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연예술콘텐츠의 플랫폼 활성화 방안

        송은아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8 No.2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는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관객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공연예술 시 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이 예상된다. 본 연구는 공연예술 관객선호도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기반 한 공연예술 마케팅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관객선호도 파악을 통해 공연예술 관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공연예술콘텐츠플랫폼의 구축은 관객에 만족도를 향상시 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연플랫폼에 대한 스마트폰 또는 인터넷 사용자의 관객 선호도 조사를 통해 공연예술콘텐츠의 관객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설문조사를 통해서 실증 분 석하였다. 설문결과의 회귀분석결과 유의수준 10%에서, ‘스마트폰 또는 인터넷 이용시간은 공연예술콘텐 츠플랫폼의 이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과거의 공연에 대한 관람의사’, ‘플랫폼에서의 공연예술콘텐츠 이용가격’, ‘공연예술교육정도’, ‘콘텐츠 감상 후 피드백 가능여부’, 그리고 ‘플랫폼에서 문화콘텐츠 지식 의 습득가능 여부’ 등은 공연예술콘텐츠플랫폼의 이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채택하 였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는 이러한 관객의 변화를 고려하여 공연예술콘텐츠플랫폼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하고 운영할 때 공연예술콘텐츠플랫폼의 활성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예술가와 관객, 예술단체, 공연예술콘텐츠플랫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 인 터넷 중심의 생활에 익숙한 스마트폰 사용자를 통해서 공연예술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요구의 내용을 선 도적으로 파악하고 공연예술 시장의 변화를 예견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 new paradigm in the performing arts market is expected to emerge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changing lifestyle of the aud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change in audience preference for performing arts,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performing arts marketing based on this. By grasping the audience preference, we will develop a program that can meet the needs of the performing arts audience. And the construction of a performing arts content platform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the audienc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degree of influence on the audience preference of the performing arts contents through a survey of the audience preference of the smartphone or Internet users on the performing arts platform.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At a significance level of 10%, ‘Smartphone or Internet use time will affect the use of the performing arts platform (Hypothesis 1)’ was rejected, ‘Intention to watch past performances’, ‘Performing art content on the platform’, ‘The usage price’, ‘The degree of performing arts education’, ‘Whether feedback is possible after appreciating the content’, and ‘Whether the platform can acquire knowledge of cultural contents’ were analyzed a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 of the performing arts platform and were adopt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revitalize and operate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performing arts content platform in consideration of such changes in the audience.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be satisfied by artists, audiences, art groups, and performing arts platform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KCI등재

        공연예술콘텐츠의 가치와 융합적 구조

        허난영(Hur-Lan You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

        본 연구는 공연예술의 제작․유통 과정을 콘텐츠진흥법상 기술·산업과의 융합형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2000년대 이후 영역 간 콘텐츠 생산과 공유방식은 공연예술의 제작․유통구조를 전환시키고 있다. 최근 나타나고 있는 공연예술실황영상은 공연예술의 시공간적 경계를 뛰어넘어 예술 창작과 소통의 영역을 확장하여 기존 체계를 변화시키고 있다. 현재성과 공간적 제한성을 전제로 출발되었던 공연예술은 실황영상화를 통하여 시공간의 경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플랫폼을 창출하고 있다. 공연예술은 기술·산업 영역과 융합하여 보편적 접근성을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으며, 문화적 형평성이라는 공공 공연장의 공공적 가치를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고급예술로 불리어지는 오페라, 클래식, 발레 등의 공연예술이 영상산업과 어떤 방식으로 결합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서 공연예술콘텐츠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making and distribution course of performing arts and its converged form with technology and industry in terms of the Contents Promotion Act. Since the 2000s, the inter-area contents making and sharing methods have been changing the making and distribution structure of performing arts. The recent production of performing arts contents live videos extends the areas of arts creation and communication beyond the time and spatial boundaries of performing arts and changes the existing systems. The performing arts which started with nowness and spatio-temporal restriction on the premise is now creating a new platform over the spatio-temporal boundary through the live video. Performing arts, in convergence with the areas of technology and industries, expands universal approaches and shows the public value of cultural fairness at public performing arts cente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at seeking the possible extension of performing arts contents by examining how the so-called high-class performing arts such as opera, theatre and classical music combines with the visual industry.

      • KCI등재

        온택트(Ontact) 시대, 공연예술 산업의 온라인 플랫폼 활용에 관한 연구

        백민제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2 No.2

        코로나19로 인해 공연예술 산업에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영상콘텐츠 송출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코로나19 펜데믹에 대응하면서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공연예술 산업을 중심으로 기존 현장 공연 예술의 방식에서 디지털 환경을 어떻게 잘 활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적절한 방법을 고민해보고자 한다. 뮤지컬, 연극, 콘서트 등 공연을 취소하거나 조기 폐막하여 현장 공연을 기대했던 많은 팬들의 아쉬움을 샀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공연예술계가 찾아낸 돌파구는 온라인이었다. 다양한 온라인 영상 플랫폼을 통해 연극, 뮤지컬, 아이돌 콘서트, 컴백 쇼케이스, 팬미팅이 이뤄지고 있다. 예술의 전당의 ‘삭온스크린 (SAC On Screen)’ 프로젝트를 온라인으로 상영을 확장했고, 서울예술단은 네이버TV와 후원라이브 서비 스를 시작했다. 국립오페라단은 ‘크노마이오페라(KNOmyOpera)’라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공연 스트리밍 플랫폼인 ‘레드컬튼’도 공연예술 온라인 플랫폼의 새로운 영역을 구축하고 있 다. 이 연구는 비대면 공연을 위해 온라인 영상콘텐츠 서비스를 도입하게 된 공연예술 산업의 사례를 살 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코로나19로 인해 변화하고 있는 공연예술 산업의 온라인 플랫폼 영상콘텐츠화는 오프라인 공연예술의 대체재가 아닌 보완재로서 공연예술에 익숙하지 않았던 대중에게 문화 활동의 접 근성을 한층 더 높여주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기존 극장에서 보여주지 못한 첨단 기술을 활용해 오프라인 때와는 또 다른 현장성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더불어 특유의 현장감을 어떻게 담아낼 것인지 등에 대한 답이 여전히 미지수이기 때문에 공연예술 산업에서는 많은 고민거리를 가지고 있다(김도연, 2019). 코로나19로 인해 자발적으로 영상 콘텐츠를 도입하게 된 공연예술 산업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공연예술 산업의 발전방향 및 변화를 모색하고자 한다. Covid-19 has greatly increased interest in video contents through online platforms 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Online platforms have become no stranger. We will re-examine the existing performing arts methods and think about proper ways to utilize the digital environment, focusing o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which is seeking new changes in preparation for the Covid-19 Fendemics..Many fans were disappointed by the cancellation or early closing of the show in musicals, plays, and concerts. The breakthrough found by the cultural community in this crisis was online. Plays, musicals, idol concerts, comeback showcases, and fan meetings were held through online video platforms such as YouTube and Naver TV. The Seoul Arts Center has expanded its screening of the Seoul Arts Center's SAC On Screen project online, and the Seoul Performing Arts Company has launched a sponsoring live service with Naver TV. Korea National Opera is implementing an online video service called KNOmyOpera. In addition, Redkurtain, a performance streaming platform, is also establishing a new area of the online platform for performing arts. This study will look at the examples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that introduced video contents using online platforms and will look at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change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in the Post Covid-19 era. Through this, the online platform video contents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which is changing due to Covid-19, has much to consider, but it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increase accessibility of cultural activities to the public who are not familiar with performing arts. It will also experience a different scene from when it was offline by utilizing high-tech technologies that were not shown in existing theaters.

      • 공연예술 콘텐츠를 활용한 도시문화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 스코틀랜드의 에든버러 축제 도시를 중심으로

        서정미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에든버러시는 도시 전역을 공연예술 콘텐츠 장소로 활용하고 있다. 공연예술 콘텐츠의 활용은 도시의 문화, 정체성, 도시를 이끌어가는 도시민들의 지속 가능한 축제 콘텐츠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도시에 축제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에든버러의 세계 공연예술 축제가 지금까지 이어온 과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에든버러시가 축제로 성공할 수 있는 배경은 다양하지만 축제형 모델로만 분석할 것이 아니라 거버넌스의 체제의 시스템이 민간이 주도하고 관이 서포터 하는 형태로서 오늘날의 공연예술 축제의 도시 에든버러 도시문화 유형에 대해서 접근하고자 했다. 이에 다음과 같이 에든버러의 공연예술 콘텐츠를 활용한 도시 문화적 지속성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첫째, 에든버러 공연예술 축제의 배경과 전개를 통한 콘텐츠 확장 둘째, 에든버러 도시 전역을 활용한 공연장의 특성과 축제 도시의 정체성 셋째, 에든버러 공연예술 콘텐츠를 활용한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지속 가능한 도시다. 에든버러만의 도시 특성들을 통해서 공연예술 콘텐츠를 활용한 도시 문화의 지속성에 관한 논의는 새로운 도시문화를 창출하는 도시 공동체 성장기반에 기초가 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공연예술콘텐츠의 도시마케팅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백민제 한국연기예술학회 2017 연기예술연구 Vol.10 No.2

        지방자치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활성화, 관광객 및 기업유치 등의 일환으 로 문화예술콘텐츠의 활용을 주요정책으로 수립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마케팅을 위한 수단 으로서 문화예술콘텐츠의 활용의 가능성을 공연예술콘텐츠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활용의 현황과 성과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선정한 우수축제와 지역별로 개최되는 문화예술축제를 중 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역별 공연예술콘텐츠를 분석하고 방문객과 콘텐츠를 위해 투입된 예산을 비교하여 성과를 알아보았다. 그 성과를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의 도시마케팅 수단으로서의 공연예술콘텐츠의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활동 목적의 명확성, 독특하고 차별화 된 지속가능한 콘텐츠, 원활한 구성원의 협력, 지속적인 의 지와 홍보 노력, 공연예술콘텐츠에 대한 수용 태도와 인식의 변화로 요약 할 수 있다.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are setting up a major policy of cultural art as part of the revitalization of local governments, as local autonomy is practiced in earnest. In this study, the study focused on the use of performing art contents as a means of utilizing cultural contents as a means of city-marketing The current status and performance of the utilization was focused on the cultural and artistic arts festival sele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e analyzed the local performing art contents and comparing them with the budget injected for visitors and cont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the utilization of the performing art contents as a means of city marketing and local governments is as follows : Clarification of the purpose of activities, distinctive and differentiated content, cooperative members' cooperation, continuous commitment, continuous commitment and awareness of performance and recognition of performing art contents.

      • KCI등재

        한국 글로컬 공연예술 콘텐츠 사례 연구 - 연극 「햄릿-디 액터」(Hamlet-The Actor)를 중심으로

        박은지 한국예술경영학회 2017 예술경영연구 Vol.0 No.44

        We are in the era of what’s called ‘Glocalization’ when new aesthetic framework is being produced, based on the ‘Global’ and ‘Local’ value, under the broad cause of exploring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In such an era, the strategy of Glocalization at the level of multi-directional cultural arts field, could not but be a very important theme that provides much insight to rising creators and the global audience. The theatric play 「Hamlet - The Actor」is the work that adapted and produced 「Hamlet」, one of the motifs of modern theatric plays that is used through the most innovative and various change, and one of texts of theatric plays most famous in the world, which is recognized as the major field in modern art. Also, this is evaluated as the significantly excellent work becoming an indicator of the discussion on the strategy of Glocalization as the Korean culture and art contents that has recently been receiving keen attention. As the glocal performing arts contents, the work has been recognized in its originality, artistic value and popularity to secure the solid status at home and abroad, and has lured a great effect on the national and foreign academic circles and performing arts markets, forming a broad discourse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of the strategy of Glocalization in linkage with the ecological feedback of planning, developing and producing culture and art contents. What the research study adopts as the main research theme is to analyze exhaustively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work 「Hamlet - The Actor」in external and internal contexts which is expanding and reproducing its influence as the glocal performing arts contents; to extract particular elements; and investigate logically how and where each element is mutually connected in Glocalization process in order to arouse strategical synergy. There have been the analytic results of the data that strategical elements at a Glocalization level - such as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experimental production for stabilization’, ‘design of originality in an aesthetic sense’ and ‘the development of platform, as distinct glocal performance art contents promotion’ were discovered. Such elements were embodied as new key words - such as ‘empathy on the great theme’, ‘the adequate layout of condensation and extension’, ‘the reinterpretation on innovative tradition’, ‘originality of usefulness’, ‘the recognition as glocal performing arts contents’, and ‘encounter with the global aud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understood that the greater importance must be placed on the awareness that producing successful culture and art contents must be interpreted as the same context as establishing the strategy of Glocalization as the requisite and sufficient condition to do so. This would provide the field of a more constructive discussion to reach a new orientation, a discussion about for example, by what structures and methods culture art contents must be produced to introduce the global audience by shedding a new light on the implication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e sense of drawing a growth engine and a direction to lead the Korean glocal performing arts contents industry. It is expected that this would be the basic foundation to establish more multi-dimensional culture and art policies as the practical guideline on future strategies to make the stable planning and ecological feedback that could reflect the specific features that Korea has in multi-directional cultural art contents field. ‘세계성’과 ‘지역성’을 함께 탐색해 나간다는 의미에서의 ‘글로벌’(global)과 ‘로컬’ (local)의 가치를 필두로 한 새로운 미학적 프레임을 만들어가는 ‘글로컬’(glocal) 시대를 맞이하며, 전방위 문화예술 분야의 글로컬라이제이션 전략은 차세대 크리에이터 및 글로벌 관객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는 중요한 테제가 아닐 수 없다. 연극 「햄릿 - 디 액터」(Hamlet - The Actor)는 현대연극에 있어 가장 다채로운 변용에의 대상이자 전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희곡 텍스트 중 하나인 「햄릿」을 각색해만든 작품으로, 최근 더욱 활발해지고 있는 한국 문화예술 콘텐츠의 글로컬라이제이션 전략에의 논의 가운데 좌표 되어 있는 유의미한 수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작품은 독창성과 예술성, 흥행성을 인정받아 글로컬 공연예술 콘텐츠로서 대내외적위상을 차지, 국내외 학계 및 공연예술 시장에 커다란 반향을 이끌어내었음은 물론문화예술 콘텐츠와 관련된 글로컬라이제이션 전략 전반에 폭넓은 담론을 형성해가고 있다. 본 논문은 글로컬 공연예술 콘텐츠로서 그 영향력을 확대, 재생산하고 있는 「햄릿- 디 액터」가 지니는 작품의 외적, 내적 측면에서의 구조 및 내용상의 면밀한 작품분석을 통해 특징적 요소들을 추출함으로써, 각각의 요소들이 글로컬라이제이션 과정에 있어 구체적으로 어떠한 지점에서 상호 연관되어 전략적 시너지를 일으키고있는지를 논리적으로 규명해나가는 것을 연구의 주된 주제로 삼고 있다. 자료 분석결과 ‘안정성을 담보한 실험적인 연출에의 변용 가능성’, ‘심미적 관점에서의 디자인오리지낼리티’, ‘차별화된 글로컬 공연예술 콘텐츠 프로모션 플랫폼 개발’ 등 글로컬라이제이션 측면에서의 전략적 요소들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다시 ‘대 주제 공감’, ‘응축성과 확장성의 적절한 배치’, ‘혁신을 가미한 전통의 재해석’, ‘유용성을 덧입은독창성’, ‘글로컬 공연 콘텐츠로서의 위상’, ‘글로벌 관객과의 만남’의 중심 키워드로구체화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공연예술 콘텐츠 제작은 문화예술 콘텐츠 글로컬라이제이션 전략 개발과 긴밀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이는 다시금 ‘글로벌’과 ‘로컬’의 함의에 집중하게 함으로써 어떠한 구조와 방식으로 문화예술 콘텐츠를 제작하여 전 세계 관객들에게 소개해야 하는지에대한 새로운 차원의 지향점을 고심하도록 하는 건설적인 논의의 장을 마련해줄 수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추후 한국의 글로컬 공연예술 콘텐츠 산업을 이끌어나갈 성장 동력 및하나의 방향성을 획득해 간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으며, 전방위 문화예술 콘텐츠분야에서 한국만의 특장점을 살릴 수 있는 안정적인 기획, 제작 생태계 마련을 위한 글로컬라이제이션 미래 전략을 수립하는 데 실질적 지침으로서 기능, 보다 다층적 차원의 문화예술 정책 수립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공연예술아카이브 교육 콘텐츠 개발환경 개선 방안 연구

        김도연 한국무용과학회 202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7 No.2

        This study encourages to development educational contents by using records preserved at performing arts archives as soon as possible. To conclude the result, this study explored the examples of dance archives and educational contents in England and uncovered several complex issues encountered by national performing arts archives. In order to make diverse education programmes fully based on performing arts records, firstly, korean art archives need to consciously move from 'collecting and preserving' to 'utilising' in organisational system and work process, as well as keep networks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related organisations. This will enable performing arts archives to communicate and cooperate, and reflect feedback from them and consistently develop. In addition, archives should provide programmes and manuals for users to utilise archives. In terms of copyright, performing arts archives are being in trouble. Records are very fragile as performing arts archives include different kinds of medium. This is the reason why performing arts archives need to have educational system and manuals for users. Most of all, copyright have to be solved and managed for people to utilise records related to performing arts as mush as possible. Without positive changes in copyright of performing arts, it is very hard to find solutions and probabilities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Studies on materials of performing arts professionally and modern technologies such as AR・VR or AI make educational contents more fruitful and colorful. 본 연구는 공연예술아카이브 교육 콘텐츠 개발환경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영국을 중심으로 무용 아카이브와 교육 콘텐츠 사례를 알아보고, 국내 공연예술아카이브와 비교하여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공연예술기록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아카이브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첫째로 수집과 보존보다 활용이 중심이 되는 의식 변화를 바탕으로 교육 콘텐츠 개발 등과 관련한 전문 인력과 조직체계, 그에 따른 예산을 확보해야한다.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조사와 연구에 착수하고, 교육기관 및 유관기관과의 지속적인 네트워크 형성과 협력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 아카이브 소장 자료를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단계별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아카이브는 물리적 훼손을 최소화해야하는 유일본을 다루는 기관이다. 또한 기록 간의 관계, 즉 맥락 정보가 중요하여 기록의 그룹이나 컬렉션 단위로 접근하는데 의미를 두는 아카이브의 고유한 특성 때문에 아키비스트의 적극적인 안내와 도움 없이는 공연예술아카이브를 쉽고 편리하게 이용하기 어렵다. 체계적인 이용 매뉴얼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마지막으로 공연예술아카이브의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해 무엇보다 먼저 해결해야할 것은 저작권 문제이다. 공연 작품의 구성 요소별 법의 적용 기준과 범위를 구체화하여 법에 저촉되지 않는 선에서 최대한 기록들을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이 개선되고, 자료에 대한 전문적인 조사·연구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변화하는 사회에 맞는 첨단기술이 적용된 교육 콘텐츠가 개발된다면 공연예술아카이브는 더욱 활성화되고, 공연예술기록의 가치는 더욱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공연예술 콘텐츠 검색을 위한 패싯 내비게이션 인터페이스 구현

        이원경,서은경 한국정보관리학회 2016 정보관리학회지 Vol.33 No.2

        The effective searching for performing arts contents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various access points and searching methods based on specialized meta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aceted navigation interface which user could effectively and efficiently retrieve performing arts contents even if the users do not know accurate descriptive information about them. Therefore, the study, first, investigated search access points and navigation items providing by other the performing arts retrieval systems and to analyz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 in music, dance and theater. And then, the study proposed the 36 facets with the 9 main facet categories suitable for performing arts and also proposed 27 descriptive elements suitable for performing arts contents. Finally, the study developed the performing arts contents retrieval system based faceted navigation interface with 3,360 experimental data and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in terms of usability, serendipity, and efficiency. The applying the faceted navigations for searching performing arts contents will help users access and utilize them in the retrieval system and moreover satisfy user demands. 공연예술 콘텐츠의 효과적인 검색은 특화된 메타데이터를 근간으로 다양한 접근점을 제공할 때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이용자가 찾고자하는 공연예술 콘텐츠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없더라도 쉽게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는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공연예술 국내외 사이트가 제공하고 있는 접근점 요소와 내비게이션 요소를 파악하고 연극, 무용 음악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이 원하는 공연예술 검색 접근점 및 브라우징 요소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토대로 공연예술 콘텐츠 검색에 적합한 9개 패싯요소 즉, ‘공연예술장르’, ‘공연예술가’, ‘공연예술단체’, ‘자료유형’, ‘언어’, ‘주대상관객’, ‘이벤트’, ‘장소’, ‘시기’를 제안하였다. 또한, 다각적인 패싯 내비게이션이 가능하도록 공연예술 콘텐츠 기술요소 27개를 선정하였고 내비게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이를 근거로 하여 3,360건의 실험 데이터를 구축하고 실제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의 심층 인터뷰 결과, 본 연구에서 구축한 시스템이 이용자가 원하는 패싯을 제공하여 만족스러운 브라우징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정보조우가 가능한 인터페이스임을 증명하였다. 공연예술 도메인에서 패싯 내비게이션 검색 기법의 응용은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며 더 나아가 공연예술 정보에의 접근 및 활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기업특성에 따른 예술콘텐츠 활용이 고객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지윤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4 경영컨설팅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그동안 학계에서 예술경영이라는 영역이 경영보다는 예술에 중점적으로 초점을 두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업의 목표 달성에 초점을 둔 예술경영을 연구하기 위해 기업특성에 따른 예술콘텐츠 활용이 기업의 목표 달성과 고객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선행 연구들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폭넓은 예술의 영역에서 다양한 모든 영역을 규명하는 것의 한계를 이해하고 음악이라는 영역으로 제한하여 기업경영에서 활용해 온 예술콘텐츠와 예술경영에서 활용해 온 경영기법을 통합하는 연구를 제안하고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제조업으로 인지되는 기업의 고객몰입보다 서비스업으로 인지되는 기업에 대한 고객몰입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기술로 인지되는 기업의 고객몰입보다 고기술로 인지되는 기업에 대한 고객몰입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일장르 공연을 활용한 기업의 고객몰입보다 복합장르 공연을 활용한 기업의 고객몰입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합장르 공연을 활용한 기업의 경우가 단일장르 공연을 활용한 기업의 경우보다 긍정적 고객몰입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복합장르 공연을 활용한 제조업 인지 기업의 경우가 단일장르 공연을 활용한 제조업 인지 기업의 경우보다 고객몰입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장르 공연을 활용한 서비스업 인지 기업의 경우가 단일장르 공연을 활용한 서비스업 인지 기업의 경우보다 고객몰입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장르 공연을 활용한 저기술 인지 기업의 경우가 단일장르 공연을 활용한 저기술 인지 기업의 경우보다 고객몰입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장르 공연을 활용한 고기술 인지 기업의 경우가 단일장르 공연을 활용한 고기술 인지 기업의 경우보다 고객몰입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복합장르 공연을 활용한 경우, 저기술 서비스업의 경우보다 고기술 제조업의 경우가 고객몰입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예술경영의 학문적 의미와 실무적 의미의 확장에 있어, 기존 예술경영은 예술 자체의 소비에 초점을 두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예술을 활용한 기업목표달성과 예술경영의 개념적 확장을 검증하여 이론적으로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경영학적 관점의 기업특성이 예술콘텐츠의 유형에 따라 고객몰입이라는 기업목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여, 전통적인 경영학 이론의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점이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실무 담당자들은 이점을 고려하여 예술콘텐츠 활용에 적용하면 기업목표와 관련한 예술경영의 전략적 차원에서, 서로 양립 가능한 단일장르를 융합한 복합장르 공연을 개발(창작)하여 활용한다면 기업의 예술경영에도 도움이 될 수 있겠다. 따라서 관련 실무자는 향후 복합장르 공연(양립 가능한 장르의 융합)을 더 창작하여 예술경영의 실무적 활용을 장려할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aimed to the impact of utilizing artistic content based on company characteristics, with a focus on arts management and its influence on customer engagement in achieving corporate goals.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exploring various areas in the broad domain of art, this research limited the scope to the domain of music to propose and elucidate a study that integrates artistic content utilized in corporate management and management techniques employed in arts management. For this purpose, a research model was set and tested with a total of five hypotheses.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customer engagement was greater for companies perceived to be in the service industry than for companies perceived to be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at customer engagement was greater for companies perceived as high-tech than for companies perceived as low-tech. We also found that customer engagement was higher for companies that used multi-genre performances than for companies that used single-genre performances. Positive customer engagement was found to be greater for companies that used multi-genre performances than for companies that used single-genre performances, and in the manufacturing sector, companies perceived as utilizing composite genre performances showed higher customer engagement than those perceived as utilizing single genre performances. Similarly, in the service sector, companies perceived as utilizing composite genre performances exhibited greater customer engagement than those perceived as utilizing single genre performances. For companies perceived as low-tech, those utilizing composite genre performances displayed higher customer engagement compared to those utilizing single genre performances. Similarly, for companies perceived as high-tech, those utilizing composite genre performances showed greater customer engagement than those utilizing single genre performances. Finally, when utilizing composite genre performances, it was observed that high-tech manufacturing companies had greater customer engagement than low-tech service-oriented companies. These findings are of great theoretical significance in expanding the academic and practical meaning of arts management, as existing arts management focuses on the consumption of art itself, but this study verifies the conceptual expansion of arts management and the achievement of corporate goals using art. Moreover, from a managerial perspective, the validation that corporate characteristics have a meaningful impact on customer engagement, influenced by the type of artistic content, expands the traditional realms of management theory. Furthermore,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suggest that industry practitioners, considering these benefits, could enhance strategic dimensions of arts management related to corporate objectives. Developing and utilizing composite genre performances that seamlessly integrate compatible single genres could prove beneficial in the strategic realm of arts management for companies. Therefore, practitioners in the field should consider encouraging the creation of more composite genre performances (fusion of compatible genres) in the future to promote practical applications of arts management.

      • KCI등재후보

        국내 공연산업의 수익구조에 관한 연구

        최동길(Choi Dong Gil),전병준(Chun Byung June),박찬희(Park Chan Hee) 한국예술경영학회 2011 예술경영연구 Vol.0 No.18

        무대 위에서 실연을 통해서 유통될 수 있는 공연예술상품은 ‘현장성’이라는 경쟁우위 요소를 갖는다. 하지만, 이 때문에 여타의 문화콘텐츠상품과는 달리 수익을 내기 어려운 점에 주목하여서 공연예술의 수익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즉, 공연예술분야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제약하는 조건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연예술의 시장성을 강조하고 공연예술의 상품적 성격에 착안하여 시장원리의 관점에서 수익성 문제를 살펴보았다. 공연예술상품은 시간제약성, 즉흥성, 노동?지식집약성, 경험적 특성과 같은 본연적 특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내적 특성은 공연예술상품의 사후적 이용을 어렵게 하여 전반적인 수익성을 제약한다. 즉시성과 시간제약성으로 인하여서 2차 가공을 통한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고정비용인 인건비의 비율이 매우 높아서 일정한 공연기간이 확보되지 못할 경우 수익성 악화로 직결될 수 있다. 또한, 공연예술상품의 수익성 문제는 한정된 공연 수요, 부족한 공연 기반시설, 높은 관람가격, 규모의 영세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어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적, 공간적 접근성의 제고와 시장 확대를 통한 수익성 개선전략을 제안하고 있다. 산업화의 초기 단계에 들어서고 있는 공연예술시장의 진흥을 위한 과제의 도출과 대안으로서 사전경험, 글로컬 콘텐츠 발굴, 융합과 공생마케팅, 협력과 경쟁, 합리적 경영관리를 공연예술상품의 수익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The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profitability structure of the Korean performing art business, and suggests the policy agenda for the sustainable business structure. Bound by the time and space specificity, the performing art business has limits in the one-source multi-use strategies. The experiential and improvising nature also limits the business opportunities. Coupled with the narrow and distorted market structure, the poor hardware infrastrucure narrows the business potential. Based on the careful review of the revenue structure of the performing art business, this study proposes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improved profitability. Further differentiation of the performance contents in terms of timing, space, and playing time is expected to provide the audience with the better accessibility,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d profitability. Proper artistic exposure and educational efforts regarding the performing arts should also provide the necessary accessibility. Synergistic combination with the various cultural contents is also expected to provide the wider business opport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