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Communal Discernment for Pastoral Leadership in Korean Church

        이주형 ( Joohyung Lee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7 대학과 선교 Vol.33 No.-

        본 소고는 한국교회의 목회 리더십의 부정적 형태를 형식주의적 권위주의로 설명하면서, 신앙공동체 내부의 갈등과 무기력의 원인임과 동시에 영적 리더십의 본질을 회복해야 할 대상으로 보았다. 한국개신교의 가장 영향력있는 신학자인 칼빈의 교회론과 최신 리더십 이론가들의 일관되며 공통된 통찰력을 통해, 교회는 역설적 공동체로서 그 본질에 부합하는 공동체 리더십을 지향해야 함을 주장한다. 공동체 분별 사역을 교회 리더십 형성에 필요한 영적 수련으로 소개하면서, 그 성경적 근거를 예루살렘의 공의회로 들고 있다 (행 15장). 이냐시오 전통에서 중요한 세 문서를 역사적 근거로 제시하며, 공동체 분별이 신앙 공동체의 리더십 형성과 건강한 사역에 필수적 요소라는 사실을 증명한다. 이에 근거하여, 공동체 분별 과정과 절차를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이 영적 수련이 한국 목회 현장에서 적용될 때, 중요하게 인식 되어야 할 세 가지 요소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는 영적 초연, 둘째는 과정으로서의 영성분별에 대한 영적 이해, 마지막으로는 권위에 대한 균형 잡힌 이해이다. The pastoral leadership style in Korean churches, which is characterized as formalistic authoritatianism, is claimed as the main reason to trigger inner conflict or discouragement as well as to lead into restoring the essence of the leadership formation. The illuminating insights of Calvin`s understanding of church and the contemporary ideas of leadership theory is playing a pivotal role in presenting the paradoxical nature of the faith community and leadership formation. The communal discernment is introduced within its biblical resources from the apostolic council of Jerusalem (Acts 15:1-35). The historical document about the communal discernment stemming from Ignatian tradition is explored as the historical heritage for complementary and transformative tool for pastoral leadership in Korean churches. At next, it deliberately articulates the details of the procedures and guides in practicing the communal discernment as spiritual practice in faith community context. At last, as practical implication in Korean pastoral context, it delineates the way in which the communal discernment could effectively be embodied as equipped with the authentic understanding of the spiritual indifference, its dynamic of process, and authority.

      • KCI등재

        언어에 의한 수행경험의 이론화

        안환기(Ahn, Hwan-ki)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3 No.-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e ground on which the experience of an individual practitioner, which was seemed to be subjective, was expressed by language and became to be a systemic Yogacara theory. For this, 1 analyzed post- Wittgenstein theory and applied it to Yogacara theory. Post-Wittgenstein theory shows that when personal object is expressed by the language that is compatible with the rules of community, it becomes a public one. I concluded that when the contents, which are observed during the state of samadhi, are rendered into the letter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ules of community , they become to be public objects. I also showed that the contents observed through practices became to be systemic theories by the action of common discrimination. In such a perspective, I clarifìed a point of commonness and difference between an ordinary person and bodhisattva by analyzing the change of mind. An ordinary person expresses his thought by language as a result of the division of vijnana by abhilapavasanabija. Bodhisattva also expresses his experience to other peoples by language. But the division of vijnana of Bodhisattva i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at of an ordinary person in that acquiring the Hudllgji (後得智, meaning wisdom attained later on), Bodhisattva awakes and recognizes the contents observed during the state of Mubunbyeolji (無分別智, meaning wisdom of nondiscrimination). Finally I clarifìed that there is similarity between an ordinary person and bodhisattva in that their cognitive processes are formed by the active division of vijnana. But there is also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that the division of vijnana of an ordinary person results from his desire whereas that of bodhisattva results from his mercy. This phenomenon is a unique aspect of Yogacara theory, which does not appear in post-Wittgenstein theory. 유가행파는 수행을 통해 관찰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이론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개별수행자의 경험 내용을 문자로 기록하여 그것을 타인과 공유하며 후대인들에게 계승하는 과정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본 논문은 주관적으로 보이는 개별 수행자의 경험 내용이 언어로 표현되어 유가행파의 이 론으로 체계화될 수 있었던 근거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이론을 분석하여 이것을 유가행파의 이론에 적용했다. 후기비트겐슈타인 이론은 사적인 대상이 공동체의 규칙에 부합되는 언어에 의해 표현 되었을 때 그 언어는 공적인 대상이 된다고 제시한다. 필자는 삼매의 상태에 나타난 마음의 작용 또한 수행공동체에 부합되는 언어로 표현되면 공적인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와 함께 수행을 통해 관찰한 내용을 체계적인 이론으로 정립할 수 있었던 것은 ‘공동의 분별’작용에 의해 수행경험을 공동체의 규칙에 부합되는 언어로 표현했기 때문이라고 제시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논문은 일상인과 수행을 통해 도달한 보살이 각각 언어작용을 일으키기까지 겪게 되는 심리과정을 분석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일상인들의 언어작용은 ‘명언훈습종자’의 현현에 의한 ‘식’의 분화에 의해 형성된다. 보살의 언어작용 또한 ‘식’의 분화에 의해 형성된다. 하지만 보살은 ‘후득지’를 증득하면서 ‘무분별지’의 상태에서 본 내용을 자각하고 그것을 인식한다는 점에서 일상인의 ‘식’의 분화와 질적으로 다르다. 이상의 분석결과 이 논문은 일상인과 보살의 인식과정이 ‘식’의 능동적 분화에 의해서 형성된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보인다고 제시 했다. 반면 일상인과 보살 사이에 나타나는 결정적인 차이는 언어작용이 자신을 위한 욕망에서 비롯되었는가 아니면 타인을 우선시 했는가에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현상은 후기비트겐슈타인의 이론에 나타나지 않는 유식불교의 독특한 점이다.

      • KCI등재후보

        <시집살이 노래> 비평에 대한 철학적 접근 - 효·윤리의식을 매개로 하여 -

        강동완 한국효학회 2016 효학연구 Vol.0 No.23

        본 논문은 그간 암묵적으로 동의하거나 혹은 답습해온 어떠한 것에 대해 반성적 고찰을 가함으로써 새로운 시각에의 전환을 시도한 글이라 할 수 있다. 주지하다시피 시집살이 노래들이 한결같이 표방하는 주제의식과 그로부터 부여받고자 희망하는 문학적 가치와 위상에는 작지 않은 문제점이 야기된다. 따라서 특정한 관점이건 그 이상이건 반드시 어떠한 문제의식을 통한 방법론적 성찰은 긴요하다. 그러한 일환으로 논자는 기존가치평가에 있어 불온전한 평가를 생성해 내는 요인을 행위자의 효 정신의 외상(外象)인 윤리적 태도에서 찾았고 따라서 이를 중심으로 한 방법론적 모색을 시도했다. 종래의 일관된 평가는 시집살이의 주체인 며느리가 당면한 일상의 어려움에 대해 대개의 경우를 억압받는 삶으로 규정하고 이후 이러한 주체적 삶의 상실이 가져온 신세 한탄 및 절망적 성토를 은연중에 옹호한다는 것이다. 이는 효적 내지 윤리적 차원에서의 태도나 책임에 대해 살피고 검토하지 않은 종래의 간과된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물론 <시집살이노래>가 지닌 구비문학적·장르적 특징, 즉 극히 민중적이고 현실적인 특색은 인식과정에 중요한 요건이다. 그러나 그러한 장르적 전제 이전에 상황구성에 있어 얼마만큼의 개연적 정당성이 담보될 수 있는가 역시 따져봐야 함은 그것이 문학평가와 부딪치는 민감한 사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작중화자인 며느리의 비윤리적 의식과 태도를 고발하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적 덕’ 개념과 이의 확장이자 근거인 ‘중용’, 그리고 이와 상보되는 ‘자제력 없음’의 문제를 들어 살펴나갔다. 그것은 이성적 분별의 발휘능력을 상실하고 ‘윤리적 덕’의 근간인 성품의 좋음 쪽을 택하지 않은 행위자의 무덕한 삶, 그리고 인간관계에 있어서 최적의 상태를 내적으로 규정지어 주는 중용으로부터의 일탈 등을 통해 규정될 수 있었다. 또한 ‘자제’와 ‘자제력 없음’의 문제, 그리고 그로 인해 파생될 윤리적 책임귀속성과 관련한 논의를 통해 앞선 ‘윤리적 덕’ 및 ‘중용’의 개념과 상보하며 행위자의 효·윤리의식을 성찰하는데 일조했다. 결국 그간 동의되어왔던 바, 다소 맹목적일 수밖에 없었던 해석과 의미부여는 다음과 같은 재고가 필요하다. 시집살이의 한과 체념, 혹은 고초로 인한 절망이 아닌, 시집살이의 어려움에서 비롯된 윤리적 책임과 한계 내지 공동체 효·윤리의식이 부재한 며느리의 시집살이에 대한 탄식 정도가 이에 해당될 것이며, 이는 윤리적 차원에서의 성찰적 결론이라 할 수 있다. I might say that this article attempted conversion to new viewpoints to the things which have been implicitly agreed upon or repeated as I reflectively consider them. As we all know, there are lots of problems involved in the thematic consciousness which have been consistently claimed by patrilocality songs and literary values and status which have been hoped to be granted therefrom. Therefore, the methodological introspection through a certain critical mind is indispensible whether it is from any specific viewpoint or higher one. As a part of such efforts, I was looking for the factors generating biased evaluation in the existing value evaluation from the ethical attitude in External shape of the spirit of filial piety of the doers, and thus I sought methodological exploration focusing on such factors. It has been known that the consistent evaluation in the past defined most instances of daily difficulties faced by daughters-in-law, who were the principal players of patrilocality, as suppressed life and implicitly advocated their lamenting of misfortune and desperate condemnation resulting from missing of such principal life. This can be pointed out as the issues overlooked in past as filial piety or ethical attitudes or responsibilities were not investigated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oral literature and genre represented by <Sijp Sari Norae>, the extremely popular and realistic characteristics, are significant elements in the recognition process. However,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much of probable justification can be secured before discussing the genre based premise for it is a sensitive issue in relation to literary criticism. Therefore, for the purpose of denouncing the unethical sense and attitude of daughters-in-law, the narrators in the stories, with such a critical mind, I investigated by raising the concept of ‘ethical virtue’ of Aristotle, moderation which the extension and ground of such concept, and the problem of lacking self-control opposing thereto. That could be defined through the virtueless life of the doers who did not choose the good side of personality, the base of ethical virtue by losing their capability of exercising rational discretion and deviation from moderation which internally defines the optimal states in human relations. I also contributed to introspection of the filial piety and ethical senses of the doers by complementing the concepts of the said ethical virtues and moderation through discussion in relation to the problems of self-control and lacking of self-control and attribution of ethical responsibilities derived therefrom. In the result, the interpretation and ascription of meaning which had to be somewhat blind to what has been agreed in the past need following reconsideration. Just lamenting over patrilocality of daughters-in-law lacking ethical responsibilities and limitation or filial piety and ethical sense of community resulting from difficulties in patrilocality, not any grudge or resignation against patrilocality or despair caused by hardship, may belong thereto, and this may be the introspective conclusion at the ethica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