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동제작협정과 국제통상법

        권현호(HYUNHO KWON) 성신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성신법학 Vol.- No.13

        콘텐츠산업에서의 공동제작은 사적 당사자의 계약을 기반으로 한다. 반면에 공동제작협정은 이러한 사적 계약이 갖는 불완전함을 보충하고, 공동제작 형태로 제작된 시청각물에 대해 시장 접근과 내국민대우를 부여하고, 제3국에 대해서는 차별적 조치를 가능하게 하는 정부 간 조약의 형태로 체결된다. 따라서 공동제작협정은 당사국의 차별적인 조치의 통상법적 근거가 되며, 이러한 차별적 조치를 가능하게 해주는 예외적인 법적 환경을 구성한다. 그러나 공동제작협정의 결과물인 콘텐츠 제품 또는 시청각서비스가 갖는 문화적 속성에 대한 논의와, 문화상품 또는 문화서비스로서의 시청각서비스의 무역 자유화에 대한 서로 다른 시각을 해결할 수 있는 법적 장치가 요구된다. 다행스러운 점은 현 국제통상법의 서비스무역 자유화 방식은 구체적 약속(specific commitments)과 최혜국대우의 면제를 통해 콘텐츠산업에서 공동제작협정에 따른 차별적 조치를 다자간 통상규범에서 허용하는 예외로 인정받을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되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공동제작협정이 국내 콘텐츠산업에 보다 도움이 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FTA를 통한 시장접근과 차별적 조 치의 부여가 보다 현실적이다. 다만, 공동제작협정에 따른 차별적 조치를 당사국 간에만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동제작협정이 당사국간 체결되는 FTA의 일부분(integral parts)이라는 점을 명시해야 한다. 또한 서로 다른 FTA 체결 상대국과의 관계에서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최혜국대우에 대한 면제 또는 유보를 통해 적절한 법적 근거를 마련해 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가 공동제작협정을 체결하고 있거나 향후 체결할 의사가 있는 국가들과는 공동제작협정에 따른 조치가 통상법에 어긋나지 않도록 FTA를 통해 이를 보충하고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지금까지 시청각서비스 분야에 집중되던 공동제작협정도 다양한 콘텐츠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고려와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mainly focused on the relation of legal aspects of international trade law and international co-production agreement. Co-production of contents industry is originally based on the contract between private parties. However, international co-production agreement shows slightly different legal concerns. It makes up a defectiveness and allows market access, national treatment and differential treatments of private contracts to contracting parties as an international treaty. Thus, international co-production agreement has a link and legal basis on trade law which makes an exceptional legal circumstance. In spite of this exceptional case, it is required that legal mechanism will be able to solve a dilemma resulting from cultural properties in case of trade liberalization of audiovisual services. Fortunately, the General Agreement on Trade in Services, that is, GATS allows Member States to escape their legal obligations by means of “specific commitment” and “GATS Annex on Article Ⅱ Exemption.” And then, free trade agreement, FTA can be a practical solution for market access and differential treatment in behalf of national contents industry. However, for this purpose, an international co-production agreement has to be an integral part of FTA. And more, it is also required that proper exemption and reservation of MFN obligation in the FTA.

      • KCI등재

        권역 단위의 국제공동제작이 유럽 영화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의의

        이석창(Lee, Sukchang)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8

        국제공동제작은 문화 제국주의를 경계하는 대항담론에서 탄생하여 영화의 생산과 소비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수단으로 간주되어 왔다. 특히 아시아나 유럽과 같이 지정학적으로 넓은 범위를 아우르는 권역 단위의 국제공동제작은 상업 우선주의의 배제와 예술적 가치의 향상이라는 효과를 동반함으로써 오늘날 전 세계 영화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공동제작의 영향과 정책 등에 관련된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연구의 범위가 개인과 국가단위로 국한되어 권역 단위의 국제공동제작에 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고는 유럽의 권역 지원 프로그램인 유리마지(Eurimages), 크리에이티브 유럽(Creative Europe), 노르딕 영화 티비 펀드(Nordisk Film & TV Fond)를 중심으로 권역 단위의 국제공동제작과 영화시장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그 과정에서 위 수단이 유럽의 영화시장에 산업적·문화적 가치를 상승시키는 동력으로 작용하여 영화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하였다. 국제공동제작은 권역 단위의 지원 프로그램이 출범한 이후 개인-국가-권역 3단계의 형태로 위험분담관계를 맺으며 영화실패에 관한 위험을 낮추었다. 그중 권역 단위의 국제공동제작은 문화가치의 보존과 발전이라는 목표를 최우선으로 두었고, 이는 개인과 국가 단위의 국제공동제작에서 영화의 생산성이 강조되는 것과 차별되었다. 또한 권역 단위의 국제공동제작은 권역영화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고, 그로 인해 각국의 문화와 언어의 다양성 보존, 정체성의 강화 및 사회적 화합이라는 특징이 해당 권역 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유럽은 유럽영화를 통해 국가 간의 연대를 공고히 할 목적으로 상업성 보다 문화적 가치에 중심을 둔 독립ㆍ예술영화를 문화교류와 공동체 연대의 매개체로 주목하였다. 이에 권역 단위의 국제공동제작 영화 지원 프로그램은 영화의 제작과 배급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이들이 제공하는 소프트론, 영화의 방영권 제공, 신용보증 등을 통해 영화제작자는 안정적인 재원을 마련할 수 있었다. 영화제자에게 제공된 지속적인 영화제작의 기회는 영화콘텐츠 생산의 활성화로 이어졌다. 또한 위 프로그램은 배급지원을 통해 해당 국가와 권역 단위를 넘어 세계시장을 대상으로 배급망을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하여 영화소비를 촉진하였다. 이처럼 권역 단위의 국제공동제작은 영화의 제작과 소비에 대한 지속가능한 선순환구조를 만들어내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유럽 영화시장에 가져다주었다. International co-production, which stemmed from a counter-discourse against cultural colonialism, has been regarded as a way which activates film’s production and consumption. It is currently an eye-catching in the world film market, as affecting artistic values increased avoiding the commercial-first view. For that reason,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impact and the policy of it have been made actively. However, there is lack of the research regarding the international co-production at the regional level, as the research range is limited at the individual and the national level. In order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national co-production at the regional level and the film market, this essay focused on international co-production related to Eurimages, Creative Europe and Nordisk Film & TV Fond and discovered it is linked to a qualitative development of the film market as promoting an industrial growth and the cultural value. International co-production concentrating on the productivity has been in progress as a risk sharing method regarding the business failure, showing the individual-national-regional levels since international co-production at the regional level started. The international co-production at the regional level made cultural value first and showed a distinction to that individual-national levels emphasized on the productivity. Moreover, it made an positive influence on the regional film’s prosperity which covered the wide region geographically. So that, culture and language’s diversity and the consolidation of identity and the social solidarity turned up at the region, and globalization and locality were emphasized. International co-production at the regional level supported the production and the distribution in order for a development of European independent film, and soft-loan, televising right, credit guarantee helped making a ceaseless production environment as affording stable financial resources. The co-production program made an expansion of the film distribution network over the nation and the region. Therefore, European film market had a sustainable circulation and employment situation improved on the production and the consumption.

      • KCI등재

        게임 산업에서 공동제작협정 이용에 관한 통상법적 쟁점 연구

        권현호(KWON, Hyun-Ho)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東亞法學 Vol.- No.85

        본 연구는 우리나라 게임 산업에서 공동제작협정의 이용가능성 판단을 위해 관련 통상법적 쟁점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공동제작협정의 법적 또는 구조적 요건으로 첫째, 해당 산업의 자유화를 위한 근거가 GATS의 구체적 약속이나 FTA의 양허를 통해 보장되어야 하고, 둘째, 공동제작협정의 목적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며, 셋째, GATS나 FTA에서 최혜국대우 조항의 존재 여부에 따라 이에 대한 면제 또는 유보가 있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공동제작협정을 게임 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과정에서 특징적인 측면으로 게임 서비스를 시청각 서비스로 치환할 수 있는가 여부도 함께 논의하였다. 그러나 이는 엄밀한 의미에서는 법적 쟁점이라기보다는 사실적 판단에 속하는 것으로 파악되며, 게임 산업에서 공동제작협정을 이용하는데 필수요건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따라서 게임 산업에서 공동제작협정을 이용하기 위한 현실적 조건은, 한-EU FTA와 같이 양자간 무역협정에서 함께 논의되고, 공동제작협정이 이러한 FTA의 일부로서 체결되어야 한다. 다만, 이 경우에도 공동제작협정의 본질적 목적을 위해 최혜국대우의 면제 또는 유보에 대한 논의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현실적인 측면에서 게임 산업에서의 공동제작협정은 협력협정의 성격을 가능한 배제하고, 구체적인 권리와 의무를 통해 실질적 이익을 공유하는 협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rade and legal issues in order to determine the availability of a co-production agreement in the Korean game industry.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as follows: First, as a legal or structural requirements of the co-production agreement, the basis for the liberalization of a game industry should be guaranteed through the specific commitment of GATS or the concession of the FTA. Second, a legal mechanism to secure the purpose of a co-production agreement. Third, there should be exemptions or reservations of MFN treatment in GATS and/or FTA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the MFN provision in those agreements. It also discussed whether game services can be replaced with audiovisual services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co-production agreement in the game industry. However, this is understood to belong to factual judgment rather than legal issue in a strict sense, and is not seen as a prerequisite for using a co-production agreement in the game industry. Thus, the followings are the practical conditions for using a co-production agreement in the gaming industry: First, they should be discussed as an “integral parts” in bilateral trade agreements, such as the Korea-EU FTA, and second, a co-production agreement should be signed as part of the FTA.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discussion on exemption of the MFN treatment should be held together for the essential purpose of a co-production agreement. In addition, for a practical purpose, a co-production agreement in the game industry should be an agreement that excludes the features of an agreement for cooperation as possible and shares practical benefits through specific rights and obligations.

      • KCI등재후보

        로맨스, 여행 그리고 음악 : 한일 공동제작 영화의 내러티브 구조에 관한 분석

        조진희,전승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3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7 No.1

        From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international co-production has been widely discussed among Korean film producers and directors. International co-production has been considered as a mode of production effective enough to penetrate into neighbouring Asian nations. However, it is around the mid 21st this so-called strategic mode of production has been widely adopted and explored.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ose films which have been produced by international co-productions, in particular those produced between Korea and Japan. Korea and Japan have been in constant conflict, of which the main reason is Japanese invasion and occupation of Korean land. Considering this, it is not an easy task to bridge the gap between Korean and Japanese film spectators. What might be the common interest to allure those two nations’ spectators? What is the preferred narrative structure that have been adopted to attract those two nations’ cultural consumers? Media scholars have theorized that international co-production tends to prefer a narratively transparent text so as to reach culturally heterogenetic market. Is this statement true to the case of co-production between Korea and Japan? By analyzing co-produced films in detail, and discussing the socio-economic infrastructure that boosts the international co-production, this paper will answer these inquiries. 국제 공동제작(international co-production)이라는 표현은 현재 한국 영화계에서도 상당히 익숙하게 거론되고 있다. 해외 공동제작에 대해 한국 영화계가 관심을 갖게 된 것은 2000년대 초반을 전후하면서부터이나 공동제작이 본격적으로 시도된 것은 2005년대를 즈음해서이다. 이 시기를 전후해서 한중 공동제작, 한중일 공동제작, 그리고 한일 공동제작의 형태로 영화들이 연이어 선을 보였던 것이다. 단순히 공동제작 작품들이 수적으로 증가했을 뿐 아니라 접근방식에 있어서도 한층 치밀해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를 구체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연구들이 다소 부족하다는 판단에서, 2000년대 후반 이후 제작된 한일 공동제작 영화들의 서사구조를 분석하였다. 협의적 의미에서의 공동제작, 즉 기획단계에서부터 양국의 관객들을 동시에 겨냥하고 양국의 제작인력들이 비교적 균등한 정도로 참여해서 제작된 작품들은 과연 무엇인가? 공동제작 방식은 서사구조에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가? 서사구조가 ‘보편성’을 추구하고 있다는 전제에 비추어 볼 때 실제 한일 공동제작 영화들은 ‘보편성’의 확보를 위해 어떠한 내용과 형태를 선택했는가? 한일 공동제작 영화들에 있어서 지배적인 서사구조가 있다면 어떠한 것을 꼽을 수 있겠는가?필자는 이런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기존 문헌에 대한 (재)연구, 그리고 제작된 영화들에 대한 서사구조 분석 방법 등을 활용해서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한일 공동제작 영화들이 정치적, 산업적 요인들과 어떠한 방식으로 타협하며, 어떠한 서사구조를 통해서 양국의 관객에게 소구하고자하는지 보다 더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FTA의 視聽覺 共同製作에 관한 規範

        이한영;김재철 법무부 2011 통상법률 Vol.- No.99

        정부를 당사자로 하는 양자 간 국제조약으로서의 공동제작협정은 양국의 제작사들이 공동 제작한 시청각물(audiovisual works)에 대해 각 협정당사국이 금융지원, 세제지원, 방송쿼터 등 내국민대우 혜택을 부여하기 위한 인정 기준 및 절차를 담는다. 그러한 혜택은 협정당사국 간 호혜적 특혜이기 때문에 다자규범 상의 최혜국대우 의무와는 양립하지 않기 때문에 UR 기간 중 많은 나라들이 그에 관한 최혜국대우 의무 면제를 신청하였다. 당시 그러한 면제조치를 취하지 않은 우리나라는 최근 일련의 FTA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일관되게 공동제작에 관한 양자규범을 제정하고자 노력하여 왔다. 이는 FTA가 시청각 공동제작 분야에서 협정당사국 간 호혜적 특혜를 부여할 수 있는 합법적인 추진체로 활용될 수 있다는 믿음에 근거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적으로 FTA 공동제작 규범의 적절성 여부에 관한 연구가 아직 부재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고는 우리나라가 기 체결한 FTA를 대상으로 우리나라가 제정한 시청각서비스분야의 공동제작 규범이 WTO협정의 최혜국대우 의무 및 우리나라를 체결당사자로 하는 FTA의 최혜국대우 의무와 양립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 추후 FTA협상 및 양자 간 공동제작협정 추진을 위한 정책적 유념사항을 제언하고자 한다. The co-production agreement, as a bilateral international treaty signed by governments, defines recognition criteria and procedures for the respective countries to provide the audiovisual works co-produced by their producers with national treatment benefits such as financial incentives, tax credits and quotas for local contents. Since such benefits are reciprocal favor in nature and as well incompatible with multilateral MFN obligation, many countries have applied for MFN exemptions on bilateral co-production agreements during the Uruguay Round. Korea, without such exemptions, has been sought to consistently make bilateral rules on co-production in a series of recent FTA negotiations. One of the root causes of all these efforts seems to be the belief that FTA would be employed as a vehicle to legally back up reciprocal preferences between the contracting parties in audiovisual co-production. Understanding that there exists no domestic research work of the trade rules on audiovisual co-production in Korea's FTAs,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ose trade rules are compatible with the MFN obligations both in the context of the WTO and Korea's FTAs, and to suggest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FTA negotiations and bilateral co-production agreem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로맨스, 여행 그리고 음악

        조진희(Jin-Hee Cho),전승(Seung Jeon)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3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 No.1

        국제 공동제작(international co-production)이라는 표현은 현재 한국 영화계에서도 상당히 익숙하게 거론되고 있다. 해외 공동제작에 대해 한국 영화계가 관심을 갖게 된 것은 2000년대 초반을 전후하면서부터이나 공동제작이 본격적으로 시도된 것은 2005년대를 즈음해서이다. 이 시기를 전후해서 한중 공동제작, 한중일 공동제작, 그리고 한일 공동제작의 형태로 영화들이 연이어 선을 보였던 것이다. 단순히 공동제작 작품들이 수적으로 증가했을 뿐 아니라 접근방식에 있어서도 한층 치밀해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를 구체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연구들이 다소 부족하다는 판단에서, 2000년대 후반 이후 제작된 한일 공동제작 영화들의 서사구조를 분석하였다. 협의적 의미에서의 공동제작, 즉 기획단계에서부터 양국의 관객들을 동시에 겨냥하고 양국의 제작인력들이 비교적 균등한 정도로 참여해 제작된 작품들은 과연 무엇인가? 공동제작 방식은 서사구조에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가? 서사구조가 ‘보편성’을 추구하고 있다는 전제에 비추어 볼 때 실제 한일 공동제작 영화들은 ‘보편성’의 확보를 위해 어떠한 내용과 형태를 선택했는가? 한일 공동제작 영화들에 있어서 지배적인 서사구조가 있다면 어떠한 것을 꼽을 수 있겠는가? 필자는 이런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기존 문헌에 대한 (재)연구, 그리고 제작된 영화들에 대한 서사구조 분석 방법 등을 활용해서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한일 공동제작 영화들이 정치적, 산업적 요인들과 어떠한 방식으로 타협하며, 어떠한 서사구조를 통해서 양국의 관객에게 소구하고자하는지 보다 더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From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international co-production has been widely discussed among Korean film producers and directors. International co-production has been considered as a mode of production effective enough to penetrate into neighbouring Asian nations. However, it is around the mid 21st this so-called strategic mode of production has been widely adopted and explored.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ose films which have been produced by international co-productions, in particular those produced between Korea and Japan. Korea and Japan have been in constant conflict, of which the main reason is Japanese invasion and occupation of Korean land. Considering this, it is not an easy task to bridge the gap between Korean and Japanese film spectators. What might be the common interest to allure those two nations’ spectators? What is the preferred narrative structure that have been adopted to attract those two nations’ cultural consumers? Media scholars have theorized that international co-production tends to prefer a narratively transparent text so as to reach culturally heterogenetic market. Is this statement true to the case of co-production between Korea and Japan? By analyzing co-produced films in detail, and discussing the socio-economic infrastructure that boosts the international co-production, this paper will answer these inquiries.

      • KCI등재

        한-아세안FTA와 방송콘텐츠 공동제작 활성화를 위한 정부정책의 방향: 정부주도형 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이상우 ( Sang Woo Lee ),강경철 ( Kyung Chul Kang ),허윤 ( Youn Ho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1 정보통신정책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최근 아세안 국가들과 방송콘텐츠 공동제작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 국가들과의 방송콘텐츠 공동제작 협정을 체결하고 지속적인 공동제작 활성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정부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국내 정부주도형 방송콘텐츠 공동제작 현황 및 지원정책의 현황을 파악하고, 정부의 기존 공동제작 협정 체결 방식을 분석하여 국내 방송콘텐츠 공동제작 지원정책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아세안 국가와의 공동제작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공동제작 지원정책은 1년 단위의 프로젝트형 사업으로서 비효율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상대국가의 열악한 방송 환경 등의 문제로 인해 국내 사업자들의 자발적인 참여 유인이 부족하다는 점, 공동제작 상대국에 대한 단기적인 투자 지원으로 해당국가에 공동제작 참여 유인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점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동제작에 대한 정부적 지원이 양국 방송사들의 공동제작 참여를 유도하고 향후 자발적으로 공동제작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동제작 지원정책의 투자규모를 확대하고 지원 사업기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함과 동시에, 지원정책을 다각화하고, 공동제작 상대국에 대한 장기적인 투자를 통해 이들의 참여 유인을 높이는 등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government policies for promoting Korea-Asean FTA and co-production of broadcasting content. We analyzed latest status of government-driven co-production of broadcasting content with Asean countries and related support policies. First, we found that current government support system for co-production was ineffective due to its one-year contract system. Second, domestic business parties`` voluntary participation cannot be guaranteed because of Asean countries`` poor broadcasting environments. Third, Korean companies`` short-term investment strategies may not induce Asean countrie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co-production with Korean companies. Government support for co-production with Asean countries is important as regards the initial participation of each country`s broadcasting stations, which will lead to their voluntary agreements in the future. In this regard, a larger scale of investment as a co-production support policy should follow, and the supporting period should be flexibly operated. In addition to a diversified support policy, long-term investment should be guaranteed so as to draw many Asian countries`` voluntary participation for co-production with Korean broadcasting companies. Finally, we suggested several policy proposals to reach an agreement for co-production with several Asian countries.

      • KCI등재

        지역방송 공동제작 프로그램의 특성과 활성화 방안 연구: 제주지역 지상파방송을 중심으로

        정용복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22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6 No.1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o-production programs as a wa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local broadcasting, and proposed a plan to promote co-production between local broadcasting. To this end, practical actions and implications were explored by categorizing and analyzing common characteristics of co-production programs based on terrestrial broadcasting in Jeju.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local broadcast producers to derive ways to revitalize co-produ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production program contains the value and meaning of local culture to realize locality and deals with material and mental contents to reproduce the voices of viewers. The achievements and necessity of co-production programs included increasing cooperation between local broadcasters to realize economies of scale,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high-quality programs due to cost-effectiveness, meeting the ratio of self-production allocated to local broadcasts, and spreading socio-cultural influences. On the other hand, as limitations of co-production programs, it was difficult to share production roles and adjust opinions between local broadcasts, viewers' interest and taste issues due to differences in unique broadcasting areas, differences in management policies, lack of confidence in competitive program production. The co-production program needed to show results that contributed to high-quality production and financial profits by securing ratings through the expansion of production costs and broadcasting areas. More fundamentally, local broadcasting needed to improve awareness and change posture as the original operator of local content. 본 연구는 지역방송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공동제작 프로그램의 특성을 분석하고, 지역방 송 간 공동제작 활성화 방안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지상파방송을 기준으로 공동제작 프로그램에서 공통되는 특성들을 유형화하고 분석함으로써 실천적 행위와 함의를 탐색했다. 또 한, 공동제작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10명의 지역방송 제작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했다. 분석 결과, 공동제작 프로그램은 지역성 구현을 위해 지역문화의 가치와 의미를 담아내고 시청자들의 목소리 재현을 위한 물질적이고 정신적 내용을 다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동제작 프로그램의 성과와 필요성으로 규모의 경제 실현을 위한 지역방송 간의 협력 증대, 참여 방송사의 장비와 제작기법 등의 연계 모색, 비용 대비 효용성으로 인한 고품질 프로그램 제작 가능성 확대, 지역방송에 할당된 자체제작 편성 비율 충족, 지역과 지역을 매개하는 사회문 화적 영향력 확산 등을 들 수 있었다. 반면에 공동제작 프로그램의 한계로서 지역방송 간 제작 역할 분담과 견해차의 조정, 고유의 방송권역 차이에 따른 시청자들의 관심과 취향 문제, 지역방 송 간 제작 수준이나 여건, 경영방침의 차이, 경쟁력 있는 프로그램 제작에 대한 경영진과 제작 자의 확신 부족, 협소한 시장 내의 제작 재원 조달의 어려움을 들고 있었다. 공동제작 프로그램 은 제작비와 방송권역의 확장을 통한 시청률 확보를 통해 고품질 제작과 재정수익에 보탬이 되 는 결과를 보여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더욱 근원적으로 지역방송은 지역콘텐츠의 원사업자로서 의 인식 개선과 자세 변화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국경을 넘는 영상! 국경을 초월하는 수용자? - 한국의 아시아 공동제작영상물 수용양상에 대한 연구

        염찬희 영상예술학회 2009 영상예술연구 Vol.0 No.14

        이 글은 아시아 지역에서 공동제작이라는 새로운 생산 방식이 세기에 21 활성화 된 문화 경제적 배경에는 자본의 세계화가 있으며, 아시아 내에 위치한 개별 국가들이 국경에 제한되지 않고 경계를 확장하여 아시아 지역 안에서 삼삼오오 대중 문화물을 공동으로 제작하는 새로운 방식의 출현과 활성화는 자본의 전지구화, 신 자유주의적 세계화에 대해서 아시아가 보여준 다양하고 복잡한 대응들 중의 하나 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전제로부터, 이글은 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영상 관계자들이 공동으로 제 작한 영상물(이후 아시아 공동제작 영상물 로 축약)의 유통에 관심을 갖는다. 이 러한 관심은 신자유주의 경제 질서의 전지구화로 인한 아시아 내의 문화적 변동의 구체적인 양상에 대한, 혹은 아시아 역내 문화 교류(Intra-Asian cultural traffic)의 하나의 구체태에 대한 관심과 다르지 않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글은 아시아 역내 국가들 중의 하나인 한국에서 아시아 공동 제작 방 식을 선택하게 된 맥락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살펴보고, 공동제작 영상물을 수용하 는 한국적 양상을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의 영상산업 관계자들이 아시아공동제작 방식에 참여하도록 추동한 동기는 미국을 정점으로 하는 신자유주의적 영상산업 세계화에 대한 아시아적 대응이지만, 기획이 강조되며 전문성을 중심으로 작업이 분화되는 특성을 갖는 공동제작 방식에서는 자본의 유연적 순환 체제 구축이라는 신자유주의적 작동 방식의 완벽한 재현을 볼 수 있다. <묵공>, <무극>, <집결호>, <삼국지:용의 부활> 등 아시아 공동제작 영화 몇 편과 <북경 내사랑>, <천국의 나무> 등 아시아공동제작 텔레비전 드라마 몇 편에 대한 수용자의 반응을 분석해본 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수용자들은 탈국가적 영상에 대한 욕망을 갖고 있으면서도 국가주의적인, 지역적인, 민족주의적인 인식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모습들을 보였다. 분명 탈국가주의적인 수용으로 보이는 사례들이 눈앞에 확실하게 드러나고 있지만, 그것을 국가주의적 접근으로부터 탈국가주의적 접근으로 변화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국제 외교에서 국가 간의 긴장이나 갈등적인 사건이 발생하면, 혹은 국가 간의 갈등 관계를 담고 있는 영상을 접하면, 한국의 수용자는 합리적으로 판단하기보다는 국가주의를 쉽게 호출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사회주의국가 중국에 대해서 여전히 공산주의라는 시각을 가지고 있는 일부 수용자들은 냉전적 국가주의의 수용 태도를 보였다. 중국의 역사를, 판타지로 풀고는 있으나, 주로 중국의 역사를 소재로 삼고 있는 아시아 공동제작 영화들에 대해서 한국의 대중들은 다양한 수용문화를 가동시킨다. 가변적인 국가주의적 태도가 냉전주의적 수용이 가능해지는 맥락에서는 더욱 쉽게 결합하여 냉전적 국가주의 문화를 아시아 공동제작 영상물에 대한 수용자의 반응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다.

      • KCI등재

        공동제작 프로그램의 문화적 다양성 연구 -다큐멘터리의 국제공동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오종서(주저자) ( Jong Sir Oh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9 No.-

        디지털전환 이후 방송 산업계와 학계에서는 한류의 지속과 확산을 위해 지속적으로 새로운 소재와 포맷을 개발하고 있으며,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통해포스트 한류를 대비하고 있다. 하지만 세계가 주목하는 국내의 방송 콘텐츠는 여전히 부재한 상황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제공동제작은 세계 방송 콘텐츠의 눈높이를 맞추어 한국 방송영상 콘텐츠가 세계를 향해한 걸음을 더 내디딜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전술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6년 이후 제작된 국제공동제작 다큐멘터리의 제작 연도별, 공동제작의 유형들과 하위 장르별 분류 등의 분석을 통해 국제공동제작이 가지는 문화적 다양성 여부를 분석해보고, 이에 따른 함의적 결론을 얻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참여 국가와 하위 장르, 플랫폼별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공동제작의 건수가적고 일정하지 않다는 것이다. 결론이 함의하는 바는 국제공동제작을 민간외교의 차원에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다큐멘터리의 공동제작은 저개발 국가들에 대한 지원과 원조로 이어질 수 있다. Since digital switchover in 2013 broadcast scholars and relevant industries are gearing up to develop brand new programmes and preparing post-Korean wave by aggressive marketing strategies. However it is still not enough profitable intercontinental programmes which global broadcasters willingly intend to purchase. From this aspect co-production between nations can be regarded as one of important tactics which is to be more improved global content.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cultural diversity of co-produced documentary with national, chronicled, typical and classification by sub-genres and approach implied results. Consequently, the number of co-production is few and inconstant despite of diversity by nations, sub-genres and platforms. These results remind us of the need for nongovernmental diplomacy about international coproduction. Furthermore, this co-production can lead to state support for underdeveloped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