또한 기황후 집안, 환관 고룡보 등 여러 정치세력을 견제해야 하는 입장에서는 경화공주가 가지는 정치적 가치는 매우 중요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渤海 文字資料의 現況과 課題

        尹善泰(Yoon Sun-tae) 대동한문학회 2007 大東漢文學 Vol.26 No.-

          渤海의 歷史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渤海人의 文化를 심도있게 검토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특히 渤海人이 직접 撰述한 ‘文字資料’에 대한 調査와 整理가 일차적으로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渤海의 文字資料에 대한 기존의 硏究現況을 槪觀하고, 이를 토대로 渤海의 文書行政에 대한 새로운 問題를 提起해보았다.<BR>  첫 번째 장에서는 渤海 文王의 딸인 貞惠公主, 貞孝公主의 墓誌銘을 검토하였다. 이 자료는 그동안 文王代의 年號變化, 外命婦制, 東宮制, 陵墓制 등과 관련하여 연구가 이루어졌다. 〈貞惠公主墓誌銘(780년)〉은 글자의 磨滅이 심해 읽기가 어려웠지만, 뒤늦게 發掘된 〈貞孝公主墓誌銘(792년)〉을 통해 두 墓誌銘의 文章이 子女나 沒年 등을 제외하고는 완전히 똑같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두 墓誌銘은 渤海初期의 書寫文化를 이해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BR>  그런데 두 墓誌銘 사이에는 喪葬禮나 書寫慣行에 몇 가지 미묘한 차이가 발견된다. 첫째로 貞惠公主는 3年喪이고, 貞孝公主는 1年喪을 치렀다. 둘째로 〈貞惠公主墓誌銘〉에는 公主와 文王을 높이기 위해 그 앞에 빈칸을 두는 ‘空闕’이 있는데, 公主와 文王에 모두 똑같이 한 칸의 ‘空闕’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貞孝公主墓誌銘〉에서는 公主에 대한 空闕이 사라지고, 文王에게만 두 칸의 空闕이 사용되었다. 이는 두 시점 사이에 渤海王室의 喪葬禮에 큰 변화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또 公主의 葬禮期間이 줄어들고 空闕이 사라진 점으로 보아, 그러한 변화는 대체로 발해왕권을 특화시키는 방향이었다고 이해된다.<BR>  두 번째 장에서는 〈中臺省牒〉을 비롯한 渤海의 文書行政 資料들을 分析해, 渤海의 行政節次와 政治論議方式에 대한 앞으로의 硏究基礎를 마련해보았다. 우선 〈中臺省牒〉의 내용을 통해 이 文書가 作成되기까지의 文書受發關係를 추론할 수 있다. 〈中臺省牒〉은 日本 太政官에 보낼 牒의 草案을 中臺省에서 미리 作成하여 渤海王에게 보고하고, 이에 대한 允許의 王命을 받드는 ‘奉處分’의 節次를 거쳤다. 이후 그 最終案을 中臺省에서 日本太政官에 移牒한 것이 바로 〈中臺省牒〉이다. 따라서 〈中臺省牒〉에 기록된 ‘奉處分’은 渤海에서도 國王이 政策決定의 責任主體로서, 자신의 意志를 ‘文書’를 통해 전달, 실현하였음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BR>  한편 니꼴라예프까(Nikolaevka) 성터에서 발견된 ‘左驍衛將軍 ?利計’가 기록된 발해의 靑銅符節이나, ‘天門軍之印’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上京城 안에서 발견된 銅印 등으로 볼 때, 발해에서는 軍事權의 發動에 엄격한 行政的 統制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 靑銅符節과 銅印은 당시 발해에 文書行政이 高度로 發展되어 있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주고 있다.<BR>  끝으로 맺음말에서는 그간 論難이 되어온 ‘渤海文字’에 대한 筆者의 意見을 開陳해보았다. 現在로는 渤海에 固有文字가 있었다는 사실을 證明할 만한 資料는 없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渤海에도 新羅처럼 자신들의 言語를 表現하기 위해 漢字를 이용해 ‘造字’하거나, ‘吏讀’와 같은 渤海 나름의 文字表現方式을 考案하였을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漢字體系만으로는 渤海人의 言語나, 그들의 思想과 感情 등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앞으로 이와 관련된 資料發掘을 기대해본다.

      • 公州教育大學校32年 (1962〜1994)

        황규상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94 公州敎大論叢 Vol.30 No.-

        공주교육대학교 개교 이래 32년간에 변화 발전해온 파란만장한 영고성쇠의 사건 사실들 을 간추려 본다. (1) 교육대학(2년제, 4년제나) 개교 하기 전에 한 일중 특기할 사항은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연구활동이었다. 1년 이상에 걸쳐 연구하여 제정했다. (2) 공주교육대학교 개교 이래 입학 지원자가 모집정원에 미달하여 2차모집(1962)을 한 일이 한번 있었다. 또한 입학지원자중 합격권내의 여학생이 너무 적어 특별전형으로 여학 생수를 늘린때(1962)도 있었다. 그러나 여학생의 입학율이 남학생보다 매년 늘어나 1980 년부터는 81%로 늘더니,1994년 신입생 모집부터는 남녀의 한 성이 70%를 초과할 수 없 다는 규정을 접하게 되었으니 이것은 분명 여성 파워 시대임을 심각하게 하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3) 개교하던 첫해의 1학년 학급수는 5개학급이고, 교수는 10名으로 한 학급에 교수 2 명씩 지도교수를 임명(다음해 부터는 1명 씩 배당했지만) 했다. 또한 개교하던 1962년에는 공주사범학교 졸업반인 마지막 3학년이 있어 같은 건물을 쓰고 있었다. 그러나 대학생들 은 청소도 하지 않을 뿐더러 신을 신고 교실에 드나들고 하여 사범학교 학생들의 불만이 대단하였다. 할수 없이 지도교수들이 대학생들 교실 청소를 해 주기로 하고 몇일을 하고 있으니 대학생들이 자진하여 청소를 하게 되었다. 공주교육대학 초창기의 해프닝의 하나 다. (4) 우리나라의 초등교사 양성은 계획 양성 체제였다. 즉 초등교사의 수요에 맞추어 교 사양성을 했다. 그러므로 수요에 맞추어 공급하려니 공주교육대학의 재학생은 고무줄 같 이 줄었다 늘었다 했다. 이것으로 인한 대학의 사건 사례가 많았다. 한 사례는 학교의 연 혁사례로 삼고 싶다. 첫번째의 사건은 1960년 후반의 일이다. 1966년부터 초등교원의 부 족현상이 급격하게 나타나 보수교육(중등교사 자격증 소지자의 초등교사 임용을 위한 초 등교사 교육)을 하게 되더니 급기야는 단기양성소(대학졸업자,고등학교 졸업자 입학)를 설립하여 초등교사의 대량생산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초반 부터는 교사 과잉상 태가 되어 임용적체 현상이 나타났다. 드디어 1976년에는 모집정원이 160명,1977년에는 120명으로 줄어 들었다. 전교생 1,040명에서 240명으로 줄어들었으니 교수들은 수업부담 기준양이 부족했다. 교수들은 자진해서 할 일을 찾아나섰다. 충청남도 교육청(당시는 교 육위원회)에 나가 일선학교의 장학지도를 하기도 하고 공주시민을 대상으로 하여 노인대 학,주부대학 등 시민대학을 개설 운영하기도 했다. (5) 공주교육대학교의 창설 당시인 1962년은 공주시내 건물들이 일제시대의 유물인 양 녹아난 빨간색의 함석지붕의 집들이었고,도로는 모두 비포장 도로였기 때문에 간혹 버스 라도 지나가면 먼지가 날려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였다. 그러나 지금은 당시의 서울거리 못지않게 현대식 양옥 건물에 깨끗한 포장도로로 격조 높은 문화도시로 변모하였다. 이러 한 공주시의 변화와 함께 공주교육대학도 1962년(32년)의 옛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다. 1962년 개교 당시의 공주교육대학의 모습은 단 한군데 있다. 즉 승명관(講義 가棟) 하 나 뿐이다. 부속국민학교의 옛 모습도 하나도 없다. 또 하나 찾아 본다면 운동장과 교문 (校門)자리다. 옛날 교문은 지금의 체육관 앞 은행나무 있는 큰 도로변이다. 참으로 옛날 은 좋았고 역사는 흐르는가 보다.

      • KCI등재

        공주 홍길동 관련 전승자료의 성격과 의미

        이해준(Lee, Hae Jun) 역사문화학회 2018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1 No.2

        소설 『洪吉童傳』의 주인공인 홍길동은 『조선왕조실록』에 洪吉同으로 나오기는 하지만, ‘실존 인물이냐, 아니냐’의 문제는 아직도 정확한 답이 없는 의문점으로 남아 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허균과 홍길동의 연고를 강조하는 지역으로 강원도 강릉과 전라남도 장성이 손꼽히며, 허균의 『홍길동전』에서 홍길동이 꿈꾸던 이상세계로 그려진 율도로는 전북 부안군 위도, 홍가와라의 설화와 성이 있는 일본 오끼나와 야에야마 제도의 이시가키 섬이 있다. 본고에서 필자가 다루는 공주지역과 홍길동, 홍길동전과의 연관성도 전승지역의 또 다른 사례로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공주 지역에는 전해지는 홍길동 관련 자료들은 유형별로 보면 유적, 구전, 역사기록, 그리고 저자 허균과 관련되고 있다. 홍길동 관련 구전 설화와 지명 설화는 공주 무성산성 일대에 분화 전승되고 있으며, 유적으로는 홍길동의 근거지였다고 전해지는 홍길동성[무성산성]이 있다. 또한 역사상 실존 인물 洪吉同이 시대는 다르지만 기록상 충청도와 관련성이 많은 것이라든가, 홍길동전의 저자 許筠(1569~1618)이 공주목사로 부임해 왔던 점, 특히 그 시기에 그가 홍길동전의 모델이었다고 전해지기도 하는 논산 은진 출신 徐羊甲(?~1613)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던 점이 주목된다. 공주지역에 전승되는 홍길동 관련 자료와 일화들을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보면 먼저 지리적으로 차별성을 보인다. 장성이 한적한 시골 마을로 태생지이자 성장지임을 강조한다면, 강릉의 허균 생가는 아버지 허엽의 생애와 관력을 증거하고 그 형제, 누이의 문학적 성격을 강조하는 송림 속의 고택이었다. 부안의 우반동은 허균의 은거와 홍길동전 저술지라는 점이 특징이다. 이에 비하여 공주는 홍길동의 활동거점으로서의 성격이 강한 유적과 구전설화, 지명이 전해지는 곳이다. 특히 공주지역은 홍길동전과 관련해서 저자 허균이 공주목사로써 소설의 주인공 홍길동의 실존 모델로 추정하는 서양갑과 서얼들과의 긴밀한 유대와 관련을 가졌던 점이 주목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충청도 거점설이나 근거설, 무성산성 축조기법과 오끼나와 미야코 섬의 성축기법의 유사성, 당시 동행했을 동행 집단의 문제 등등은 홍길동의 실존인물이냐 소설의 주인공이냐에 따라 매우 큰 이해 차이를 수반할 수가 있다. ‘홍길동이 실존인물’일 때는 활동의 근거 현장으로 역사이지만, ‘소설의 주인공’일 때는 작품의 무대로서 매우 폭넓은 장소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시 조선왕조실록에 보이는 홍길동 세력의 충청도 거점 운운, 공주목사 허균, 허균과 서양갑의 관계 등은 충청도와 공주의 연관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 Hong Gil-dong(홍길동),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The Tale of Hong Gil-dong(홍길동전),” appears as Hong Gil-dong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but whether or not he is a historical figure remains an unanswered question. In this regard, Gangneung, Ganwon-do and Jangsung, Jellanam-do are considered as areas that emphasize the relationship with Heo Gyun(허균) and Hong Gil-dong. Yuldo, portrayed as an ideal world in the novel “The Tale of Hong Gil-dong” by Heo Gyun, is considered to be either the island Wido, Buan, Jellabuk-do or Ishigaki Island from Hongawara folktales, ruins and monuments in the center of the Yaeyama subprefecture of Okinawa in Japan. In line with these examples, Gongju, connected with Hong Gil-dong and the novel “The Tale of Hong Gil-dong,” is another example of a Hong Gil-dong traditional setting. Various Hong Gil-dong related sources passed down in Gongju are classified as relics, narrations, historical records, and works by the author, Heo Gyun. The relics include the Hong Gil-dong Castle [Museongsan Castle(무성산성)], which is believed to be the refuge of Hong Gil-dong, and various narrations related to Hong Gil-dong Castle (홍길동성). The narrations maintain that the factual person Hong Gil-dong had an intimate connection to Chungcheong-do and that Heo Gyun, the author of the novel “The Tale of Hong Gil-dong, became governor of Gongju. They also express that Heo Gyun had close ties with Seo Yang-gap(서양갑), said to be the real model for Hong Gil-dong in the novel” The Tale of Hong Gil-dong, and in other works. Compared to those in other areas, Hong Gil-dong related materials and narratives shared in Gongju sources can be geographically differentiated. Jangsung emerges as the birthplace and childhood home of Hong Gil-dong, and Heo Gyun’s birthplace in Gangneung is an old family house in a pine forest which testifies to the life and public authority of Heo Yeop(허엽), Heo Gyun’s father, and emphasizes his siblings’ literary talents and temperament. Uban-dong, in Buan, represents Heo Gyun’s seclusion and where the novel “The Tale of Hong Gil-dong” was written. Comparing these features, Gongju comprises Hong Gil-dong’s area of operations, based on historical records, relics, narrations, and toponyms connected to Hong Gil-dong. Especially, in the case of Gongju, it is noteworthy that the author Heo Gyun had a close connection with sons of concubines and Seo Yang-gap, who may be themodel for Hong Gil-dong,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The Tale of Hong Gil-dong” Admittedly, the issues such as the Chungcheong-do hub theory, similarities of construction techniques of Museongsan Castle and the retaining wall on Ryukyu Miyako Island, the accompanying group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with significance depending on whether Hong Gil-dong is a historical or fictitious character. This is because when Hong Gil-dong appears as a historical character, Gongju, Chungcheong-do can be the location supported by historical evidence; but when he is a fictitious character, the location can be interpreted broadly. Yet, it can be suggested that Hong Gil-dong and his fellow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