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내 다국적기업 R&D 랩의 통제관리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손효파,김성,조대우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5 국제경영리뷰 Vol.19 No.2

        다국적기업들이 중국에 R&D랩을 설립한 것은 1993년 캐나다 Nortel Networks가 처음이었다. 1997년에 20개였던 중국내 다국적 R&D 랩이 2012년말 현재 1,200여개를 초과하고 있디. 미국계 다국적기업이 37%(444개), 일본계 기업이 12%(148개), 독일계 기업이 8%(96개), 대만 (92개), 한국(42개)로 5개국이 전체의 69%를 점유하였다. 이들 다국적기업 본사들은 그들의 중국내 R&D랩들의 성공여부가 본사의 통제관리에 달려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국적 본사들이 선택할 수 있는 통제형태를 집권화 통제, 공식화 통제 및 사회화통제 등 세가지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이러한 다국기업 본사에 의한 통제형태분류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그런 연후에 각각의 통제관리형태가 그들의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 실증검증을 하였다. 실증결과 중국내 R&D랩에 대한 다국적기업 본사의 통제 형태중 공식화 통제전략과 사회화 통제전략은 본사의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조직의 효율성을 가장 높일 것으로 기대하는 본사에 의한 집권화 통제는 오히려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국적 R&D의 경우 본사가 직접적인 통제를 하는 것보다 공식화 및 사회화를 통한 간접적인 통제를 할 때 경영성과에 긍정적임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Multinational companies started to invest in R&D Laboratories(Labs) in China after Nortel Networks(Canada)’s first establishment of multinational R&D Lab in 1993. As of the late 2012, over 1,200 multinational R&D Labs in China were invested by multinational companies(MNCs), while there were only 20 labs existed in 1997. 444 US multinational R&D Labs(37%), 148 Japan Labs(12%), 96 Germany Labs(8%), 92 Taiwan Labs, and 42 Korea Labs controlled 69% the market share. The key of their success in China relied on the control management of MNCs. Thus, in this study, we classified control types of MNCs into three kinds of strategies such as centralization control, formalization control, and socialization control.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hree control types were accepted by Cronbach’s α,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fter verifying these tests,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three control types (i.e., centralization, formalization, and socialization control) respectively affected MNCs’ own business performa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both formalization and socialization control type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affected business performances of MNCs. However, we could not find out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zation type and their business performances. This study revealed that MNCs’ formalization and socialization controls rather than their centralization control. against multinational R&D labs in China would b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business performances.

      • 중국진출 다국적기업 R&D 랩의 통제관리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손효파 ( Xiao Bo Sun ),김성 ( Xing Jin ),조대우 ( Dae Woo Cho ) 국제지역학회 2015 국제지역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15 No.-

        중국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 R&D 랩들이 중국 내에서 비즈니스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국적 기업들의 경영성과가 중국 내 설립한 R&D랩에 대한 통제관리에 달려있음을 인식하고 통제형태 선택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들이 선택한 통제관리 형태는 집권화 통제, 공식화 통제 및 사회화 통제 세가지이다. 그들이 선택한 통제관리전략이 제각기 그들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실증결과는 공식화 통제와 사회화 통제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집권화 통제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검증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expanding business activities of multinational R&D Labs in China, they have been controlled by their headquarters. We classified their control strategies into three types such as centralization control, socialization control and formalization contro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both formalization and socialization control types affect on business performances of MNCs significantly , on the other hand, we couldn``t find out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zation control and their business performances.

      • KCI등재

        해외 자회사에 대한 다국적기업 본사의 통제 방식이 자회사 현지 직원의 조직일체감에 미치는 영향

        유치연 ( Chi-yeon You ),이강표 ( Khan-pyo Lee ),배준영 ( Jun-young Bae ) 한국국제경영학회 2017 國際經營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 본사의 해외 자회사에 대한 통제 방식 및 통제 방식들 간의 상호작용이 자회사 현지 직원의 조직일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경영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11개국 출신의 47개 다국적기업 자회사에 근무 중인 447명의 현지 직원들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본사의 집권화는 자회사 현지 직원의 조직일체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본사의 공식화와 사회화는 자회사 현지 직원의 조직일체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사의 집권화와 조직일체감 간의 부(-)의 관계는 공식화와 사회화 수준이 모두 높을수록 가장 약한 것으로 나타나, 자회사 현지 직원의 조직일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통제 방식들 간의 3차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ing the effects of headquarters’ control mechanisms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I) of host country nationals (HCNs) working at multinational corporation (MNC) subsidiaries. We collected data on 449 HCNs working at 47 MNC subsidiaries in Korea that originating from 11 countries and analyzed the data by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We find that the centralization has negative effect, while the formalization and the socializa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OI of HCNs. In addition, there are 3 way interaction effects among centralization, formalization and socialization on the HCNs’ OI.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해외 자회사에 대한 본사의 통제 방식이 자회사 현지 직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배준영(Bae Jun Young),이강표(Lee Khan Pyo)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 해외 자회사에 대한 본사의 세 가지 통제 방식(집권화, 공식화, 규범적 통합), 자회사 현지 직원의 상대적 박탈감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 대한 것이다. 기존 문헌 검토를 통해 도출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 자회사에 대한 본사의 집권화 수준은 자회사 현지 직원의 상대적 박탈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해외 자회사에 대한 본사의 집권화 수준이 높을수록 자회사 직원들의 자기 결정, 자존감, 자유 재량권 등이 감소하기 때문에 본국 또는 제 3국 출신 직원들에 대한 자회사 현지 직원들의 상대적 박탈감은 증가하는 것이다. 둘째, 해외 자회사에 대한 본사의 공식화 수준은 자회사 현지 직원의 상대적 박탈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해외 자회사에 대한 본사의 공식화 수준이 높을수록 본사가 자회사를 감시, 감독하는 정도가 증가하고, 자회사 현지 직원들이 보다 높은 수준의 역할 갈등을 경험하기 때문에 본국 또는 제 3국 출신 직원들에 대한 자회사 직원들의 상대적 박탈감은 증가하는 것이다. 셋째, 해외 자회사에 대한 본사의 규범적 통합 수준은 자회사 현지 직원의 상대적 박탈감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해외 자회사에 대한 본사의 규범적 통합 수준이 높을수록 공동의 규범과 가치관을 강조하며, 본사와 자회사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국 또는 제 3국 출신 직원들에 대한 자회사 직원들의 상대적 박탈감은 감소하는 것이다. 넷째, 자회사 현지 직원의 상대적 박탈감은 자회사 현지 직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자회사 현지 직원들이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수록 다국적기업 본국의 문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기 때문에 자회사 현지 직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증가하는 것이다. 8개국 출신, 25개 다국적기업 자회사에 근무 중인 242명의 현지(한국인)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소벨 테스트 등을 통해 이상의 가설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결론 부분에서 본 연구의 의미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아울러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effects of headquarters (HQs) control mechanisms on the host country nationals (HCNs)’ relative depriva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in multinational enterprise (MNE) subsidiaries in Korea. First, we hypothesize that HQs centralization positively influence on the HCNs’ relative deprivation because the HQs centralization lower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self-esteem and managerial discretion of HCNs. Second, we hypothesize that HQs formalization positively influence on the HCNs’ relative deprivation because of greater HQ control over the subsidiary, which in turn is associated with a higher level of role conflict and job stress of HCNs. Third, we hypothesize that HQs normative integration negatively influence on the HCNs’ relative deprivation by virtue of extensive and open communication between the HQs and subsidiary managers. Lastly, we hypothesize that the HCNs’ relative deprivation positively influence on the HCNs’ acculturative stress because acculturative stress include issues such as perceived cultural incompatibilities, perceived acculturation gap and mental health problems. These propositions are strongly support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Sobel test of 242 HCNs in 25 MNE subsidiaries that originating from 8 countries.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nd provide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다국적기업 본사의 통제 방식이 해외 자회사 현지 직원의 절차 공정성 지각과 상대적 박탈감에 미치는 영향

        유치연 ( Chi-yeon You ),배준영 ( Jun-young Bae ) 한국국제경영학회 2021 國際經營硏究 Vol.32 No.4

        절차 공정성은 지난 수십 년간 경영학(인사·조직), 심리학, 법학 등의 분야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아온 주제 가운데 하나이지만, 국제경영 분야에서 절차 공정성을 다룬 국내외의 연구는 소수에 불과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의 해외 자회사에서 근무하는 현지 직원의 절차 공정성 지각에 관한 연구로서 해외 자회사에 대한 본사의 세 가지 통제 방식(집권화, 공식화, 사회화)이 해외 자회사 현지 직원의 절차 공정성 지각에 영향을 미치며, 해외 자회사 현지 직원의 절차 공정성 지각은 이들의 상대적 박탈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구체적으로 해외 자회사에 대한 본사의 집권화는 절차 공정성 지각과 부(-)의 관계를 가지고, 본사의 공식화와 사회화는 절차 공정성 지각과 정(+)의 관계를 가질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해외 자회사 현지 직원의 절차공정성 지각은 이들의 상대적 박탈감과 부(-)의 관계를 가지며, 절차 공정성 지각이 세 가지 통제 방식과 상대적 박탈감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 가설들을 검정하기 위해 18국 출신, 85개 다국적기업 해외자회사에서 근무하고 있는 704명의 현지 직원들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모든 가설이 지지가 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and effects of host country national (HCN)‘s procedural justice perceptions in multinational corporation (MNC) subsidiaries in Korea. We suggest that the headquarters (HQs) centralization is negatively related with HCN’s procedural justice perceptions, and HQs formalization and HQs socialization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CN’s procedural justice perceptions. In addition, we propose that HCN’s procedural justice perceptions are inversely associated with HCN’s relative deprivation. Furthermore, we suggest that HCN’s procedural justice perception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Qs control mechanisms and HCN’s relative deprivation. We test the proposed research model using sample of 704 HCNs in 85 MNC subsidiaries originating from 18 countries.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 that all proposed hypotheses are supported. On the basis of the empirical findings,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다국적 기업의 해외자회사에 대한 통제 메커니즘이 자회사 조직의 분권화 수준에 미치는 영향

        안세연,원준희,윤우진 한국국제경영학회 2015 國際經營硏究 Vol.26 No.3

        본 연구는 모기업의 해외 자회사에 대한 경영 통제(management control) 방식이 해외 자회사의 분권화(decentralization)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현재 해외에 진출하여 경영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국내 다국적기업의 해외 자회사 143개를 대상으로 조직의 분권화 수준을 종속변수로 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본사가 해외 자회사에 대해 비전의 공유와 같은 집단적 유대관계 형성을 통한 사회화(socialization)에 기반한 통제 수준을 높일수록 해외 자회사의 분권화 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의 이론적 예측과는 달리, 본사가 해외 자회사의 부문별 경영 활동에 대해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공식화(formalization)에 기반한 통제 수준을 높일 경우에도 분권화 수준이 높아질 가능성을 시사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해외 자회사의 역량 창출자로서의 역할이 중요해지는 최근 글로벌 경쟁에 있어 한국 다국적 기업의 해외 자회사 운영 설계에 있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impact of headquarter control mechanisms on the degree of subsidiary decentralization with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We collected data on 143 Korea-based multinational corporations that have foreign subsidiaries at the end of 2013, and analyzed the impact of headquarter control mechanisms on the level of subsidiary decentralization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headquarter control by socialization (vision sharing) significantly increases the degree of subsidiary decentralization. However, contrary to the theoretical expectations of the study, the results provide some evidence for the positive influence of headquarter control by formalization (control via rules and procedures in the process of marketing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on the degree of subsidiary decentralization. Considering the recent growing emphasis on the subsidiary's role as a competence creator,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Korean multinational companies in designing headquarters-subsidiary control mechanisms.

      • KCI등재

        다국적 기업의 해외자회사에 대한 통제 메커니즘이 자회사 조직의 분권화 수준에 미치는 영향

        안세연 ( Se Yeon Ahn ),원준희 ( Jun Hee Won ),윤우진 ( Woojin Yoon ) 한국국제경영학회 2015 國際經營硏究 Vol.26 No.3

        본 연구는 모기업의 해외 자회사에 대한 경영 통제(management control) 방식이 해외 자회사의 분권화 (decentralization)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현재 해외에 진출하여 경영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국내 다국적기업의 해외 자회사 143개를 대상으로 조직의 분권화 수준을 종속변수로 하여 실증 분석을 수행한 결과, 본사가 해외 자회사에 대해 비전의 공유와 같은 집단적 유대관계 형성을 통한 사회화 (socialization)에 기반한 통제 수준을 높일수록 해외 자회사의 분권화 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의 이론적 예측과는 달리, 본사가 해외 자회사의 부문별 경영 활동에 대해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공식화 (formalization)에 기반한 통제 수준을 높일 경우에도 분권화 수준이 높아질 가능성을 시사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해외 자회사의 역량 창출자로서의 역할이 중요해지는 최근 글로벌 경쟁에 있어 한국 다국적 기업의 해외 자회사 운영 설계에 있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impact of headquarter control mechanisms on the degree of subsidiary decentralization with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We collected data on 143 Korea-based multinational corporations that have foreign subsidiaries at the end of 2013, and analyzed the impact of headquarter control mechanisms on the level of subsidiary decentralization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headquarter control by socialization (vision sharing) significantly increases the degree of subsidiary decentralization. However, contrary to the theoretical expectations of the study, the results provide some evidence for the positive influence of headquarter control by formalization (control via rules and procedures in the process of marketing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on the degree of subsidiary decentralization. Considering the recent growing emphasis on the subsidiary`s role as a competence creator,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Korean multinational companies in designing headquarters-subsidiary control mechanisms.

      • KCI등재

        다국적기업 본사의 통제 방식이 자회사 현지 직원의 상대적 박탈감과 조직일체감에 미치는 영향: 출신국 비용의 조절효과

        유치연,박영수 한국무역학회 2024 貿易學會誌 Vol.4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investigate and empirically verify the impact of headquarters’ (HQ) control mechanism on relative deprivation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f host country nationals (HCN) working at multinational corporation (MNC) subsidiaries in Korea,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liabilities of origin between HQ control mechanism and relative deprivation. For this purpose, we set the hypotheses for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especially, centralization, formalization, relative deprivati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liabilities of origin. To examine these hypotheses, we performed the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SEM) analysis on the data from 225 HCNs belong to 22 multinational subsidiaries from 7 countries in Korea.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oretical impli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HQ’s subsidiary control on the relative deprivation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f HCN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MNC’s liability of origi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Qs’ subsidiary control and HCNs’ relative deprivation. Second, practical implication,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managers of MNC who are executing or planning business activiti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