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리주의와 죄 없는 사람의 처벌 문제

        하재홍(Ha, Jaihong)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法學論叢 Vol.59 No.-

        국가형벌권의 정당화 근거에 대해서는 응보주의, 공리주의 등 많은 이론이 경합해 왔다. 이 논쟁에서 공리주의는 잘못된 비판에 오래 시달려 왔는데, 바로 공리주의는 사회 전체의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면 죄 없는 사람을 처벌하는 것도 용인한다는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헤어(R.M. Hare)와 로젠(F. Rosen)의 노력으로 공리주의에 대한 이런 비판이 공리주의를 오독한 것이거나 심하게 왜곡한 것임이 밝혀졌다. 본 논문은 이들의 견해를 수용하고 이런 오독과 왜곡 과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맥클로스키(H. J. McCloskey)가 공리주의를 비판하기 위해 유명한 보안관 사례를 창안했다. 맥클로스키가 고안한 사례는 공리주의 이해를 위한 중요한 척도처럼 전승되었다. 그 결과 공리주의에 대한 이해는 자연스럽게 공리주의 비판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었는데, 롤즈(J. Rawls) 등 많은 정치철학자가 공리주의를 죄 없는 사람을 처벌하는 것을 정당하게 취급하는 사상으로 이해한 것은 그 때문이다. 현대 형사법 영역에서도 이런 논의를 수용해 국가형벌권의 정당화 문제에서 공리주의를 근거가 취약한 이론으로 가르쳐 왔다. 국내에 소개된 레이시(N. Lacey)의 견해도 그런 경향을 대표한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관 사례의 창작과 전승을 설명하는 한편, 벤담(J. Bentham)이나 밀(J.S. Mill) 등 고전 공리주의자가 공리주의를 창안할 때 정의와 공리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했는지 설명했다. 벤담은 물론 밀에게 정의는 공리의 원천을 이루는 것이지 공리를 위해 포기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벤담의 공리주의는 죄 없는 사람의 처벌을 정당화하지 않으며, 밀은 공리의 원리가 부정의한 조치를 정당화한다는 논지에 대해 분명하게 반대했다. 결론으로 본 논문은 공리주의가 주장하는 바는 효용이 정의보다 상위 개념이라는 것, 따라서 효용을 위해 정의에 대한 통념이 포기되어야 할 때도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사람들이 공리주의에 대해 쉽게 오해하는데, 공리주의는 정의를 위한 조치라 해도 사회적 비효용을 초래한다면 바로 그런 비효율을 개선하자는 이론, 즉 맹목적인 정의에 의해 초래되는 비효율이 있고 이것이 정의를 왜곡한다는 사실을 지적하며 그런 비효율을 제거하자는 것이지 공리를 위해 정의를 포기할 수 있다고 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구체적인 사안을 떠나 공리주의가 기본원칙으로서 어느 경우이든 예외 없이 효용이 증대된다면 부정의한 선택을 정당화하는 논리처럼 여기는 것은 잘못이라고 주장했다. In legitimizing the states power to punish criminals, many theories, including retributivism and utilitarianism, are competing. However, Utilitarianism has been suffering from unjust criticism for a long time. That is, utilitarianism accepts punishing innocent people as justifiable if such an act can maximize the goods of society as a whole, and this is a fatal weakness of the theory. Fortunately, with the efforts of R.M. Hare and F. Rosen, they found that this criticism of utilitarianism was a misreading or a severe distortion. This paper accepted their views and examined the process of misreading and distorting utilitarianism. In 1957, H. J. McCloskey invented a fictional case of a Sheriff to criticize utilitarianism. Since then, McCloskeys famous case became a criterion for understanding utilitarianism, and as a result, anyone who is told utilitarianism in the shadow of McCloskey naturally rejects utilitarianism. Many political philosophers have treated utilitarianism as a theory, tolerating and justifying punishing innocent people for social utilities. Even modern debates on the legitimacy of criminal systems have received this understanding to teach how vulnerable utilitarianism is. N. Lacey introduced by several researchers in Korea, also represents this trend. This paper explains the origin and transmission of McCloskeys sheriff case first, and how classical utilitarians such as J. Bentham and J.S. Mill understood the relation between justice and the principle of utility. For Bentham and Mill, Justice means the principal source of social utility. Benthams Utilitarianism does not justify the punishment of innocent people, and Mill opposed the argument that the principle of Utility justifies unjust actions.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utility is a higher concept than justice, so there are times when conventional wisdom must be abandoned for utility in distributing justice. Many misunderstand utilitarianism right here. Utilitarianism means that if a measure for justice results in considerable social inefficiency, to blind such inefficiency as a usual matter of justice can not be tolerable. Therefore, it is a big mistake to regard utilitarianism as a theory that justifies every unjust measure if it increases utility without exception as a principle.

      • KCI등재

        J. S. 밀의 공리주의에 대한 다수준 제재 행위공리주의적 해석

        류지한 ( Lyou¸ Jiha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0 倫理硏究 Vol.131 No.1

        밀의 공리주의 도덕 이론은 완전 행위공리주의도 아니고, 완전 규칙공리주의도 아니다. 또한 완전 다수준공리주의도 아니고, 순수한 제재공리주의도 아니다. 밀의 공리주의는 의사결정 이론의 측면에서 다수준 이론이며, 옳음 이론의 측면에서도 삶의 기술 이론으로서 공리주의(공리주의 좋음 이론)의 토대 위에 도덕 이론으로서 공리주의(공리주의 옳음 이론)를 세우는 토대-상부구조의 중층 구조를 가진 이론이다. 그래서 밀은 삶의 기술의 영역-일반적 기준인 최대행복 기준과 도덕의 영역-특수적 기준인 제재 적절성 기준을 결합하여 ‘최대행복-제재 행위공리주의’를 도덕의 기준으로 제시한다. 이렇게 해서 밀의 도덕 이론으로서 공리주의는 ‘다수준 최대행복-제재 행위공리주의’의 특징을 지닌다. ‘다수준 제재 행위공리주의’는 밀의 공리주의에 대한 가장 정합적이고 일관된 해석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다수준 제재 행위공리주의’는 제재적절성 기준을 도덕의 기준으로 도입함으로써 벤담 식 공리주의의 최대 도덕화 경향에 대해 경고하고 제재로부터 자유로운 삶의 영역을 확대·보호하는 최소 도덕을 지향한다. Mill's utilitarian moral theory is neither full act utilitarianism nor full rule utilitarianism. It is also neither full multi-level utilitarianism, nor pure sanction utilitarianism. Mill's utilitarianism accepts a multi-level decision-making theory, and also in terms of right-making theory, it is a theory of morality with a multi-level structure(basis-superstructure) which establishes utilitarianism as a moral theory on the foundation of utilitarianism as the theory of ‘Art of Life’. So combining the standard of the greatest happiness, namely the domain-general standard in ‘Art of Life’, and the standard of sanction suitability, namely the domain-specific standard of morality, Mill proposes ‘the greatest happiness-sanction act utilitarianism’ as the standard of morality. In this way, Mill’s utilitarianism as a moral theory is characterized by ‘multi-level the greatest happiness-sanction utilitarianism’. This ‘multi-level sanction act utilitarianism’ provides the most coherent and consistent interpretation of Mill's utilitarianism. In addition, by introducing the sanction's appropriateness standard as a moral standard, ‘multi-level sanction act utilitarianism’ serves to warn the maximal moralization trend of Benthamite utilitarianism, and to support ‘minimal morality’ to expand and protect the sphere of life free from sanctions.

      • KCI등재

        밀의 공리주의에서 “부차적 원리(secondary principles)”의 해석문제(1)

        허남결 ( Nam Kyol Heo )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7 No.1

        전통적으로 공리주의는 크게 두 가지 비판 즉, ‘행위의 결과를 계산할 시간이없다는 문제(the no-time-to-calculate problem)’와 ‘미래의 결과를 예측하기 힘들다는 문제(the future-consequence-are-hard-to-forsee problem)’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그것은 공리주의 이론이 숙명처럼 안고 있는 근본적인 한계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공리주의자와 반-공리주의자들 사이의 논쟁은 대부분 이 문제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비판과 반론 다시 재반박으로 이어지는 지루한 논리싸움의 연속이다. 이 논문은 밀(J. S. Mill)이 관습도덕의 일종인 ‘부차적 원리(secondary principles)’란 개념을 통해 위의 비판들에 대응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소개해 본것이다. 여기서 논자는 브링크(David O. Brink)와 크리스프(Roger Crisp)의 견해를 재구성하는 방식을 통해 밀의 공리주의를 보다 입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브링크의 말을 빌리면 밀의 공리주의는 “심사숙고한 흔적이 보이지만 일관성을 갖추는 데는 실패한 행위공리주의(considered, but not consistent, act utilitarianism)”였다. 논자도 표현은 다르지만 큰 맥락에서 그의 평가에 동의한다. 논자가 보기에 밀의 공리주의는 형식은 불완전했지만 내용은 완전주의에 가까운, 따뜻한 휴머니즘이었다. 밀이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관습도덕(customary morality), 즉 부차적 원리들의 준수를 강조한 것은 우선 가능한 일부터 하나씩 실천하면서 조금이라도 더 최대행복의 집(공리주의의 궁극적 목적)에 가깝게 도달하자는 공리주의적 제안이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밀은 현실주의자이면서도 이상주의자였다. 여기서 밀의 공리주의는 이론적 비판과 함께 실천적 희망을 동시에 함축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 미진한 부분은 기회가 주어지는 대로 같은 문제를 규칙공리주의(rule utilitarianism)의 입장에서 다시 한 번 더 검토한 다음 수정, 보완할 계획임을 미리 밝혀 둔다. Traditionally, Utilitarianism could not be free from two criticism, which are "the no-time-to-calculate problem" and "the future-consequence-are-hard-to-forsee problem". It is a fundamental limitations that utilitarianism are having as fate. Controversies between the utilitarian and anti-utilitarian are a continuous battles of boring logics which have been criticism, rebuttal and surrebuttal. This paper introduced the course of arguments briefly that corresponds to the criticism of the above through the concept of Secondary Principles as one of the customary morality from J. S. Mill. On this study, the author analyzed various aspects of Mill’s Utilitarianism through reorganizing the thought of David O. Brink and Roger Crisp. In the words of Blink, Mill``s Utilitarianism is the one that "considered, but not consistent, act utilitarianism". The author agrees with his assessment in the large context even though the expression is little bit different. Thinking personally, Mill’s Utilitarianism was incomplete, but it was warm humanism.What Mill emphasized on customary morality namely, compliance with the secondary principles that everyone can agree was thought to be utilitarian suggestions, which first of all tried to reach to the Home of the Greatest Happiness (The ultimate goal of utilitarianism) while practicing one by one from the possible work. In this sense, Mill is both a realist and an idealist. In this point, Mill``s Utilitarianism was implied both theoretical criticism and practical hope at the same time. Next time I will try to organize again the same problem from the standpoint of Rule-Utilitarianism.Traditionally, Utilitarianism could not be free from two criticism, which are "the no-time-to-calculate problem" and "the future-consequence-are-hard-to-forsee problem". It is a fundamental limitations that utilitarianism are having as fate. Controversies between the utilitarian and anti-utilitarian are a continuous battles of boring logics which have been criticism, rebuttal and surrebuttal. This paper introduced the course of arguments briefly that corresponds to the criticism of the above through the concept of Secondary Principles as one of the customary morality from J. S. Mill.

      • KCI등재

        두 수준의 공리주의 정당화 논변

        강문석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硏究 Vol.- No.78

        This study deals with R. M. Hare’s non-descriptive ethics that pursues rationality in moral judgement and moral thinking. After he discussed the transition from universal prescriptivity to utilitarian reasoning, his ethics that pursues rationality of moral reasoning through logic and facts develops the two-level-theory in order to justify utilitarian reasoning. If his two- level-theory can be coherently consistent of utilitarian moral thinking system, it must show that act-utilitarianism and rule-utilitarianism within the two- level can be extensively compatible and accord substantially. For it, this study discusses as follows. Firstly, I'll examine the merit of act-utilitarianism and its limitation, subsequently the merit of rule- utilitarianism which comes out in order to supplement the weakness of act-utilitarianism and its limitation. Secondly, I'll inquire the core of argumentation that Hare establishes the two-level utilitarianism to preserve the merit of act-utilitarianism and rule-utilitarianism respectively, then I’ll reveal the idea that act-utilitarianism and rule-utilitarianism within the system of universal prescriptivism can be logically compatible. Finally, by clarifying logical difference in universality and generality, I’ll maintain that the two-level utilitarian moral thinking which act-utilitarianism and rule-utilitarianism coincides substantially can be developed. 본 연구는 도덕판단과 도덕사유의 합리성을 추구한 헤어(Hare, R. M.)의 비기술주의 윤리학을 다룬다. 논리와 사실에 의한 도덕추론의 합리성을 추구한 헤어의 윤리학은, 보편적 처방으로부터 공리주의 추론으로의 이행을 논의한 후, 공리주의 추론의 정당화를 위해 도덕사유의 두 수준론을 전개한다. 그런데 두 수준론이 전일적인 일관성 있는 공리주의적 도덕사유 체계이기 위해선 두 수준 내 행위공리주의와 규칙공리주의가 외연적으로 양립하고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느냐를 보여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행위공리주의의 장점과 그 문제점, 그리고 행위공리주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규칙공리주의의 장점과 그 한계를 검토한다. 그런 다음, 행위공리주의와 규칙공리주의 각각의 장점을 유지하는 두 수준의 공리주의를 헤어가 정초해가는 핵심 논변을 고찰하여 보편적 처방주의 체계 내에서 행위공리주의와 규칙공리주의는 논리적으로 양립할 수 있음을 드러낸다. 그리하여 보편성과 일반성의 논리적 차이를 명확히 한 후, 행위공리주의와 규칙공리주의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두 수준의 공리주의적 도덕사유론이 전개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A. K. 센의 공리주의 비판: 그 타당성과 한계

        류지한 한국윤리학회 2019 倫理硏究 Vol.127 No.1

        Sen criticizes utilitarianism on the basis of informational approach and capability approach. According to Sen, utilitarianism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consequentialism, welfarism, and sum-ranking. First, Sen criticizes that the consequentialism, one component of utilitarianism, is a narrow consequentialism that focuses only on the culminative outcome, and proposes comprehensive consequentialism as an alternative to it. However, it is not all forms of utilitarianism that take the form of narrow consequentialism. Both J. S. Mill’s utilitarianism and the contemporary utilitarianism can accept comprehensive consequentialism. Second, Sen criticizes that welfarism focuses only on the welfare achievement and ignores ethically significant information bases such as agency and freedom because it imposes informational constraints that allow us to accept only utility information of happiness and desire satisfaction as information foundation. However, even though welfare is recognized as an intrinsic value, ideal utilitarianism and J. S. Mill’s utilitarianism can include agency and freedom as components of welfare. Finally, Sen criticizes that the sum-ranking is likely to justify extreme inequality because it focuses solely on maximizing total utility and not on distribution or equality. But utilitarianism not only considers equality in the form of impartiality or universalizability, but also may not support the distribution of extreme inequality on the basis of the law of diminishing marginal utility. In conclusion, Sen's criticism of utilitarianism is valid for crude utilitarianism like Benthamite utilitarianism based on mental-states account of utility, but not for sophisticated utilitarianism like both ideal utilitarianism and J. S. Mill’s utilitarianism. 센은 정보 접근과 역량 접근에 기초해서 공리주의를 비판한다. 센에 의하면 공리주의는 결과주의, 후생주의, 합계순위 세 요소로 구성된다. 센은 결과주의가 최종 결과에만 관심을 집중하는 협소한 결과주의라고 비판하고, 그 대안으로 포괄적 결과주의를 제안한다. 그러나 모든 공리주의가 협소한 결과주의의 형식을 취하는 것은 아니다. 밀의 공리주의와 현대 공리주의는 포괄적 결과주의를 수용할 수 있다. 센은 후생주의가 행복감이나 욕구충족 같은 효용 정보만을 정보 토대로 인정하는 정보 제약을 가하며, 이 때문에 복지 성취에만 집중하고 행위주체성과 자유 같이 윤리적으로 중요한 정보 기반을 다루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이상공리주의와 밀의 공리주의는 복지만을 본래적 가치로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행위주체성과 자유를 복지의 구성요소로서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센은 합계순위가 효용 총합의 극대화에만 주목하고 분배나 평등에는 관심을 두지 않으며, 이 때문에 극심한 불평등을 정당화한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공리주의는 평등에 관심을 둘 뿐 아니라, 한계 효용 체감 법칙을 고려하여 분배하기 때문에 극심한 불평등 분배를 지지하지도 않는다. 결론적으로 센의 공리주의 비판은 심리상태 효용론에 기초한 단순한 공리주의에는 타당하지만, 세련된 공리주의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KCI등재후보

        극대화와 공리주의적 평등 개념

        강준호 대동철학회 2004 大同哲學 Vol.27 No.-

        공리주의는 좋음(선)을 옳음과 관계없이 설정하고 옳음을 좋음(선)의 극대화로 규정한다는 롤즈의 분석은 철학자들 사이에서 일반화된 분석이며, 공리주의자들조차 특별한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그런데 자신의 기본적인 정치윤리적 입장은 반공리주의적임에도 불구하고, 킴리카는 이러한 롤즈의 분석을 공리주의의 제일원칙에 대한 심각한 오해로 단정한다. 롤즈의 공리주의 비판의 핵심은 공리주의의 분배적 평등에 대한 무신경이다; 그리고 이러한 무신경은 그것의 목적론적 본성에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반하여 킴리카는 유력한 공리주의의 형태는 평등주의적이며, ‘옳음의 우선성’(the priority of right)에 기초하는 일종의 의무론으로 간주할 수 있다는 견해를 제안한다. 더 나아가서 그는 공리주의를 비롯한 모든 온전한 도덕론은 ‘평등주의적 지평’(egalitarian plateau)에서 출발한다고 역설한다. 따라서 공리주의의 제일원칙은 극대화가 아니라 ‘모든 사람을 하나로 고려하며 누구도 하나 이상으로 고려하지 않는다’는 벤담의 원칙이다. 공리의 극대화는 벤담의 원칙을 준수하여 모든 개인의 선호에 평등한 무게를 부여하려는 절차의 ‘부산물’(by-product)일 뿐이다. 더불어 킴리카는 평등주의적 공리주의는 개인내적 교환구조를 개인간의 교환구조로 전용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킴리카의 주장들을 정면으로 부정할 것이다. 첫째, 극대화는 단순히 벤담의 원칙을 준수하는 평등주의적 절차의 부산물이 아니라, 옳은 행위에 대한 실질적인 공리주의적 기준이다. 둘째, 롤즈를 비롯한 자유주의적 권리론자들이 비판하는 것처럼 공리주의는 개인내적 교환구조를 개인간의 교환구조로 전용한다. 극대화는 양자의 교환구조를 지배하는 제일원칙이다. 셋째, 공리주의에서 극대화 원칙과 벤담의 원칙은 불가분 하다. 이 마지막 주장은 킴리카와 롤즈의 논쟁이 가진 한계들을 지적하며, 공리주의적 평등 개념을 설명한다. 극대화 원칙은 롤즈가 주장하는 것처럼 순전히 집합적인 원칙이 아니며, 킴리카가 주장하는 것처럼 평등한 존중의 원칙과 분리대립되는 원칙도 아니다. John Rawls' analysis of classical utilitarianism in A Theory of Justice(1971) pertains to the question of how utilitarianism's teleological character, i.e., its defining what is right as that which maximizes the good, leads to indifference to distributive concerns. In utilitarianism as a teleological theory of ethics, the good is defined independently from the right or independent of any moral concepts and principles. In contrast to this, Rawls claims, a deontological theory is defined as "one that either does not specify the good independently from the right, or does not interpret the right as maximizing the good"(Rawls 1999 [1971], p. 26). This distinction has been widely accepted for a while without serious challenges. Recently Will Kymlicka has argued that Rawls' characterization of utilitarianism as a teleological theory of ethics is seriously mistaken; that it depends on an artificial reconstruction of utilitarianism. His substantial claim is that utilitarianism is one way of spelling out the notion of equal regard for persons, and thus that it is as deontological as any other non-utilitarian theories. According to his interpretation, utilitarianism embodie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treating people as equals by giving equal weight to each person's preferences, regardless of what they are preferences for. The principle of equality thus embodied provides a utilitarian basis for a fair social decision procedure. On this interpretation, maximization of utility is not the direct goal but "a by-product of a decision procedure that is intended to aggregate people's preferences fairly"(Kymlicka 1989, p. 25). In this paper I shall argue, against Kymlicka's interpretation, that utilitarianism is teleological in principle; that it is utterly pointless to deny that it is a goal-based theory at the substantive level. Maximization is not a by-product but a basic policy adopted to decide when one's sacrifice for another is justified. Utilitarianism does specify a notion of equality as impartiality at the fundamental level, as expressed in Bentham's dictum. However, commitment to equal regard at this fundamental level is not what distinguishes moral conceptions. What differentiate moral conceptions from one another are their moral principles at the substantive level which can actually tell us what we ought to do or what it is right for us to do. But Kymlicka misunderstands at which level Rawls' teleological/deontological distinction is supposed to work. It is supposed to work at the substantive level, not at the fundamental level of a moral conception. Kymlicka claims that all modern moral theorists accept that equal concern and respect is the fundamental moral principle. In a way, this claim expresses a truth. But it oversimplifies the matters involved, and contains serious misunderstandings about both Rawls and modern utilitarians.

      • KCI등재

        功利와 公利

        고봉진 한국법철학회 2023 법철학연구 Vol.26 No.2

        I think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of misunderstanding the core of utilitarianism because of the everyday meaning of the language that utility itself has if we do not consider “whose” utility it is. Utility is often misunderstood as synonymous with “efficiency,” and this misunderstanding is understandable in the everyday sense of the language. Many misunder- standings about utilitarianism originated here. If you ask again whose utility it is, the meaning of ‘utility’ is definitely different. The objective of utilitarianism, “freedom from pain and pleasure,” focuses on the majority rather than the individual. It is the sum of everyone’s happiness put together. In other words, utility means “social utility”. I think about what it would be like if the official name of utility was public interest. This goes against the setting of the names of the advocates of utilitarianism, but I think it will be a name that reflects the claims of the advocates of utilitarianism. Public interest means public interest. The public good is the promotion of public pleasure and the elimination of public pain. Since the enhancement of pleasure and the elimination of pain are called the enhancement of happiness, the enhancement of the public interest refers to the enhancement of public happiness. Utilitarians such as Bentham and Mill advocated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to solve the structure of ‘minority vs. majority’, and promoted policies to protect the oppressed majority from the minority. It is my opinion that the help of utilitarianism is needed to solve the problem of ‘minority vs. majority’ reproduced by today’s capitalism. Regarding the problem of ‘the (oppressive) majority versus the (oppressed) minority’, a different approach is required, not utilitarianism, which is not a contra- diction in my utilitarianism. ‘Utilitarianism’ that seeks to solve multiple problems is by no means exclusive. It goes hand in hand with a theory that solves a small number of problems. Mill said that his theory has ‘multifacetedness’. Solutions are different for each problem area, but one theory cannot be correct in all areas. A solution in one area may be a wrong solution in another. Policies for the majority and policies for the minority can and should coexist. Communism is linked to other theories in relation to securing minority human rights and diversity. 공리주의에 대한 오해는 공리주의자들이 주안점을 둔 ‘utility’와 ‘功利’가 진정으로 의미하는 바가 ‘public utility’와 ‘公利’라는 점을 도외시하고 ‘utility’와 ‘功利’를 일방적으로 해석한 데서 나온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공리주의적 개인주의’로 이해하는 입장, ‘총효용’으로 이해하는 입장, 전체를 위해 소수의 희생을 정당화한다는 주장을 살펴보았다. 필자는 “누구의” utility인가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utility 자체가 가지고 있는 언어의 일상적인 의미 때문에 공리주의의 핵심을 잘못 짚을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본다. utility는 ‘효율성’과 같은 뜻으로 오해되며, 이는 언어의 일상적인 의미에서 볼 때 그런 오해가 이해될 만하다. 공리주의에 대한 숱한 오해가 여기에서 비롯됐다. 누구의 효용인가를 다시 물어보면, ‘효용’의 뜻은 확실히 달리 다가온다. 공리주의의 목적인 “고통으로부터의 자유와 쾌락”이 중점을 두는 것은 개인보다는 다수의 사람이다. 모든 사람의 행복을 한데 합친 총량이다. 즉 효용(utility)은 “사회적 효용(social utility)”을 뜻한다. 필자는 공리의 정식 명칭을 公利로 하면 어떨까 생각해 본다. 이는 공리주의 주창자들의 명칭 설정에는 어긋나지만, 공리주의 주창자들이 주장하는 내용을 반영한 명칭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 公利는 공공의 이익을 뜻한다. 공공의 이익은 공공의 쾌락 증진과 공공의 고통 제거를 말한다. 쾌락 증진과 고통 제거를 합하여 행복 증진이라고 하기에, 공공의 이익 증진은 공공의 행복 증진을 말한다. 벤담, 밀 등 공리주의자들은 ‘소수 對 다수’의 구조를 해결하기 위해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주창하면서, 소수로부터 억압받는 다수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했다. 오늘날 자본주의에 의해 다시 재현된 ‘소수 對 다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공리주의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억압하는) 다수 對 (억압받는) 소수’의 문제에 대해서는 공리주의가 아닌 다른 접근을 요구하는데, 이는 필자의 공리주의에서는 모순되는 주장이 아니다. 다수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공리주의’는 결코 배타적이지 않다. 소수의 문제를 해결하는 이론과 병행한다. 밀은 자신의 이론이 ‘다면성(多面性)’을 가진다고 했다. 문제 영역에 따른 해결 방안이 다를 뿐이지, 하나의 이론이 모든 영역에서 옳을 순 없다. 한 영역에서 해결책이 다른 영역에서는 잘못된 해법이 되기도 한다. 다수를 위한 정책과 소수를 위한 정책은 공존할 수 있고, 공존하여야 한다. 公利主義는 소수자 인권 및 다양성 확보와 관련해 다른 이론과 연결된다.

      • KCI등재

        밀의 공리주의와 덕 윤리학

        맹주만(Jooman Maeng),김은미(Eunmi Kim)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1 철학탐구 Vol.30 No.-

        이 글은 기본적으로 덕 윤리학의 도전에 대한 공리주의적 대응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특히 공리주의에 가해진 덕 윤리학의 비판들이 밀의 경우에는 적중하기 힘들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로 밀의 공리주의는 덕 윤리학의 비판처럼 도덕성의 기준으로서 행위자 자신의 행복이 아니라 관계된 모든 사람의 행복이라는 공리주의적 원칙을 철저히 고수하는 이론이면서도, 또한 덕 윤리학의 비판과는 반대로 그리고 덕 윤리학의 주장에 가깝게 한 개인의 덕과 성품을 행복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나아가 공리주의를 실패한 이론이라 비판하면서도 덕 윤리학 자신은 정작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도덕성의 객관적 척도를 여전히 견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밀의 공리주의는 덕 윤리학 보다 우월한 이론이라고 주장한다. 이 글은 이런 해석을 통해서 밀의 공리주의를 종래와 같은 질적 쾌락주의나 질적 공리주의 또는 규칙 공리주의로 해석하는 방식을 넘어서 덕 공리주의(virtue utilitarianism)로 규정하고 그 성격과 특징을 규명하려고 시도한다. This paper basically takes aim at interpreting Mill"s utilitarianism as a virtue-utilitarianism, including utilitarian response to contemporary virtue ethics. Critics who consider virtue ethics as agent-centered ethics criticize utilitarianism based on the belief that an action is morally right if it benefits the majority of people cannot be agent-centered ethics. According to virtue ethics, the basic principles of utilitarianism are agency-centered ethics. But I think that Mill"s utilitarianism is not so. Mill adheres strictly to the principles of utilitarianism: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consequentialism, teleological theory of ethics, principle of utility. But most of all, it is significant to note that virtue is very highly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part of happiness. Furthermore, he identifies virtue with happiness,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gent"s character. Therefore through these interpretations it is justified that Mill"s utilitarianism is named virtue utilitarianism, including way understood under the style of qualitative hedonism and qualitative or rule utilitarianism.

      • KCI등재

        헤어와 공리주의

        이대희(Lee, Dae-Hee)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5 No.1

        헤어는 그의 보편적 규정주의와 공리주의 사이의 접합점을 입증하고 싶어 한다. 그는 보편적 규정주의가 공리주의를 위한 하나의 형식적 토대를 제공하며, 다음과 같은 의미에서 공리주의에로 인도한다고 주장한다. 즉도덕판단의 특성인 ‘보편화가능성’은, 우리의 도덕판단에 있어서, 관련된 모든 당사자들을 고려에 넣을 것을 요구하고, 그리고 ‘규정성’은 관련된 모든 당사자들의 욕구를 고려에 넣을 것을 우리에게 요구한다. 따라서 보편적 규정주의자가 됨은 공리주의자가 되는 것이다. 즉 그것은 만족을 극대화하는 행동을 도덕적으로 시인하는 것이다. 헤어는 도덕적 사유의 ‘이중 단계설’을 주장한다. 그리고 ‘비판적 사유’를 보편적 규정주의의 논리적 장치로 삼는다. 헤어는 보편적 규정주의의 논리장치는, 우리가 도덕판단을 내림에 있어서 말하고 있는 바를 이해한다면, (어떤 실체적인 도덕적 직관에 의존함이 없이) 비판적 사유를 통하여 신중한 행위공리주의가 내리는 판단과 동일한 판단에 이르게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헤어는 모든 도덕적 갈등상황에 대한 해결책을 신중한 행위공리주의에서 발견하고자 한다. 헤어는 행위공리주의와 규칙공리주의에 대한 많은 논쟁이 비판적 사유와 직관적 사유의 차이를 무시한 채 진행되어왔으며, 일단 사유의 단계가 구별되기만 하면, 두 가지 형태의 공리주의가 가진 장점을 결합하는 새로운 형태의 공리주의의가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R. M. Hare"s universal prescriptivism and utilitarianism. Hare wishes to establish “a point of contact” between his universal prescriptivism and utilitarianism. He claims that universal prescriptivism provides a formal foundation for utilitarianism, and leads to utilitarianism in the following sense. Universalizability, in our moral judgments, requires us to take account of all the affected parties. Prescriptivity requires us, in our moral judgments, to take account of the wants of all the affected parties. To be a universal prescriptivist is, therefore, to be a utilitarian : it is to approve morally of that which maximizes satisfactions. Hare provides the theory of two levels of moral thinking. He uses the critical thinking as the logical apparatus of universal prescriptivism. He says that the logical apparatus of universal prescriptivism, if we understand what we are saying when we make moral judgements, will lead us in critical thinking (without relying on any substantial moral intuitions) to make judgements which are the same as a careful act-utilitarian would make. Thus Hare seeks to find solutions in the cases of moral conflicts by careful actutilitarianism. He says that much of the controversy act-utilitarianism and ruleutilitarianism has been conducted in terms which ign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ritical and intuitive levels of moral thinking. Once the levels are distinguished, a form of utilitarianism becomes available which combines the merits of both varietis.

      • KCI우수등재

        공리주의적 관점에 기초한 형법관의 이해

        김혜경(Kim, Hye-Kyung) 한국형사법학회 2018 형사법연구 Vol.30 No.1

        공리주의적 관점의 궁극적인 목적은 행복이라는 점에서, 공리주의는 매우 명료하면서도 국가 또는 사회의 어느 영역에서든 수용가능성이 높다. 형법도 예외는 아니어서 공리주의적 관점을 통해 조망한 형법관 또는 형법의 목적은 사회 전체의 행복이다. 그러므로 공리주의적 형법목적은 행복의 행간의 의미를 어떻게 읽고 이해할 것인가의 문제로 귀결된다. 구체적으로 벤담의 양적 공리주의의 측면에서는 사회의 법적 안정감 회복을 위하여 형법체계 내에서 무고한 자의 희생이 정당화되거나 중형주의화의 우려가 있다. 반면 밀의 규칙공리주의 입장에서 세워진 준칙을 준수하는 것이 비록 개인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전체에 이익이 되는 규범이라면 이를 준수하는 것이 고귀한 인간의 선택이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는 점으로부터 형법의 역할을 찾을 수 있다. 특히 개인의 자유권에 대한 국가의 개입을 최소화하거나 국가형벌권의 발동을 저지하고자 하는 그의 입장으로부터 형법의 엄중성을 읽어낼 수 있다. 또한 헤어의 두 수준 공리주의로부터 비판적 사유가 도덕적 신념에 의한 선택을 어떻게 직관적 수준으로 연결되어지는지의 문제를 통해 특정 상황에서의 도덕적 신념에 따른 행위가 형법으로 승인되는 과정을 확인할 있다. 이와 같은 점에서 공리주의는 여전히 우리 형법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닌가 한다. 다음으로 수량화된 행복이 내포하는 위험성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따라서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양적으로 접근한다면 그것은 개인의 안전이나 행복이 될 수 없다. 행복의 총합은 그 사회구성원 개개인을 표현하는 지표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질적인 면에서의 규칙공리주의는 이성적이고 준법의식이 함양된 수범자를 전제로 한 행복을 지향한다. 그러나 여기에서 이상적 수범자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이상과 현실사이의 간극이 또 하나의 과제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중한 공리주의를 통해 추론할 수 있는 형법관 및 형법체계 의 이해는 나름의 의미가 있다. 특히 밀은 정의가 행복 달성을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고 보지 않고, 정의가 공리의 주요 덕목이라고 보면서 도덕법칙이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인간복지에 직접적으로 결부되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선호 수뿐만 아니라 선호 정도 내지 선호의 질을 고려하여 선택된 규칙은 일반인들에 대한 행위선택 규범으로서 큰 의미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밀이 언급한 바와 같이 형법이 언제나 정의로운 것은 아니다. 법은 부정의 할 수 있다. 그러나 형법이 당대의 가치관을 토대로 동태적으로 변화한다는 점에서는 정의와 유사성이 있다. 즉, 형법과 정의는 서로 동일한 개념은 아니지만, 그 방향성과 역동성은 같다. 형법과 정의의 서로 같은 방향성은 형법이 정의를 얼마나 담아낼 수 있겠는가라는 과제를 부여하게 된다. Utilitarianism is an ethical theory which mentions what is best action selected. And that means the action which maximizes utility. Utility is defined in various ways, usually in terms of the well-being of sentient entities. The aim of this paper is analysis between utilitism and purpose of criminal law because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criminal law pursues safety and well-being or happiness of society. So if the meaning of well-being or happiness of society can be obvious, purpose of criminal law would be more clear, too. Bentham as known as the founder of utilitarian insisted utility as the sum of all pleasure that results from an action, minus the suffering of anyone involved in the action, as it is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 But as his theory, innocent people can be committed for social safety. Mill s view is that utility is the consequence of a good action. Utility, within the context of utilitarianism, refers to people performing actions for social utility. Hare demonstrated in terms of his own theory of two-level utilitarianism. The rights have normative force in intuitive level, but not in critical level. Therefore there is no incoherence between utilitarianism and the rights in intuitive level. But the normative force of the rights is overridden by utilitarianism in critical level. he figured out relation of two-level utilitarianism. And two-level utilitarianism can be applied that selected action in critical level is able to be norm through moral belief. By research of relation between the well-being or happiness of society and purpose of criminal law can be helpful in understanding of direction of criminal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