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공공청사 공간디자인 특성에 대한 사례 연구 - 시민문화공간을 중심으로 -

        류혜지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Citizen cultural space refers to a place where local residents can enjoy the culture created outside and inside the public office building, and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desirable space in the space composition of the public building.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signing future-oriented public office buildings by analyzing and understanding space design of public office buildings with a focus on citizen cultural space. (Method)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six public buildings built in a specific Korean locale between 1999 to 2014.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and sites were survey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itizen cultural space at select public office buildings. (Results) First, public office buildings built before 2010 were mostly high-rise buildings that provide a citizen cultural space that could be used by local residents for creating a rooftop garden or some other complex cultural space, both on the top floor and the ground floor. Second, in the main public office buildings, citizen cultural space was mostly located on the first ground floor, followed by the first underground level and the second floor. Third, the first underground level only featured amenities and commercial facilities; the most advanced function of citizen cultural space on the ground floor was the provision of amenities and commercial facilities followed by the strengthening of community awareness, securement of local identity, and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access arts and civic education; and the most advanced function on the second floor was the securement of local identity followed by the provision of amenities and commercial facilities, civic education, strengthening of community awareness, and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access arts. Fourth,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facilities of citizen cultural space among the amenities and commercial facilities on first ground floor and first underground level were banks, post offices, beauty salons, travel agencies, insurance companies, shoe repair shops, and bookstores, all of which have a character of convenience. (Conclusions) The first ground floor where residents have the best accessibility should be well utilized for citizen cultural space, and, in the case of high-rise buildings, the top floor should be opened up for the residents so that citizen cultural space can be enlarged for greater use. Further,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and expand citizen cultural space to various functions and forms by further expanding such functions as the opportunity for local residents to access the arts. (연구배경 및 목적) 지방자치시대 이후 공공청사는 주로 사용하는 공무원뿐만 아니라 지역주민들도 같이 이용하는 공간의 기능이 늘어나면서, 주민에게 편의를 주고 청사의 이용 효율성을 높이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시민문화공간은 지역주민을 위해 공공청사의 외부와 내부에 조성된 문화를 누릴 수 있는 공간을 말하며, 공공청사의 공간구성에서 가장 바람직한 공간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공청사의 공간 디자인을 시민문화공간 위주로 분석, 파악하여 미래지향적인 공공청사를 디자인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우리나라 공공청사 중에서 1999년부터 2014년까지 지방에 지어진 6곳의 공공청사를 대상으로 한정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고찰과 사례조사로 진행되며, 공공청사의 공간과 시민문화공간에 대해 관련 논문, 책, 인터넷 자료에 대해 문헌고찰을 한다. 다음은 선정된 공공청사를 직접 방문 후 현장조사를 하여 시민문화공간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공공청사 건축 형태에서 2010년 이전에 지어진 공공청사는 고층 건물 형태가 대부분이었고, 지상 1층뿐만 아니라 가장 높은 층에 옥상정원이나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여 지역주민이 사용할 수 있는 시민문화공간으로 제공하고 있었다. 2010년 이후에 지어진 공공청사인 경우는 고층형이 아니라 낮은 층수로 구성되어 있고 옆으로 분산되어 있는 공간 배치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면서 지상 1층에 주로 시민문화공간이 배치되어 있었다. 둘째, 공공청사 본청사를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 지상 1층에 시민문화공간이 가장 많이 위치해 있었고 다음으로 지하 1층, 지상 2층 이상 순서로 배치되어 있었다. 셋째, 가장 많이 조성된 시민문화공간의 기능은 지하 1층은 편의 및 상업 시설 제공이 유일했고, 지상 1층에는 편의 및 상업 시설 제공, 공동체 의식 강화, 지역 정체성 확보, 예술 접근 기회 확대, 시민 교육 순서였다. 지상 2층 이상은 지역 정체성 확보, 편의 및 상업 시설 제공, 시민 교육, 공동체 의식 강화와 예술 접근 기회 확대 순서였다. 넷째, 가장 많이 조성된 시민문화공간 시설은 지상 1층과 지하 1층 모두 편의 및 상업 시설 제공의 기능 중에서 편의의 성격을 갖는 은행, 우체국, 이미용실, 여행사, 보험사, 구두수선소, 서점 등이었다. (결론) 시민문화공간의 위치는 지역주민들의 접근성이 가장 좋은 지상 1층을 잘 활용하는 것이 좋으며, 고층 건물인 경우는 최고층을 지역주민들에게 개방하여 시민문화공간을 확대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 그리고, 현재 시민문화공간은 편의 및 상업 시설 제공의 기능이 가장 많이 있지만, 앞으로는 지역주민의 예술 접근 기회 확대, 지역 정체성 확보, 시민 교육, 공동체 의식 강화 기능 등을 더 확충하여 시민문화공간이 다양한 기능과 형식으로 늘어나고 강화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CPTED 관점에서 본 공공청사의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김서우(Seou Kim) 한국셉테드학회 2022 한국셉테드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국가 및 지방정부의 공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공공청사가 침입 등의 범죄예방 측면에서 안전한지, 또 빈번한 집회 및 시위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계획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개선방안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성과로서 첫째, 정부청사의 경우 2016년 12월에 「정부청사관리 규정 및 시행규칙」에 ‘청사의 출입 관리’ 및 ‘방호 진단’을 신설하였으나 지방 정부청사의 경우 아직 제도적으로 반영되지 못한 상태이다. 또한 여기에 반영된 내용은 「건축법」에 따른 아파트 등에 적용되는 범죄예방 건축기준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공공청사를 대상으로 한 집회 및 시위가 증가하고 있고, 소음 등으로 인해 공공청사에서 업무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설문조사 결과 분석되었다. 셋째, 공공청사가 범죄로부터 안전하기 위해서는 공공청사에도 「건축법」에 따른 범죄예방 설계 기준이 적용되어야 하며, 시위로 인한 업무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차음 성능이 강화된 창호 설치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government office building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crime preventative designs of those buildings. It has been found that: first, in the case of central government buildings, “access management of government buildings” and “protection diagnosis” were newly established in the 「government building management regulations and enforcement regulations」 in December, 2016. However, this change has yet to be established in local government building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regulations reflected here were far below par compared to the crime prevention building standards applied to personal apartments under the 「Building Act」. Second, as rallies and protests that take place near government office buildings increase every year, surveys confirm that exposure to noise has a negative impact on work performance. Finally, it is crucial that crime preventative designs should be strictly controlled by regulation (ex. building codes), so that civil servants are protected from crim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windows to minimize the noise generated by protests to not hinder the work performance of civil servants. These findings help understand the cur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of government office buildings associated with crime prevention facilities.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he principles and process to make the government office building better, safer and more pleasant for both citizens and officials.

      • KCI등재

        설계경기를 통해 고찰한 소방서청사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성기문,류주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2 No.3

        본 연구는 설계경기를 통해 신축된 소방서청사의 사례를 바탕으로 영역별 공간구성 및 특성, 영역간의 상호연계 및 동선체계, 지역공공시설로서의 역할 등의 분석을 통해 보다 바람직한 소방서청사의 계획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대기공간의 쾌적성과 독립성, 재충전을 위한 휴식, 출동준비와 정비 및 훈련, 대원들 간의 공동체 증진 등을 고려한 배치계획방향으로는 중정을 중심으로 직할대기실을 별동으로 분리하는 계획이 바람직하며, 지역공공시설로서의 공공성 증진을 위해 보다 주민 친화적이고, 도시가로경관 측면에서 주요한 공공 오픈스페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외부공간 계획이 요구된다. 신속한 출동을 위해서는 대기공간을 차고와 수평적으로 인접한 곳에 배치하여 수평동선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기공간 계획에서는 1인 1실 개념의 단위그룹 공간으로 계획하여 보다 명확한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와 커뮤니티 확보가 필요하다. 주요 사무공간은 각 과별 소켜뮤니티 형성과 소통을 위한 보다 개방적인 공간계획과 다양한 실내 · 외 휴게공간 조성을 통한 공간의 쾌적성 향상이 필요하며, 공용공간에서의 여성직원에 대한 보다 많은 배려가 요구된다. 또한 대원들의 재충전과 자기계발을 위한 음악 · 영화 감상실, 시청각 세미나실, 소그룹 취미실 등의 제시도 필요하며, 보다 개방적이고 교육적 · 문화적인 지역공공시설로서 활성화될 수 있도록, 소방안전교육 및 체험관, 소방 역사 전시 · 박물관, 소방관련 도서 · 정보관 등의 프로그램 창출과 공간계획, 운영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 공공청사의 합리적 공간계획을 위한 주민의식조사연구

        이문규,동재욱,이화룡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2015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논문집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rational spatial planning of government office building through a survey of citizens and public officials to use a government office building. Study on the way to get away with the existing theoretical framework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established, Survey of public officials and the citizens using government offices to investigate the trends and spatial planning issues for the construction of public buildings currently being used in public buildings. Government office building are using different programs and grants planning objectives, review a lack of common areas, that do not meet the functional needs of the tenants and public institutions part, the increase in operating expenses was announced. Based on this survey regarding the topic through a case study on building use, information about the spatial plan, details on the design and the design of the building, was set at other locations. Survey results are actively involved in government office buildings and office participation in public hearings on the design of the final draft during composition, government office buildings high priority when considering the publicity ensured composition, spatial planning is necessary for service providers and transport stands to match regional situation , and ease of use of the citizen and the symbolism of architecture and design is required, the composite was investigated building work and civil service efficiency is desirable.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시민과 공공청사를 이용하는 공무원의 설문조사를 통한 공공청사의 합리적 공간계획 제안에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기존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이론적체계를 정립하고, 설문을 통하여 공공청사의 건립동향 및 사용중인 공공청사 공간계획의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기존 청사는 계획과 상이한 프로그램부여, 공용부분 검토 부족, 기능과 요구에 맞지 않는 공용부분 및 사업비증가가 발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항목을 건축물 사용에 관한 사항, 공간계획에 관한 사항, 건축물의 설계 및 디자인에 관한 사항, 기타사항으로 설정하였다. 조사결과는 청사 조성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설계시 최종안에 대한 공청회에 참여하며, 청사 조성시 공공성확보를 고려하고, 지역에 맞는 서비스 제공과 교통약자를 위한 공간계획이 필요하며, 이용편의성과 상징성 및 디자인이 필요하고, 복합화 업무 및 대민서비스 효율화가 바람직하다고 조사되었다.

      • KCI등재

        공공청사 종전대지의 활용방안에 관한 비교연구 - 한・일 양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강중용(Kang, Joong Yong),동재욱(Dong, Jae Uk),서진형(Seo, Jin Hyeong) 대한부동산학회 2016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4 No.1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공공청사의 종전대지의 발생 원인을 연구하고, 공공청사 이전의 추진배경 및 현황을 파악한다. 공공청사 이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종전대지의 활용사례를 한국과 일본의 공공청사종전대지의 활용사례를 비교분석한다. 비교분석한 자료를 통하여 앞으로 공공청사 종전대지의 활용방안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between Korea and Japan s public offices of the end of the land The background and statu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rior research and public offices. The land of use cases public caused by relocation of their previous Japanese comparison the land of use cases previous public offices. A Comparative Analysis of data to submit proposals on how to make use of previous public offices in the future through the Earth.

      • KCI등재

        공공청사 이전에 따른 활성화 방안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분석에 관한 연구

        김종구(Kim Jong Gu) 대한토목학회 200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9 No.2D

        도시의 발달과정에서 공공기관이 도심 외곽지역으로 이전하고 이에 따라 야기되는 기존 도심의 공동화 현상은 어느 정도 예견되는 현상이다. 그리고 부산시의 경우, 국내의 다른 도시들에 비해 도심쇠퇴 현상이 심각하게 진행되었다고 평가된다. 도심 활성화를 위한 접근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공공청사 주변 지역을 대상으로 청시주변 기성시가지의 침체 요인을 분석한다. 그리고 공공청사 이전에 따른 기성시가지의 활성화 방안과 그에 따른 영향을 인자분석을 통해 논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심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제시된 방안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일원 기성시가지에 입지한 동래구청사 이전계획을 사례로 동래구 구청사 및 주변 지역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기성시가지의 침체 요인을 분석한다. 이 후 구청사 이전에 따른 청사주변 지역 즉, 동래구 복천동 일원의 기성시가지 활성화 및 특성화를 위한 기본방안 제시와 더불어 세부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동래 지역 활성화에 어떠한 계획요소들이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인자분석을 통하여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5개의 주요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역사문화적 요인, 특성화 거리 조성 요인, 도시계획적 요인, 구청사 이전지 요인, 교통환경 개선요인 등이 주변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As a government building transferred to the outskirts of a city, it's easy to foresee a doughnut effect from advancement process of the city. In the case of Busan city comparing different cities a doughnut effect is being advanced seriously. To the access method for a city center activation the possibility which there will be a various branch, but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factors of the stagnation in the public Government building neighboring area. And then made a proposal for the city activation plan by transferring the public Government building, analyze influence to surrounding areas using factor analysis. Hence,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plan for the activation of existig city and evaluates it which is presented consequently, In the case of Dongrae government office, a problem of the neighboring area and condition of present were surveyed and causes of the stagnation in existing city analyzed. Consequently the important five factors were extracted as follows; 1) historical and the cultural factor, 2) factor of creating the special street, 3) urban planning factor, 4) factor of transferring government office.

      • 공공건축물 색채 경향 분석 -최근 건축된 서울시 공공청사를 대상으로

        이형승(Hyeongseung Lee),이석현(Seokhyun Lee) 한국색채학회 2019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12

        2000년대 이후, 국내의 많은 도시들은 도시경관의 질적 향상을 이루기 위해 도시경관, 공공디자인 등에 대한 다양한 개선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주변 경관과의 조화를 고려한 도시경관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지역의 공공건축물들은 획일화된 색채와 소재의 적용으로 획일적인 경관 조성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어 지속적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건축물의 외부 환경색채 개선을 위해 2000년 이후에 신축되어진 서울시 공공청사의 건축물 색채 및 소재에 대한 조사 및 고찰을 통해 최근 공공건축물의 색채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기존연구에 대한 이론 고찰을 통해 공공건축물의 바람직한 색채환경에 대해 정리하고, 2000년 이후 지어진 서울시 주요 공공청사의 환경색채를 기계측색과 육안측색을 통해 조사하여 색채경향을 분석한다. 조사의 결과, 4곳의 대상지의 색상은 주조색은 B, BG 계열 색상의 밝은 고명도 경향을 보였으며, 보조색은 Y 색상이 주를 이루었고 강조색은 YR, B, PB 색상이 주고 적용되어 있었다. 주조색의 명도는 중명도, 보조색은 고명도, 강조색은 중/저명도의 분포를 주로 보였으며, 채도는 주로 저채도 경향을 보였으나 강조색에서 고채도 경향이 나타나고 있었다. 공공청사의 색채와 소재는 전체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고, 지역경관의 특성과도 다소 차이가 있어 향후 개선이 요구되었다. 향후 타 지역 공공청사 및 국외 사례와의 환경색채 특성에 대한 비교분석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 KCI등재

        이용자 관점에서 본 수원법원 종합신청사 사인시스템에 관한 연구

        황유철,김영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1

        Background We will study and analyze the importance of the public office sign system, and examine the user-centered sign system. In recent, public offices have become larger, and the number of users has been increasing due to various demands as well as administrative and public purposes. Therefore, a more accurate and convenient sign system should be applied to public government user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n effective method by studying the system of the public office, especially the court. Method We analyze the cases of Seoul, Busan and Incheon, which are large in domestic courts, and analyze the case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hich is a multi - use facility, and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which is popular among the general public, and the recently reopened Busan metro sign system. For efficient analysis, we will visit the case study, review the related academic data, and analyze more objective data through statistical data. Based on the case analysis, we will study the application method of efficienc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subject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t application of the sign system. Result We analyzed the focused user sign system through case analysis and site analysis. However, a conventional sign system does not solve the problem of the case and is applied to the target building as it is. In addition, the scale of the biggest court in Asia as well as the country is emphasized, and it shows the problem that the efficient sign system is not applied. Conclusion The public office needs to change from a general view that it is always lagging behind the private sector, but rather to a more user-centered system by applying new technologies to the forefront. In this study, we propose a digital sign system which is actively used in the private sector, and further suggest a new concept sign system using VR, AR and hologram technology. 연구배경 최근 들어 공공청사는 대형화되고 기존 행정 및 공공의 목적 등 다양한 요구에 의하여 그 이용자가 늘어가고 있다. 따라서 공공청사 이용자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편리한 사인시스템이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용자관점에서 공공청사, 특히 법원의 안내 사인시스템을 연구하여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먼저 국내 법원중 규모가 큰 서울, 부산, 인천의 사례를 연구 분석하고, 다음으로 인천국제공항과 일반인들이 많이 찾는 국립중앙도서관 그리고 부산도시철도 다대선 사례를 비교 분석하기로 한다. 효율적인 분석을 위하여 대상 사례를 직접 방문 조사하고 관련 학술자료를 검토한 후, 통계청 통계자료를 통해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하기로 한다. 연구결과 국내 법원 사인시스템의 사례분석과 수원법원 대상지 분석을 통하여 이용자 중심의 사인시스템을 연구하였다. 그러나 관습적으로 설계하는 사인시스템은 사례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대상건물에 그대로 적용되어 있었다. 또한 국내는 물론 아시아 최대 규모의 법원이라는 규모만 강조되고 효율적인 사인시스템이 적용되지 못한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결론 수원법원 종합신청사는 차량과 보행자 각각의 동선을 고려하지 않은 사인의 위치와 크기, 색상, 문자로 적용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이용자 중심의 사인디자인시스템으로 적용하는 변화가 요구되었다. 그리고 민간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사인시스템 적용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VR, AR, 홀로그램 기술을 도입한 신 개념 사인시스템을 부분적으로 라도 도입되기를 희망한다. 본 연구가 공공청사는 항상 민간 부분보다 디자인이 실용적이지 못하고, 신 개념 디자인을 신속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일반적인 인식을 개선하는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전남도청 앞 광장 및 모두누리 열린 숲 재조성 계획

        배현미,이창훈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2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6 No.4

        This study was jointly conducted by Jeollanam-do and Muan-gun with the goal of expanding green cultural forests enjoyed by all residents of Jeollanam-do and Namak Lake. A lot of time has passed since its establishment in 2005, but due to the image of a green area attached to public buildings, it has been neglected due to limitations in free access and use by visitors to the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and local residents. Accordingly, the plaza in front of the government building and the surrounding space were created and opened as a public space for citizens, namely a park. The space in front of and within the government building was planned with differentiated functions. The green area around the lake in the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was planned as a park, an open public space for citizens, in other words, an open forest. We planned a specialized trail where you can feel the nature of the region by utilizing existing resources in the government building, such as Namak Lake and forest. In addition, consumer- centered spaces with various functions that everyone wants and can use comfortably are placed in the right place. In addition, with the meaning of actively providing a place that has not been used comfortably until now, it was planned to be used as a place that is provided to all citizens by creating a shared yard, or sharing garden. The front green area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where the garden festival will be held in 2022, was planned as a symbolic garden plaza that symbolizes jeollanam-do for efficient use and symbolism. 본 연구는 전라남도 청사 및 남악호수 일원에 도민 모두가 함께 누리는 녹색문화숲 확충을 목표로 전라남도와 무안군이 함께 진행한 것이다. 2005년 조성 이후 많은 시간이 경과되었으나 공공청사에 부설되어 있는 녹지라는 이미지로 인해 도청방문객 및 지역주민들의 자유로운 접근과 이용에 한계가 있어 방치되어왔다. 이에 청사 전면부와 청사 내 주변 공간을 도민을 위한 공공공간 즉 공원으로 조성하여 개방하였다. 청사 앞 광장과 청사 주변 공간은 기능을 구분하여 계획하였다. 도청 내 호수 주변 녹지는 도민을 위한 개방된 공공공간인 공원, 즉 열린 숲으로 계획했다. 청사 내 기존자원 즉 남악 호수 및 숲 등을 활용하여 지역의 자연을 느낄 수 있는 특화된 산책로를 계획했으며, 모두가 원하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기능의 공간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했다. 아울러 지금까지는 편하게 이용되지 못한 장소를 도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제공한다는 의미를 담아 공유마당 즉 쉐어링 가든으로 조성하여 도민 모두에게 공여하는 장소로 쓰이도록 계획했다. 2022년 정원페스티벌이 개최되는 도청사 전면녹지는 효율적 이용 및 상징성 부여를 위해 전라남도를 상징하는 상징 정원광장으로 계획했다.

      • 제주특별자치도 공공 청사 건립사업의 적정 사업비 산출 시스템 구축 방안 - 읍·면·동 청사, 경로당, 마을회관 등의 소규모 공공 청사 중심으로 -

        김한준(Kim, Hanjoon),강상찬(Kang, Sang-Chan),장명훈(Jang, Myunghoun)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1 No.1

        Under the strengthening of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government offices are changing from the existing focus of administrative work and civil service to a hub of local communities that provides various complex functions and spaces such as local economy, society, culture and welfare. However, since there are no legal or institutional regulations for small public facilities, the plan is based on the will of the responsible departments or local residents, causing problems such as ostentatious buildings and budget wast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standards and regulations for calculating appropriate areas and project budgets at domestic and abroad, and develops a Web-based appropriate project cost estim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appropriate small-scale public office construction projects. It is expected that Web-based appropriate project cost calculation system for Jeju public government building will be utilized to prevent rational small-scale public facilities and budget abuse by providing basic guidelines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public facilities during the planning phase of the small facility construction project, an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buil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