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미지역 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 논의와 비판적 독해

        이경래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 active discussion in North America about the issue of community archives governance which mainly focused on ‘participatory archives’ model and from it, draws implications for the present stage of domestic community archives development. Traditionally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local community archives have been built mostly by mainstream cultural institutions such as public archives, public libraries, museums, and historical societies as a part of comprehensive documentation of the society at large. At the same time, they have been processed and managed in accordance with the institution’s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As a result, most community archives in North America are characterized as top-down community archives model (in contrast with down-up model of ‘independent’ community archives as a part of grass roots movement in the UK). Recently, the community archives in North America with these characteristics try to overcome their limitations, which result in ‘the others’ of community archives, through governance, that is, community-institution partnership. Participatory archives model which assumes active community participation in all archives processes is being suggested by archival communities as the effective alternative of governance model of top-down community archives. This discussion of community archives governance suggests progressive direction for the present stage of domestic community archives, which has been built mostly by various mainstream cultural institutions and still has been stayed in ‘about the community’ stage. Particularly, community outreach strategies that participatory archives model concretely suggests are useful as a conceptual framework in building community archives based on community-institution partnership in reality. 이 글은 미국과 캐나다의 북미 국가들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참여 아카이브(participatory archives)’를 중심으로 한 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 논의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국내 공동체 아카이브의 발전에 긍정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글은 북미에서의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주요 특징들, 즉 추진 주체로서 주류 문화기관, 수집기관 중심의 아카이브 정리 및 기술, 그리고, 평가 주체로서 아키비스트의 역할론을 제시함으로써, 이들 국가들이 역사적으로 관 주도형 하향식 모델을 지배적 아카이브 시스템으로 채택하고 있음을 재차 확인한다. 이 때문에 하향식 모델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민·관의 협치에 기반하여 아카이빙 전 과정에 공동체 참여를 적극적으로 독려하는, 북미 국가들이 최근 시도하고 있는 참여 아카이브의 제안을 살핀다. 결론에서는, 북미 거버넌스 논의의 비판적 독해를 통해 한국적 함의를 살핀다. 즉 국가기록원을 비롯해 다양한 주류 문화기관들이 추진 주체가 되어 구축해 왔던 대부분의 공동체 아카이브가 여전히 관주도의 ‘공동체에 관한(about the community)’ 기록에 머물러 있는 우리 상황에서, 북미 참여 아카이브에서 보여지는 타자화된 공동체 기억을 복원하려는 논의는 국내 공동체 아카이브가 재활력을 얻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고 판단한다.

      • KCI등재

        영국 공동체 아카이브 운동의 전개와 실천적 함의

        이경래,이광석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tage of community archives movement in the UK. By doing so, it draws some implications of the UK case for the community archives movement in Korea. The UK’s ‘Independent’ community archives as a part of grassroots movement are characterized by participation, autonomy, and self-help of community members. Along with the appearance of the concept of ‘community’, the UK has experienced the revitalization period of community archives in the social context of community-based urban regeneration project. Recently, the UK’s community archives have transformed themselves into building a ‘governance model’ relying on the partnership with mainstream archives. In particular, the UK model of community archives is based ‘on their own ways’ with their autonomy as a product of intrinsic development initiated by communities themselves. The character of the model of this type is very analogous to the nature of maul’ community archives movement in Korea. Since the early 2000s, however, the UK model of community archives has been evolving into a way of building governance through their appropriation of the skills and methodologies from mainstream archives without endangering the autonomous essences of community archives themselves. We need to note the point of local researchers’ view in archival science who have tried to seek out the methodology for building maul community archives with regard to openness and collaboration. In this respect, a shift in archival principle in the UK would give significant implications in regenerating the locally based community model. 이 논문은 공동체 아카이브가 가장 활발하게 구축되고 있는 영국의 공동체 아카이브 운동의 현 단계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국내 공동체 아카이브 발전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국의 ‘독립’ 공동체 아카이브는 풀뿌리운동의 일환으로서 공동체 구성원의 아래로부터의 참여, 자율적 통제, 내적 소유권이 요체라 볼 수 있다. 영국은 역사적으로 1960년대에 등장한 공동체 개념으로 시작해 최근 도시재생프로젝트를 거치며 공동체 아카이브가 활성화되는 시기들을 지났다. 최근에는 주류 아카이브 등 공적 영역과의 파트너십에 의해 공동체 아카이브가 거버넌스(협치) 단계에 이르고 있다. 무엇보다 영국형 공동체 아카이브는, 공동체의 내재적 발전의 산물이며 자율적 통제에 기반하여 ‘그들만의 방식’으로 아카이브를 구축해왔다. 이러한 영국형 공동체 아카이브의 성격은 최근 국내 ‘마을’ 공동체 아카이브 운동과 그 기본적 성격 면에서 많이 닮아 있다. 하지만 영국형 아카이브 모델은, 주류 아카이브에 포획되거나 주도되는 방식이 아니라 공동체 아카이브의 자율성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공적 영역의 노하우를 끌어들이며 거버넌스(협치)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개방과 협업의 공동체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방법론 모색이 절실한 국내 기록학계에 영국의 최근 변화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공동체아카이브, 몇 가지 단상

        이영남 한국기록학회 2012 기록학연구 Vol.0 No.31

        This paper considers some possibilities of community archives by exploring the concepts ans meanings of archival description. The author deals with two interesting cases -Herstory Writers Workshop Collection of Stony Brook University in New York and Poolmoo Collection of Poomoo Agricultural School in Korea. The author argues that archivists should know the specifications of Community Archives related to National Archives when they organizing and preserving records and archives of community archives. 이 글에서는 공동체 아카이브 컬렉션의 두 사례를 비교하면서 공동체 아카이브의 의미를 짚어보았다. 살펴본 사례는 외국의 경우에는 미국 뉴욕 Herstory Collection(Stony Brook Univ.)이고, 한국의 경우에는 풀무학교 전공부(충남 홍성군 홍동면 소재)의 개교 10주년 컬렉션이었다. 전자는 뉴욕 주립대학인 스토니 브룩 대학에서 지역단체인 Herstory Writers Workshop의 기록을 기증 받아 정리한 컬렉션이고, 후자는 풀무학교 전공부에서 개교 10주년을 맞아 수집한 기록과 10년 동안 자체적으로 보유하던 기록을 모아 정리한 컬렉션이다. 뉴욕 허스토리 컬렉션은 전문 아키비스트가 국제표준인 ISAD(G)에 따라 정리하고 기술한 것이다. 허스토리 컬렉션은 ‘지역기반+소수자 기반’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측면은 우리가 공동체 아카이브의 의미를 말할 때 주요하게 지적되어 로컬리티 다큐멘테이션과 소수자의 기억과 정체성의 측면을 동시에 포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겠다. 또한 허스토리 컬렉션은 ‘대학 + 지역단체 공동 아카이브’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대학과 지역단체가 서로 협력해서 공동으로 아카이브를 운영한다는 점에서 한국 대학 아카이브에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 같다. 왜냐하면 대학은 자신이 속해 있는 지역에 자체적으로 기록관리를 할 수 없는 소규모 공동체를 아카이빙할 수 있고, 역으로 소중한 활동을 기록으로 남겨야 하나 여건이 되지 않는 소규모 공동체는 대학과 협력해서 자신의 기억을 아카이빙할 수 있기 때문이다. 풀무 전공부 10주년 컬렉션은 아마추어 아키비스트(풀무학교 전공부 재학생)가 국제표준에 따르지 않고 다소는 특이한 이야기 정리기술(Narrative Description) 방식으로 정리하고 기술한 것이다. 이야기 정리기술은 아직은 ‘기록 공동체’에 알려지지 않았거나 시도되지 않았던 방식이다. 그런데 풀무가 이렇게 할 수 있었던 것은 공동체 내부에 고유한 내러티브가 있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고유한 공동체 내러티브와 실제 기록물을 연결시켜 작업함으로써 이야기 정리기술은 공동체의 역사와 특성을 살린 기술방식이 될 수 있었다. 이런 점은 국제표준 적용방식과는 다른 맥락에서 주목할 만하다고 본다. 또한 풀무 컬렉션은 앞에서 지적했듯이, 전문 아키비스트가 아닌 공동체 내부의 구성원이 아마추어 아키비스트가 되어 만든 것이다. 이는 공동체 아카이브에서 제기될 수 있는 몇 가지 문제―비용문제, 인류학적 맥락에서 삶과 아카이브의 유대성 문제, 공동체의 고유한 내러티브와 실제 아카이브의 연관성 문제 등―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본다. 국가 아카이브가 추구하는 것에 ‘국민의 역사적 정체성’이 들어가듯이, 공동체 아카이브도 ‘공동체성’을 추구해야 한다. 양자의 차이점이 있다면, 소규모 공동체의 경우 전문가-비전문가, 전문작업-일상생활 등의 격자에서 다소는 자유롭게 추구할 수 있다는 점이다. 풀무 컬렉션에서 내부 구성원이 이야기 정리기술이라는 새로운 정리기술 방법론을 만들어가면서 작업할 수 있었던 것도 이런 자유로움에서 유래할 것이다. 공동체 아카이브는 국가 아카이브와 다른 맥락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 모델 연구

        이경래 한국기록학회 2015 기록학연구 Vol.0 No.45

        Maeul-making, which is to restor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maeul as a living community has been proceeded by local communities themselves since the 1990s when political democracy and local government in Korean society has been progressed in full-scale. Although New Maeul Movement has been done in the 1970s before and after, it is different from maeul-making because it was focused mainly on improving physical environments of rural communities and initiated by government. The development of maeul community archives in Korea has been related closely to such a maeul-making since the 1990s. Maeul-based community archives, maeul community archives had been begun to build as part of maeul-making and grass-root movement by the 2000s. Initiated by self-motivated communities, maeul community archives were carried out through cooperations between civic activists and residents in maeul communities and voluntary professional archivists from outside. Although records about the maeul community has been collected by mainstream cultural institutions such as public archives, museum, local historical association, and local cultural center, it was at this time to collect records of the maeul community by self-motivated local residents. This tendency of ‘independent’ maeul community archives, however, is currently entering upon a new phase with the city of Seoul’s project (2012) to support making a maeul community, that is, the governance phase based on private-government partnership. At this point of time, it is important for maeul community archives to be built on privately-led governance model that guarantees their autonomy and at the same time bring government‘s knowhow and supports into them, as opposed to the way captured or driven unilaterally by government. This article explores the growth of maeul community archives and collections in Korean society through a range of self-motivated bodies; the interaction with government; and as a result of those interactions, the creation of maeul community archives based on governance. To introduce and explicate the motivations behind maeul archiving endeavors, this article will first sketch something of the historical,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in which ‘maeul’ communities have arisen, collapsed, and restored. It will then examine in more detail some specific examples of maeul community archives as grass-root movement of maeul community. The third section will attempt to identify the governance model of maeul community archives under the auspices of the city of Seoul and its limitations. Finally through these activities, it will suggest the ways in which maeul community archives commit themselves to their duty of grass-root movement of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secure sustainability, that is, concrete ways of privately initiated governance model. 이 논문은 국내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역사적 사례들을 통해 주민 주도형 마을아카이브 거버넌스 구축과 이의 지속성을확보하기 위한 기록학적 방안을 구체화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먼저 역사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마을과 마을공동체의 역사적 형성과 쇠락의 과정 속에서 자생적으로 출현했던 성미산과 풀무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출현을 살핀다. 본 연구는 풀뿌리 운동의 일환으로 구축된 이들 ‘독립’ 공동체 아카이브를마을 공동체의 내적 동인에 의해 추동된 자율적·자생적 산물로 바라본다. 반면 2000년대 접어들면서 이러한 독립 마을 공동체아카이브가 민·관 협업에 의해 새로운 공동체아카이브의발전 국면에 돌입했다고 본다. 이 글은 서울시가 마을아카이브 시범사업을 통해서 과거 중앙정부 주도의 전시행정적 컬렉션 구축을 넘어서서 마을주민 스스로 아카이브를 구축할 수있는 역량 강화에 일부 성공했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서울시의 거버넌스 모델은 궁극적으로 정책 사업화하면서 오히려 마을아카이브가 지니는 풀뿌리적 성격과 아카이브의 지속적 발전 개념을 확보하기에 여전히 한계가 있다고 보고 있다. 이 글은 실제 서울시 마을공동체 아카이브 시범사업에 대한 분석을통해 그 명암을 살펴보고,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발전적 대안을 마련한다.

      • KCI등재후보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평가 모형 탐색과 적용

        주용국(Joo, Yong-Koo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논총 Vol.40 No.-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평가 모형구안과 모형의 적용을 통한 산복도로 아카이브 평가와 개선방향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카이브 평가 모형은 아카이브 문헌자료와 마을 공동체 아카이브 사례에 기초하여 구안하였다. 산복도로 아카이브의 평가는 부산동구 아카이브 관련 문헌자료와 마을 아카이브의 시설과 웹페이지, 아카이브앱을 활용하였다. 개발된 평가모형은 기획, 수집 · 기록화, 활용, 평가 단계로 구분되어 있다. 기획단계는 정체성 구축과 자료의 범위 설정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집 · 기록화 단계에서는 아카이브 생산주체의 참여, 분류기준, 스토리텔링 요소 반영, 흥미성 · 교육성 · 다양성 · 접근성 · 사용편의성 · 유용성 · 추후사용의도의 반영 내용으로 구성되어있다. 활용단계에서는 Benjamin의 읽기와 성찰, 개인과 공동체의 성장이나 변화 방향성 설정과 실천 여부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가 단계에서는 기획단계, 수집 · 기록화 단계, 활용단계에 대한 평가와 아카이브 산출물에 대한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모형적용을 통한 산복도로 아카이브는 현재 설립에서 안정화로 이양되는 단계에 있다. 산복도로 아카이브의 발전 방향은 단순한 기록저장소가 아니라 인간 간의 관계 복원과 공동체 재생, 공동체의 발전에 대한 교류의 공간이자 기회이므로 인간 공동체 구성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an evaluation model of local community archives. To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analyses of archives literature and Sanbokdoro archives practices were conducted. The developed evaluation model is divided into 4 phases. The planning phase consists of archive identity construction and scope setting. The collection and documentation phase consists of producers participating in the archive, classification criteria, storytelling elements, interest, educationality, diversity, accessibility,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use. The utilization phase consists of Benjamin’s reading, reflection, plan and implementation of growth of individuals and community development. The assessment phase consists of the formative assessments of each phase and the summative assessments of the outcomes of the archiv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pplying the evaluation model, the future directions of Sanbokdoro archives should focus on not data reservoir but the opportunity for development of human communities.

      • KCI등재

        지역공동체 아카이브로서 아카이브 예술의 가능성 탐색 연구 : 경기아카이브 전시와 성북도큐멘타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서우석(SEO, U-Seok),김민재(KIM, Min Jae) 한국예술경영학회 2021 예술경영연구 Vol.- No.60

        세계적으로 아카이브를 둘러싼 큰 변화로 지역 공동체 아카이브의 등장과 아카이브예술의 확산을 볼 수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아카이브 예술이 지역 공동체 아카이브에 접목되는 경우들이 근래 국내에 늘고 있다. 이 연구는 아카이브 예술이 실제 지역공동체 아카이브로서 기능할 수 있는지와 기능한다면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경기 아카이브_지금,》(2018)과《성북도큐멘타》(2014∼2020)의 3∼5회(2016∼2018) 전시 사례를 분석하였다. 경기의 지역 정체성 강화를 목표에 둔 경기아카이브와 소실될 위험에 처한 한옥이나 상가아파트에대한 아카이빙 작업이 수행된 성북도큐멘타에서 나타난 아카이브 예술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아카이브 예술의 수행과 활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술가의 역할과 아카이빙 작업의 다양성을 파악하고, 지역의 정체성 구성 및 장소성 재발견의 전략과 효과를 살펴보았다. 아카이브 예술은 공동체 아카이브의 흐름을 확장하고 다양한 창작적 활용을 진작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지만, 지역공동체 아카이브로 기능함에 있어 기억의 보존체로서뿐만 아니라 새로운 지식과 담론 생산의 계기로 활용되기 위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Profound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archival landscape since the advent of community archives and the global spread of archival art. This trend can be seen in Korea where a noticeable growth in archival arts and local community archives can be observed. This study explores how archival arts in Korea function when they are specifically intended to play a role in local community archiving.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Gyeonggi archive_Now (2018)’ and ‘Seongbuk Documenta (2016-2018)’ exhibitions, which were both exemplary cases of archival arts exhibited in connection with local community archiv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Gyeonggi Archive, which was aimed at strengthening the local identity of Gyeonggi Province, as well as the analysis of Seongbuk Documenta, which focused on the loss of place that resulted from redevelopment projects in the area of Seongbuk-gu, this study identifies the multiple roles of artists in archiving work. This study also reveals the variety of archiving works that exist and illuminates the value that such initiatives have in constructing local identity and reviving a sense of place. In particular, this research shows that archival art has the potential to empower local community archives while also providing opportunities to boost artistic creation. Our research concludes by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promoting the right environment and conditions that are required for archival arts if they are to play a role not only in keeping records and memories but also in producing further knowledge and discourse in a local community.

      • KCI등재

        마을공동체 아카이브 활성화 방안

        손동유,이경준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5

        ‘Maeul’ is a concept connoting a community. As a place where ordinary people’s lives are planned and realized, Maeul is the foundation of their daily lives as well as a place where they work, rest and enjoy pastime activities. In Korea, however, most Maeul communities are dismantled while going though the modern period representing colonization and developmental dictatorship. Growth-oriente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urned into such adverse effects as individualization, a sense of loss and a sense of alienation. Recently, through innovations from below, Maeuls are restored, and through Maeul communities restored this way, every Maeul and many researchers carry out activities to build a healthy civil societ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uch a background. For a healthy restoration of Maeul communities and a sustainable operation of those communit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rchives where record the trace of Maeul members’ daily lives and relations between those members. The archive of Maeul communities is a place that contains each Maeul’s lo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human relations as well. It is because this place can be space where Maeul members can record their histor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make a better future. The archive of Maeul communities can be made into various different models, which can be operated by reflecting the identity of a community such as main agents and characteristics, objectives and orientation of objects recorded. Rather than when Maeul communities exist as individuals, they can display more important functions and better effect when they form a network. Therefore, it is needed to provide various and creative methodologie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government-led record management. Not only on the form of archives, but also all over their functions, such as collection, arrangement, classification, evalu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Maeul and Maeul residents’ norms, orientation and realistic conditions should be thoroughly reflected. Starting from a chance to look back at individuals’ lives, the archive of Maeul communities will be a new chapter to restore and build a healthy community in our society and overcome social contradictions from below. Moreover, the archive of Maeul communities has a great significance that it will broaden its prospect creatively with a new paradigm, not only mechanically turning the existing public sector-centered record management into a non-governmental sector. ‘마을’은 공동체를 내포하고 있는 개념이다. 마을은 평범한 사람들의 삶이 기획되고 실현되는 곳으로서 일하고 쉬 고 즐기는 장인 일상생활의 토대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식민지와 개발독재로 대변되는 근현대시기를 거치면서 마을공동체는 대부분 해체되었다. 성장위주의 산업화와 도시화는 개인주의, 상실감, 소외감 등으로 드러나게 되었다. 최근 들어 아래로부터의 변혁을 통하여 마을을 복원하고 이렇게 형성된 마을공동체를 통하여 건강한 시민사회를 형성해 나가자는 움직임이 각 마을과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출발하였다. 마을공동체의 건강한 복원과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서는 마을 구성원들의 일상적 삶의 흔적과 구성원 사이의 관계를 담는 아카이브가 필요하다. 마을공동체 아카이브는 사람과 사람관계는 물론이고 마을의 지역적 특성을 함께 담는 곳이기도 하다. 아카이브는 스스로의 역사를 기록하고, 서로 소통하며, 미래를 만들어가는 공간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을공동체 아카이브는 주체, 대상기록의 특성, 목적, 지향 등 공동체의 정체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모델로 만들어지고 운영될 수 있다. 개별 마을공동체 보다는 이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했을 때 더 중요한 기능과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주도의 기록관리와는 다른 다양하고도 창의적인 방법론이 필요하다. 이는 아카이브의 형태에서만 그런 것이 아니라, 아카이브의 기능면에서도 수집, 정리, 분류, 평가, 관리, 활용 등의 전 단계에 걸쳐 철저하게 마을과 마을주민들의 규범과 지향 그리고 현실적 조건이 반영되어야 한다. 마을공동체 아카이브는 개인의 삶을 돌아보는 것을 시작으로, 우리사회의 건강한 공동체 복원과 형성을 위하여, 그리고 사회적 모순에 대하여 아래로부터 극복하는 장이 될 것이다. 또한 기록관리 영역에서는 기존 공공영역 중심의 기록관리를 민간영역으로 기계적으로 전이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지고 창조적으로 지평을 넓혀나간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 KCI등재

        공동체에게 다가가기 : 공동체아카이브, 복수의 주체의 가능성 - 동탄 신도시 원주민 구술기록 수집을 사례로

        최정은 한국구술사학회 2017 구술사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최근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는 공동체아카이브에 대한 기록학계의 논의를 검토하고 인류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공동체에 대해 새롭게 접근할 것을 제안한다. ‘복원’의 대상으로서의 공동체라는 시각을 넘어 행위주체로서의 공동체에게다가가는 일종의 ‘태도’가 선행되어야 함을 주장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기록학계에서 다루었던 공동체아카이브의 논의와 접근방식의 조정을 필요로 한다. 2000년대 이후 지방지 작업에 있어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구술사의 발전과 궤를함께 한다. 구술사를 통해 지방사, 지역성에 접근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촉발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기술지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경기도 화성의 동탄 신도시원주민과의 구술을 토대로 지방지를 집필했던 경험을 사례로 제시한다. 이를 통해 외부자로서의 연구자 혹은 아키비스트가 내부자로서 공동체 구성원과 어떻게 만나고, 그들이 복수의 주체로서 어떻게 공동체 아카이브를 만들어 갈 것인지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scussion of community archives within the academia of archival studies and proposes a new approach to the community by applying anthropological research methodologies. A community should be considered beyond a target of ‘restoration’ and have a kind of ‘attitude’ towards it as a subject of action being preceded. This requires adjusting the existing discussion of and approach to community archives by the academia of archival studies. New trends appear in local papers since the 2000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oral history. Through oral history, efforts have been made to gain access to local and regional communities. This research shares the experience of writing for a local paper based on oral interviews with the natives of Tongtan New Town in Hwaseong, Gyeonggi Province, employing the ethnographic method. Ultimately, this research proposes how an archivist or researcher as an outsider meets with community members as an insider, and how they, as multiple subjects, create community archives.

      • KCI등재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윤은하 한국기록학회 2012 기록학연구 Vol.0 No.33

        This article will examine the community archive movement, exploring its roots, its variety and the present developments. It will identify limitations of archival principles in managing community records, particularly on the many gaps and insufficiencies for dealing with historically marginalized groups in the contemporary archival infrastructure. Introducing paradigm shift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archives, the author examines new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archival community on community archives. ‘공동체’, ‘아카이브’, ‘기억 공동체’, ‘사회적 기억’, ‘문화적 증거’ 등은 지난 10년간 북미 기록학계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들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다소 모호한 점이 없지는 않지만, 이 용어들이 유럽과 북미가 중심이 된 국제 기록학의 새로운 흐름을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있다. 다시 말해 그것들은 기록학의 연구 대상, 이론과 방법론, 의미와 가치, 나아가 인식론에 이르기까지 기록 관리와 연구의 핵심적인 문제들을 둘러싼 새로운 논의들을 함축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기록과 기록 관리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 제기를 하였고, 그 점에서 기록학계에 큰 전환점을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학문적 논의와 성립 배경에 대해 소개하며, 그 사회적 함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첫째, 공동체 아카이브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면서, 기존의 기록관리 방법론이 공동체 기록을 관리하는데 가지는 한계와 문제점을 지적했다. 둘째, 공동체의 정의와 특징에 대해 고찰하고 기록 관리의 대상이 되는 기록공동체의 범주와 특징에 대해 밝혔다. 셋째, 공동체 아카이브의 사회적 의미와 한국 사회에서의 함의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 KCI등재

        호주 원주민 공동체 아카이브와 ‘평행출처주의’의 현재적 의미

        이경래 한국기록학회 2014 기록학연구 Vol.0 No.4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formation process of “parallelprovenance” concept in the context of Australia’s aboriginal communityarchives development and draw its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rebuildingof domestic “past affairs-related committee archives”. Focused on historicaldevelopment of aboriginal community archives in Australia, this writingdivides its development into three periods: colonial archives, post-colonialarchives, and contemporary archives and investigates each period’s distinctfeatures in managing and building of aboriginal community archives. Firstof all, for colonial archives, it pays attention to Australia’s archival tradition,which focused on current record-keeping and then development ofmultiple provenance resulted from this tradition. Second, for post-colonialarchives, it examines the appearance of aboriginal people as the subject ofdocumentation category and name indexing on them. Finally, forcontemporary archives, it analyzes current activities of Australia’s academicworld of archival science for overcoming “the otherness” of aboriginalpeople through conceptualization of “parallel provenance”. Conclusively,through current meaning of parallel provenance, this study drawsimplications for democratic contemporary rebuilding of domestic pastaffairs-related committee archives, in which historical victims become the subject of archives. 본 논문은 호주의 원주민 공동체 아카이브 사례를 중심으로발전한 ‘평행 출처주의’의 형성 과정을 추적하고, 이것이 국내 과거사 아카이브의 기록화 과정에 어떤 함의를 가질 수 있는지를고찰했다. 이 글은 호주 원주민 공동체 아카이브의 역사적 발전을 중심에 놓고, 그 시기를 크게 식민주의 아카이브, 후기식민주의 아카이브, 그리고 동시대 아카이브로 구분했다. 각 국면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호주원주민 공동체 아카이브의 관리 및 구축방법에 있어서 고유한 특성들과 원주민 아카이브의 진화 과정을살폈다. 즉 식민주의 아카이브에서는 백인 관료들이 생산한 현용행정기록 중심의 아카이브 전통과 그로 인한 다중 출처주의의 발전에 주목했다. 후기 식민주의 아카이브에서는 기록화 범주로서호주원주민의 등장과 이들에 대한 인명 색인 작업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동시대 아카이브에서는 호주 원주민의 타자화를 극복하기 위한 호주 기록학계의 최근의 움직임을‘평행 출처주의’ 개념을 통해 살펴보았다. 결론에서는 이 개념의현재적 의의를 통해 그동안 역사에서 재현되지 못한 피해당사자들이 주체가 되는 국내 과거사아카이브의 민주적인 동시대적 재구성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