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농수산물 공동브랜드의 만족도가 구매와 지속적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관계 및 만족요인 분석

        양초산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1

        지방자치단체 농수산물 공동브랜드는 그 동안 정부의 지원과 지방자치단체 각 시․군의 관심과 노력으로 양적으로 많은 개발이 이루어졌지만 이후 낮은 인지도와 마케팅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충청남도 농수산물 공동브랜드의 만족도가 구매와 지속적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관계 및 만족요인을 살펴보는데 있다. 분석은 충청남도 15개 시․군의 농수산물 공동브랜드를 표본 집단으로 하여 통계학적 분석 방법이 사용되었다. 소비자들의 설문조사에서 최종 회수된 표본 수는 340이며 서울․ 경기․ 대전지역, 20대부터 50대 이상의 대학생․회사원․주부․공무원․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지역농수산물 공동브랜드의 품질, 가격, 디자인에 관한 만족도에서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영향관계 속 만족요인 중에서는 ‘품질 요소’가 일반소비자들이 지역 농수산물 공동브랜드 제품을 우선적으로 구매하고 지속적으로 재구매하는 만족요인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반해 우선적인 구매에 ‘디자인 요소’는 가장 영향 요인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속적인 재구매에는 ‘가격 요소’와 ‘디자인 요소’가 가장 영향 요인이 작게 나타났다. 셋째, 지역 농수산물 공동브랜드 제품의 구입 횟수에 대한 특성별 차이를 분석해본 결과 특성별로 각각 상반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농수산물 공동브랜드의 만족도가 구매와 지속적 재구매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품질 요소’가 농수산물 공동브랜드의 구매와 지속적 재구매에 가장 영향이 큰 만족요인임을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표본수의 한계로 모든 지방자치단체 공동브랜드를 전체를 대상으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지만, 현시점에서 지역농수산물 공동브랜드의 이용 실태를 점검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There are increasing number of joint brands of local governments thanks to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upport and endeavors. However, they experience various difficulties in low awareness and marketing.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atisfaction of joint brands of agricultural products of Chungcheongnam-do on purchase and continual repurchase.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a statistical analysis method, which used samples of joint brands of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of fifteen cities and districts in Chungcheongnam-do. The final sample count from consumer questionnaire survey is 340,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surveyee over the age of 20 including tertiary students, company employee, government employee, self-employed people and housewiv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firstly, there was positive (+) relation in quality, price and design on local agricultural product joint brands. Second, the factor of quality among satisfaction element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purchase and continual purchase of joint brand products. To the contrary, ‘design factor’ was the least influential. For continual repurchase, ‘price factor’ and ‘design factor’ had the least influence. Third, when the differentiated by characteristics of purchase product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 joint brands, it had differences by characteristics. Thus, these show that satisfaction on agricultural and marine joint brands have an effect on both purchase and continual repurchase. In addition, through the research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a ‘quality factor’ is the most effective factor on consumer’s purchase and continual repurchase. While this study is not appropriate to make general conclusion for all joint brands in local governments due to the limited sampl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iewed the use status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 joint brands at this point.

      • KCI등재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사용승인 평가시스템 개발 - 굿뜨래 브랜드를 중심으로 -

        김신애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에서 다루는 굿뜨래란 충남의 부여군 기초지방자치단체에서 개발되고 소유한 농식품 공동브랜드이며, 지역의 농림축산식품 경영체들이 일정한 품질기준을 갖추고, 사용승인 심사과정을 거쳐 2년 동안 승인ㆍ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굿뜨래는 우리나라 226개의 기초지방자치단체에서 개발된 공동브랜드 751개(등록, 664개; 미등록 87개) 중에 9년째 국가 브랜드 대상의 수상 이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소비자들로부터 신뢰받는 공동브랜드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의 방법은 현장조사 인터뷰 방식을 채택하였다. 즉, 굿뜨래의 사용승인을 신청한 농업 경영체를 1차(공무원 예비심사)~2차(브랜드 전문가 심사)에 걸쳐 현장ㆍ방문한다. 농업 경영체 CEO와 경영 관련 인터뷰에서 현장의 환경, 생산여건, 품질여건 그리고 우수조직의 인센티브 등의 점검과정을 거치면서 평가항목에 적정의 점수를 부여한다. 최종 1~2차 점수의 평균점수를 산정하고 굿뜨래 사용승인 여부의 심의과정을 거친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농업 경영체가 공동브랜드 승인사용 1차~2차 평가에서 평균 80점(B0)을 획득하지 못하면 사용승인에서 탈락하게 된다. 둘째, 공동브랜드 사용승인을 받는 농업 경영체는 2년 동안 굿뜨래를 자사의 포장 디자인, 자체 홍보의 권한을 갖는다. 셋째, 관(官)은 사용승인 농업 경영체들에게 지방자치단체에서 발간하는 홍보물에 농업 경영체를 소개하고 박람회 출전기회 등의 홍보 혜택을 제공한다. 요컨대,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정하고 합리적 평가시스템을 토대로 공동브랜드의 사용권한을 부여한다면, 226개의 지방자치단체에서 개발ㆍ보유한 공동브랜드의 가치를 제고시킬 수 있다. 둘째, 소비자의 공동브랜드에 대한 신뢰의 메시지와 충성도 회복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Local agricultural companies have certain quality standards and are authorized to approve and use them through the process of reviewing use approval for 2 years. Goodtrae won the National Brand Award for 9 years out of 751 co-brands developed by 226 local governments. Also,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co-brand that is trusted by consumers. The method of this study adopts the field survey interview method. In other words, the company that applied for approval for the use of Goodtrae shall visit the site on the first to second rounds(preparation of public officials)~2nd(brand expert review), Along with interviews with CEO, items such as 1 field environment, 2 production conditions, 3 quality conditions, and 4 organizations' incentives are evaluated. The average score of the final 1st and 2nd scores is calculated and the review process is conducted on whether to approve the use of Goodtra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eliminated from the use approval when the management fails to obtain 80 points from the primary to secondary assessment of the use of the approval. Second, a business entity that obtains approval for use has the authority to design its packaging and promote itself for two years. Third, buyeo-gun introduces the management to the management bodies in the promotional materials and provides them with the benefits of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exhibition. Brand use approval evaluation system helps restore consumer trust.

      • KCI등재

        농산물 공동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위한 심벌마크에 관한 연구

        하용훈,홍주연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0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5 No.1

        최근 세계 무역기구 WTO 체제하 의 시장개방이 가속화되고 자유무역주의 국가들이 늘어남에 따라 우리 농산물이 미국과 같은 거대 회원국 등의 외국농산물과의 경쟁에서 밀려나고 있다. 이러한 때에 상품 경쟁력이 취약한 중소기업들 간에서 상품의 부가가치를 효율적으로 높이는 방법의 일환으로써 지역 공동브랜드 개발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공동브랜드는 여러 개의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하나의 통일된 상품브랜드를 개발하고 상품의 패키지디자인 등을 통합 관리하여 브랜드이미지를 최대한으로 부각하고 국제적 이미지를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농수산물의 공동브랜드의 세계적 성공사례인 '선키스트' '델몬트 ‘돌’ 등은 길게는 100여년의 역사와 함께 오늘날에도 명품과일로 ‘브랜드 파워’를 과시하고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 농산물 공동브랜드는 소비자에게 깊이 인식된 유명브랜드가 미흡하여 결과적으로는 국내 시장에서 정착과 해외로 진출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농산물공동브랜드의 심벌마크에서의 핵심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1차적으로 추출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세계 유명 농산물 브랜드와 우리나라의 공동브랜드의 심벌디자인(5개 지역도의 대표적 브랜드)을 비교하고 리커트 척도법을 활용하여 조사, 분석, 어떠한 차이점이나 장 .단점 등이 있는지를 유출하였다. 그 결과, 국내 농산물공동 브랜드의 심벌마크디자인은 해외 유명브랜드와 비교하면 차별화, 가독성, 신선함, 활용성, 고급감 5가지 모든 요소의 조형성에서 대단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동브랜드의 심벌마크가 너무 설명적으로 디자인되어 다른 경쟁 브랜드와의 차별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등이 나타났다. 우수한 농산물공동브랜드 이미지 구축은 물론 수입 브랜드와의 차별화된 심벌디자인은 중요한 상품경쟁력 강화 방안이 된다. 브랜드의 심벌마크는 다양한 광고, 홍보활동에서의 핵심 커뮤니케이션이며 효율성이 높은 도구이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농산물공동브랜드에서 구체적으로 그 방향을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단지 거시적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디자인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개괄적 내용으로 제한되었다. 추후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우수한 국내농산물 공동브랜드 구축에 도움이 되는 심벌마크 디자인에 대한 구체적 제안들이 연구되길 바란다. Recently, as our domestic markets have been more and more opened under the WTO system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free trade nations, our agricultural products are being pushed aside by the foreign counterparts produced by such mega WTO members as the United States. In such a circumstance, some small and medium businesses that are less competitive are considering the feasibility of developing joint regional brands in order to add up values to their products effectively. The cooperative brand may well be an effective way to develop and unify a joint brand among several small and medium businesses and thereby, manage it by using the joint package designs and therewith, improve the international image of their products. A successful case of such joint brands world-wide is Sunkist, which still boasts of its 'brand power' as the world-class prestige fruit juice. In contrast, our cooperative brands of agricultural products are little acknowledge by consumers, being hardly established in the markets.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world-class agricultural product brands and our cooperative brands in terms of design elements by using the Likert scale in order to suggest the ways to make our joint brands powerful. As a result of such a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designs of foreign brands are much differentiated from ours, while their brands are more reliable and effective. Thus, the researcher explored the ways to design some differentiable cooperative brands for our agricultural products, which would conduce to enhance the uniqueness of brand and improve the brand power to be competitive.

      • KCI등재

        경상북도 지자체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아이덴티티 및 브랜드전략- 안동시를 중심으로 -

        권기대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지자체의 안정된 수익 창출의 농촌사회 재건 목적에서 ‘경상북도 지자체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아이덴티티(Identity) 및 브랜드전략’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경상북도 안동시로 한다. 연구 대상은 안동시에서 개발, 투자 및 관리하는 농산물 공동브랜드로 국한한다. 연구방법은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정의하고, 제2차 자료(농식품부 통계, 홈페이지)를 활용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동시는 지역생산 농산물에 공동브랜드를 개발하고, 그 정체성을 생산자 및 소비자에게 브랜드 리포지셔닝(Repositioning)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이의 전제는 지자체가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육성 조례’를 제정하고, 생산 농가에게 품목별 농산물의 표준 품질 규격(균일의 당도, 색도, 크기, 무게)을 제시해야 한다. 셋째, 지자체는 국가인증마크(친환경, GAP, HACCP), 또는 지리적 표시제 획득을 통해 소비자의 공동브랜드에 대한 신뢰를 얻도록 해야 한다. 넷째, 지자체는 공동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제고 맥락에서 공동브랜드의 이미지(국내 및 해외 박람회, 전시회) 마케팅을 확산시켜야 한다. 다섯째, 지자체는 브랜드의 하이어라키(Hierarchy)에서 볼 때, 상위의 통합 공동브랜드와 하위의 품목 공동브랜드를 공동브랜드-품목 브랜드의 병렬로 디자인(Design)하여 브랜드의 승수효과를 얻어야 한다. 본 연구의 함의는 지자체-농가 조직의 브랜드 제휴(Brand Alliance)가 농가소득의 안정화로 지역경제 촉진에 기여하고, 지역의 관련 산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령, 일자리 창출, 사회복지의 균등기회 제공, 지역 지가의 상승, 청년 농부의 스마트팜 창업 붐 조성, 귀농ㆍ귀촌의 선택지 부상을 들 수 있다. This study suggested the "Identity and Brand Strategy of local government brands" for the purpose of rebuilding rural areas to generate stable profits. In the research method, the spatial scope is Andong-city. The subject of the study is limited to co-brands of agricultural products developed and managed by local governments. The research method reviews the brand's identity theory and utilizes secondary data(statistics from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ome p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dong City should develop a co-brand for locally produced agricultural products and reposition its identity to consumers. Second, The premise of this is that local governments enact the "Ordinance on the Promotion of Co-Brands for Agricultural Products," Standard quality specifications (uniform sugar content, chromaticity, size, and weight) of agricultural products by item should be presented to production farmers. Third, Local governments must obtain joint brand trust from consumers through the acquisition of national certification marks or geographical indicators. Fourth, Local governments should take the lead in enhancing the image of the co-brand at home and abroad in enhancing the co-brand identity. Fifth, local governments should provide approval subsidies to farm organizations that attempt to obtain national certification mark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brand alliance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farm organizations can be found in promoting farm income and the local economy. For example, jobs, equal opportunities for social welfare, a rise in local land prices, the rise of options for returning to farming and rural areas and a boom in smart farm start-ups for young farmers.

      • KCI등재
      • KCI등재

        강원 영서지역 한우 공동브랜드 도입과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조은동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09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7 No.2

        농축산업을 둘러싼 국내외적 여건이 급격하게 변화고 있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영농규모가 영세한 우리나라 한우농가가 살아남기 위한 길은 개방화 시대에 적합한 국제경쟁력을 갖추는 것이다. 한우농가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생산성 향상은 물론 비가격적인 경쟁력, 즉 품질 및 안전성의 측면에서 동시에 경쟁력을 제고시켜야 한다. 생산비절감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는 한편, 품질 및 안전성 등에서도 차별화 하는 것이 브랜드 사업이다. 한우를 공동브랜드화 한다는 것은 한우의 공식상품화를 의미하는데, 이의 성공 여부는 향후 우리나라 한우산업의 생존에 직결된다. 본 논문에서는 강원 영서지역에서 일찍부터 브랜드에 주목하여 공동브랜드를 도입하고 있는 하이록, 늘푸름 홍천한우, 횡성한우, 치악산한우 브랜드를 대상으로 한 주요 브랜드 현황 및 경영개황 등의 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신뢰도 제고 및 고객확보를 위한 브랜드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첫째,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 및 인지도 조사에서 강원 영서지역 연합브랜드인 하이록이 단일지역 브랜드인 횡성한우는 물론 늘푸름 홍천한우에도 못미치는 인지도와 신뢰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강원 영서지역에 있어서는 아주 가까이 인접하고 있음에도 각기 경쟁적 차별화를 꾀하고 있어, 브랜드화 사업의 효율적 추진 및 관리적 측면에서 한계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의 표현 이미지 유형 및 조형적 분석을 종합해 보면 우월적 브랜드 지위를 누리고 있는 횡성한우의 경우 자연자원을 활용한 캘리그래피한 브랜드로고와 적색의 강렬함으로 차별화를 확고히 하고 있으나 기타 브랜드에서는 경쟁적 우위를 확실히 점할 수 있는 브랜드 간 차별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발전 방안 측면에서 공동브랜드를 부착하는 것만으로는 효과적인 시장점유율의 확대가 어렵다고 볼 때, 조직의 형태와 관계없이 추진실적에 따라 적합한 규모의 관리운영조직을 설립하거나 혹은 기존 주체 중에서 마케팅을 주도할 능력과 의지가 있는 주체를 중심으로 공생적 마케팅의 차원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강원 영서지역에서 높은 인지도 및 선호도를 보이고 있는 횡성한우의 브랜드 발전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어, 횡성한우를 중심축으로 한 연합공동브랜드 도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Korean cattle farms should be competitive enough to survive the rapidly changing glocal markets. The competitiveness includes not only improved productivity but also non-price competitiveness such as quality and safety of the beef. Beef branding is a project that makes efforts on the reduction of production costs and the differentiation of product in quality and safety. Cooperative beef branding represents the public merchandising of Korean beef, and the success or failure of that is directly linked with Korean cattle industry.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scheme of regional beef brands for improving consumer's reliability and drawing customers by analyzing the present state and the management situation of 4 regional beef brands introduced earlier in the western cities and counties of Kangwon. The followings were found in this study. First, in brand reliability and recognition level, HiLok, the cooperative brand of the 5 western cities and counties of Kangwon, falls behind Hoeongseong Hanu of Hoeongseong county and Neulpureum of Hongcheon county. Second, the neighbouring cities and counties contrive differentiation respectively, which hinders the effective conducting and managing of beef branding project. Third, in image expression and shape of brand, Hoeongseong Hanu which is superior to all other brands differentiates positively by getting the best out of calligraphic logo and red color. In conclusion, in development scheme, simply joining the cooperative beef branding project does not guarantee the increase of market share. Establishment of new management divisions based on performance or development of symbiotic marketing strategy built around the main brand body could be examined as important tasks. The brand Hoeongseong Hanu has a chance of success. Therefore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a cooperative beef brand introduction to the western parts of Kangwon with Hoeongseong Hanu as the leading figure need to be carried out.

      • KCI등재

        공동브랜드 아이덴티티 컬러가 브랜드이미지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공동브랜드 '제주마씸'을 중심으로 -

        문수민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0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1 No.64

        공동브랜드는 그동안 중앙정부의 지원과 지방자치단체 각 시·군의 정책적 노력을 바탕으로 양적으로 많은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여전히 낮은 인지도와 저조한 마케팅 성과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급속한 산업의 발전과 해외 농산물의 도입으로 시장구조가 생산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되고, 지자체 농산물의 경제구조 또한 치열해지고 있음에도, 공동브랜드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최근 소비자 감성을 부각하여 브랜드 커뮤니케이션하는 컬러 마케팅 성공사례가 늘고 있다. 그러나 공동브랜드의 경우, 컬러 선정에 뚜렷한 기준이 없고 단순히 제품 속성이나 디자이너의 주관적 판단으로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브랜드의 컬러가 브랜드이미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및 영향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소비자 감성중심 소비경향을 고려하여 브랜드 컬러 선정 에 대한 프레임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통해 공동브랜드의 개념과 현황, 그리고 브랜드 아이덴티티 컬러이론에 대해 고찰한 후 20대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아이덴티티 컬러가 브랜드이미지, 고객만족 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컬러마케팅 차원으로서 상징성과 연상성, 주목성은 브랜드이미지와 고객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이미지는 고객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국내 농수산업 공동브랜드 개발 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되기 바라며, 공동브랜드 컬러마케팅을 통해 브랜드이미지 제고와 나아가 고객만족 및 매출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해 본다. The cooperative brand has been developed quantitatively based on the support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policy efforts of each city and county of local governments. However, they are still suffering from low recognition and poor marketing performance. This is because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cooperative brand cannot keep up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dustrializ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overseas agricultural products, despite the rapid change in the market structure from producer-centered to consumer-oriented, and the economic structur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is also becoming fiercer. Recently, more and more successful cases of color marketing have been made to communicate brand by highlighting consumer sentiment. However, in the case of co-brands, color selection is often determined by simple product attributes or by designers' impromptu judgments without clear criteri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rand image, the impact of the color of the cooperative brand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to present the frame of the newly changing consumer emotional-oriented brand color selection criteria. In response,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status of the cooperative brand, brand identity and logo color through related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logo color's influence on brand image, customer satisfaction, etc. for adults who have no problem in color identification. As a result, first of all, association and attention as color marketing dimension have positive influence on brand image and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brand image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ability.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when developing cooperative brands in the domestic agricultural and fisheries industry, and suggest strategic directions that can lead to enhancing brand image and further customer satisfaction and sales performance through cooperative brand color marketing.

      • KCI등재

        지역브랜드 구축을 위한 중소기업 공동브랜드에 관한 연구

        허진하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09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7 No.2

        최근 문화적인 수요에 따른 지역문화에 대한 관심과 함께 지역 활성화 방안으로써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중심으로 하여 지역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 중 하나로써 지방자치단체 또는 여러 협력단체를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는 것이 바로 중소기업 공동브랜드이다. 이것은 경쟁력 있는 지역 고유의 브랜드를 개발하여 지역에 대한 가치를 새롭게 제고하기 위함과 동시에 경기침체와 경제위기에 살아남기 위한 해결방안으로 여겨진다. 정부는 공동브랜드에 대한 장점을 일찌감치 인식하여 중소기업청을 통해 1996년부터 중소기업 공동상표 지원사업을 운영해 오기는 하였으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많은 문제점들이 드러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농수산물과 특산품 중심의 공동브랜드는 널리 알려져 있는 것에 비해 공산품 공동브랜드는 지역 자원과 노동 자원, 기술 자원의 결합으로써 지역 경제의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 분명함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지원정책에는 소홀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의미에서 해석할 수 있는 공동브랜드에 대한 개념과 범위를 중소기업 공동브랜드의 공산품으로 한정시켰다. 공동브랜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그 의미와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지방자치단체 또는 지역협력단체를 중심으로 개발되어 운영하고 있는 중소기업 공동브랜드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인 쉬메릭, 진주실크, 실리리안은 1997년 개발된 이후 현재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며 해당 지역을 거점으로 하여 활발하게 판로를 모색하고 있는 브랜드이다. 주력 생산품목이 확실한 진주실크와 달리 쉬메릭과 실라리안은 생산품목이 지나치게 많아 브랜드 이미지 통합의 어려움이 있었으며, 쉬메릭과 진주실크가 새 브랜드디자인 개발을 통해 다양한 판로를 구축해 나가고 있는 것처럼 실라리안 역시 새로운 변화가 모색되어야 하는 실정이었다. 중소기업 공동브랜드의 성공적인 활동은 중소기업 육성뿐만 아니라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 더 나아가 지역 고유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있어 의미가 있으며,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지역브랜드로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공동브랜드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중소기업이 지역경제발전과 지역브랜드 구축을 위해 안정되고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A great many of people are interested in building a regional brand image around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bodies as a way for reviving regions with an interest in regional culture resulting from the recent demand for culture. One of them is a small & medium-sized Companies collaborative brand which is being developed by local governments or several cooperative organizations. This is considered a solution that enhances new regional values and at the same time survives the economic recession and an economic crisis by developing the competitive brand unique to the region. The government has early recognized the merits of the collaborative brands and operated the business for supporting the small & medium-sized Companies' collaborative trade marks via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since 1996. However, due to a lack of a lasting and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lots of problems have emerged. Also, while the agricultural & marine products-centered and specialty-centered collaborative brands are widely well-known, industrial collaborative brands have been made light of in terms of an on-going support policy despite the apparently many positive influences which have on regional economies through a combination of regional resources and labor and technology resources.Thus, in the study, I intended to explore into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collaborative brand which could be construed as several meanings by limiting such concept and scope to the collaborative brand, of industrial products, the business for supporting the small & medium-sized Companies. In the theoretical study on the collaborative brands, I inquired into the concept and role as well as the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collaborative brands of the small & medium-sized Companies which are being currently developed in the local governments or the regional cooperative organization.The successful activity of the small & medium-sized Companies' collaborative brands has an implication for both nurturing those companies and invigorating regional economies and further forming the identity native to the region, which could be indeed carry a value as a true regional brand. Above all, the system which can maintain and manage such collaborative brand in a steady and systematic way must be developed. In addition, the base which small & medium-sized Companies can make a stable and brisk activity for building the regional economy development and regional brand must be created.

      • KCI등재

        우리나라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성공 및 실패사례 연구- 충청남도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김신애,권기대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1

        This study aims to deal with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agricultural product co-brand in Korea. The background of the study is that the government has a market advantage in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due to the entry of advanced agricultural co-brands such as FTAs into the market. That is, a co-brand developed by 226 local governments with a budget of 7 trillion won will confirm its dominance in the market.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review previous studies on co-brands, secondary data, and interviews with public officials in charge.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was targeted at Chungcheongnam-do.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successful and unsuccessful co-brands is that consumers have a history of exposure to co-brands and winning grand prizes. Second, how systematically local governments manage the quality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is also a very important key. Third, obtaining a national certification mark for local agricultural products is also a crossroads between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co-brand. Fourth, basic local governments have enacted joint agricultural brands and ordinances, and are sustainable in promoting them.. Fifth, the farmhouse organization trusts the policies of basic local governments and actively intends to manage the production qua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o improve farm income and increase the degree of completion of policies through consumer satisfact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성공과 실패사례를 다루고자 한다. 연구의 배경은 정부가 FTA 등 선진 농산물 브랜드의 국내시장 진입에 따른 우리 농산물 브랜드의 시장경쟁우위를 위해 7조원의 예산을 투입한 이래로 226개의 기초지방자치단체에서 개발된 공동브랜드가 시장에서 어느 정도 성공과 실패의 갈림길에 있는가를 진단한다. 연구방법은 농산물 공동브랜드에 관한 선행연구의 검토, 2차 자료(기초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자치법규정보시스템, 지역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육성조례, 보도자료)를 병행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충청남도 15개 시군(市郡)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결과 첫째, 성공 및 실패한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차이는 소비자에게 공동브랜드의 파워 리더십(홍보 노출빈도 및 브랜드의 수상 이력) 여부에 의존적일 수 있다. 둘째, 기초지방자치단체가 지역생산 농산물의 품질을 얼마나 시스템적으로 관리하느냐도 매우 중요한 성공의 관건이다. 셋째, 지역생산 농산물의 국가인증마크 획득도 공동브랜드의 성공 및 실패 길의 기준이었다. 넷째, 기초지방자치단체에서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육성 및 조례를 제정하더라도, 단체장이 얼마의 홍보예산이 책정되고, 지속성의 관리 여부도 성공 및 실패의 잣대이다. 즉, 단체장의 리더십이다. 다섯째, 성공한 농산물 공동브랜드는 농가 조직이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정책을 얼마나 신뢰하고, 순응하는지의 적극적 자세도 기준일 수 있다. 본 연구의 함의는 첫째, 성공한 농산물 공동브랜드란 소비자들로부터 애착심 및 충성도를 유도하고, 지역농가들에게 농가소득으로의 선순환 조건이 되어야 한다. 둘째, 공동브랜드의 지적 재산권을 가진 기초지방자치단체는 소비자들의 마음속에 특정 지역의 공동브랜드가 브랜드 포지셔닝될 수 있도록 예산확보 및 홍보전략의 완성도를 높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